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유전자 재조합 단백질 Adenylate Kinase, Nucleoside Diphosphate Kinase와 Heat-Shock Protein 70의 결핵균에 대한 방어면역효능 분석

        이승헌,이은계,김수연,조상래,박영길,배길한,Lee, Seung-Heon,Lee, Eun-Gae,Kim, Su-Yeon,Cho, Sang-Nae,Park, Young-Kil,Bai, Gill-Han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05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58 No.2

        Background : Priming and boosting vaccination strategy has been widely explored for new vaccine development against tuberculosis. As an effort to identify other vaccine candidates, this study was initiated to evaluate protective efficacy of adenylate kinase (AK), nucleoside diphosphate kinase (NdK), and heat shock protein 70 (Hsp70)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Method : M. tuberculosis genes encoding AK, NdK, and Hsp70 proteins were amplified by PCR and cloned into E. coli expression vector, pQE30. Recombinant AK, NdK, and Hsp70 was purified through Ni-NTA resin. To evaluate immune responses, we performe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for IgG isotype and $IFN-{\gamma}$ after mice were immunized subcutaneously with recombinant proteins delivered in dimethyl dioctadecylammonium bromide (DDA). Immunized- and control groups were challenged by aerosol with M. tuberculosis. The spleens and lungs of mice were removed aseptically and cultured for CFU of M. tuberculosis. Result : Vaccination with recombinant proteins AK, NdK, and Hsp70 delivered in DDA elicited significant level of antibody and $IFN-{\gamma}$ responses to corresponding antigens but no protective immunity comparable to that achieved with Mycobacterium bovis BCG. Conclusion : Recombinant proteins AK, NdK, and Hsp70 do not effectively control growth of M. tuberculosis in mice when immunized with DDA as an adjuvant. 배 경 : 최근 결핵에 대한 새로운 백신 개발은 초회 면역 방법 및 추가 면역 방법을 이용하는 방향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실험은 새로운 백신 후보 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결핵균 adenylate kinase (AK), nucleoside diphosphate (NdK) 및 heat shock protein 70(Hsp70)의 결핵균에 대한 방어면역효능을 측정하였다. 방 법 : 재조합 단백질들을 정제하기 위하여 중합효소 연쇄반응으로 증폭한 결핵균 유전자 단편들을 E.coli expression vector, pQE30에 클로닝한 후, Ni-NTA resin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DDA와 재조합 단백질들을 마우스에 면역주사하고 면역반응 생성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항체와 $IFN-{\gamma}$ 생성능을 측정하였다. 면역주사 한 마우스에 결핵균을 공기 감염시킨 후, 폐와 비장을 분리하여 결핵균 생균수 실험을 하였다. 결 과 : 재조합 단백질 AK, NdK 와 Hsp70을 면역보강제인 DDA를 이용하여 면역주사 한 결과에서, 생리식염수 혹은 DDA를 면역주사 한 마우스에 비교하여 재조합 단백질을 면역주사 한 마우스에서는 각 항원에 대해 항체와 $IFN-{\gamma}$ 생성능이 높게 나타났으나 결핵균에 대한 효과적인 방어면역효능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 : 마우스를 모델로 한 결핵균에 대한 방어면역효능 실험에서, 면역보강제 DDA를 이용한 재조합 단백질 AK, NdK 및 Hsp70을 면역주사 한 경우에는 결핵균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지 못하였다. 혼합 단백질 혹은 다른 T세포 면역보강제의 사용에 의한 추시가 필요하다.

      • SCOPUSKCI등재

        결핵균 항원 자극에 의한 결핵성 흉수 림프구의 IFN-${\gamma}$ mRNA 발현

        박재석,김윤섭,지영구,이계영,Park, Jae Seuk,Kim, Youn Seup,Jee, Young Koo,Lee, Kye Young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04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57 No.1

        연구배경 : IFN-${\gamma}$는 결핵균에 대한 숙주의 면역학적 방어기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결핵균 항원들이 IFN-${\gamma}$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은 결핵균에 대한 숙주의 방어기전을 밝히고 이를 이용한 백신의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방 법 : 결핵성 흉막염 환자의 흉수에서 얻은 림프구 배양액에 결핵균(H37Rv), PPD, Ag85B, man-LAM, ara-LAM을 첨가하여 자극한 후 림프구의 IFN-${\gamma}$ mRNA의 발현 정도를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1) 결핵균(H37Rv)이 결핵성 흉수 림프구의 IFN-${\gamma}$ mRNA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2) 결핵균 항원 중 PPD와 Ag85B는 결핵성 흉수 림프구의 IFN-${\gamma}$ mRNA의 발현을 증가시켰지만 man-LAM은 결핵성 흉수 림프구의 IFN-${\gamma}$ mRNA의 발현을 억제시켰다. 3) LAM 중에서 man-LAM은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결핵성 흉수 림프구의 IFN-${\gamma}$ mRNA의 발현의 억제 정도가 증가하였지만 ara-LAM의 경우 이와 같은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결핵성 흉수 림프구의IFN-${\gamma}$ mRNA의 발현은 PPD와 Ag85B의 자극에 의해 항진되지만 man-LAM의 자극에 의해서는 억제되었다. Background : IFN-${\gamma}$ is the main effector mediator of the host immune response against Mycobacterium tuberculosis. Evaluating the IFN-${\gamma}$ gene expression in response to M. tuberculosis antigens may help in elucidating the host defense mechanism against M. tuberculosis and in the development of a vaccine. Methods : The IFN-${\gamma}$ mRNA expression in the lymphocytes obtained from pleural effusions from tuberculous pleurisy patients (TB-PLC) after in vitro stimulation with whole cell M. tuberculosis(H37Rv), purified protein derivatives(PPD), man-lipoarabinamman (man-LAM), ara-LAM and Antigen 85B(Ag85B) were evaluated. The degree of IFN-${\gamma}$ mRNA expression was determined by a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method. Results : M. tuberculosis induced the expression of IFN-${\gamma}$ mRNA in the TB-PLC in time and dose dependent manners. The PPD and Ag85B induced high levels of IFN-${\gamma}$ mRNA expression in the TB-PLC. However, man-LAM inhibited IFN-${\gamma}$ mRNA expression in the TB-PLC, while ara-LAM did not. Conclusion : IFN-${\gamma}$ mRNA expression in TB-PLC is stimulated by PPD and Ag85B, but inhibited by man-LAM.

      • SCOPUSKCI등재

        세포 염색 방법을 이용한 결핵균 감수성 검사법

        류성원,김현호,방문남,박영길,박순희,심영수,강성만,배길한,Ryu, Sung-Weon,Kim, Hyun-Ho,Bang, Mun-Nam,Park, Young-Kil,Park, Sue-Nie,Shim, Young-Soo,Kang, Seongman,Bai, Gill-Han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04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56 No.3

        연구배경 : 결핵치료에서 어려움을 주는 가장 중요한 요인의 하나가 약제 내성균에 감염된 경우이다. 근래 다제내성 결핵균의 증가는 신속한 결핵균 감수성검사방법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더욱 증가시키고 있다. 활발하게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분자생물학적 기법들도 신속한 내성여부의 구분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검사약제가 제한되어 있고 보완할 점들이 많이 남아있다. 따라서 저자들은 결핵균 세포 염색 방법에 의해 생균과 사균을 구분할 수 있는 신속하고도 정확한 결핵균 약제 감수성 검사 방법을 검토하여 보았다. 방 법 : 본 연구의 대상으로 대표적인 4가지 항결핵 약제(Isoniazid, Rifampicin, Streptomycin, Ethambutol)에 모두 내성인 임상분리 결핵균 20 균주와 모든 약제에 감수성인 임상분리 결핵균 20 균주를 사용하였다. 약제감수성검사시의 최소 희석배수였던 MacFarland #1 탁도로부터 10배 희석한 결핵균액을 7H9 배양액 $30m{\ell}$에 접종한 후 $37^{\circ}C$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핵산 염색액인 Syto 9 (MolecularProbes, USA)과 세포질 염색액인 프로피디움(propidium iodide, $C_{27}H_{34}I_2N_4$)을 결핵균과 잘 섞은 후 실온의 암소에서 15 분간 방치한 후 슬라이드에 $5{\mu}{\ell}$씩 점적하여 형광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결 과 : 실험에 사용한 약제내성 결핵균은 4가지의 항결핵약제의 각 농도가 함유된 7H9 배양액에서 사멸하지 않고 생존하고 있음을 형광 현미경상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프로피디움(propidium iodide)은 살아있는 세균의 경우 세포핵은 염색시키지 못하고 세포질만 염색함으로써 살아있는 결핵균은 형광현미경 시야에서 녹색을 띄게 되고, 세포의 핵산을 염색시키는 Syto 9 은 사멸한 세포의 세포질을 통과하여 결핵 약제에 감수성인 결핵균의 세포핵을 염색시켜 형광 현미경 시야에서 붉은 색으로 관찰 되었다. 결 론 : Acridin (Syto9)과 propidium 성분을 이용하여 세포를 형광 염색시켜 세포의 사멸 및 생육을 판단하는 방법을 결핵균 약제감수성검사에 적용한 결과,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24시간 이내에 내성균과 감수성균을 구분할 수 있었다. 생균과 사균 세포의 판별법으로 기존의 결핵균 감수성 방법을 대체하기 위해서는 형광현미경을 비롯한 실험실 장비와 숙련된 검사자가 필요하지만, 배양된 균으로 검사하는 데만 4주 이상 소요되는 기존의 결핵균 감수성 검사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매우 저렴하고도 간편한 검사방법으로 판단되었다. Background : The resurgence of tuberculosis and outbreaks of multidrug resistant (MDR) tuberculosis have increased the emphasis for the development of new susceptibility testing of the Mycobacterium tuberculosis for the effective treatment and control of the disease. Conventional drug susceptibility testings, such as those using egg-based or agar-based media have some limits, such as the time required and difficulties in determining critical inhibitory concentrations, but these are still being used in many diagnostic laboratories because of no better lternatives, considering cost and accuracy. To overcome these limits, a rapid and simple method for new susceptibility testing, using live and dead assays, was applied for a bacterial cell viability assay to distinguish dead from live bacterial cells based on two-color fluorescence. Materials and Methods Strains : Forty strains were used in this study, 20 susceptible to all antituberculosis drugs and the other 20 resistant to the four first line antituberculosis drugs isoniazid, rifampicin, streptomycin and ethambutol. Antibiotics : The four antibiotics were dissolved in 7H9 broth to make the following solutions: $0.1{\mu}g\;isoniazid(INH)/m{\ell}$, $0.4{\mu}g\;rifampicin(RMP)/m{\ell}$, $4.0{\mu}g\;streptomycin(SM)/m{\ell}$ and $4.0{\mu}g\;ethambutol(EMB)/m{\ell}$. Results : Live and dead Mycobacterium tuberculosis cells fluoresced green and red with the acridin (Syto 9) and propidium treatments, respectively. These results are very well accorded with conventional drug susceptibility testing by proportional method on Lowensen-Jensen media (L-J) containing 4 drugs (INH, RMP, EMB and SM), showing a 93.7 % accordance rate in susceptible strains and 95% in resistant strains.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e drug susceptibility testing using the live and dead bacterial cell assay showed high accordance rate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roportion method on L-J.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live and dead bacterial cell assay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drug susceptibility testing for M. tuberculosis strains.

      • SCOPUSKCI등재

        비결핵항산균증 전국 실태조사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학술위원회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1995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42 No.3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tuberculosis in Korea decreased remarkably for the past 30 years, while the incidence of disease caused by mycobacteria other than tuberculosis is unknown.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performed national survey to estimate the incidence of mycobacterial diseases other than tuberculosis in Korea. We analyzed the clinical data of confirmed cases for the practice of primary care physicians and pulmonary specialists. Methods: The period of study was from January 1981 to October 1994. We collected the data retrospectively by correspondence with physicians in the hospitals that referred the specimens to Korean Institute of Tuberculosis, The Korean National Tuberculosis Association for the detection of mycobacteria other than tuberculosis. In confirmed cases, we obtained the records for clinical, laboratory and radiological findings in detail using protocols. Results: 1) Mycobacterial diseases other than tuberculosis were confirmed that 1 case was in 1981, 2 cases in 1982, 4 cases in 1983, 2 cases in 1984, 5 cases in 1985, 1 case in 1986, 3 cases in 1987, 1 case in 1988, 6 cases in 1989, 9 cases in 1990, 14 cases in 1990, 10 cases in 1992, 4 cases in 1993, and 96 cases in 1994. Cases since 1990 were 133 cases(84.2%) of a total. 2) Fifty seven percent of patients were in the age group of over 60 years. The ratio of male to female patients was 2.6:1. 3) The distribution of hospitals in Korea showed that 61 cases(38.6%) were referred from Double Cross Clinic, 42 cases(26.6%) from health centers, 21 cases(13.3%) from tertiary referral hospitals, 15 cases(9.5%) from secondary referral hospitals, and 10 cases(6.3%) from primary care hospitals. The area distribution in Korea revealed that 98 cases(62%) were in Seoul, 17 cases(10.8%) in Gyeongsangbuk-do, 12 cases(7.6%) in Kyongki-do, 8 cases(5.1%) in Chungchongnam-do, each 5 cases(3.2%) in Gyeongsangnam-do and Chungchongbuk-do, 6 cases(3.8%) in other areas. 4) In the species of isolated mycobacteria other than tuberculosis, M. avium-intracellulare was found in 104 cases(65.2%), M. fortuitum in 20 cases(12.7%), M. chelonae in 15 cases(9.5%), M. gordonae in 7 cases(4.4%), M. terrae in 5 cases(3.2%), M. scrofulaceum in 3 cases(1.9%), M. kansasii and M. szulgai in each 2 cases(1.3%), and M. avium-intracellulare coexisting with M. terrae in 1 case(0.6%). 5) In pre-existing pulmonary diseases, pulmonary tuberculosis was 113 cases(71.5%), bronchiectasis 6 cases(3.8%), chronic bronchitis 10 cases(6.3%), and pulmonary fibrosis 6 cases(3.8%). The timing of diagnosis as having pulmonary tuberculosis was within 1 year in 7 cases(6.2%), 2~5 years ago in 32 cases(28.3%), 6~10 years ago in 29 cases(25.7%), 11~15 years ago in 16 cases(14.2%), 16~20 years ago in 15 cases (13.3%), and 20 years ago in 14 cases(12.4%). Duration of anti-tuberculous treatment was within 3 months in 6 cases(5.3%), 4~6 months in 17 cases(15%), 7~9 months in 16 cases(14.2%), 10~12 months in 11 cases(9.7%), 1~2 years in 21 cases(18.6%), and over 2 years in 8 cases(7.1%). The results of treatment were cure in 44 cases(27.9%) and failure in 25 cases(15.8%). 6) Associated extra-pulmonary diseases were chronic liver disease coexisting with chronic renal failure in 1 case(0.6%), diabetes mellitus in 9 cases(5.7%), cardiovascular diseases in 2 cases(1.3%), long-term therapy with steroid in 2 cases(1.3%) and chronic liver disease, chronic renal failure, colitis and pneumoconiosis in each 1 case(0.6%). 7) The clinical presentations of mycobacterial diseases other than tuberculosis were 86 cases (54.4%) of chronic pulmonary infections, 1 case(0.6%) of cervical or other site lymphadenitis, 3 cases(1.9%) of endobronchial tuberculosis, and 1 case(0.6%) of intestinal tuberculosis. 8) The symptoms of patients were cough(62%), sputum(61.4%), dyspnea(30.4%), hemoptysis or blood-tinged sputum(20.9%), weight loss(13.3%), fever(6.3%), and others(4.4%). 9) Smear negative with culture negative case 연구 배경: 우리나라에서 과거 30년 동안 결핵 유병률은 현저히 감소되어 왔으나 비결핵항산균에 의한 질병의 발생빈도는 아직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는 전국 실태조사를 통하여 현재까지 확인된 전국의 비결핵항산균증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여 외국의 보고와 비교함으로써 일반 개업의 및 내과 전문의의 진료 활동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자 본 사업을 시행하였다. 방법: 조사와 분석은 1981년 1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대한결핵협회 결핵연구원에 의뢰된 검체중 비결핵항산균의 종(species)이 확인된 158예를 대상으로 검사를 의뢰한 병원의 진료의에게 증례 기록지를 보내어 정확한 임상 및 검사 정보를 기록하여 회신 하도록하는 후향적 조사 방법으로 그 결과를 수집 분석하였다. 결과: 1) 연도별로 보면 1981년에 1예, 1982년 2예 등으로 1990년 이전에는 매년 10예 미만 이던 것이 1991년에 14예, 1992년 10예, 1993년 4예, 1994년에는 96예로 1990년 이후가 전체의 84.2%를 차지하였다. 2) 연령은 10대 1예, 20대 6예, 30대 15예, 40대 19예, 50대 27예, 60대 51예, 70세 이상 39예로 60세 이상이 전체의 57%를 차지하였다 성별 분포는 남자 114예(72.1%), 여자 44예(27.9%) 이었다. 3) 병원별 분포는 복십자의원 61예(38.6%), 보건소 42예(26.6%), 3차기관 21예(13.3%), 2차기관 15예(9.5%), 1차기관 10예(6.3%) 이었으며, 지역별 분포는 서울 98예(62%), 경상북도 17예(10.8%), 경기도 12예(7.6%), 충청남도 8예(5.1%), 경상남도와 충청북도 각각 5예(3.2%), 기타 지역이 6예(3.8%) 이었다. 4) 선행 폐 질환은 폐결핵 113예(71.5%), 기관지확장증 6예(3.8%), 만성 기관지염 10예(6.3%), 폐섬유증 6예(3.8%) 등이었다. 폐결핵의 발병 시기는 1년 이내가 7예(6.2%), 2~5년전 32 예(28.3%), 6~10년전 29예(25.7% ) 등으로 2~10년전이 전체의 54%를 차지하였다. 폐결핵의 치료 기간은 3개월 이내가 6예로 5.3%이었으며, 4~6개월이 17예(15%), 7~9개월 16예(14.2%), 10~12 개월 11예(9.7%), 1~2년 21예(18.6%), 2년 이상 8예로 7.1% 이었다. 폐결핵의 치료 결과는 완치가 44예(38.9%), 치료 설패가 25예(22.1%) 이었다. 5) 동반된 폐외질환은 만성 간질환과 만성 산부전이 함께 있었던 경우 각각 1예를 포함하여 당뇨병이 9예(5.7%)에서 있었으며, 심혈관계질환 2예(1.3%),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투여 받은 경우 2예(1.3%) 그리고 만성 간질환, 만성 신부전, 대장염 및 진폐증이 각 1예(0.6%)씩 있었다. 6) 비결핵항산균증이 발현한 임상상은 만성 폐 감염증 86예(54.4%), 경부 및 기타 임파선염 1예(0.6%), 기관지 결핵 3예(1.9%), 장결핵 1예(0.6%) 이었다. 7) 임상 소견은 기침 62%, 객담 61.4%, 호흡곤란 30.4%, 객혈 및 혈담 20.9%, 체중 감소 l3.3%, 발열 6.3%, 기타 4.4% 등 이었다. 8) 흉부 X-선 소견은 정상 7예(4.4%), 경증 20예(12.7%), 중등증 67예(42.4%), 중증 47예(29.8%)이었으며, 공동은 43예(27.2%)에서 동반되었고, 흉막염은 18예(11.4%)에서 동반되었다. 9) 비결핵항산균이 확언된 검사물은 객담 143예(90.5%), 객담 및 기관지세척액 4예(2.5%), 기관지세척액 1예(0.6%) 이었다. 동정된 비결핵항산균의 종류는 M. avium-intracellulare가 104예로 전체의 65.2%를 차지하였고 M. fortuitum 20예(12.7%), M. chelonae 15예(9.5%), M. gordonae 7예(4.4%), M. terrae 5예(3.2%), M. scrofulaceum 3예(1.9%), M. kansasii와 M. szulgai가 각각 2예(1.3%), 그리고 M. avium-intracellulare와 M. terrae가 동시에 확인된 경우가 1예(0.6%) 이었다. 10) 도말 및 배양 검사 결과는 4번의 검사 중 도말 음성, 배양 양성인 경우는 첫번째 검사상 59

      • SCOPUSKCI등재

        결핵성 흉수에서 IL-10, IL-12, IFN-$\gamma$, ADA 측정의 의의

        전두수,윤상명,박삼석,이효진,김윤성,이민기,박순규,Jeon, Doo-Soo,Yun, Sang-Myung,Park, Sam-Seok,Lee, Hyo-Jin,Kim, Yun-Seong,Lee, Min-Ki,Park, Soon-Kew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199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45 No.2

        Background: Cell mediated immune response mediated by interaction between CD4+ T lymphocytes and macrophagies is thought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uberculous pleurisy. This interaction is dependent on the interplay of various cytokines. The immunologic response of tuberculous pleurisy is thought to depend on the balance between helper T cell(Th1) cytokine Interleukin-12, Interferon gamma and Th2 cytokine IL-4, IL-10. To understand immunologic mechanism in tuberculous pleurisy and evaluate diagnostic value of these cytokines, the concentrations of Th1 cytokine IL-12, IFN -$\gamma$ and Th2 cytokine IL-10 were measured in tuberculous pleurisy and malignant pleural effusion group. Material and Methods: The concentrations of IL-10, IL-12 and IFN-$\gamma$ were measured by ELISA method in pleural fluids and serums of 20 patients with tuberculous pleurisy and 20 patients with malignant pleural effusion ADA activities were measured by spetrophotomery in pleural fluids of both groups. Results: In tuberculous pleurisy, the mean concentrations of IL-10, IL-12 and IFN-$\gamma$ of pleural fluids showed $121.3{\pm}83.7$ pg/mL, $571.4{\pm}472.7$ pg/mL and $420.4{\pm}285.9$ pg/mL. The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erum, $21.2{\pm}60.9$ pg/mL, 194.5 pg/mL, $30.1{\pm}18.3$ pg/mL respectively(p< 0.01). In malignant pleural effusion, the mean concentrations of IL-10, IL-12 and IFN-$\gamma$ of pleural fluids showed $88.4{\pm}40.4$ pg/mL, $306.5{\pm}271.1$ pg/mL and $30.5{\pm}54.8$ pg/mL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of serum ($43.4{\pm}67.2$ pg/mL, $206.8{\pm}160.6$ pg/mL, $14.6{\pm}3.3$ pg/mL), only IL-10 was significantly higher (p<0.001), but IL-12, IFN-$\gamma$ were not significant. In tuberculous pleural effusion compared with malignant pleural effusion, the concentration of IL-12, IFN-$\gamma$, ADA were significantly higher (p=value 0.046, <0.001, <0.001), but IL-10 was not significant. For differential diagnosis of tuberculous pleurisy from malignant pleural effusion, using cut-off value of IL-12, IFN-$\gamma$, ADA as 300 pg/mL. 100 pg/mL, 45 U/L, the sensitivity/specificity were 60%/70%, 90%/87.5%, 85%/90% respectively. Conclusion: In tuberculous pleurisy, IL-10, IL-12 and IFN-$\gamma$ were selectively concentrated highly in pleural space than serum. Compared with malignant pleural effusion, IL-12 and IFN-$\gamma$ were significantly higher, but IL-10 were not in tuberculous pleural eff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1 pathway contributes to immune resistant mechanism in tuberculous pleurisy. IFN-$\gamma$ and ADA revealed useful methods of differential diagnosis in tuberculous pleurisy from malignant pleural effusion. 연구배경: 결핵성 흉막염은 면학적으로 흉강내에 국소적으로 활성화된 CD4+ T림프구와 대식세포가 관여하는 세포매개면역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들의 상호작용은 다양한 사이토카인에 의해 좌우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helper T cell type 1 (Th1) 사이토카인인 IL-12 및 IFN-$\gamma$와 Th2 사이토카인인 IL-4 및 IL-10간의 균형이 세포매개반응의 정도를 결정한다고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세포매개면역반응의 지표로서 Th1 사이토카인인 IL-12, IFN-$\gamma$와 이들과 길항적으로 작용한다고 알려져있는 Th2 사이토카인 중 IL-10이 결핵성 흉수내에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검사하여 대조군인 악성 흉수와 비교함으로써 결핵성 흉막염의 변역학적 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며 아울러 사이토카인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각 20명의 결핵성 흉막염과 악성 흉막염 환자를 대상으로 흉수와 혈장에서 IL-10, IL-12, IFN-$\gamma$를 측정하고 흉수에서의 ADA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사이토카인은 대상환자의 혈액과 흉수를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을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ADA 활성도는 비색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결핵성 흉막염 환자에서 흉수의 IL-10, IL-12, IFN-$\gamma$의 농도는 $121.3{\pm}83.7$ pg/mL, $571.4{\pm}472.7$ pg/mL, $420.4{\pm}285.9$ pg/mL로 혈장의 $21.2{\pm}60.9$ pg/mL, $194.5{\pm}67.6$ pg/mL, $30.1{\pm}18.3$ pg/mL 보다 모두 유의하게 높았다 (p<0.01). 악성 흉막염 환자에서 흉수의 IL-10, IL-12, IFN-$\gamma$의 농도는 $88.4{\pm}40.4$ pg/mL, $306.5{\pm}271.1$ pg/mL, $30.5{\pm}54.8$ pg/mL로 혈장의 $43.4 {\pm}67.2$ pg/mL, $206.8{\pm}160.6$ pg/mL, $14.6{\pm}3.3$ pg/mL와 비교하였을때 IL-10 만이 유의하게 높았고 (p<0.001) IL12, IFN-$\gamma$에선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핵성 흉막염과 악성 흉막염 환자의 흉수에서의 농도를 비교하였을 때 IL-12, IFN-$\gamma$, ADA는 결핵성 흉막염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p=0.046, <0.001, <0.001) IL-10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핵성 흉수염을 악성 흉수염과 감별하는데 있어 IL-12, IFN-$\gamma$, ADA의 기준을 각각 300 pg/mL, 100 pg/mL, 45 U/L으로 하였을때 민감도/특이도는 IL-12에서 60%/70%, IFN-$\gamma$에서 90%/85%, ADA 에서 85%/90%였다. 결 론: 결핵성 흉수에서 흉강내에 Th1 사이토카인인 IL-12, IFN-$\gamma$와 함께 IL-10이 증가되어 있었고 악성흉수와 비교했을때 IL-12, IFN-$\gamma$는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나 IL-10은 의의가 없었다. 따라서 결핵성 흉막염의 면역기전에 Th1 경로의 세포매개변역반응이 주로 관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국소적인 IL-10 증가의 임상적 의의는 추후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IFN-$\gamma$와 ADA는 결핵성 흉수와 악성 흉수와의 감별에 유용한 진단법으로 생각된다.

      • SCOPUSKCI등재

        결핵환자에서 말초혈액과 흉막액내 ${\gamma}{\delta}$ T 림프구의 의의

        송광선,신계철,김도훈,홍애라,김희선,용석중,Song, Kwang Seon,Shin, Kye Chul,Kim, Do Hun,Hong, Ae Ra,Kim, Hee Seon,Yong, Suk Joong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199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44 No.1

        연구배경 : 최근 알려진 ${\gamma}{\delta}$ 수용체는 결핵균 감염의 초기에 제2형 주요 조직적합성 복합계(MHC class II)의 인식없이 결핵균 항원에 반응하여 세포성 면역반응을 나타냄이 보고되었다. 이에 연구자등은 페결핵환자와 결핵성 흉막염 환자, 그리고 다른 원인의 흉막염 환자사이에 T 림프구의 조성과 ${\gamma}{\delta}$ T-림프구 수의 차이를 관찰하였다. 방법 : 대상은 폐결핵환자 30예(이중 결핵성 흉막염환자 15예), 폐암 환자 12예(이중 악성 흉막염 환자 9예), 폐렴 7예(이중 폐렴성 흉막염 6예)등 모두 49예였다. 혈청 ADA(adenosine deaminase)활성도는 Hitachi 747 자동화학분석기에서 측정하였다. T 세포 림프구 아형의 분류는 lysed whole blood method로 anti-Leu4, anti-Leu3a, anti-Leu2a, anti HLA-DR 그리고 anti-TCR-${\gamma}{\delta}$-1를 이용하여 flow cytometer로 분석하였다. 결과 : 1. 말초혈액내 ${\gamma}{\delta}$-T 림프구의 평균치는 $4.8{\pm}4.6%$ 였고, 결핵군(29예) $5.5{\pm}4.5%$, 비결핵군(14예) $3.3{\pm}2.9%$(폐암군 $4.0{\pm}3.2%$, 폐렴군 $2.2{\pm}1.6%$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4). 질병의 이환기간 1개월 이내의 환자중에서도 결핵군(20예) $6.4{\pm}6.6%$, 비결핵군(14예) $3.3{\pm}2.9%$ 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16)(Table 1). 2. 흉막액내 T 세포 림프구 아형중 CD4 림프구는 결핵성 흉막액에서는 $54.6{\pm}13.8%$, 비결핵성 흉막액에서는 $36.2{\pm}25.3%$(악성 흉막액 $38.4{\pm}23.8%$, 폐렴정 흉막액 $30.1{\pm}34.0%$ 결핵성 흉막액에서 의의있게 높았다(p=0.04)(Table 2). 3. 흉막염이 있던 환자에서 말초혈액내 ${\gamma}{\delta}$-T 림프구는 결핵성 흉막염군(14예)이 $7.0{\pm}9.0%$, 비결핵성 흉막염군(11예) $3.0{\pm}2.0%$ (악성 흉막염군 $3.1{\pm}2.2%$, 폐렴성 흉막염군 $2.7{\pm}1.7%$로 차이는 없었다(p=0.16). 흉막액내 ${\gamma}{\delta}$-T 림프구는 결핵성 흉막염군(15예)이 $3.9{\pm}2.9%$, 비결핵성 흉막염군(10예) $2.1{\pm}2.2%$(악성 흉막염군 $2.0{\pm}2.5%$, 폐렴성 흉막염군 $2.4{\pm}1.7%$ 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2). 4. 환자의 연령이나 성별과 말초혈액내 ${\gamma}{\delta}$-T 림프구수와는 상관관계가 없었고, 폐결핵 환자에서 병변의 정도, 혈청 및 흉막액내 ADA와 ${\gamma}{\delta}$-T 림프구수와도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론 : 결핵성 흉막염환자에서 말초혈액 및 흉막액내 ${\gamma}{\delta}$-T 림프구수의 유의한 증가는 없어 다른 질환과의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지 못할 것으로 생각되며, ${\gamma}{\delta}$-T 림프구의 증가는 결핵 초기 환자들을 대상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he changes of the composition in the T-lymphocyte are important as an immunological abnormality in the pathogenesis of tuberculosis. Previously, the second type of TCR dimer(${\gamma}{\delta}$ T lymphocyte) that did not express CD4 or CD8 molecules was found. In other reports the presence of this type of lymphocytes was increased in the initial stage of tuberculous infections. Method :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he T-lymphocyte subsets in the peripheral blood or pleural effusion between pleural tuberculosis and other pleurisy. Thirty patients with pleural effusion among the forty-nine patients were examined T-lymphocyte subset analysis(CD4+T-cell,CD8+ T-cell,${\gamma}{\delta}$ T-lymphocytes) with anti- Leu4, anti-Leu3a, anti-Lea2a, anti HLA-DR and anti-TCR-${\gamma}{\delta}$-1(Becton & Dickinson Co.). Results :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50 years old(17-81year). There were 33 males and 16 female patients. Patiensts with tuberculosis are 30cases(tuberculous pleurisy 15), lung cancer 12cases(malignant effusion 9) and pneumonia 7cases(parapneumonic effusion 6cases) In T lymphocyte subsets of pleural effusion, helper T lymphocyte(54.6 + 13.8 %) of tuberculous pleurisy was higher than that(36.2 + 25.3 %) of non-tuberculous pleurisy(p=0.04). The peripheral blood ${\gamma}{\delta}$ T-lymphocytes in tuberculousis was insignificantly higher than non-tuberculous patients(p= 0.24). The peripheral blood ${\gamma}{\delta}$ T-lymphocytes and pleural ${\gamma}{\delta}$ T-Iymphocytes in tuberculous pleurisy was insignificantly higher than in non-tuberculous pleurisy(p= 0.16, p= 0.12). Conclusion : The percentage of -${\gamma}{\delta}$ T lymphocytes among the total T-lymphocytes i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peripheral blood or pleural effusion of the pleural tuberculosis. ${\gamma}{\delta}$ T lymphocytes is less useful as a diagnostic method of pleural tuberculosis.

      • SCOPUSKCI등재

        개흉 및 흉강경항폐생검의 전국실태조사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학술위원회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199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45 No.1

        Introduction: Direct histologic and bacteriologic examination of a representative specimen of lung tissue is the only certain method of providing an accurate diagnosis in various pulmonary diseases including diffuse pulmonary diseases. The purpose of national survey was to define the indication, incidence, effectiveness, safety and complication of open and thoracoscopic lung biopsy in korea. Methods: A multicenter registry of 37 university or general hospitals equipped more than 400 patient's bed were retrospectively collected and analyzed for 3 years from the January 1994 to December 1996 using the same registry protocol. Results: 1) There were 511 cases from the 37 hospitals during 3 years. The mean age was 50.2 years(${\pm}15.1$ years) and men was more prevalent than women(54.9% vs 45.9%). 2) The open lung biopsy was performed in 313 cases(62%) and thoracoscopic lung biopsy was performed in 192 cases(38%). The incidence of lung biopsy was more higher in diffuse lung disease(305 cases, 59.7%) than in localized lung disease(206 cases, 40.3%) 3) The duration after abnormalities was found in chest X-ray until lung biopsy was 82.4 days(open lung biopsy: 72.8 days, thoracoscopic lung biopsy: 99.4 days). The bronchoscopy was performed in 272 cases(53.2%), bronchoalveolar lavage was performed in 123 cases(24.1%) and percutaneous lung biopsy was performed in 72 cases(14.1%) before open or thoracoscopic lung biopsy. 4) There were 230 cases(45.0%) of interstitial lung disease, 133 cases(26.0%) of thoracic malignancies, 118 cases(23.1%) of infectious lung disease including tuberculosis and 30 cases (5.9 %) of other lung diseases including congenital anomali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diagnostic rate and disease characteristics between open lung biopsy and thoracoscopic lung biopsy. 5) The final diagnosis through an open or thoracoscopic lung biopsy was as same as the presumptive diagnosis before the biopsy in 302 cases(59.2%). The identical diagnostic rate was 66.5% in interstitial lung diseases, 58.7% in thoracic malignancies, 32.7% in lung infections, 55.1 % in pulmonary tuberculosis, 62.5% in other lung diseases including congenital anomalies. 6) One days after lung biopsy, $PaCO_2$ was increased from the prebiopsy level of $38.9{\pm}5.8mmHg$ to the $40.2{\pm}7.1mmHg$(P<0.05) and $PaO_2/FiO_2$ was decreased from the prebiopsy level of $380.3{\pm}109.3mmHg$ to the $339.2{\pm}138.2mmHg$(P=0.01). 7) There was a 10.1 % of complication after lung biopsy. The complication rate in open lung biopsy was much higher than in thoracoscopic lung biopsy(12.4% vs 5.8%, P<0.05).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 was pneumothorax(23 cases, 4.6%), hemothorax(7 cases, 1.4%), death(6 cases, 1.2%) and others(15 cases, 2.9%). 8) The 5 cases of death due to lung biopsy were associated with open lung biopsy and one fatal case did not describe the method of lung biopsy. The underlying disease was 3 cases of thoracic malignancies(2 cases of bronchoalveolar cell cancer and one malignant mesothelioma), 2 cases of metastatic lung cancer, and one interstitial lung disease. The duration between open lung biopsy and death was $15.5{\pm}9.9$ days. 9) Despite the lung biopsy, 19 cases (3.7%) could not diagnosed. These findings were caused by biopsy was taken other than target lesion(5 cases), too small size to interpretate(3 cases), pathologic inability(11 cases). 10) The contribution of open or thoracoscopic lung biopsy to the final diagnosis was defininitely helpful(334 cases, 66.5%), moderately helpful(140 cases, 27.9%), not helpful or impossible to judge(28 cases, 5.6%). Overall, open or thoracoscopic lung biopsy were helpful to diagnose the lung lesion in 94.4 % of total cases. Conclusions: The open or thoracoscopic lung biopsy were relatively safe and reliable diagnostic method of lung lesion which could not diagnosed by other diagnostic approaches such as bron 연구배경: 개흉폐생검은 미만성 침윤성 폐질환의 감별진단, 면역억제 환자에서의 폐침윤의 원인 등 다양한 폐질환에서 확진에 이르기 위한 고전적인 진단술로서 충분한 크기의 검체를 제공할 뿐 아니라 폐생검시 생검사가 직접 병변부위를 관찰하고 생검장소를 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최근에는 흉강경하폐생검(video-assisted thoracoscopy, VATS)이 개발되어 늑막 및 폐질환의 진단에 이용되고 있다. 본 학회의 학술위원회에서는 폐질환에서 개흉 혹은 흉강경하 폐생검의 실시여부, 폐생검 실시 전에 시행할 진단절차, 실시시기 등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향후 임상연구 및 진료에 활용하고자 현재 한국에서의 개흉폐생검의 적응질환, 시행빈도, 진단성적, 치료에 미치는 영향, 합병증 등을 조사하였다. 방 법: 전국의 대학병원 및 4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에서 1994년 1월 1일부터 1996 년 12월 31일까지 3년간 개흉 및 흉강경하폐생검을 시행한 환자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의뢰하였다. 본 실태조사에 응답한 37 개 병원의 511예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통계 분석은 SA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폐생검 전후의 비교는 paired t-test를 이용하였고 각 인자들에 따른 차이비교는 $x^2$-검정 혹은 t-검정법을 이용하였으며 P값은 0.05 이하인 경우를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1) 실태조사에 응답한 511 예 대상환자들의 평균연령은 50.2세(${\pm}15.1$세)이었으며, 남자 54.2%. 여자 45.9% 이었다. 2) 511 예 중에서 개흉폐생검은 313예(62%). 흉강경하폐생검은 192예(38%)에서 시행되었고, 미만성 폐질환자가 305명(59.7%), 국한성 폐질환자가 206명(40.3%)이었다. 3) 흉부 X-선 검사에서 이상소견이 발견되어 폐생검을 하기까지의 기간은 평균 82.4일 이었으며, 개흉폐생검은 평균 72.8일, 흉강경하폐생검은 평균 99.4일이 소요되었고, 폐생검 이전에 기관지내시경검사는 272예(53.2%), 기관지폐포세척술은 123예(24.1%), 경피적세침흡인술은 72예(14.1%)에서 시행되었다. 4) 대상질환은 간질성 폐질환이 230예(45.0%), 흉곽종양이 133예(26.0%), 결핵을 포함한 감염성 폐질환이 118예(23.1%), 선천성질환을 포함한 가타 폐질환이 30예(5.9%)이었다. 생검 방법에 따른 진단율이나 병변특성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폐생검 이전의 임상적 진단과 폐생검 후의 최종 진단이 일치한 경우는 302예(59.2%) 이었고, 질환별로는 간질성 폐질환 66.5%, 흉곽종양 58.7%. 폐감염질환 32.7%, 결핵 55.1%. 선천성 폐질환을 포함한 기타 질환 62.5%에서 임상진단과 최종진단이 일치하였다. 6) 폐생검 전 및 1일 후에 시행한 동맥혈가스분석 검사상 $PaCO_2$는 $38.92{\pm}5.8mmHg$에서 $40.2{\pm}7.1mmHg$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PaO_2/FiO_2$는 $380.3{\pm}109.3mmHg$에서 $339.2{\pm}138.2mmHg$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7) 합병증은 10.1%에서 발생하였으며 개흉폐생검시 12.4%, 흉강경하폐생검시 5.8%로 흉강경하폐생 검시 유의하게 합병증이 적었다 (p<0.05). 합병증은 기흉 23예(4.6%), 혈흉 7예(1.4%), 사망 6예(1.2%), 기타 부정맥이나 타장기손상 15예(2.9%) 등이었다. 8) 폐생검으로 인한 사망은 개흉폐생겸후 5예, 기록이 불분명한 경우가 1예 등 모두 6예 이었으며 흉강경하폐생검 후 사망한 경우는 없었다. 사망한 사랑의 기저질환은 악성종양 3예(기관지폐포세포암 2예, 악성 중피종 1예), 전이성 악성종양 2예, 간질성폐질환 1

      • SCOPUSKCI등재

        결핵균을 탐석한 말초혈액단핵구 배양상층액에 의해 유도되는 폐상피세포주에서의 NF-${\kappa}B$ 의존성 IL-8 분비기전

        박재석,지영구,최은경,김건열,이계영,Park, Jae-Seuk,Jee, Young-Koo,Choi, Eun-Kyong,Kim, Keun-Youl,Lee, Kye-Young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2001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51 No.4

        연구배경 : IL-8은 강력한 화학주성인자로서 결핵감염 부위로 염증세포들을 동원함으로서 결핵균에 대한 숙주의 방어기전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IL-8의 유전자의 발현에 있어서 NF-${\kappa}B$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저자들은 결핵 감염시 폐상피세포가 NF-${\kappa}B$ 의존성으로 IL-8을 분비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말초혈액단핵구에 결핵균을 감염시키고 24시간 배양 후 배양상층액(CoMTB)을 얻었다. 결핵균, CoMTB로 자극한 A549 세포주의 IL-8 분비 정도를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CoMTB로 자극한 A549 세포주의 IL-8 mRNA 의 발현 정도를 RT-PCR로, $I{\kappa}B{\alpha}$의 분해를 western blot 분석으로, NF-${\kappa}B$의 핵이동과 DNA 결합은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EMSA)를 이용하여, 그리고 NF-${\kappa}B$ 의존성 IL-8 유전자의 전사활성은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 과 : A549 세포주를 CoMTB로 24시간 자극하여 얻은 배양액의 IL-8 농도는 $46.8{\pm}4.8\;ng/ml$로 분비하여 결핵균으로 직접 자극하였을 때의 $6.8{\pm}2.9\;ng/ml$보다 높았다. CoMTB로 A549 세포주를 자극하였을 때 IL-8 mRNA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I{\kappa}B{\alpha}$의 분해가 일어났으며, NF-${\kappa}B$의 핵이동과 DNA 결합이 일어났으며, NF-${\kappa}B$ 의존성 IL-8 유전자의 전사활성이 증가하였다. 결 론 : 결핵병변에서 폐상피세포는 결핵균을 탐식한 단핵식 세포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NF-${\kappa}B$ 의존성으로 IL-8을 분비한다. Background : IL-8 is a potent chemotactic cytokine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host defense mechanism against M. tuberculosis by recruiting inflammatory cells to the site of the infection. Lung epithelial cells, as well as alveolar macrophages are known to produce IL-8 in response to M. tuberculosis. IL-8 gene expression is mainly regulated on the level of transcription by NF-${\kappa}B$.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or not A549 cells produce IL-8 in NF-${\kappa}B$ dependent mechanism in response to macrophages phagocytosing M. tuberculosis. Methods : Peripheral blood monocytes that were obtained from healthy donors were cultured for 24 h with M. tuberculosis and a conditioned medium(CoMTB) was obtained. As a negative control, the conditioned medium without M. tuberculosis (CoMCont) was used. A549 cells were stimulated with M. tuberculosis, CoMCont and CoMTB and the IL-8 concentration in the culture media was measured by ELISA. The CoMTB induced IL-8 mRNA expression in the A549 cells was evaluated using RT-PCR, and CoMTB induced $I{\kappa}B{\alpha}$ degradation was measured using western blot analysis. CoMTB induced nuclear translocation and DNA binding of NF-${\kappa}B$ was also examined using an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EMSA), and the CoMTB induced NF-${\kappa}B$ dependent IL-8 transcriptional activity was measured using a luciferase reporter gene assay. Results : CoMTB induced IL-8 production by A549 cells($46.8{\pm}4.8\;ng/ml$) was higher than with direct stimulation with M. tuberculosis ($6.8{\pm}2.9\;ng/ml$). CoMTB induced IL-8 mRNA expression increased after 2 h of stimulation and was sustained for 24 h. $I{\kappa}B{\alpha}$ was degraded after 10 min of CoMTB stimulation and reappeared by 60 min. CoMTB stimulated the nuclear translocation and DNA binding of NF-${\kappa}B$. The CoMTB induced NF-${\kappa}B$ dependent IL-8 transcriptional activity($13.6{\pm}4.3$ times control) was higher than either CoMCont($2.0{\pm}0.6$ times control) or M. tuberculosis ($1.4{\pm}0.6$ times control). Conclusion : A conditioned medium of peripheral blood monocytes phagocytosing M. tuberculosis stimulates NF-${\kappa}B$ dependent IL-8 production by the lung epithelial cells.

      • SCOPUSKCI등재

        혈청학적 방법을 이용한 결핵 진단 방법의 효용성

        김덕겸,권성연,이석영,박계영,정경해,이춘택,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염수,Kim, Deog-Kyeom,Kwon, Sung-Youn,Lee, Suk-Young,Park, Gye-Young,Jung, Kyung-Hae,Lee, Chun-Taek,Yoo, Churl-Gyoo,Kim, Young-Whan,Han, Sung-Koo,Shim, Yong-Soo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1999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47 No.5

        연구배경: 객담 도말 및 배양 검사나 방사선학적 검사 등의 기존의 결핵 진단 방법은 낮은 민감도와 진단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어서 결핵의 조기 진단 및 치료에 제한점이 있었다. 최근에 혈청학적 진단 방법의 하나로 개발된 immunochromatographic assay 기구들이 소개되고, 외국에서 비교적 높은 진단율를 보여, 결핵 유병율이 높은 국내에서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 질병 양상에 따른 차이점을 조사하여, 기존의 결핵 진단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하였다. 연구방법: 환자군을 폐결핵 환자군(36명), 폐외결핵 환자군(3명) 및 두 가지 모두 이환된 군(22명)으로 나누었으며, 대조군은 과거 결핵 병력이 있는 비활동성 결핵환자(17명), 결핵이외의 폐질환자(16명) 및 폐질환이 없는 심장 환자(14명)를 대상으로 38kDa 항체를 포함한 ICT tuberculosis 또는 BioSign$^{TM}$TB를 이용하여 혈청화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ICT tuberculosis를 사용한 경우, 환자군 56명 및 대조군 47명에 대하여 64.3%의 민감도 및 91.5%의 특이도를 나타내었으며, 폐결핵만 있는 환자군에서 76.5%의 민감도를 보여, 폐외 결핵만 있는 환자군(33.3%)나 두 가지 모두 이환된 군(47.4%)에 비하여 더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다(p=0.039). BioSign$^{TM}$TB를 이용한 경우, 환자군 43명 및 대조군 43 명에 대하여 74.4%의 민감도 및 95.3%의 특이도를 보였으며, 폐질환이 없는 환자군에서는 100%의 특이도를 나타내었다. 환자군중에서 초발환자 및 과거 폐결핵 병력이 있는 환자군 사이에는 민감도에 차이가 없었으며, 공동성 폐결핵 환자와 비공동성 폐결핵 환자사이에 검사상 민감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73.3% vs. 69.6%, p>0.05). 결 론: 혈청학적 방법의 하나인 immunochromatographic assay 기구는 높은 특이도와 양성 예측도를 보여 임상적 유용성이 기대되나, 상대적으로 낮은 민감도와 음성 예측도를 고려할 때, 단독 사용보다는 기존 방법과의 상보적 사용이 결핵진단에 더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Many diagnostic tests have developed to diagnose tuberculosis and other mycobacterial diseases but the diagnosis of tuberculosis relies largely on radiological findings and acid-fast staining of sputum and/or culture. Recently, new serologic diagnostic methods, which are safe and easy to use have been introduced into Korea. In this study, the usefulness of serologic diagnosis for tuberculosis and the disease pattern induced variation of the test were evaluated. Methods: Serological assay was performed upon 108 patients with two test kits, the ICT tuberculosis and the BioSign$^{TM}$TB, which are based upon a rapid immunochromatographic assay technique, capable of being interpreted within 15 minutes. The case groups consisted of 61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36 patients), extrapulmonary tuberculosis(3 patients), or both(22 patients). Control groups consisted of 47 patients with inactive old pulmonary tuberculosis(17 patients), nontuberculous pulmonary disease(16 patients) and nonpulmonary cardiac disease(14 patients). Results : The diagnostic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PPV)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NPV) of the ICT tuberculosis were 64.3%, 91.5%, 90.0% and 68.3% respectively. The diagnostic sensitivity, specificity, PPV and NPV of the BioSign$^{TM}$TB were 76.5%, 95.3%, 94.1 % and 78.8% respectively. Differences in sensitivity were not significant between patients with previous history of tuberculosis or patients without prior history of tuberculosis. The ICT tuberculosis test showed higher sensitivity in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76.5%) than extra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33.3%).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nsitivity between patients with or without cavitary lesion by chest X-ray. Conclusion: Considering high specificity and PPV, serologic diagnosis using a rapid immunochromatographic assay device is another helpful diagnostic method in the diagnosis of tuberculosis, when combined with previous diagnostic methods such as chest X-ray, microbiologic study but it has limitation in terms of confirming the diagnosis for tuberculosis as the only diagnostic method because of relatively low sensitivity and NPV.

      • SCOPUSKCI등재

        폐암의 전국 실태 조사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학술위원회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1999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46 No.4

        연구배경: 최근 급증하는 폐암에 대해 국내에서는 단위 병원의 폐암 환자의 특성,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분포, 진단 방법, 치료방법에 대한 수년간의 통계들이 있을 뿐 전국적인 조사는 없어 전국적인 폐암환자의 기초자료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방 법: 대한 결핵 및 호흡기 학회에서는 전국을 대상으로 1997년 1년 동안 조직학적으로 증명된 원발성 폐암환자를 대상으로 환자의 특성, 폐암의 조직학적 분류, 병기, 치료법 등 폐암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총 3,794명을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남자 환자가 79.3%였으며 평균 연령은 62.0세(남자 62.2세, 여자는 61.6세)였으며 76.8%가 흡연자로 남자환자의 89.8%, 그리고 여자환자의 25.4%가 흡연자이었다. 2) 병리학적으로는 편평상피세포암이 44.7%, 선암 27.9%, 기관지폐포세포암 2.2%, 대세포폐암 1.5%, 소세포폐암 16.8%로 관찰되었다. 흡연력은 편평상피세포암의 87.5%, 선암의 56.2%, 기판지폐포세포암의 35.5%, 대세포폐암의 94.1% 및 소세포폐암의 84.3%가 흡연자였으며 편평상피세포폐암 및 소세포폐암 환자에 비해 선암 환자의 흡연자 비율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3) 조직학적 진단방법은 객담세포진 검사가 15.5%, 기관지내시경을 통한 조직검사가 44.4%, 경피적 폐침생검법이 19.7%으로 중심형 암인 편평상피세포암 및 소세포암 환자에서는 기관지내시경 조직검사로 가장 많이 진단이 이루어진 반면 선암 및 대세포폐암 환자에서는 경피적 폐침생검법으로 진단이 많이 이루어졌다(p<0.001). 4) 환자의 진단시 증상은 기침 57.2%, 객담 40.8%, 호흡곤란 35.4%에서 보고되었으며 증상이 없었던 경우도 7.2%이었다. 5) 비소세포폐암환자 임상적 병기는 제I기 13.7%, 제II기 4.5%, 제IIIA기 16.6%, 제IIIB기 28.8% 및 제IV기 36.5%로 진행되어 발견되는 경우가 많았다. 소세포폐암환자 609명 중 제한병기가 45.2%, 확대병기가 54.8%이었다. 결 론: 폐암은 남자 및 흡연자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 편평상피세포암이 가장 많았다. 따라서 이러한 국내의 자료는 폐암환자에서 여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선암이 가장 흔한 폐암으로 알려진 구미의 자료와는 차이가 있었다. 진행된 상태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조기발견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Background: Even though lung cancer has become a major cancer in Korea, national survey for lung cancer has not been available except several reports from individual hospitals. Methods: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lung cancer diagnosed from January 1997 to December 1997 at general hospitals over 400 beds. Results: Among 3,794 patients, 76.8% are smokers and 89.8% of male patients are smokers. Squamous cell carcinoma is the leading type of lung cancer(44.7%) followed by adenocarcinoma(27.9%). Smoking rate in adenocarcinoma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squamous cell carcinoma and small cell cancer. Cough is the most common symptom, however, 7.2% are asymptomatic. Bronchoscopic biopsy has a main role in the diagnosis of squamous cell carcinoma and small cell cancer but percutaneous needle biopsy has more important role in adenocarcinoma. Two-thirds of NSCLC patients were found in unresectable advanced stages. Conclusion: In contrast to other countries, squamous cell carcinoma is still the most frequent type of lung cancer. High proportions of smoker and advanced, unresectable lung cancer urge us to develop the program for cessation of smoking and early det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