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BIM 수용영향요인 비교분석

        송경욱,이슬기,유정호,Song, Jingxu,Lee, Seulki,Yu, Joungho 한국건설관리학회 202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22 No.6

        중국건설업에서는 BIM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활용을 통해 건설업의 비효율적인 상호운용성의 문제를 해결하여 건설업의 총생산액 증가시키고자 한다. 하지만 중국 주건부에서 2011년부터 건설업의 BIM활용을 촉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에서는 BIM 활용률은 45%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 건설업은 중국보다 먼저 BIM 도입을 하여 활용하고 있는 만큼, BIM 활용수준과 BIM 수용의지가 중국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BIM수용영향요인 비교분석을 통해 중국의 BIM 활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과 중국의 BIM수용영향요인 비교분석을 위해 기술수용이론(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과 BIM 수용모델 관련 선행연구고찰을 통해 BIM 수용영향요인을 분류하고, 중국의 국가적 특성과 중국건설업만이 가진 특성을 반영한 BIM 수용영향요인을 추가하여 실제 BIM 사용자인 한국과 중국 건설사업 참여주체(시공사, 설계사, CM)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값을 유의미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 22.00을 활용하여 t-test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t-test 결과를 기반으로 중국의 BIM 활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중국 건설업에 적합한 BIM 활용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고, 중국 건설업의 BIM 활용 활성화 연구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Chinese construction industry, the utiliz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ims to increase the total outpu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solving the problem of inefficient interoperabili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2011, the Chinese Ministry of Housing and Urban-Rural Development despite the technical advantages of BIM and the government policy, the BIM adoption rate in China is lower than 45%. Meanwhile, as the South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is a step ahead of its Chinese counterpart in introducing and utilizing BIM, it is expected that BIM is more actively utilized and accepted in South Korea than in China. According to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the hype-cycle theory, South Korea is at a more advanced stage of introducing BIM, than in China. This study aimed to suggest how to increase BIM utilization rates in China. To this end,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d factors affecting BIM acceptance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BIM acceptance factors between China and South Korea, literature reviews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BIM acceptance model were carried out, and based on that, the BIM acceptance factors were classified. Other BIM acceptance factors were also added and considered, as they reflected Chinese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construction industry. As for the derived BIM acceptance factors, construction project participants, especially actual BIM users in China and South Korea, were targeted for the survey. A t-test using SPSS 22.00 was carried out to identif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ta. Finally, based on the t-test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ways of improving the BIM utilization rate in China.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ctivating BIM adoption in the Chinese construction industry and also to set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future studies on BIM utilization in the industry.

      • KCI등재

        WTO 정부조달협정 건설서비스 양허하한선 인하시의 건설시장 변화와 대응방안

        문혁,김명수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0 No.3

        건설서비스 양허하한선 인하 문제는 국내 중․소 건설업체의 이해관계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바, 국내 관련 제도 및 건설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세부적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중․소 건설업체를 위한 ‘지역제한입찰제도’ 및 ‘지역의무공동도급제도’ 등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는 이들 업체의 수주시장에도 변화가 예상되므로 이에 대한 사전적 검토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양허하한선을 낮출 경우 우리나라의 건설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설서비스 양허하한선 조정으로 인한 실제 수주시장의 변화를 전망해 보고 그 실질적인 효과를 분석하여 ‘건설서비스 양허하한선 인하’ 문제에 대한 기본 입장 정립의 근거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WTO GPA의 적용을 받는 우리나라의 양허하한선은 정부발주공사의 경우는 500만 SDR(74억원)이며, 지자체와 기타공사의 경우에는 1,500만 SDR(222억원)이다. 정부는 지방자치단체 및 공기업 등 기타기관의 건설서비스 양허하한선에 대하여 ‘지역의무공동도급제도’ 등을 고려하여 높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지방정부기관 및 공기업의 건설서비스의 양허하한선은 일본과 함께 현재 1,500만 SDR로서, 여타국의 500만 SDR에 비해 월등히 높게 설정된 상황이며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EC 등 주요 회원국은 지방정부기관 및 공기업의 하한선을 외국의 경우와 같이 500만 SDR로 인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분석결과 이러한 500만 SDR로의 개방 확대는 ‘07년 기준으로 총 2조 105억원 규모의 시장이 축소되어, 이는 지역업체들에게 부담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지역업체들의 수주 비중은 규모가 작은 공사일수록 높아지므로, 총 2조 105억원 규모의 시장감소(공동도급 1조 6,802억원, 단독도급 3,407억원)는 지역업체 수주활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 KCI등재

        건설기업의 녹색건설 경쟁력 요인에 관한 연구

        이의동,이재욱,김한수,Lee, Eui-Dong,Lee, Jae-Wook,Kim, Han-S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3 No.5

        건설산업에 있어서 녹색 또는 그린(Green)은 차세대 신 성장동력의 핵심적인 키워드로 부상하고 있다. 녹색건설 경쟁력을 갖추는 것은 건설기업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 중요하며 이를 위해 녹색건설 경쟁력 요인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기업이 녹색건설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요구되는 경쟁력 요인을 발굴하고 Gap 분석 기법을 통해 경쟁력 요인의 중요도와 현 수준을 분석하여 주요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녹색건설 경쟁력 요인에 대한 이해는 건설기업의 녹색건설 전략 수립을 위한 선행 작업이며 동시에 녹색건설 관련 정책 및 제도 수립에 있어 건설기업에게 어떤 동기부여를 해야 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녹색건설 경쟁력의 중요도와 현 수준을 분석한 결과 중요도와 비교하여 현 수준이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녹색건설 경쟁력의 중요도와 현 수준 관점에서 CEO 역량 부문은 큰 격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기업 역량 부문에서는 큰 격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녹색건설의 R&D 전략과 녹색건설 협력업체의 보유 및 협업 역량이 중요도와 현 수준의 차이(Gap)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Green" is emerging as a keyword of new growth engine. Since green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is essential for contractors' survival and growth,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constitutes green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elements of green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and to discuss relationships between their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based on the Gap analysi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lements of green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assists contractors in formulating green strategies. It also provides insight into what motivates contractors in establishing related policies and regulations. The study identifies that in general there exists a gap between the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of green construction competitiveness. It also demonstrates that CEO' competence shows a less gap between the importance and current level but firms' competence is an area of weakness. Finally a substantial gap is observed in the field of green R&D strategies and sub-contracting partners.

      • KCI등재

        건설산업의 지식관리체계 구현을 위한 주체별 역할

        정인수,김승균,조문영,Jung In-Su,Kim Seung-Kyun,Cho Moon-You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2 No.1

        건설교통부는 지식기반 경영을 통한 건설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하여 $\lceil$건설산업의 지식기반 구축$\rfloor$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여러 주체들(정부, 연구소/대학, 기업 등)이 지식관리를 추진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없어서 건설산업의 지식관리체계 구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연구의 목표는 3005년 건설CALS/EC 구현과 함께 건설산업의 지식포털을 구축하기 위하여 건설산업 각 주체(정부, 연구소/대학, 건설업체 등)가 지식활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역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지식관리와 관련된 현황분석, 건설산업 지식관리 구현방향 제시, 건설산업 지식관리체계 구현을 위한 추진전략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건설산업 지식관리체계의 추진전략을 수립하여 전략을 달성하기 위한 각 주체(정부, 연구소/대학, 건설업체)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건설산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선도할 지식관리체계 구현과 지식포털 구축을 위하여 건설산업의 각 주체들이 실천할 수 있는 유용한 매뉴얼이 될 것이다. MOCT(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suggested 'A Plan for Implementation of Knowledge-based Economy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add high value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means of knowledge-based management techniques. However, there are no guidelines which help the bodie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government, research center / university, enterprise, etc) with doing a knowledge management. So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establish the knowledge portal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works, which help the bodie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government, research center/university, enterprise, etc) with doing knowledge activities efficiently.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we analyzed the overall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And we suggested an implementing directio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a strategy for implementing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s results of this study, we established a strategy of knowledge management and works of the bodie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government, research center / university, enterprise, etc)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manual of the bodie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for implementing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and the knowledge portal that brings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high value added industry.

      • KCI등재

        건설기술자 이미지에 대한 일반 국민과 건설기술자의 인식 비교 연구

        김동빈,김한수,Kim, Dong Bin,Kim, Han S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6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7 No.5

        Construction engineers are the core resource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industry and positive images toward construction engineers give much impacts on recruit and retainment of the young and talented. Although previous studies reported on negative aspects of the image of construction industry, the image of construction engineers has not been properly investigated to date.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compare images of construction engineers as perceived by general public and construction engineers themselves in order to identify key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The result shows that construction engineers themselves, compared with general public, have more negative tendencies on images of construction engineers. The study suggests that it is critical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roles of construction engineers and their morality in order to improve general public's perception on construction engineers images. On the other hand, fundamental measures to be taken to restore the environments of construction industry for construction engineers to improve their self-perception on images of construction engineers. 건설기술자는 건설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핵심자원이며, 건설기술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는 유능한 인재의 유입과 보유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비록 기존 연구를 통해 건설산업의 이미지는 부정적으로 진단된 경향이 있지만, 현재까지 건설기술자의 이미지에 대한 현 주소는 정확하게 진단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기술자의 이미지를 일반 국민과 건설기술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고 주요 특징 및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일반국민 보다 건설기술자 스스로가 건설기술자의 이미지에 대해 부정적인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기술자의 이미지에 대한 일반 국민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건설기술자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이해 증진과 도덕성 제고가 가장 중요한 현안으로 나타났으며, 건설기술자의 자기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는 건설산업의 생태계를 회복하는 근본적인 처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건설업 산업재해발생율 평가지표 개선방안

        이미영,오세욱,임세종,Lee, Miyoung,Oh, Sewook,Lim, Sejo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16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7 No.5

        국내 건설재해율은 1992년 도입된 이후 현재까지 PQ에 '환산재해율' 반영 등을 통하여 건설재해 감소 및 건설업 안전관리 체제 구축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최근 정부가 도입 추진 중인 종합심사낙찰제에도 '재해율' 및 '사망만인율'이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어 입 낙찰제도의 그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행 건설재해율은 입 낙찰제도에 따라 이원화된 기준으로 산정 및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현 시점에서 건설재해율 평가지표에 대한 현황 검토와 효율적 운영을 위한 방안이 모색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업체의 재해관리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행 건설재해율의 평가 운영에 대한 현황 검토를 통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건설재해율 평가지표의 일원화를 위한 산정기준, 평가대상업체 범위 설정, 건설업 공상처리 개선 측면에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개선방안을 통해서 보다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건설재해율 평가지표의 산정 및 운영이 가능할 것이며, 나아가 건설업체의 자율적인 안전보건 활성화 등을 통한 건설 재해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converted accident rate in Pre-Qualification(PQ) process in 1992, the safety evaluation system has contributed to a reduction of construction accidents and development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As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method the government plans to introduce includes the indicators 'accident rate' and 'death rate per 10,000 workers', the influences on the safety evaluation in the bidding process would be broader in public sector construction projects. However, the current safety evaluation system is operated by different estimating standards in the bidding process. At this point, a study of improvement on the safety evaluation index is required to review its current conditions and to propose its efficient operating metho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oblems of the current safety evaluation system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qualified workers in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and to propose an improvement plan for the problems noticed. Our results suggest the standards of the unified process for the safety evaluation index, the size of construction firms needed for accident rate estimation, and the improvement plan for unreported accidents. The proposed improvement plan enables the reasonable estimation and efficient operation of the safety evaluation index, and further, it would contribute to reducing construction accidents through the activation of voluntary safety management by construction firms.

      • KCI등재

        민간 건설기술 R&D 활성화 방안

        유정호,류원희,김우영,Yu, Jung-Ho,Yoo, Won-Hee,Kim, Woo-You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8 No.6

        건설산업의 지속적 성장과 위상의 제고 그리고 국제적인 기술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건설기술 연구개발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정부차원에서의 건설기술 연구개발 예산 배정은 다른 나라에 비해 저조한 실정이며, 건설기술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여러 제도적 내용도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건설기술 개발의 주요 주체임과 동시에 궁극적 사용자가 되는 민간기 업의 건설기술 연구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민간기업 차원의 건설기술 연구개발 현황과 정부 차원의 건설기술 연구개발 투자 및 제도 현황을 각종 통계자료를 이동하여 문제점을 탐색하였다. 또한 20개 건설사의 연구개발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현황 분석 및 대안 제시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민간기업 차원의 건설기술 연구개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민간 건설기술 연구개발 활성화의 선순환 과정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민간 건설기술 연구개발의 투자환경 조성 방안, 연구개발 투자 확대 방안, 그리고 연구개발 직접 촉진 방안을 제시하였다. For the continuous growth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increase of the global competitivenes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is necessary. However, the R&D investment of Korean government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not sufficient compared with other countries and the various policies for encouraging construction R&D investment need to be improved too.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promotion of the construction R&D by the private sector that is one of the principal body of construction R&D and also the final user of the developed construction technology. This research suggests three promotion directions for the construction R&D by private sector; (1) the direction of creating better R&D investment climate, (2) the direction of increasing R&D investment amount, and (3) the direction of fostering R&D activities immediately.

      • KCI등재

        디자인 빌드(Design Build) 방식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 중.소규모 건설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치주,김상기,김재준,Lee, Chi-Joo,Kim, Sang-Ki,Kim, Jae-J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8 No.5

        국내 중 소규모 건설 산업은 시공분야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왔으며 소프트분야가 상대적으로 취약하다. 또한 다양한 발주 체계가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진행되고 있다. 더욱이 현재 국내 건설 프로젝트들은 자금력과 기술력을 갖춘 대형 건설업체들이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어 중 소규모 건설업체들의 입지가 줄어들고 있다. 최근국내 외 건설시장의 대형화, 고도화와 함께 기술집약적인 공사가 늘어감에 따라 기술경쟁이 가능한 설계시공일괄(Design-Build)방식의 건설 산업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규모가 작은 중 소건설기업의 상황에서는 더욱 건설시장에서 효과적인 경쟁력을 보유하여야 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에 본 연구는 디자인 빌드 방식의 성공요인과 중 소규모 프로젝트 사례조사를 한 후 AHP 분석을 통해 성공요인 도출 및 중요도 분석을 함으로써 중 소규모 건설업체의 디자인 빌드 방식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중점 관리요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향후 중 소 건설업체의 발전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minor construction companies in Korea have grown in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operation field. Also, soft field is vulnerable area, and there are not enough delivery systems, therefore, a capacit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expansion and productivity is insufficient. Furthermore, the minor construction companies are losing their areas, because the major construction companies having numerous know-how and ample funds are competitive. As the construction industry are more larger and complicated, the design build methods might be increased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minor construction companies could have more competitive. Hence, this paper analyzes the success factor in minor construction projects by design build methods focusing on instance $company^{\circ}{\phi}s$ case and survey, and critical success factor deduction and importance degree analysis of this factor using AHP analysis. In addition, this paper gives fundamental data how to manage the construction project effectively for minor construction $companies^{\circ}{\phi}s$ expansion in near future.

      • KCI등재

        건설현장 절도 피해실태와 예방대책의 현황분석

        장동혁,김한수,정성원,Jang, Dong Hyeok,Kim, Han Soo,Nguyen, Tan Khoa,Jung, Sung Wo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5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6 No.1

        건설현장에서 건설기자재의 절도는 건설사업의 생산성과 공사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 중 하나이다. 그러나 건설현장에서 절도범죄와 같은 방범 측면의 관리는 소홀히 되는 경향이 있어, 절도로 인한 피해가 매년 반복해서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건설사업 공사현장의 방범관리 대책 수립의 기초연구로서, 건설현장에서 절도피해를 경험한 현장관리자들의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건설기자재 도난피해 실태와 예방대책 현황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내용으로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절도피해의 특징과 이로 인해 건설사업에 미치는 영향도와 위험도를 분석하였으며, 예방대책들의 중요도와 활용도 분석을 통해 향후 구체적인 예방대책 수립방향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건설현장 절도피해에 대한 경각심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며, 관련 예방대책이 체계적으로 발전하는 기초조사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heft of construction equipments and materials at construction sites is one of the risk factors that may affect to the productivity as well as the progress of the project. However, managers of the construction site have paid little attention to the security measure, therefore the theft loss at construction sites has been occurred repeatedly every year. In this study the situation analysis has been carried out for the present condition of theft loss of construction equipments and materials as well as its prevention measure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field managers, experienced theft loss at the site, as a part of base study to set up a security measure of construction sites. The main content of this study is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theft loss and the degree of impact and risk by it at construction sites, then reviewing the direction of the prevention plan establishment for the futu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level of prevention measures.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give an opportunity to create an awareness against the theft loss at construction sites as well as can be utilized as a basic survey for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concerned prevention measures.

      • KCI등재

        임대실태 분석을 통한 건설기계경비 산정시스템 개발

        안방률,태용호,서상욱,허영기,Ahn, Bang-Ryul,Tae, Yong-Ho,Suh, Sang-Wook,Huh, Young-Ki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3 No.6

        건설공사 예정가격을 산정하는데 사용되는 표준품셈의 기계경비산정시스템은 종합건설업자가 직접 장비를 보유하여 운영한 60년대초에 기계손료 및 운전경비를 근거로 산정토록 제정되어, 대부분의 건설기계가 시공업체의 직접운영 보다는 장비임대업체를 통하여 임대 형태로 현장에 투입되고 있는 현재의 건설산업 운영실태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운용되고 있는 건설기계의 임대단가를 실적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용자 편익을 고려한 현실적인 건설기계경비 산정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건설기계 7기종 9규격(굴삭기 무한궤도($0.2m^3$), 굴삭기 타이어($1.0m^3$), 덤프트럭(15ton, 25ton), 진동롤러(자주식 4.4ton), 크레인 무한궤도(50ton, 300ton), 아스팔트피니셔(3m), 콘크리트펌프카($80m^3/hr$))을 선정하고 전국 217개 임대사업체 및 건축 토목현장 11곳을 대상으로 지역별 및 임대유형별 임대료를 현장방문 및 면담을 통해 조사 분석하였다. 임대기반 건설기계경비 산정시스템은 사용자가 건설기계의 종류, 규격 및 임대유형을 선택하여 해당 기계의 전체지역 평균 임대료 및 각 지역별 임대료를 편리하게 열람 할 수 있도록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건설공사 예정가격산정기준 및 관련 연구의 기초가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current estimation system of construction equipment cost was first introduced in 1960's when general contractors had ownership of equipment. However, most of construction equipment in construction sites has been rented from equipment leasing company these days.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current cost estimation system is therefore inevitable in order to advanc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This study is aimed to suggest the improved system by analyzing nationwide market rental rates of major construction equipment. A user friendly prototype of actual database grounded on actual market rental rates collected from over 200 leasing companies in the nation was proposed. The database includes various rates and statistics analyzed by different form of contract as well as different region. Using the collected data, "The Cost Estimate System in Construction Equipment Database" was developed by using VBA(Visual Basic for Applications). The system makes users convenient to utilize the rental rates by choosing equipment and region, and various types of contr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