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곤경의 연대기와 소설의 누빔점: 서청송의 단편소설 <먼저 걸으라>(2023)를 중심으로

        이지순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4 현대북한연구 Vol.27 No.2

        서청송의 단편소설 <먼저 걸으라>(2023)는 대북제재와 봉쇄, 국제적 고립 속에서 경제적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을 액자소설 기법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액자의 주인공 수환은 눈, 팔, 다리가 손상된 영예군인으로, 북한의 불구적 상황을환유하며 주제를 의인화한다. 동정을 수치로 여기며 온전하게 자신의 힘으로공장을 경영하고, 오물을 자원으로 바꾸어 봉쇄에 대응하는 수환의 성공담은북한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결론이다. 소설은 영예군인 주인공의 정신적 힘과의지를 통해 국제적 고립 속에서 북한이 봉착한 위기를 자립적이고 자주적으로해결하고 이겨내는 원동력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도리어 어려움에 포위된상황과 길항하며 내핍의 심화를 균열적으로 드러낸다. 코로나19 팬데믹과 계속된 대북제재는 김정은 집권 초기 어젠다였던 현대화를 텅 빈 기표로 만들며, 자체 힘으로 제재에 대응하고 국산화에 성공한다는 에피소드는 자립적 국산화와자력갱생 담론이 중첩된 곤경 속에서 북한이 선택할 수밖에 없는 긴박한 생존전략임을 나타낸다. 이는 모든 것을 스스로 해결하고 필요한 수단을 자체로마련하는 자기 거버넌스의 북한식 변형임을 표상하고 있다. In his short story “Walk First” (2023), Seo Cheong-song employs the framed novel technique to depict the process of overcoming economic hardship amid sanctions, blockade, and international isolation. The protagonist, Su-hwan, is an honorary soldier who has sustained injuries to his eye, arm, and leg. He serves as a representative figure for the theme, employing metaphorical language to illustrate the debilitating circumstances and coping strategies characteristic of North Korea. Su-hwan’s ability to overcome the blockade by transforming waste into resources, operating a factory with optimal efficiency, and eschewing pity in favor of resilience aligns with the North Korean ideal. While the novel portrays the mental strength and determination of the protagonist, an honorary soldier, as the driving force behind North Korea’s self-reliance and overcoming the crisis in international isolation, this is at odds with the beleaguered situation and reveals a deepening sense of deprivation. The ongoing pandemic and sanctions have rendered the initial agenda of Kim Jong Un’s rise to power, namely modernization, an empty signifier. The narrative of self-reliance and localization in response to sanctions indicates that the discourse of self-reliance and self-renewal is a desperate survival strategy that North Korea has no choice but to adopt in the face of overlapping predicaments. This represents a variant of self-governance in North Korea, whereby the country assumes responsibility for its own affairs and provides for its own needs.

      • KCI등재

        해방 직후 재북일본인 법적 상황과 성격(1945~1948): 북한의 차별적 대우를 중심으로

        김태윤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19 현대북한연구 Vol.22 No.1

        The paper aimed to examine the situation of Japanese in Chosun who have been studied as colonizers/rulers since 1945. As of August 15, 1945, Japanese who had lived on the Korean Peninsula changed in position into subjects from rulers. In the changed world, Japanese rapidly returned to their country or were confined in prisons as prisoners. In addition, based on the 38 parallel, the situations of the Japanese in the northern area and those in the southern area developed in a different way gradually.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in priority ‘Japanese in the northern area.’ There is lack of studies on Japanese in the northern area compared to when studies on Japanese in Chosun were well advanc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reason is that there was not enough data because keeping a record of their existence in the North Korea was disliked, and that even the Japanese who returned to Japan after remaining in the North Korea did not want the memory of the North Korea left on record due to ideological issues. This article has the primary purpose to reproduce the then situation of the Japanese in the northern area. Especially, it intends to determine how they were treated by the North Korea, whether there was discrimination in the treatment, and what the reason would be if there was within legal limits that can be said to be objective. It is expected that this analysis will enable us to examine how flexibly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North Korea that had been focused on ‘Kim Il-sung’ and the Soviet army applied, not simply historical description of the Japanese in the northern area. 1945년 8월 15일을 기준으로 한반도에 거주하던 일본인들은 지배자에서피지배자로 신분이 변화하였다. 게다가 38도선을 기준으로 이북지역에있던 일본인들과 이남지역에 있던 일본인들의 상황도 조금씩 다르게 전개되어 나갔다. 이 글에서는 이북지역에 잔류해 있던 ‘재북일본인’을 중점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그 이유는 이들의 존재가 북한에서 기록으로 남기기꺼려 하는 존재였기 때문에 자료가 부족하고, 당시 북한에 잔류해 있다가일본으로 돌아간 일본인들조차도 이념적인 문제 때문에 북한에서의 기억을 기록으로 남기려 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글은 재북일본인들의당시 상황을 재현한다는 1차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다. 특히 객관적이라고할 수 있는 법적 테두리 안에서 이들이 북한으로부터 어떤 대우를 받았는지, 그 대우에 차별이 존재했는지, 존재했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한다. 이러한 분석은 단순하게 재북일본인에 대한 역사적 서술에 그치는것이 아니라 그동안 ‘김일성’과 ‘소련군’ 중심으로 서술되어 오던 북한의정치상황과 법체제를 새롭게 해석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교원선전수첩>에 나타난 북한의 심리학 특징 분석

        김경미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19 현대북한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sychology in North Korean education through analyzing the articles of “Kyowon Sonjon Suchop”. This study reveals North Korea’s psychological goal of “Revolutionary talent of knowledge economy possessing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ability to work with people” and searched for North Korean psychology. Psychology emerged in 1953, abolished in 1954, and reopened in 2003 in accordance with the North Korean Education Act enactment and amendment. Since 2000, North Korea has emphasized globalization and scientific development and suggested the need for psychological education. As a result, the authorities in North Korea introduced psychology to the entire curriculum, attempted to establish a psychological system of ours, and revealed the will to build a tool for thought verification through psychological evaluation beyond understanding the mind of a person. In addition, we pursued logical thinking and education programs that strengthened the revolutionary worldview. 본 연구는 <교원선전수첩> 기사 분석을 통해 북한교육에 등장한 심리학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북한 당국의 심리학 목표인 “논리적사고력과 사람과의 사업 능력을 소유한 지식경제시대 혁명인재” 양성과정을 드러내고 북한심리학의 모습을 찾고자 한다. 심리학은 북한교육법 제정및 개정 변화에 따라 1953년 등장 및 1954년 폐지, 2003년 재등장하였다. 2000년 이후 북한은 세계화 및 과학화를 강조하며 심리학교육의 필요성을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북한 당국은 심리학을 교육과정 전반에 도입하여우리식 심리학의 체계 확립을 시도하며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을 넘어심리평가를 통하여 사상검증용 도구 제작 의지도 드러냈다. 더불어 논리적인 사고력 향상 도모 및 혁명적 세계관 강화 교육정책을 추구하였다. 이 연구에서 북한심리학은 주체형의 혁명가로서 “논리적인 사고력과 인간의 심리와 의식에 대한 심리학을 기반으로 사람을 이해하고 사상이 건강하여 북한 당국의 요구와 방침을 수행할 수 있는 인재양성”을 지향하며교육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런 흐름은 북한 당국이 제시하는 지식경제시대 인재상의 교육이념과 원칙을 표현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 KCI등재

        뉴델리의 접촉지대, 북한 유학생을 만나다: H 대학교 학생들의 북한에 대한 인식 변화

        최영현,최선경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3 현대북한연구 Vol.26 No.1

        This study defines ‘H’, a university in New Delhi, India, as a contact zone in which multinational students interacted with a North Korean student, ‘B’, and aims to examine the students’ changing perception toward North Koreans. An overseas campus is a social space that enables relatively equal status, unconfined interaction, and clos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Through an in-depth ethnographic interview, this study looks at the students’ everyday interaction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ransformations of their social relationships and perceptions. This unique case study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ree distinct aspects. First, it involves a North Korean, who ‘legally’ migrated abroad, and his interaction with other multinational peers including South Koreans. Second, it analyzes the ‘space factors’ within the context of a foreign campus. Third, it can serve future researches by illuminating a broader context of contact zone, namely the outside world. 이 연구는 인도 뉴델리에 소재한 H 대학교 캠퍼스를 북한 학생 B와 다양한국적의 학생들이 상호작용하는 ‘접촉지대’로 정의하고, 해당 학교 학생들의 북한에 대한 인식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외 캠퍼스는일상에서 비교적 동등한 관계, 자유로운 상호작용, 그리고 친밀한 관계형성이 가능한 공간이다. 민족지적 심층면접에 기반을 둔 이 연구는 북한학생 B와 국제학생회 학생들의 교류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 참여자들의인식 변화가 어떠한 맥락에서 이루어졌는지 분석했다. 이 연구는 세 가지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첫째, 탈북민이 아닌 해외에서 유학 중인 북한국적자와 타 국적자 간 상호작용을 다루었다. 둘째, 북한 주민과 한국학생을 포함하는 국적이 다양한 학생의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해외캠퍼스라는 공간적 효과에 주목했다. 셋째, 해외 대학이라는 접촉지대의사례는 외부 세계라는 보다 큰 접촉의 맥락을 논의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북한과 유엔의 진화하는 협력 게임: 유엔의 대북 개발협력 유형의 변화 분석을 중심으로

        이경희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19 현대북한연구 Vol.22 No.2

        This study demonstrates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Nations, beginning with the development cooperation carried out by the request of North Korea in 1995, through the Program in Institutional Analysis of Social-Ecological Systems (PIASES). Analyzed through game theory, the cooper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the United Nations is conceptualized as a donor-recipient negotiations game in which donors and recipient countries change strategies based on the degree of asymmetry of power. The outcome achieved by the combination of the strategies presented by the two participants becomes a type of development cooperation. North Korea and the United Nations have shown a form of development cooperation that changes over time as a pair of weak recipient and a strong donor: short-term agreements in the first period (1995-2002), no agreements and short-term agreements in the transitional period (2002-2007), and short-term agreement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ong-term agreements strengthened in the second period (2008-2018). From a macro perspective, it can be said that the transition from the short-term to long-term agreements is an evolution in the contex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evolution observed in the negotiation process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The aspects of North Korea learning through failure and endeavoring for long-term interests modifies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 in that it conforms to Ostrom’s extended rationality model. In addition, positive changes in North Korea are the result of the interaction with the ‘enlightened’ United Nations, and it can be seen that cooperation evolves through efforts of actors who want to create better alternatives by trial and error. The evolution of cooperation by the North Korea-UN negotiations game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imagining future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as ‘artisanship’ emerges in the evolution process. 본 연구는 1995년 시작된 개발협력을 매개로 작동한 북한과 유엔의물 협력이 진화하고 있음을 오스트롬의 PIASES 분석틀로 실증한다. 게임이론을 통해 분석한 북한과 유엔의 개발협력 유형은 ‘단기협정’에서 ‘장기 협정의 성격이 혼재된 단기 협정’으로 변화를 보여주었다. 지속가능한 개발협력을 담보한다는 점에서 장기 협정이 최적의 균형이라면, 거시적 수준에서 장기 협정으로 이행은 북한과유엔의 진화하는 협력을 대변한다. 이러한 변화는 주인의식을 제고하려는 북한의 노력과 강한 공여자에서 계몽된 공여자로 전환하려는 유엔의 노력이 맞물려 창출되었다는 점에서 관계의 ‘진화’이기도 하다. 특히이 과정에서 목도된 실패를 통해 배우고 장기 이익을 위해 노력하는 북한의 면모는 북한 다시 읽기를 요청 한다. 북한-유엔 협력 게임이 보여 주는 협력의 진화는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지속적인 대화를 가능하게 하는 장인정신(artisanship)의 발현과정이라는 점에서 미래의 협력을 상상하는 데도 유의미한 함의를 준다.

      • KCI등재

        규범화된 조건적 환대와 도덕적 주체들의 부딪침

        윤보영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2 현대북한연구 Vol.25 No.3

        Most of the discussions on North Korean refugees as beings connected to North Korea are based on the belief that their successful resettlement can contribute to mutual understanding and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ns. This thesis analyzes how the South Korean government policy surrounding North Korean refugees is visible in everyday life through the experiences of South Koreans who support them and North Korean defectors who receive support. Through this, North Korean refugees are provided the South Korean government’s unification resources and are expected to be productive contributors and good residents critical of North Korea, with overlapping views of colonialism, race, and gender contradictions. In addition, by assuming unification as an exceptional domain of belief, North Korean refugees (and fundamentally, human beings) are treated as a means or objects of a goal set by others, losing sight of them as beings who have the right to their own rights. The paper suggests the need to review our view of human rights accordingly. 북한과 연결된 존재로서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대부분의 논의는 이들의성공적인 정착이 남북한 주민의 상호이해와 통일에 기여할 수 있다는 믿음에 기반을 둔다. 이 논문은 북한이탈주민을 둘러싼 정부정책이 일상생활에서 어떤 방식으로 등장하는지, 지원하는 남한주민과 지원받는 북한이탈주민의 경험을 통해 분석한다. 이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에게 남한 정부가갖는 통일자원, 생산적 기여자, 착한 북한이탈주민에의 기대에는 북한과북한주민 그리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식민주의적, 인종적, 젠더적 모순의시각이 겹쳐 있다는 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또한통일을 예외적인 신념의 영역으로 상정함으로써 북한이탈주민 나아가 근원적으로 인간이 타인이 정해놓은 목적의 수단이나 대상으로 취급되지않고 자기 권리를 살 권리가 있는 존재임을 놓치게 된다는 점에서 우리의인권관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한다.

      • KCI등재

        한국인의 북한이미지

        최순미,이우영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19 현대북한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70여 년이 넘도록 분단된 채 살아가고 있는 남한 주민들의머릿속에 북한이라는 대상이 어떠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지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북한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인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종속변수로 활용한 측정도구는 박명규와 이상신이 개발한 ‘북한이미지총화 척도’이며, 독립변수는 성별, 연령, 주관적 경제수준, 종교, 규칙적인 종교활동 여부, 정치적 성향 등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한국인의 북한이미지는 세대, 경제수준, 종교, 정치성향에서 집단별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별과 규칙적인 종교생활 유무에 따라서는 집단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국인의 북한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북한이미지 총화 척도의 모든 하위요소에서 ‘정치성향’ 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한편 세대 변수는 종속국이미지에만 세대가높을수록 종속국이미지를 더욱 강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북한이미지를 통해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개인적 차원에서 북한이미지의 중층성에 대한 이해와 그 원인을파악하고 치유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둘째, 국가적 차원에서 남북관계 관련 사안에 대한 초당적 전략이 필요하다. 셋째, 우리 사회의 통합을 위한객관적 북한이미지 구축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d the North Korean image of South Koreans. It conducted a survey of 1,000 people to analyze the image of North Koreans. Dependent variable is ‘North Korean image scale’ that was developed by Park Myung-kyu and Lee Sang-shin. Independent variables are gender, age, subjective economic level, religion, regular religious activity and political orientation. This study found that South Koreans’ images of North Korea differ in generation, economic level, religious and political orienta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ex and regular religious life. According to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North Korea’s image of South Koreans, “political orientation” affects all subcomponents of the North’s image. Generation variables affect the image of a subordinate country. The higher the generation, the stronger the perception of subordinate country image. The implications of South Koreans’ image of North Korea are as follows. First, on a personal level, the process of healing the ambivalence of the Korean people’s North Korea image is necessary. Second, a bipartisan strategy is needed on issues related to inter-Korean relations at the national level. Third, efforts are needed to build an objective image of North Korea for the integration of South Korean society.

      • KCI등재

        『조선녀성』 기사 제목에 등장하는 “김정숙” 호칭의 의미구조 분석

        김석향,박민주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19 현대북한연구 Vol.22 No.3

        North Korean society places special meaning on the name Kim Jong-suk, who is Kim Jong-il’s birth mother. Before the division of Korea, ‘Kim Jong-suk’ was simply an average Korean girl’s name. Afterward, however, in North Korea the name became one that holds special meaning and symbolizes much more than the average female name. What was the North Korean regime’s purpose of placing such meaning behind a name? What message were they trying to send, and to whom were they directing said message? This article seeks answers to such questions. Through a study of numerous articles that mention Kim Jong-suk’s name in North Korea’s Joseon Nyeoseong [The Women of Korea] magazine between the years 1956 and 2016, I analyze and uncover the impact and implications that Kim Jong-suk had on North Korean society. First, the gradual change in her status since 1956 holds great significance as it reveals much about the role of power within the regime. Second, when Kim Jong-il held power, he attempted to give honorary male status to his mother. Third, analysis shows that the North Korean regime changed the story and meaning of Kim Jong-suk from that of a communist fighter to an anti-Japanese hero during that time. Presently, under the supreme leadership of Kim Jong-un, the government appears concerned with reevaluating how to portray her role in North Korean history. Their reexamination has become particularly more acute since 2017, as it marks the 100-year anniversary of Kim Jong-suk’s birth. 오늘날 북한사회에서 “최고 지도자” 김정은의 친할머니 김정숙의 이름은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한때 한반도 어디서나 평범한 여성 이름이던 김정숙이라는 호칭이 분단 이후 북녘 땅에서 유독 특별한 상징으로 떠오른 이유는 무엇인가? 이 과정에서 북한당국은 어떤 의도로 누구에게 무슨 메시지를 전하려 했던 것인가? 이 의문을 해소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연구자는 1956년 이후 2017년까지 『조선녀성』 기사 제목에 김정숙 이름이 나오는 사례를 수집 가능한 범위에서 전수 조사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찾았다. 첫째, 김정숙 호칭과 수식어가 등장하고 변화하는 과정을 되짚어보면 북한 최고 권력자 현황이 그대로 드러난다. 둘째, 북한당국은 김정일 집권 기간 김정숙에게 명예남성 지위를 부여하려 했다. 셋째, 김정숙표상을 통해 북한당국이 선전한 시대적 여성상은 공산주의 투사에서 항일의 영웅으로 변화해왔다. 넷째, 북한당국은 필요에 따라 김정숙 표상을활용하여 여성을 설득하고 통제하고자 했다. 다섯째, 김정은이 최고 지도자 지위에 오른 2012년 이후 김정숙 출생 100주년인 2017년까지 북한당국이 김정숙의 위치에 어떤 변화를 주어야 하는지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 KCI등재

        북한 영웅정치의 변화와 그 요인 연구: 역사적 제도주의 분석

        송현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2 현대북한연구 Vol.2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historical process and factors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continuation of, and changes in North Korea’s heroic politics. To this end, an integrated approach based on historical institutionalism is used to analyze the effect that structures-institutions-actors have on each respective period of North Korea’s heroic poli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eroic politics can be classified by period: 1945~1966 can be termed the formative period of heroic politics, 1967~1994 a transition period, 1995~2011 a strengthening period, and 2012~2021 an adjustment period. Second, though there were certain elements of change, namely, to the function of heroic politics and the addition of institutions, the basic institutional identity and essence remain unchanged and show path dependence. On a whole, institutional changes were introduced through the addition of certain elements to existing features, and partial elements of transition and adjustment were also evident. Structural factors (war, division, etc.)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institutions like the Suryong (supreme leader) system, planned economy, collectivism, and Juche ideology. Within this institutional context, heroic politics has undergone change through the interests and choices of actors like the supreme leader and the successor. This research aims to explain the changes and continuity in North Korea’s heroic politics in diachronic fashion, while providing an integrated analysis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is phenomenon. It is particularly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s that heroic politics is an important mechanism within the North Korean socialist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영웅정치의 변화과정을 탐색하고, 이에 영향을준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역사적 제도주의를 바탕으로 북한영웅정치를 시대별로 나누어 구조-제도-행위자 요인의 통합적 접근으로분석한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1945년부터 1966년까지는 영웅정치의 형성기, 1967년부터 1994년까지는 전환기, 1995년부터 2011년까지는 영웅정치 강화기였고, 2012년부터 2021년까지는 조정기에 있다. 둘째, 영웅정치는 기능 변경, 제도 추가 등의 변화는 있었지만, 제도의기본 정체성과 본질은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전체적으로는 기존 구성요소에 일부 요소가 추가되어 제도가 변화하는 형태를 유지하였고, 부분적으로전환과 조정의 모습을 보였다. 한반도를 둘러싼 전쟁, 분단 등의 구조적요인으로 북한은 수령체제, 계획경제, 집단주의, 주체사상 등의 제도를만들어 냈다. 이러한 제도적 맥락에 따라 최고지도자와 후계자라는 행위자의 이해관계와 선택 등으로 영웅정치가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의영웅정치 연구에서 통시적으로 변화와 지속을 밝히고 그 요인의 통합적분석을 시도했다. 무엇보다 영웅정치가 북한 사회주의 체제를 움직이는중요한 메커니즘 중 하나임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 KCI등재

        러시아 연해주 지역의 북한 노동자 현황 연구: 2017년 유엔 대북제재 이후를 중심으로

        이애리아,박수성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2 현대북한연구 Vol.25 No.2

        본고는 UN 대북제재와 코로나19의 확산이 러시아 연해주 지역의 북한노동자 활동에 미친 영향을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둔다. 러시아의 대북제재동참은 외화가 절실한 북한과 저임금 노동력 수요가 넘치는 러시아 변경모두에 여파를 동반하는 결정이었다. 2019년 노동자의 철수 기한에 따라러시아 중앙 당국은 북한 노동자 비자 할당을 줄이고 기존 비자의 기한연장을 불허해 대다수 북한 노동자의 귀환을 종용했다. 북한은 러시아에협력을 요청하면서, 현지 체재 노동력의 잔류 가능 방안을 모색했다. 철수기한 이후에도 러시아에 잔류한 북한 노동자들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변화한 러시아의 외국인 노동자 정책과 연해주 지역 노동 시장에 대처하며편법적인 노동을 계속하고 있다. 이들의 활동은 작업단 규모의 대폭 축소와 분산된 집단 노동 형태로의 변화 양상을 보인다. 코로나19 상황은 개별노동자에 대한 더 강력한 통제의 수단이 되고 있다. 특수한 상황으로 조성된 지역 노동시장에서 ‘비싸지만 질 좋은 노동력’으로 여전히 환영받는연해주의 북한 노동자들은 개인 활동의 여지가 급격히 줄어든 상황에서일상과 의식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