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잊혀진 재한일본인처의 재현과 디아스포라적 삶의 특성 고찰 -경주 나자레원 사례를 중심으로-

        이토히로코,박신규 한국일본근대학회 2016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1

        본 연구는 급속히 진전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다문화현상에서 역사 속에서 소수 민족으로 살아온 일본인처들의 디아스포라적인 삶의 특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재한 일본인 처의 고령화로 그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남길 수 있는 시간은 한계가 있기에 현 시기에 일본인 처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은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한일본인처가 집단적으로 거주하고 있는 경주 나자레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재한일본인처의 삶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재한일본인처의 삶은 여성으로서 겪었던 이산의 경험, 현모양처로서의 삶의 유지, 경계인으로서의 삶, 그리고 고향지향성을 지난 디아스포라의 삶에 대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제 식민지시기에 조선인 남성과 결혼하고 한국으로 건너온 일본인처들은 현재 시점에서 보면 국제결혼이민자의 한 종류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제대로 된 지원이나 대우를 못 받으면서 ``잊혀진 국제 미아``로 살아가고 있었다. 이와 같은 그녀들의 삶을 특성과 맞물려 한국에서 살고 있는 그녀들의 문제를 간과한 채 다문화정책을 수립하는 것은 한국사회에 들어와 있는 소수자인 이주민의 역사를 고려하지 않은 단기적이며 단편적인 정책 지원에 머루를 것으로 예측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aspora lives of Japanese wife lived in the minority in Korea. In particular, the time to leave to hear their voices directly to the aging of Japanese wives is limited. Thus, the study of the Japanese wives in the current period is historically meaningful work. As a result of having an oral history of the second raw data with the selected Japanese Wives in Gyengju Nazareth Center to determine their diasporic characteristics, its found that they could have a discrete experience, the maintenance of life as good wife and wise mother, boundary maintenance and homeland orientation. In addition, Japanese wives who were married to Korean men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e looking at the moment a kind of marriage immigrants, while receiving not properly supported and they are living as forgotten international missing children.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without solving the problem of the Japanese wives, establishing a multicultural policy is expected to be short-term and fragmentary support.

      • KCI등재

        카타리베 활동을 통한 식민체험의 기억계승 - 재일한인 1세・2세의 기억의 전달 차이를 중심으로 -

        이토히로코,박신규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0 비교일본학 Vol.48 No.-

        전후 75년이 지난 일본사화에서 전쟁체험자의 감소에 따라 전쟁기억의 풍화와 보존이 중 요한 과제가 됨으로써 이를 계승하고 전수하는 ‘카타리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카 타리베는 후속 세대에게 과거의 기억 계승과 평화, 인권, 평등 등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역할 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쟁과 식민지 과거 체험을 전달하고, 재일한인의 상황을 알리는 카타리베 활동을 한 재일한인 1세 A와 2세 B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세, 2세 모두 전쟁 및 식 민지 체험의 기억 전달과 계승이라는 차원에서 보면 문화적 기억의 전달이라는 공통점을 지 녔으나 식민지 체험에서 실체험과 비체험자라는 차이로 인해 증언자와 설명원이라는 역할 차 이, 기억의 계승에 있어서 주요 매개체의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체험자에서 비 체험자로 계승해가는 이들의 카타리베 활동은 지역사회의 사회문화적 행위로서 전쟁 체험과 알려지지 않는 재일한인의 역사와 기억을 전달하는 데에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75 years after the war, as the number of war-experiencers decreased, it became an important task for weathering and preserving war memories, and interest in “Kataribe”, who is succeeded to, is growing. Kataribe not only inherits past memories to subsequent generations, but also plays a role in conveying messages such as peace, human rights and equality.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ases of JapaneseKorean, a fist-generation A and a second-generation B, who had been performed as the Kataribe to convey the experiences of war and colonial past and to inform the situation of Koreans in Japan. As a result, both generation had a commonality in the transmission of cultural memories in terms of memory transfer and succession of war and colonial experiences.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experience and non-experience in colonial past, differences appeared in the roles of the witness and the explainer, and the main mediator in the succession of memory. In conclusion, however, the Kataribe activities of those who succeeded from experience to non-experience played a large role in conveying the memory of Japanese-Korean unknown and the history of the war as a socio-cultural act of the community.

      • KCI등재후보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과 현실의 차이 - 유학생 내부 갈등과 국제교류원의 역할 -

        이토히로코,데스빈따 아유 이리아니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9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5 No.-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n Korean universities surpassed 160,000 this year. This number is the highest number in the country’s history. With the developed of Hallyu Wave’s which gain an interest in Korean education, Korean governments implement a policy to attract and manage foreign students to enhanc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 and universities. Since 2000,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a policy to attract students from overseas in earnest. Years after it was made, this policy grows and has a broader scope. Not only attracting foreign students, this policy also includes managing the quality of students, supporting job-linked programs, and providing more information about studying in Korea. However, there is a big gap between the government's bid and management policy and the reality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in Korea. First, in the process of choosing a place to study, scholarship or certification system it was hard to get the information, so most of the students choose to study in Korea with the introduction of family members and acquaintances rather than policies itself. Second, in the course of studying abroad, students nearly receiving help from universities, professors, and international exchange institutes. Third, after receiving and graduate, students nearly receiving information about graduation and career exploration. Also, even if there were job fairs, most of them were held in Seoul, which is one of the local college students problems. Finally, many pointed out that the current government-led international student policy is centered on recruiting and attracting new international students. The lack of interest and consideration for international students who already in Korea has resulted in a lack of proper management which consequently causing conflicts within international students. Attracting policies result in poor management system that cause conflicts and problems within international students itself.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international students currently studying in Korea rather than to attract foreign students, to establish a good management system, and to pay appropriate attention and consideration from the International Exchange Foundation. 2019년 현재 한국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수는 16만 명을 돌파하여, 역대 최고수준을 기록하였다. 그 배경으로는 한류붐을 기반으로 한 한국에 대한 교육적 관심과 더불어 국가·대학의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한국정부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정책이 존재한다. 정부는 2000년 이후 본격적으로 유학생 유치 정책을 실행하였고, 이후 유치뿐만 아니라 유학생의 질적 관리, 취업 연계 프로그램의 지원, 유학 정보 제공의 확대 등 그 역량 강화에 집중하였다. 그러나 정부의 유치·관리 정책과 외국인 유학생의 실상 사이에는 큰 괴리가 보인다. 첫째, 유학지 선택 단계에서 장학금 제도나 인증제 대학교라는 것은 크게 영향을주지 않았으며, 대부분 정책보다는 가족이나 지인의 소개로 한국유학을 선택하고 있다. 둘째, 유학생활 과정에서 대학교, 교수 그리고 국제교류원에서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장학금 제도 외에 관련 정책에 대한 정보가 없다고 하였다. 셋째, 졸업후의 진로탐색과 관련해서는 정보를 거의 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취업 설명회나 박람회가 있어도 대부분 서울권에서 하기 때문에 경제적 부담이 크다는 지방대 학생특유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현재 정부가 진행하는 유학생 정책에 대해서는 새로운 유학생을 모집하고 유치하는 데에 중심을 두고 있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미 한국에서 재학 중인 유학생에 대한 관심이나 배려가 부족하여 제대로 된 관리가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유학생 내부에서 갈등을 초래하고있다는 문제점도 주장되었다. 향후 유학생 정책은 더욱 유치보다 현재 한국에서 공부하고 있는 유학생들에게 눈을 돌려 관리 제도를 마련하고, 국제교류원을 기점으로하여 적절한 관심과 배려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하와이 닛케이(日系)의 사회인구학적 변천, 1900~1910

        이토히로코(ITO Hiroko),신형진(Hyoung-jin Shi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7 亞細亞硏究 Vol.60 No.1

        근대 일본의 해외이민은 1868년 최초의 공식적인 하와이 이민으로 시작해서 1924년 배일이민법이 제정될 때까지 총 231,359명의 일본인이 하와이로 이주한 것이 가장 중요한 흐름이라 할 수 있다. 기존 연구는 일본인의 하와이 이민이 원년자, 관약이민, 민약이민, 자유이민, 초청이민이라는 다섯 시기를 거치면서 사회인구학적 구성에서 많은 변화가 있었음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이 역사적 자료에 기초한 질적 연구이며 통계자료를 사용한 계량적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 논문은 미국 미네소타대학 인구연구소에서 제공하는 IPUMS-USA의 1900년 및 1910년의 센서스 자료를 토대로 선행연구에 대한 경험적 검증을 도모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00년에 비해 1910년에는 현지에서 태어난 이민 2세 인구의 증가에 따라 이민 1세의 비율이 감소하는 세대교체의 징후가 보였다. 둘째, 10년 동안 이민 1세 안에서는 민약이민자의 다수가 유출되고 이를 대신하여 많은 자유이민이 유입됨과 동시에 이민초기에 상대적으로 비율이 낮았던 여성들이 사진신부로 하와이에 들어오면서 인구구성의 변화가 생겼다. 끝으로 이들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비교한 결과, 하와이에서 거주기간이 길수록 직업지위 점수의 평균이 높고 이민 2세에서는 직업의 다양성과 함께 세대 간 계층이동이 실현된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From the first year of the Meiji era in 1868 until 1924 in which the U.S. Immigration Act banned immigration from Japan, 231,359 Japanese immigrated to Hawaii. This article examines socio-demographic profiles of the early Japanese immigrants in Hawaii utilizing the 1900 and the 1910 US Census Public Use Micro Sample (PUMS) data provided by Minnesota Population Center (IPUMS-USA). Findings from our study reveal that five different waves of Japanese immigrants shaped socio-demographic diversities among the Issei in Hawaii. Our study also suggests that upward occupational mobility was viable for those who stayed long enough in Hawaii or those who were born in there as Nisei despite the fact that overwhelming numbers of Japanese immigrants at the time were still farm laborers.

      • KCI등재

        한인과 일본인의 멕시코 이주 -20세기 초기 계약이민의 비교-

        이채문 ( Lee Chai-mun ),이토히로코 ( Ito Hiroko ) 한민족문화학회 2020 한민족문화연구 Vol.72 No.-

        본 연구는 멕시코에 계약이민으로 이주한 한인과 일본인을 비교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두 집단 모두 급속한 근대화와 경제개발로 인해 국내노동력이 부족해진 멕시코의 외국인노동자 유입정책과 한일 각 사회의 정세 악화에 따른 농촌의 몰락, 도시인구의 과잉화 등으로 인한 해외이주 장려정책의 영향으로 멕시코로 이주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슷한 시기에 멕시코로 이주한 한인과 일본인 이민자에 대해 계약이주의 배경, 과정 및 정착 등을 중심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멕시코 정부와의 관계, 중계자 역할을 한 이민회사의 수, 모집내용의 차이, 기존 이민사회의 형성과 정보, 이주 목적 등에서 한인과 일본인의 이민에는 큰 차이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인 이민의 이주 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사회현상이 일부 일본인 이민의 경우에도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인의 멕시코 이주의 특성과 공통점을 넓은 시각에서 조망하기 위해서, 유사한 동아시아계 이민에 관한 비교연구의 의미와 필요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Koreans and Japanese as East Asian contract immigrants who migrated to Mexico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contract migration of Koreans and Japanese to Mexico is closely related to the policy of introducing foreign workers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Mexico. In addit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decline of the rural economy in both countries resulting from the worsening situation in East Asian society and the overpopulation of urban residen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accelerating the contract migration.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compared the background, process and settlement of contract migrants between Korea and Japan who migrated to Mexico almost at the same time.The study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with the Mexican government, the number of immigration companies that acted as intermediaries, recruitment advertisements for immigrants, and the purpose of immigration. Nevertheless, common social phenomena also appeared in the migration process of Koreans and Japanese. In this vein, this study suggests that a comparative study on similar migration in East Asia is very useful in order to identify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similariti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migration to Mexico in a broader perspective.

      • KCI등재

        재일한인의 자기역사(自分史)에 관한 기록 특징과 의미 - ‘사랑방의 어머니들’ 사례를 중심으로 -

        박신규,이토히로코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2 비교일본학 Vol.54 No.-

        본 연구의 목적은 재일한인의 자기역사의 기록 특징과 그 의미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자 기역사는 자신의 경험을 중심으로 개인적인 일을 기록하지만 전체역사와 개인의 역사가 접점 을 이룰 수 있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기에 재일한인의 자기역사 기록에 대한 분석은 재일한인 의 역사를 재구성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졌다. 자기역사의 기록물로 재일한인 1세 49명의 사례가 들어간 ‘사랑방의 어머니들’을 선정하여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자기역사 기록의 의미는 재일한인 1세가 개인의 역사를 기억의 공동체에 보관하 여 본인의 경험을 차세대로 전달하고 계승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평가 할 수 있다. ‘사랑방의 어머니들’이라는 사례를 통해 나타난 자기역사의 기록 특징은 교육으로부터 배제와 끊이지 않는 노동기록, 전쟁 경험과 사회적 사건의 체험에 관한 기록, 야간중 학교 생활에 관한 기록으로 정리되었다. 이러한 자기역사의 기록 특징은 역사에 대해서 주관 적이지만 나를 드러내어 자기역사를 쓰는 것에 의미를 둔다는 자기역사의 의미에 부합하였고 특히 역사의 기록으로 남겨지고 싶은 목적을 지닌 자기역사는 전쟁체험, 고생한 기억, 사회적 성공 경험, 가족 및 고향의 역사를 기록한다는 특징과도 일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of the personal history of KoreanJapanese and their meaning. Personal history records center on one's own experiences, and they are the contact points where the entire history and the individual's history meet. In this study, the collection of Mothers of Sarangbang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records of personal histories. This collection contains 49 cases of firstgeneration Korean Japanese. The result shows that the personal historical records of KoreanJapanese have played a role in keeping individual histories in the community of memory and passing on their experiences to the next generation.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history recorded through the case of 'Mothers in Sarangbang' are as follows: records of exclusion from education and continuous labor, records of war experiences and social events, and records of night middle school life. Although this characteristic of personal history writing is subjective, it coincides with the meaning of selfhistory, which reveals and places meaning in writing one's history. Personal history with the purpose of being recorded in history is consistent with the characteristics of recording war experiences, hard memories, social success experiences, and the history of family and hometown.

      • KCI등재

        오사카 사랑방을 통해 본 재일한인 1세의 삶과 고향의식

        박신규,이토히로코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6 비교일본학 Vol.36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디아스포라의 개념을 지니면서 재일한인의 ‘아래로부터의 역사’를 들려줄 재일한인 1세의 삶을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분석해 보고 재일한인 1세의 고령화에 따른 그들의 고향의식 변화도 살펴보는 것이다. 구술생애사라는 연구방법을 선택하고 재일한인거주지 중 60세 이상의 비율이 높은 오사카 지역을 선정하여 사랑방이라는 시설을 이용하는 재일한인 1세 3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삶과 고향의식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재일한인 1세의 삶의 변화에 따른 고향의식의 특징은 초기 일본 경험에 따른 부유(浮游)하는 고향이미지, 경계인으로서의 삶과 적응, 그리고 상실된 고향, 나이 듦・상상의 공동체로서 고향의식 강화라는 특징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령화와 관련하여 고향지향성이 강화되지만 나이가 들어가면서 고향은 이제 어렸을 때 경험함 환경, 은유의 장소이면서 한민족이라는 관념을 만들게 하는 상상의 공동체로 자리매김하고 있었다. 고령화와 함께 강화되는 이들의 고향의식을 해소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도 요구되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ves of the first generation Japanese-Korean through the analysis of their voices. First generation Japanese-Korean have lived like traditional concept of diaspora. So look to analyze their lives in a narrative way of history from below. In particular, this study is find out the immigrants’ lives and the Sense of Home for First generation Japanese-Korean with their aging As a result of having an oral history of the selected 3 first generation Japanese-Koreans in ‘Sarangbang’ Osaka to analyze their lives and the sense of home, it characterized as follows: the floating images hometown according to the early Japanese immigrants living, the life and adaptation as a marginal man and the lost homeland, the aging and strengthening the sense of home as Imagined Communities. Particularly with regard to aging, they have been strengthened the home orientation. However, they got older, home to them are now environment they experienced as a young child. and place of a metaphor. They also get home to make the notion of the Korean people positioning as Imagined Communities. In addition also it showed that physical space is required to relieve their sense of home is enhanced with a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