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녀성』 기사 제목에 등장하는 “김정숙” 호칭의 의미구조 분석

        김석향,박민주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19 현대북한연구 Vol.22 No.3

        North Korean society places special meaning on the name Kim Jong-suk, who is Kim Jong-il’s birth mother. Before the division of Korea, ‘Kim Jong-suk’ was simply an average Korean girl’s name. Afterward, however, in North Korea the name became one that holds special meaning and symbolizes much more than the average female name. What was the North Korean regime’s purpose of placing such meaning behind a name? What message were they trying to send, and to whom were they directing said message? This article seeks answers to such questions. Through a study of numerous articles that mention Kim Jong-suk’s name in North Korea’s Joseon Nyeoseong [The Women of Korea] magazine between the years 1956 and 2016, I analyze and uncover the impact and implications that Kim Jong-suk had on North Korean society. First, the gradual change in her status since 1956 holds great significance as it reveals much about the role of power within the regime. Second, when Kim Jong-il held power, he attempted to give honorary male status to his mother. Third, analysis shows that the North Korean regime changed the story and meaning of Kim Jong-suk from that of a communist fighter to an anti-Japanese hero during that time. Presently, under the supreme leadership of Kim Jong-un, the government appears concerned with reevaluating how to portray her role in North Korean history. Their reexamination has become particularly more acute since 2017, as it marks the 100-year anniversary of Kim Jong-suk’s birth. 오늘날 북한사회에서 “최고 지도자” 김정은의 친할머니 김정숙의 이름은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한때 한반도 어디서나 평범한 여성 이름이던 김정숙이라는 호칭이 분단 이후 북녘 땅에서 유독 특별한 상징으로 떠오른 이유는 무엇인가? 이 과정에서 북한당국은 어떤 의도로 누구에게 무슨 메시지를 전하려 했던 것인가? 이 의문을 해소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연구자는 1956년 이후 2017년까지 『조선녀성』 기사 제목에 김정숙 이름이 나오는 사례를 수집 가능한 범위에서 전수 조사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찾았다. 첫째, 김정숙 호칭과 수식어가 등장하고 변화하는 과정을 되짚어보면 북한 최고 권력자 현황이 그대로 드러난다. 둘째, 북한당국은 김정일 집권 기간 김정숙에게 명예남성 지위를 부여하려 했다. 셋째, 김정숙표상을 통해 북한당국이 선전한 시대적 여성상은 공산주의 투사에서 항일의 영웅으로 변화해왔다. 넷째, 북한당국은 필요에 따라 김정숙 표상을활용하여 여성을 설득하고 통제하고자 했다. 다섯째, 김정은이 최고 지도자 지위에 오른 2012년 이후 김정숙 출생 100주년인 2017년까지 북한당국이 김정숙의 위치에 어떤 변화를 주어야 하는지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 KCI등재

        1989-2019년 『통일문제연구』 논문 집필진이 분석한 지역과 주제의 변화

        김석향 평화문제연구소 2019 統一問題硏究 Vol.31 No.2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academic authors and their topics on history of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1989-2019. For the last 30 years of history,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printed 71 issues from vol. 1 to vol. 31. Over the years, 778 authors wrote 690 articles on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Who wrote which topics? Why the topics were chosen by those authors? Is there any academic trends over the 30 years of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history? These are the questions for this article to try to analyze. This articles, in that sense, shall be a serial follower of “Transition of Korean Unification Discourses during the Post-Cold War Era,” written by Kyung Jei-hee and Kim Chae-Han (2014) and “Who Wrote Academic Articles on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1989-2015: Review from a Perspective of Social Scientific Methodology,” written by Kim Seok Hyang (2015). This article will show who wrote those academic articles for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for the last 30 years, which topics they did analyze and why. It will also show if there would be any academic trends, from 1989 to 2019. By doing so, this article shall show the “when, where, who, what, how, and why” wrote those academic works for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1989-2019. 이 글은 통일 및 남북한 관련 분야의 전문학술지 『통일문제연구』 창간호인 1989년 제1권 제1호 이후 30년이 지난 시점인 2019년 제31권 1호에 이르기까지 이 학술지에서 게재했던 논문 총 690편을 대상으로 집필진이 관심을 가지고 분석했던 지역과 주제에 어떤 변화가 나타나는지 전체적인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런 의미에서 이 글은 앞서 『통일문제연구』 2014년 제26권 2호에 나왔던 경제희․ 김재한의 논문 “탈냉전시대 통일문제 논의의 변천: 『통일문제연구』 25년을 중심으로” 및 2015년 제27권 2호에 등장하는 김석향의 논문 “『통일문제연구』 논문에 나타나는 집필진의 특성과 사회과학방법론의 적용 및 활용 동향 분석” 등 두 편에 이어 지난 30년 동안 한국 사회에서 통일 및 남북한 관련 분야 학술 담론의 동향을 분석하는 성격을 지닌다. 이 글에서는 『통일문제연구』 30년의 역사를 되짚어 보면서 누가, 언제, 어느 지역을 분석하는 논문을 발표했는지, 또 어떤 유형의 주제를 분석하는 동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려 한다. 그리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통일문제연구』 집필진이 특정 지역과 주제를 분석하는 쏠림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지, 그 사회적 배경을 해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한 걸음 더 나아가 1989년 이후 2019년에 이르는 30년 동안 『통일문제연구』 집필진으로 누가, 언제 활발하게 활동했는지, 그들의 특성이 논문의 주제를 선정하고 분석 대상 지역을 결정하는 과정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 그 동향을 서술하는 작업도 병행하였다. 결국 이 글은 지나간 30년 동안 『통일문제연구』 논문을 매개로 삼아 1989년 이후 2019년에 이르는 기간 동안 우리 사회 내부의 통일 및 남북한 관계 분야에서 언제(when), 누가(who), 무엇을(what), 어떻게(how), 왜(why) 분석하고 글로 발표해 왔는지 되짚어 보는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 북한 간호계의 현황과 통일 간호학 정립의 과제

        김석향 통일간호학회 2019 통일간호학회지 Vol.1 No.1

        통일한국을 만들어 가는 길에서 그동안 남북한이 이질화를 겪었던 과정을 모든 부분에서 동질화해야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러나 간호학 분야는 적어도 남북한 주민이 어느 정도 공감할 수 있는 수준으로 이질화를 극복하고 동질화 정도를 높여 놓아야 하는 영역이라 하겠다. 오늘날 남북한 간호계의 현실은 어느 분야보다 이질화 정도가 심한 영역으로 나타난다. 우선 1988년 이후 간호원이라는 명칭 사용을 중단하고 간호사로 변경한 한국과 달리 북한지역에서는 지금도 여전히 예전 용어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오늘날 한국에서는 단순히 환자를 치료하고 돌보는 차원을 넘어 지역주민 전체를 대상으로 삶의 질 증진을 도모하는 예방과 복지 활동으로 간호의 범위를 넓혀가는 반면 북한에서는 여전히 간호원의 업무 영역은 상급자인 의사의 지시를 기계적으로 집행하는 수준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격차를 초래하는 원인은 한국의 간호사 양성 체계가 4년의 정규대학 과정을 이수하고 난 이후에야 국가고시에 응시할 자격을 부여하는 반면 북한의 간호원 배출 방식은 교육기간도 6개월-2년 정도로 짧은데 별도의 검정 제도 없이 학교에서 졸업시험을 통과하면 곧바로 자격증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는 현실에 기인한다고 생각한다. 통일한국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간호사와 북한의 간호원으로 나누어지는 이질적 체계를 그대로 방치한 채 통합을 논의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그런 점에서 이 글은 통일 간호학의 정립이 어떤 측면에서, 왜 의의를 지니는지 논의함으로써 적어도 남북한이 함께 통일국가로 나아갈 방도를 모색하는데 필요한 제언을 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이 글은 우선 오늘날 북한의 보건의료 정책 변화 과정을 관찰하고 그 속에서 간호원 양성 체계는 어떻게 운영하고 있는지 되짚어 볼 예정이다. 이 내용은 통일 간호학 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인하는 기초자료로 의미를 지닌다. 그리고 북한 내 환자 치료의 현실과 간호원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오늘날 북한의 환자 치료 현장에서 간호원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그 실상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통일 간호학 정립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자료를 확보하는 일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통일 간호학 정립의 필요성을 논의하면서 지금 당장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할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을 넘어 북한주민을 포함한 통일한국의 국민 모두의 건강을 보살피는 영역으로 발전해 나가야 영역이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Since the division in 1945, the heterogeneity among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as taken in the process in various fields. As the division continues over 70 years, there has been serious concern about the increased level of heterogeneity in the fields. It is not necessary to homogenize the heterogeneity in all fields in the way of creating a unified Korea. However, there are fields in which the homogenization of the two Koreas must be pursued, and the nursing field would be one of them. Today, the situation of nursing care between two Koreas is more heterogeneous than many fields. The terminology and the training system are some of the examples. In the ROK, the term for a nurse has been changed to “Kanho-sa” since 1988, as it implies more of the professionalism than the former term “Kanho-won” which is still used in the DPRK. The ROK’s training system qualifies students to take the national examination after completing a 4-year college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 DPRK’s nurse training system period ranges from six months to two years, and the certificate is given immediately after the graduation examination without additional qualification process. This research examines the institutional differences of nurse training between two Koreas and observes the working conditions of nurses and the general situation of hospitals in the DPRK based on the testimony of the refugees from the DPRK. Based on these, the necessity and the goals of establishing nursing for the unified Korea are proposed.

      • KCI등재

        조선중앙년감(1989-2004)'에서 서술하는 독일통일의 과정과 결과: 독일통일에 대한 북한당국의 공식담론 분석

        김석향 세종연구소 2005 국가전략 Vol.11 No.4

        독일에서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통일이 이루어지던 시기를 전후하여 북한의 지도자 김정일과 김일성은 민감한 반응을 보였다. 특히 김일성은 1991년 신년사에서 한반도에서 독일통일과 같은 상황이 일어날 것을 걱정하는 모습을 보인다. 북한체제의 특성상 지도자의 이런 심경이 어떤 형태로든 공식담론 체계나 정책결정 과정에 상당한 정도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바로 이 점을 근거로 이번 연구에서 북한당국이 한 해 동안 각 분야의 일을 최종적으로 정리하여 발간하는 『조선중앙년감』에서 독일통일의 과정과 결과에 대해 어떻게 서술하는지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조선중앙년감』에서 독일통일의 결과 구(舊) 동독 지역이 얼마나 난관을 겪는가 하는 점을 적극적으로 서술하면서도 독일통일은 국제편 국제주요사건 목차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5 years ago, in 1990, two Germanies, East and West, were unified, becoming one country. The world was surprised by this news. Obviously, the news of the German Unification came as a huge shock to the North Korean leadership, to the then North Korean leader Kim Il-sung and his son Kim Jong-il. North Korean leaders paid great attention to the German unification as well its social and political impact on the country. In the 1991 New Year address, which was delivered just after the German Unification, Kim the Senior vividly expressed his fear that Korea would be follow the German path in futur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modus operandi of the North Korean regime, it is clear that Kim Il-sung and Kim Jong-il's concern was reflected in the official discourse. This article analyzes how the German Unification was described in the issues of the 『North Korean Yearbook』, from 1989 to 2004. The compilers of the『North Korean Yearbook』have been eager to show the numerous difficult problems the ex-East-German people had to deal with after the Unification. Yet, interestingly enough, German Unification itself was almost never mentioned in the 『North Korean Yearbook』 throughout the period.

      • KCI등재

        고난의 행군기 이후 북한당국의 여성담론 분석

        김석향,권혜진 통일연구원 2009 統一 政策 硏究 Vol.18 No.2

        Since the arduous march time to the present, there is much evidence that says DPRK’s society has gone through several changes due to food shortage, financial difficulties, and differentiation and development of indigenous market, even though DPRK authorities have insisted on their own of socialism. Especially, the collapse of its distribution system which used to be at the center of DPRK’s official economic operation system has pushed the socially weak class - women - to go on the street to work to make a living. As it is the case, there is a large possibility that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DPRK women would have changed significantly. This research starts with the question of “What should the women’s discourse be composed of under Kim Jong-il’s regime when there is a huge possibility of changes in DPRK women’s living conditions?” This research has collected 117 women-related slogans and 24 editorials ‘Roading Sinmun’ of the last ten years, and extracted and analyzed the pattern of ‘the standard stories’. After the analysis of slogans and editorials of ‘the standard stories’, there were two different kinds of patterns; ‘Kim Jung Sook’ type, combatant-wife-mother type, and the general women type combatant-wife who serves the general-mother. The DPRK authorities think of women’s role as either ‘women’s issue’ or ‘Nursing and Upbringing of Children’. And instead of awarding ‘the title of hero’ to those who perform an excellent role in both areas, the authorities reward the title to women who play an outstanding role in one of the two areas. Women’s policy in DPRK is just aimed at women but it is not for the sake of women. Women’s discourse in DPRK is a typical way of indoctrination which is based on the kernel of ‘Military First Ideology’. Likewise, it seems that women were in charge of one part responsible for ‘Mass Labor Service Campaign to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Building’. Therefore, under Kim Jung-il’s leadership over the past ten years, women’s policy in DPRK has failed to reflect the rapid changes in the sense of values among women since the last economic crisis. Women’s discourse in DPRK makes the demand that women is not the subject but the object to do all for ‘the Suryong’. 고난의 행군기에 이어 최근까지 북한당국이 우리식 사회주의를 고수함에도 불구하고 북한사회 전반은 식량난과 경제난, 자생적 시장의 분화와 발전 현상으로 다양한 변화가 일어났다고 증언하는 자료들이 많다. 특히 공식적 경제운영체제의 근간 을 이루던 배급제도가 사실상 붕괴된 상황에서 사회적 약자계층인 여성이 남성을 대신하여 장사를 통해 생계를 유지해야 하는 여건이 10년 이상 이어져 온 만큼 북한여성의 생활여건은 변화를 겪었을 가능성이 크다. 본 연구는 이처럼 북한여성의 생활여건이 변화의 가능성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에서 북한당국의 여성담론은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하는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노동신문에서 10년간 117개의 여성관련 구호와 24개의 사설을 수집한 뒤 표준이야기(standard stories) 유형을 추출하고 그 유형을 적용하여 내용을 분석해 보았다. 구호 및 사설내용을 표준이야기(standard stories) 형태로 정리해 보았더니, 김정숙에 대해서는 ‘투사-아내-어머니’의 유형을 찾을 수 있었으며 일반여성에 대하 여서는 ‘투사-장군님 모시는 여성-어머니’의 유형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또한 북한당국은 여성의 역할을 여성문제와 후대보육교양의 문제로 이원화시켜 다루고 있는데 두 가지 범주에서 고르게 우수한 역할을 수행한 여성에게 영웅칭호를 수여하는 것이 아니라 두 분야 중 하나를 특출나게 모범이 되도록 수행한 여성에게 영웅칭호를 수여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한편 북한당국의 여성담론은 수령을 결사옹위하는 선군사상의 기본 핵에 기반한 사상교양의 한 방법이고 여성에게 강성대국건설의 한 축의 책임을 담당시키는 노력동원운동의 모습을 보여준다. 따라서 고난의 행군기 이후 10년동안 북한여성의 가치관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반영할 수도 없음을 확인하였다. 왜냐하면 북한당국의 여성담론은 여성을 주체가 아닌 객체로 보고 수령을 위해서 모든 것을 수행해내야 하는 존재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로동신문」에 나타난 북한의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 분석

        김석향,김경미 통일연구원 2017 統一 政策 硏究 Vol.26 No.1

        Since the initial days of the regime,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s taken a special interest to their public education system, as it was seen as a powerful means of maintaining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system that was in place. Given its importance, the educational system remained a largely unchanging constant much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However, starting from the reign of Kim Jong Eun in 2012,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dded an extra year to their compulsory educational system. This paper seeks to address the impact that this change in educational system has had on the daily lives of North Korean people, as well as to understand Kim Jong Eun’s motivation behind the implementation of this change. To delve into these questions, this paper has analyzed articles regarding this 12-year compulsory education system from the Rodong Newspaper. These articles were all printed between the dates of September 1, 2014 and October 31, 2016. Through this analysis, this paper has concluded that there are two goals of the new compulsory education system: to create a “New Century Revolution” and to create a “Powerhouse of Talent”. Additionally, analysis shows that the system encouraged a change in teaching methodology to increase North Korea’s quality of education. While the implementation of stronger teaching methodology and longer academic periods can be beneficial to North Korean students, the sudden and mass mobilization of this change in the educational system could also be seen as an extra burden for the families of North Korea. 북한당국은 정권 초창기부터 공교육 제도 정비에 관심을 기울였다. 실제 북한당국은 공교육 제도를 통해서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체제 유지에 필요한 인력 양성의 뜻을 수시로 밝혔다. 김정은 시대를 열면서 북한당국이 의무교육 학제개편부터 결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북한당국이 의무교육 기간 1년 연장을 결정하면서 주민의 일상생활에 어떤 영향이 나타나는가?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을 통해 젊은 지도자 김정은이 원하는 변화가 북한사회 전역에 나타나고 있는가? 이러한 의문을 풀어나가기 위해 이 논문은 2014년 9월 1일부터 2016년 10월 31일까지「로동신문」수록 기사에서 북한의 12년제 의무교육 관련 내용을 전수조사한 뒤 내용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북한당국의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 목표는 ‘새 세기 혁명’과 ‘인재 강국’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무교육 제도 시행을 위한 교수방법의 변화와 외형적인 교육조건과 환경 개선에 힘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당국의 독려로 물리적인 학교 환경이 조성되면서 교육제도 시행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이나 대중 동원을 통한 개선 사업 자체가 북한 주민에게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