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현대신유가의 성립배경에 관하여

        이경규 ( Lee Gyeong Gyu ) 대구사학회 2004 대구사학 Vol.74 No.-

        代表中國傳統文化的儒家思想歷史上受到嚴格的批評與試驗. 在魏晋南北朝和隋唐時代佛敎與道敎代替了儒家思想, 阿片戰爭發生以後儒家思想越來越面臨危機. 而因當時知識人受到西毆的衝擊, 因此他們爲了中國的近代化提出一些方案. 洋務派和變法派他們都提昌 `中體西用`, 但5·4新文化運動期的多數學者們提昌 `全般的反傳統主義` 他們利用西方的物質文明來改造中國人的倫理觀念, 而把西方的物質和宗敎文化要搬到中國. 但我們應該注意的不是東西文化中나個此較好的問題視10億以上的中國人能구適應的問題. 西方人不能完全受容中國文化一樣, 中國人也不能完全受容中國文化. 因此梁수溟認爲爲了解決中國的文化危機是支持中國傳統精神而傳統的基礎上建設新社會. 繼承從梁수溟開始的現代新儒家的傳統是港臺的新儒學者們. 1950年以來他們形成了現代新儒學學派,發表了 `宣言`. 他們主張返本改新興儒家的內聖外王, 而强調儒家心性學的本體論. 就是以儒家心性學的本體論爲中心來融合西方思潮(科學·民主的外王事業). 總體上, 我認爲現代新儒家的確繼承中體西用論. 改革·改放以後, 爲了解決中國社會的道德的危機注目了儒敎的復活. 最高指導者江澤民也積極的推動儒敎, 而强調孔敎可以防止不正與腐敗. 所以我覺得5·4以後出現的現代新儒家給我們的義意非常大.

      • KCI등재

        일제강점기 신여성과 일본유학에 관한 고찰

        이경규 ( Lee Gyeong-gyu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7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8

        일제 강점기 초기에는 이전 시기에 있었던 근대에 대한 동경과 선망이 상당히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일본 유학생들의 활동을 통해서 일본에서 받아들인 근대를 경험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본 역시 서구의 문물을 받아들이기에 급급하던 상황이었기 때문에, 강점기 조선에 이입된 근대는 전통적 일본이 아닌 서구식 근대 일본이었다. 1920년대 조선의 많은 신여성들이 일본 유학을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일본 신여성 운동 역시 조선의 신여성 운동에 끼친 영향은 상당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일본의 신여성 운동에 경제적으로 상류층 여성이 참가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조선의 신여성 운동도 일본에 유학한 소수의 엘리트 여성그룹이 주도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신여성들의 해외유학은 일본유학에 그치지 않고 미국이나 유럽 등의 서구로 확산되었다. 그리고 이들 신여성들은 봉건적인 구습을 과감히 타파하고 그 당시 사회가 요구하는 여권신장 운동, 남녀평등을 위한 여성해방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여성으로 정의되었다. 신여성은 시부모에게 잘 봉양하고 남편에게는 절대 복종하는 현모양처의 입장에서 자유평등과 자유연애를 주장하는 여성상, 즉 여권존중과 여성독립 등을 외치는 새로운 여성상에 대한 담론으로 이어졌다. 따라서 이전의 봉건적인 시대와는 전혀 다르게 사회적인 역할도 강조되었다. 여성의 사회적인 역할이 강조되었다는 점은 남성과의 관계 속에서 시작되는 어머니, 아내, 며느리와 같은 가족 공동체적인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개별적인 주체와의 관계 속에서 서로 독립 주체로서의 자기 자신을 찾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Korea in the early colonial period first came to experience Japan’s modernity thanks to the socioculturally vigorous activities of those previously educated in Japan who, while studying there, had then been influenced considerably by Japan’s yearning and envy for modernist movement that started to emerge from Europe in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However, given such a situation that Japan was also quite busy adopting in a passive manner a plethora of Western/European culture and values, the modernity infused into colonial Korea turned out to be that of westernized modern Japan, not of the traditional one. Considering that a majority of the Korean New Women (Sin yosong) in the 1920s experienced studying abroad in Japan, the New Women’s movement in Japan must have made an considerable impact on the equivalent one in colonial Korea. It can thus be assumed that a select group of elite women educated in Japan played a leading role in colonial Korea’s New Women’s movement, just as active participants in Japan’s New Women’s movement consisted mainly of women of the upper and upper-middle classes. And with the passing of time did the New Women’s preferred study-abroad destinations become gradually - though very occasionally - expanded into Western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some in Europe, away from Japan as the hitherto all-time popular destination for them to study abroad. The “New Women” in this period were defined as those willing to challenge feudalistic, male-dominated traditions and customs of the past, thereby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aimed at promoting women’s rights demanded by the then society and gender equality. And this new definition of women enabled the discourse on a newer concept or image of women to emerge naturally in this period, that is, the image of those who admirably uphold freedom, equality and free love into which it developed from that of traditional hyonmoyangcho (wise mother and good wife) socially demanded to look after her in-laws and continue to stay subservient to her husband. It was therefore a newer social role that became more and more stressed to women in this new period, completely different in character from that socioculturally demanded to them in the previous “old and traditional” period. Which also means that they began to identify themselves individually as an independent entity formed in multifarious day-to-day relationships with other similar entities, away from the idea of them perceived collectively as part of the family-centered “depdendent” traditional relationships they formed with the male as mothers, wives and daughter- in-laws.

      • KCI등재

        일제강점기 여성교육과 가정개량 담론에 관한 일고찰

        이경규 ( Lee Gyeong-gyu ) 한국일본근대학회 2021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71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의 잡지와 신문에 나타난 여성교육과 가정개량에 관한 담론을 정리하고 이러한 담론이 어떻게 형성되어 갔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성해방을 다룬 신문과 잡지 기사들은 여성들이 처한 상황에 대한 부당함을 폭로하면서 이러한 불평등한 문제들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여성도 남성과 같이 민주주의에 입각한 사회 구성원 주체로서의 참정권과 생존권이 보장되어야 하며, 현모양처 교육보다는 남녀평등과 인격주의에 입각한 창조적인 여성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전통적인 현모양처 교육은 남성 우월 의식에서 기반한 남성 본위의 여성 교육이라는 점을 지적하고 여성의 지위 향상을 위한 남녀평등과 여권신장을 기반으로 하는 여성 본위의 교육으로 개량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구시대의 인습을 타파하기 위해서는 여성 본위의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이러한 여성 교육을 통해서 여성 본위의 가정개량이 필요하다는 담론이 형성해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정개량론의 근저에는 전통적인 풍습이나 구태의연한 인습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조선의 의복문화, 음식문화, 주거문화 등 의식주 전반에 걸쳐서 새롭게 바뀌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반드시 여성 교육이 필요하며, 가정을 구성하는 남성과 여성 모두의 사고방식이 개량되어야만 실질적인 개량이 가능하다는 점을 전제로 하고 있다. 여성 교육과 더불어 의식주 개선 운동은 당시의 지식인들과 신여성 그룹이 가정개량 담론을 형성해 나가는데 있어서 기폭제적인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reviewed the discourses on women’s education and household reform handled in Japanese colonial era’s magazines and newspapers and looked at how they were formed. Newspaper and magazine articles dealing with women’s liberation reveal the injustice of women’s situations, arguing that these unequal issues should be addressed. It is argued that women, like men, should equally be guaranteed the right to vote and live as democratic members of society, and that rather than traditional education capitalizing upon the ideal for traditional good-wife-and-wise-mother womanhood, creative and progressive education should be furthered for women based on gender equality and personalism. It points out that such a conservative education for women as the former tends to be grounded basically in male superiority, thus arguing that the education for women should be first and foremost female-oriented based on gender equality and women’s empowerment to improve women’s status in societ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women in order to break down the old customs, it can confirm that there develops the discourse on a need for female-oriented household reform. The basis of the household-reform theory lies in that it is necessary to educate women, and only when the mindset of both men and women constituting a whole family can be improved, in order to make an overall makeover of Joseon’s clothing, culinary and residential cultures which still stay unchanged in its old-fashioned mores and conventions. In addition to women’s education, the life-improvement movement played a role as a catalyst for promoting household-reform discourse among then intellectuals and new women.

      • KCI등재

        미군정기 재일조선인 발행 신문의 문화 기사 고찰 -조선문화교육회 『文敎新聞』을 중심으로-

        이경규 ( Lee Gyeong-gyu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9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3

        『文敎新聞』의 문화 관련 기사의 주요내용은 조선의 전통 문화와 풍습, 역사에 관한 기사를 담고 있으며, 일본과 중국, 유럽의 문학과 음악, 예술, 문화를 비롯하여 전 세계의 외국 예술과 영화, 음악, 스포츠 등 문화 전반에 대한 국제적인 동향을 재일조선인 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문학에 있어서는 다방면의 집필진 구성을 통해서 소설, 시, 수필, 동화, 콩드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소개하고자 노력했고, 영화나 스포츠 분야에 있어서도 상당히 심도 있는 기획을 통해 많은 읽을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연재소설에서는 그들이 처한 조선인의 생활 현안 문제나 일본인과 조선인 사이의 국제연애 문제 등을 적극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해외 문학이나 문화, 스포츠에 대해서도 다종다양한 기사내용을 적극적으로 확보하고자 부단히 노력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 당시의 여타 재일조선인 발행 신문에 비해 이데올로기의 편향성을 지양하면서 문화 관련의 다양한 기사 내용을 상당히 체계적이고 균형감 있게 기획하고 확보하여 재일조선인 독자들에게 제공하고자 했다는 점을 엿볼 수 있다. 『文敎新聞』은 창조와 진리의 조선 문화를 수립하고, 문화국가 조선을 건설하여 인류문화 발전에 기여하는 대열에 앞장서 겠다는 창간 취지에 맞추어 부단히 노력한 신문이었다. 그러나 그들이 처할 수밖에 없었던 재정적인 어려움과 기사자료 확보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고 폐간을 맞이하게 된다. 이에 『文敎新聞』은 재일조선인 문화단체 발행 신문으로써의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rticles featured in the culture section of zainichi Koreans-published weekly ethnic newspaper the Bunkyo Shinbun(文敎新聞) cover mainly such topics as Korea’s traditional culture, customs and history; furthermore, its news items also focus on themes to do with the overall trends in international cultural sectors inclusive of arts, film, music, sports and so forth, as well as literature, music, arts and culture in Japan, China and Europe, respectively, in an effort to help its zainichi Korean readers be better informed of and then grasp them. As regards literature in particular, the Bunkyo Shinbun’s culture section endeavors with its thematically diverse pool of writers to introduce to its readers various genres of literary works which include, for example, fiction, poetry, essay, fairy tale and conte. In addition to them, it also provides the readers in such genres as film and sports with a miscellany of articles worth reading, all of which could be produced out of its considerably meticulous and in-depth planning executed in advance. And it has been ascertained that the newspaper-featured serial fictions deal with socioculturally rather sensitive issues with which zainichi Koreans have often been then faced, such as multifarious problems they used to encounter and experience as part of ethnic minority in their day-to-day lives, or the issue on interracial dating between zainichi Koreans and Japanese, let alone its vigorous effort to constantly excavate and secure as diverse a range of news contents as possible in foreign literature, culture and sports. Unlike other newspapers published by zainichi Koreans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ance of Japan, it has been found that the Bunkyo Shinbun provides its zainichi readership with a variety of culture-associated news contents planned and produced in a considerably systematic and balanced manner, at the same time as trying to avoid politico-ideological partiality frequently appeared in the overall editorial stance of its counterparts. the Bunkyo Shinbun has remained an ethnic Korean newspaper with its core mission of aspiring to establish a creative and true Korean culture whereby building Korea as a Kulturstaat(cultural state or civilized country) can be achieved, hence becoming contributable to the betterment of humanity in the long run. Nonetheless, the newspaper ended up being forced to cease publication due to its failure to overcome its limitations derived from financial difficulties, logistical difficulties in its stable securing and supply of news contents, and so forth. In this sense, it could be appraised that he Bunkyo Shinbun manifests limitations as well as possibilities as an ethnic newspaper published by zainichi Koreans-led cultural organizations.

      • KCI등재

        디아스포라의 관점에서 다룬 재일한인분야 연구동향 분석

        정영미 ( Jung Young-mi ),이경규 ( Lee Gyeong-gyu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8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2

        재일한인의 형성은 한국의 일제 식민지시대와 같은 특수한 역사적 사실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국내 디아스포라 연구에서 특별한 위치에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아스포라 관련 국내 학술 논문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keyword network analysis)을 통해 재일한인 디아스포라 연구동향과 지식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CI(Korea Citation Index)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되어 있는 디아스포라 관련 논문 1,367건의 서지데이타를 수집하였다. 논문의 생산추이, 연구 분야, 발행기관 등은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파악하였다. 그리고 디아스포라 관점의 재일한인분야의 연구동향 및 지식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수집된 논문의 저자 키워드를 추출하여 이들의 동시출현정보를 사용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분석도구는 SPSS v23, KrKwic, UCINET 6이다. 추가로 디아스포라 관점에서 다룬 재일한인분야 최근 연구 특성과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발행시기별 분석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디아스포라 관점에서 다룬 재일한인분야 연구동향 및 지식구조는 해당 분야 연구자들에게 기존 연구들에 대한 통찰적인 분석과 조망을 제공할 것이고 나아가 이 분야의 미래 연구 주제 발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of Korean-Japanese is expected to be in a special situation in the study of diaspora in Korea because the formation process of Korean-Japanese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special historical facts such as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refore,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knowledge structures and research trends of the field of Korean-Japanese diaspora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with Korean articles. For this purpose, 1,367 diaspora related papers in KCI (Korea Citation Index) database were collected. The article production, research field, publishing organization, and so on were identifi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meth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Japanese diaspora in Korea, we extracted the author keywords of the collected articles and conducted keyword network analysis through the co-occurrence information of these. The analysis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SPSS v23, KrKwic, and UCINET 6. In addition, we analyzed the period of publication of the article in order to examine recent research characteristics and trends in the field of Korean-Japanese diaspora. The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s of Korean-Japanese diaspora field that are derived as a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insightful analysis and perspective on the existing studies to the researchers in the field and can help to find future research topics in this field.

      • KCI등재

        고전 중국어 오노마토페의 일본어 수용에 관한 연구-명치기 문헌에 나타난 첩어형태의 용례를 중심으로-

        현영미 ( Hyun Yeong-mi ),이경규 ( Lee Gyeong-gyu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7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5

        본고는 명치기 문학작품 속 첩어형태의 한어 오노마토페 용례를 대상으로 문장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특징적인 면을 살피고자 하였다. 나아가 중국 고전문헌 및 일본 고전문헌의 용례를 수록하고 있는 대사전류를 토대로 그 전거(典據)의 유무를 밝히고, 수용과정에서 의미용법에 변화를 보인 개별어를 분석하였다. 먼저, 속어적 성향이 강한 오노마토페에 한어를 적절하게 대응시켜 전체적인 문장의 격조를 떨어뜨리지 않고 문체를 완성한 명치기 작가들의 시도를 엿볼 수 있다. 또한, 문장에서 오노마토페가 수식하고 있는 대상의 구체화·한정 및 구분을 도모하기 위해 한어 오노마토페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또한 한어 오노마토페가 일본어로 수용될 시, 사람이 느끼는 다양한 감정을 나타내는 의정어(擬情語)의 경우는 본래의 의미가 유지되어 수용되지만, 자연계의 소리나 사물의 모양이나 상태를 묘사하는 경우, 의미 일부는 소실되어 유입된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has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emerged from the way in which reduplication-style Chinese onomatope functions in sentence, centered on the examples of its usage that appear in literary works of the Meiji period. Further, it has also examined the overall historical background behind the genesis and subsequent usage of Chinese onomatope on the basis of dictionaries containing the associated examples of classical Chinese and Japanese literatures, and then analyzed individual words whose meaning changed in the process of their adoption. First, the Meiji-period writers were deemed to have attempted considerably to polish and then achieve the originality of their own writing style, in order that its unique characteristics in sentence can be preserved, by matching Japanese “native” onomatope - colloquial/informal - with Chinese characters in an appropriate manner. Second, Chinese onomatope has also been actively adopted in order to enable onomatope-modified subject(s) to be specified, limited and distinguished. Last, when adopted in Japanese, Chinese onomatope has its meaning, especially associated with words that depict diverse psychological and bodily feelings, such as gijogo (psychomime (擬情語)), remain relatively intact. On the other hand, the onomatope that depicts natural sound, shape and state of object(s) is found to be adopted with their original meaning partially changed.

      • KCI등재

        미군정기 재일조선인 발행 신문의 사설 고찰 - 『민주신문(民主新聞)』ㆍ『조연중앙시보(朝連中央時報)』ㆍ『문교신문(文敎新聞)』을 중심으로-

        이행화 ( Yi Hang-hwa ),이경규 ( Lee Gyeong-gyu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8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0

        전후의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일본에 남은 조선인들은 자신들을 위한 조직을 만들어야 했다. 조국은 해방되었지만 곧바로 조국에 돌아갈 여건이 형성되지 못했고, 미군이 점령하고 있는 일본에서 자신들의 정치적, 경제적 이해관계를 대변해 줄 수 있는 조직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이 조직 중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조직은 좌파 성향의 재일본조선인연맹이었고, 두 번째 조직은 우파 성향의 재일조선거류민단이었다. 조선의 남쪽과 북쪽에 각기 다른 이념의 정부가 들어서면서 같은 민족이라는 정서를 공유했던 일본의 조선 사회는 조국의 분단 현실의 영향을 받으면서 이들 두 조직은 점차 대립적인 성향을 나타내게 되었다. 전후의 조선은 미·소 군정 하의 분할 주둔으로 신탁통치에 대한 좌우익간의 찬반 갈등이 극심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단독정부가 수립되었는데, 재일조선인의 입장에서 보면 두 개의 조국이 생겨나는 결과가 된 셈이다. 이에 그 당시에 발행된 신문의 사설을 통해서, 재일조선인들은 당시에 그들이 처해 있는 상황과 조국의 현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 그리고 그들이 지향하고자 했던 문제의식은 무엇에 있었는지 등에 대해서 재일조선인 발행 신문 중에서 각기 정치적, 이념적 성향이 다른 『民主新聞』과 『朝連中央時報』, 『文敎新聞』의 사설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세 기관지의 사설은 공히 민족주의와 반일적인 성향을 띠면서도 각기 정치적, 이념적인 성향을 달리 표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Koreans who still remained in Japan amid chaos after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felt desperate to form organizations representative of themselves. The main reason behind the formation of such organizations was that zainichi Koreans needed them through which their own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could be advocated and protected as one of the ethnic minority groups in Japan, given the circumstance that they could not afford to return to their homeland even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Of them, the most influential zainichi Koreans-led organizations in Japan included, first, the leftist Chongryun (the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second, the rightist Mindan (the Korean Residents Union in Japan). Following the division of Korea into two politically disparate independent governments being established in the democratic South and the communist North, respectively, the zainichi Korean community in Japan - all having long been closely bound up with the shared sentiment of having the same ethnic roots as Korean - began to become gradually polarized, leading these two leading zainichi organizations to become more and more hostile to each other as a result. Korea in the postwar period has been in turmoil in the light of a severe confrontation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over a trusteeship of Korea under the divided occupancy of the U.S. and Soviet military governments. Under this sociopolitically tumultuous circumstance, on August 15, 1948, an independent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on the U.S.-occupied southern half of the Korean Peninsula;consequently,forzainichi Koreans this meant the creation of two separate homelands. In this context, this research thus explores questions like how zainichi Koreans have endeavored to understand their own realities in Japan at that time and the ones in their respective homelands, how critically they have seen and problematized the situations, and so forth, by examining editorials featured in three politico-ideologically disparate ones -The Minsyu-shimbun (民主新聞), Choryun Jungangshibo (朝連中央時報), and The Bungkyo-Shimbung (文敎新聞) -selected out of zainichi Koreans-published newspapers at that time.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통한 재일한인분야 지식구조 분석

        정영미 ( Jung Young-mi ),이경규 ( Lee Gyeong-gyu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8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59

        재일한인분야의 연구는 재일한인 100주년이라는 역사적 가치와 함께 마이너리티에 대한 사회 전반의 관심 증가로 수적 증가와 함께 다각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문학을 포함한 사회과학, 예술체육학 등 전 연구 분야에서 수행된 재일한인 관련 국내 학술 논문을 대상으로 기술통계 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Keyword network analysis)을 통해 재일한인분야의 지식구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국내에서 발행되어 KCI(Korea Citation Index)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재일한인분야 논문 819편의 서지데이타가 수집되었다. 논문의 논문생산추이, 연구 분야, 발행기관, 그리고 주요 주제 키워드 등은 기술통계 분석방법을 통해 파악하였다. 또한 재일한인분야 연구 동향 및 지식구조를 파악하고자 수집된 논문의 저자 키워드를 추출하여 이들의 동시출현정보를 통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분석도구는 Endnote x8, SPSS v23, KrKwic, UCINET 6, Netdraw이다. 추가로 재일한인분야의 최근 연구 특성과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논문 발행 시기별 분석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재일한인분야의 연구 동향 및 지식구조는 해당 분야 연구자들에게 기존 연구들에 대한 통찰적인 분석과 조망을 제공할 것이고 나아가 이 분야의 미래 연구 주제 발굴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Japanese has been increased and diversified as well with historical value about centennial of Korean-Japanese and growing interests in Minority across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knowledge structure of the field of Korean-Japanese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with Korean articles conducted in the whole research area such as social sciences, arts & sports, and humanities. For this study, the 819 articles in the field of Koran-Japanese which were published in January 2000 through December 2016 in Korea and stored in KCI(Korea Citation Index) database were collected. The article production, research field, publishing organization, and major topic keywords were identifi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method. In order to figure out the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Japanese field, we extracted the author keywords of the collected articles and conducted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through the co-occurrence information of them. The analysis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Endnote x8, SPSS v23, KrKwic, UCINET 6, and Netdraw. In addition, we analyzed the period of publication of the article in order to examine recent research characteristics and trends in the field of Korean-Japanese. The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s of the Korean-Japanese field derived as a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insightful analysis and perspective on the existing researches to the researchers in the field and can help to find future research topics in this field.

      • KCI등재

        미군정기의 외국인등록령에 관한 신문기사-재일조선인 발행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이행화 ( Yi Haeng-hwa ),이경규 ( Lee Gyeong-gyu ) 한국일본근대학회 2020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8

        재일조선인단체의 기관지인 「민단신문」와 「조련중앙시보」에 실린 외국인등록령 관련 기사를 통해서 외국인등록령 이후 재일조선인이 겪게 되는 사회문제들을 살펴보았다. 외국인등록령 실시는 결과적으로 재일조선인의 생존권을 제약하고 조선인을 탄압하는 도구로 삼을 것이라는 우려 속에서 시작되었다. 외국인등록령에는 법령과 달리 벌칙 규정이 엄중해 졌다는 점에서 조선인을 탄압하려는 음모가 담겨져 있었다. 외국인등록령이 실시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재일조선인 가택수색과 강제투옥 등 일본 정부의 인권 탄압, 재일조선인에 대한 식량배급 문제, 재산권 제한 문제 등 조선인들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심각한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그때마다 생존권 사수를 위해 조직적으로 투쟁해가는 재일조선인들의 삶의 현장을 이들 마이너리티 신문기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민단과 조련의 대처 방식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재일조선인의 대처에는 본국의 정치 상황과 연동된 일본 내 조선인 민족 단체의 격한 대립에 숨은 이면을 반영하기도 했다. 이런 분열상에는 강력한 반공주의를 내세우며 우파를 지원하고, 교묘하게 분열을 조장하는 일본 정부와 GHQ의 의도도 함께 작동하고 있었다는 사실 또한 이들 재일조선인 마이너리티 신문의 기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는 대목이었다. The research explores social problems with which zainichi Koreans in postwar Japan had to be confronted as the Alien Registration Act was promulgated in 1952, by analyzing the associated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in the two major zainichi Korean ethnic newspapers respectively - Chosen Soren Chuo Shibo朝連中央時報 andMindan Shimbun民團新聞. This Act eventually came into effect amid fears that it might possibly be used as an effective legal tool on the Japanese side to oppress zainichi Koreans as well as to justify limits on their inalienable right to live: what lay behind its creation has been highly suspected in that the ordinance was allegedly designed to conspire to do so against them, particularly given its penal regulations having become unusually stricter as opposed to what it originally stipulated. Once the decree took effect, it became clear that zainichi Koreans could not help but face up to a series of life-threatening situations to themselves, those running the gamut from the then Japanese government’s violation of their human rights performed employing illegal house-search and forced imprisonment to limiting their food rationing and private property rights, for example. \ And it was the zainichi ethnic newspaper articles as mentioned above that could considerably contribute to bringing to the fore how well and desperately zainichi Koreans have then organized themselves in their da-to-day lives to defend their natural rights to live in postwar Japan. Which also revealed simultaneously how differently Chongryon (The General Associa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and Mindan (The Korean Residents Union in Japan) have viewed and attended to this issue. It is also true that such an ideological divide distinct in zainichi Koreans’ response to it tends to imply in part what was behind all the fierce rivalries and confrontations that then took place between these two major zainichi Korean organizations in affiliation with political situations of their respective native countries. Through the analysis of zainichi ethnic newspaper articles can it be confirmed as well that such ideological schism deep-rooted in zainichi Korean communities manifests that, in fact, both the Japanese government and the GHQ jointly conspired to instigate it, supporting the right-wing groups under the banner of anti-commu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