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부과정 분석을 통한 국제학 및 국제지역학 교육의 학문적·지리적 범위에 관한 연구

        이성준,김중화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23 국제지역연구 Vol.27 No.1

        The goal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academic and geographical scope of both the area studies courses and the international studies courses opened at the undergraduate level in the first semester of 2022 at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98 course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are two distinct groups of courses, 1) courses in humanities and 2) courses in social science. Also, there were clear differences by grade level as well as areas or regions in subjects, especially between East and West.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in terms of education. 최근 20~30년간 지역학의 학문적 범위는 ‘좁은’ 범위에서 ‘넓은’ 범위로, 그리고 지리적 범위는 ‘국가’에서 ‘지역’, 또는 더 나아가 - 특히, 국제학 및 글로벌학의 등장과 더불어 - ‘세계’ 로 넓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분과학문으로서 지역학의 이러한 학문적·지리적 범위의변화가 실제 학부 과정 교과목 편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실증적 차원에서 살펴본연구는 지금까지 전무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국제학과 국제지역학의 중심 대학인H 대학교 서울캠퍼스 2022년 1학기 학부 과정에 개설된 국제학 및 국제지역학 교과목을 분석, 이들 교과목의 학문적·지리적 범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학 및 국제지역학 교육이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총 298개 국제학 및 국제지역학 교과목이 추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인문학 계열 교과목과 사회과학 계열 교과목이서로 뚜렷이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복합학 계열 교과목 비중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별 그리고 지역별, 특히 동서양 간 교과목의 차이도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가 교육적 차원에서 의미하는 바를 논한다.

      • KCI등재

        미국의 지역 인적자원개발과 지역 노사정 파트너쉽 연구

        전명숙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2

        세계의 여러 선진국을 보면 국제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는 점차 노동자의 인적자원개발을 통한 고부가가치 산업에의 집중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노사 이해당사자와 관련 정부 기관이 파트너쉽을 통해 노동자의 숙련 형성 및 향상에 함께 참여한다는 것이다. 이는 어느 일방의 이해관계에 따라 진행되는 노동자의 훈련 프로그램은 그 효과가 충분히 실현되는 것이 어렵다는 인식에 기반한다. 그동안 우리나라에서는 유럽의 선진 국가에서 나타나는 노사정 파트너십과 노동자의 인적자원개발전략에 많은 주목을 해왔다. 이러한 사례연구를 보면 유럽 국가에서는 강력한 노동조합을 통해 노사정 파트너쉽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각 이해당사자는 협력을 통해 노사가 공동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고용 및 훈련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이에 반해 세계 주요 선진국 중 대표적인 미국에서의 노사 참여적인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데 그 이유는 분권화의 전통이 강하고 시장원리가 보다 더 강조되는 미국에서는 전국차원에서 노사정 파트너쉽을 구축할 수 있는 기제가 발달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비록 미국의 경우 연방 차원에서는 노사정 간의 사회적 대화기제를 찾기 어렵다고 하더라도 지역 차원이나 다양한 업종별 프로그램에서는 이해당사자가 파트너쉽을 통해 공동의 문제를 함께 풀어나가는 사례를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력투자법 (Workforce Investment Act)에 근거한 원스톱 센터와 위스컨신 지역훈련파트너쉽 (Wisconsin Regional Training Partnership)을 통해 미국에서 지역 차원의 노사정 파트너쉽이 어떻게 작동하며 어떠한 프로그램으로 운영되고 있는 지를 분석하고 있다. 원스톱센터가 연방 정부법에 의해 각 주에서 제도적으로 전개되는 지역 노사정파트너쉽 모델이라면 WRTP 는 민간주도의 지역 노사정파트너쉽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두 사례는 OECD 에서도 대표적인 지역 파트너쉽 모범 사례로 소개되고 있으며 현재 우리나라 지역인적자원개발정책의 주요 참고 사례가 되고 있다. Developed nations are increasingly seeking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through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of workers in high value-added industries. And what is especially important in this process is the fact that workers, employers, and concerned government agencies are participating together in building and improving workers' skills through partnerships. This i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workers training programs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terest of one side are difficult to bring desired results. For the past decades, Korea has focused mostly on labor-management-government partnerships and strategies for developing the human resources of workers in developed nations in Europe. Related case studies show labor-management-government partnerships in European countries established through powerful trade unions, and interested parties actively cooperate and participate in employment and training programs that benefit both workers and employers. In contrast, studies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participated by workers and employers are relatively rare in the US, the reason being the lack of a mechanism for establishing labor-management-government partnership due to the country's strong tradition of decentralization and the emphasis on market principles. However, while it is difficult to find such channels for dialogue between workers, employers, and the government in th US on the federal level, there are many regional-level or industry-level programs that tackle common problems through partnerships between interested parties. This study analyzes how the regional labor-management-government partnerships in the US work and examines the types of programs operated by investigating the One-Stop Center based on the Workforce Investment Act and the Wisconsin Regional Training Partnership. While the One-Stop Center is a regional labor-management-government partnership model that is institutionally executed in each state according to the Workforce Investment Act, the WRTP is a regional labor-management -government partnership model led by the private sector. The two examples are introduced in the OECD as best practice examples of regional partnerships, and are key references to Korea's curr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 KCI등재

        위안화 국제화의 함의와 가능성에 관한 연구

        심종범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9 국제지역연구 Vol.13 No.3

        글로벌 금융위기의 발생과 함께 국제금융시스템의 내재적 문제가 주요 국가들 사이에서 쟁점이 되고 있다. 국제금융시스템 문제의 기저에는 미 달러화의 기축통화 지위의 지속에 대한 적절성 여부와 더불어 중국 위안화의 국제화폐로서의 지위격상이 주요 이슈가 되고 있다. 한편, 중국은 세계 경기의 회복과 자국 경제의 지속성장을 위해 과감한 확장적 통화정책을 주도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중국은 세계 금융시장에서의 중국 위안화의 지위에 대한 재평가를 요구하면서 위안화의 국제적 통용화를 국제금융시장의 전략적 패러다임으로 제시했다. 중국 당국의 적극적인 주장에 따라 위안화의 국제화폐로서의 가치에 대한 평가와 국제화폐가 될 가능성에 대한 논쟁이 이어져 왔다. 또한, 최근 중국이 위안화의 기축통화화에 관한 의지를 공식적으로 강력히 표명한 것은 세계 국가 들이 국제 금융시장에서 보다 안정적인 결제수단을 선택하려는 글로벌 수요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위안화의 국제적 통용이 증가하려면 선행적으로 국제금융시장에서 위안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중국 당국은 위안화 국제화의 선행요건을 촉진하기 위해 위안화의 공급 측면을 중시하며 위안화 공급확대의 정책적 시도에 주력하고 있다. 최근에 중국 일부지역에서 대외무역거래를 위안화로 할 것을 권장한 시도도 위안화의 공급확대를 위한 실험적 정책의 일부이다. 중국 당국은 위안화의 파급을 위해 통화스왑, 기업채권의 해외발행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위안화 국제화 전략을 시도를 하고 있다. 위안화의 국제화는 기존의 국제화폐들의 가치의 부침과 상관관계를 가진다. 특히, 기축통화인 달러화의 가치변동은 위안화의 국제화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세계경제에 대해 파급력이 큰 국가들의 화폐가 상호 견제와 경쟁의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두에 중국당국의 위안화의 국제화 시도의 의도를 파악하고 주로, 위안화의 본연의 가치가 국제적 통용화폐로서 합당한지에 관해 분석하였다. 부연하여 유로화, 엔화의 기축통화화 시도에 대한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위안화 국제화의 진행방향에 대해 가늠해 보고자 했다. 또한, 위안화의 국제화가 진행됨에 따라 한국경제에 어떤 영향이 있을 것인가에 대해 일고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중국경제가 세계경제에 대한 영향력이 높아질수록 위안화 국제화 시기는 앞당겨 질 것이다. 한편, 위안화 국제화의 진행 과정상에 노정될 장애에 대해 중국 당국은 국제적 공조를 통해 전략적인 해법을 제시하며 위안화를 당대의 중국경제의 위상과 부합하는 합당한 위치에 두기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Recently China persisted in Renminbi as a key currency in global financial market. China has emerged as a powerful influence in the world economy, therefore it seems opportune to contemplate whether its currency will also have a leading role. In order that a currency is accepted and circulated globally, its compatibility, stability and liquidity as well as the liberal trading should be insured. But Renminbi is being used in the Asian regions only, not worldwide. Importantly, China's financial system is in the progress of being liberalized. If Renminbi gets internationally accepted as a key currency, China would take a seigniorage effect and lessen the cost for maintaining the foreign exchange reserves. In case that China's economic growth constantly goes well, China's GDP at ppp(purchasing power parity) probably could reach the level of USA's in about fifteen years(If USA's GDP at ppp stays at around 2.0 percent point each year). Renminbi can be involved in IMF SDR when taking into account only China's present GDP, population, consumer prices and exports of commodities and services. The Chinese authorities are endeavoring to raise Renminbi's liquidity and compatibility recently. Whether Renminbi will be a world currency also depends on the economic conditions of USA, EU, UK, Japan, etc. Assuming that China maintains the current pace of economic growth, there is a very likelihood that Renminbi will be one of key currencies while China's 13th 5-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is being implemented.

      • KCI등재

        유라시아 지역연구를 위한 방법론 소고: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창조적 통섭

        양오석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8 국제지역연구 Vol.11 No.4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readers with a more plausible answer to methodological debates concerning the Eurasian Studies. The Eurasian Area Studies has been driven by the competition in which historical-, culturalist-, civilization-, geopolitical-, institutional-, and structuralist approaches represent different perspectives and explanations. In addition, given the diversity of regional challenges to Eurasian area, associated with the dramatically changing political conditions in the world, it leads us to the additional methodological debates. As such, this article explores the scope of ‘area' or ‘region', the appropriate level of analysis, and the analytical tools of comparison as a part of an action plan for the Eurasian Area Studies. Ultimately, the author argues that it is time for the creative consilience betwee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to be advanced as a significant category of explanation in the Eurasian Area Studies. In addition, we need to reestablish the concept[scope] of area[region] with relevant to the objective of analysis, and to opt out an appropriate level of analysis in association with the type of conceptualization such as cross-area[region] comparison, within-area[region] comparison, and national analysis. 이 글은 유라시아 연구를 위한 방법론 논쟁에 대해 좀 더 그럴듯한 대답을 독자들에게 들려주고자 한다. 유라시아 지역연구를 위한 방법론 논쟁은 역사적 접근법, 문화주의, 문명주의, 지정학적 접근법, 제도주의 그리고 구조주의 등에 의해 경쟁되어 왔다. 게다가 오늘날 급변하는 정세 속에 유라시아 지역 변화의 다양성은 또 다른 방법론 논쟁을 자극한다. 이에 이 글에서는 유라시아 지역연구를 위한 방법론적 실천으로 ‘지역’의 범주와 비교지역연구의 적정 수준 그리고 실천적 비교분석기법 등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이 글이 주장하는 바는 유라시아 지역연구를 위한 설명범주로서 인문학과 사회과학의 창조적 통섭이 이루어지고, 분석목적에 상응하는 ‘지역' 개념을 수립하고, 교차-지역적 비교, 지역내-비교, 그리고 국가별 분석 등 추구하고자 하는 개념화의 유형에 맞게 직정 분석수준을 선취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한국의 국제개발 연구 동향과 과제: 1956-2015 학술 논문 분석

        주한나,손혁상,이희진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6 국제지역연구 Vol.20 No.4

        Since the joining of the OECD DAC in 2009, international development in Korea has witnessed a significant growth in terms of both the number of cooperation projects and the size of the budget. Accordingly, research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is growing substantially. This paper examines 846 paper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published between 1956 and 2015 and conducts analyses based on the time period, topic, academic discipline, and geographical focus. The result shows that the volume and the topic area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2010, strengthening its interdisciplinary characteristics.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iversify regional focus, which is currently limited to Asian countries. Also required is more empirical research which is closely linked to cooperation projects in the field. Last but not least, in order for the nascent international development research to develop into an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attention is needed from the research community to build a shared theoretical ground. 우리나라의 국제개발협력은 2009년 경제협력개발기구 개발원조위원회 가입을 전후한 시점부터 빠르게 성장해 왔다. 이와 더불어 국제개발협력에 관한 연구도 급속도로 증가했다. 이 논문은 한국의 국제개발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1956년부터 2015년까지 60년간 발표된 국제개발 분야 학술 연구 846건을 검토하고, 시기별, 연구 주제별, 학문 분야별, 대상 지역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국의 국제개발 연구는 2010년 이후 그 규모가 크게 성장하였으며, 연구 주제의 측면에서도 다양성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학문 분야의 참여가 두드러지는 학제적 연구로서 특성이 강화되고 있다. 그러나 한계점도 드러난다. 특히 아시아에 편중된 지역 연구의 다변화가 필요하며, 개발협력 프로젝트의 기획 초기 단계부터 연구자의 참여를 확대하고, 연구 공동체와 정책 현장 간의 연계성을 강화해 보다 다양한 실증 연구가 나올 수 있는 토양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나의 독립된 학문 분과로서 “국제개발학”을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는 데 더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동아시아 지역의 문화상품 국제유통과 수출 마케팅: 텔레비전 드라마를 중심으로

        정용균,홍성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9 국제지역연구 Vol.12 No.4

        In recent years, television drama in Korea has been exported to many countries in East Asian region. This study tries to illuminate the properties of international distribution of cultural commodities and investigate the export marketing strategy of television drama. The novelty of this study is the combination of cultural aspects with economic aspects of export marketing of television drama. The properties of cultural commodit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ra regional circulation of cultural commodity are influenced by the cultural proximity of East Asian region. Second, the relative size of importing and exporting countries play an important role to determine the volume and direction of trade of cultural commodities. Third, the cultural commodity has the demand uncertainty. Fourth, cultural policy of importing country is also important factor to decide the volume of import. In case of export marketing strategy, the first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Hanryu trandy drama is revealed to be the most competitive cultural commodity out of various television programs in overseas market. Second,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the price discrimination policy to increase the export amount of television drama. Third, one of the effective promotion policy is the star marketing, since the television drama is a kind of experience good. Fourth, it is effective to consider the cultural hybridity to augment the competitiveness of Hanryu drama. 최근 들어 한국에서 제작한 텔레비전 드라마는 동아시아 지역의 여러 국가들에 수출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상품의 특성을 살펴보고 텔레비전 드라마의 동아시아지역 수출마케팅 전략을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동아시아지역의 문화상품 국제유통의 특성을 살펴보면, 문화상품은 첫째 문화적 할인이 적고, 문화적 근접성이 강한 지역 간에 국제유통이 확대되는 특성을 지닌다. 동아시아지역은 유교 및 불교라는 세계종교를 공유하고 있는 지역으로서 문화권 근접성이 강한 지역이다. 이러한 요인은 동아시아지역의 문화상품교역 확대를 가능하게 하였다. 둘째, 문화상품의 국제적 유통은 시장규모가 큰 국가에서 시장 규모가 작은 국가로 유통되는 경향을 보인다. 셋째, 문화상품은 경험재로서 본질적으로 수요불확실성을 가지고 있다. 넷째, 문화상품의 국제유통에는 경제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 외에 정책적 요인에 의하여서도 영향을 많이 받는다. 문화상품의 동아시아지역 수출마케팅전략을 살펴본 결과 한국이 수출하고 있는 문화상품 중에서 한류 트랜디 드라마가 동아시아 문화상품시장에서 가장 경쟁력이 있는 제품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텔레비전 드라마의 수출량을 중가시키기 위해서는 가격차별화정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나타났다. 셋째, 효과적인 촉진전략으로는 텔레비전 드라마가 일종의 경험재이기 때문에 스타마케팅이 효과적인 전략으로 밝혀지고 있다. 넷째, 한류드라마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문화적 혼종성을 강화시키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근대 동해안 지역인식의 역사적 성찰 -환동해 지역연구를 위한 試論-

        이선이,이준태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국제지역연구 Vol.14 No.2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lti-layered perception of Korea's east coast area in Modern period and to try to shed some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an epistemological direction in the East-Sea Rim regional studies by investigating the features of the existing perceptions. There are two controversial opinions about the perception of Korea's east coast area in the modern period. The ea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r has been widely recognized as a conflict space implying so many problems and multi-layered meanings of diverse concepts, such as colonialism, nationalism, Cold War system and destructive ecosystem etc. Along with the complicated aspect of Korea's east coast area, the area tends to be regarded as a reconciliation space including the control of the concept of post-colonialism, post-nationalism, post-Cold War and ecology. We attempt to analyze the multi-layered perception of Korea's east coast area in the modern period, and try to find a new future-oriented methodological direction in the East-Sea Rim regional studies. What we found in this study is that there seems to be a new type of recognition method in the East-Sea Rim studies, which attempts to adopt the research perspective used in the Land-Ocean Interaction Studies. 이 연구는 환동해 지역연구를 위한 시론으로서 근대에 형성된 동해안 지역인식의 몇 가지 층위를 살펴보고, 기존 인식을 성찰적으로 조명함으로써 환동해 지역연구의 인식론적 방향성 모색을 시도하였다. 우리에게 동해안 지역은 식민주의, 민족주의, 냉전체제 등 근대가 야기한 다기한 문제가 투영된 갈등의 공간이자 동시에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탈식민, 탈민족, 탈냉전, 생태지향적 인식과 실천이 현실적 삶을 정향하고 있는 화해의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이질성을 보이는 동해안 지역에 대한 근대적 지역인식의 다층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동해 지역인식의 미래적 지향성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본론에서 살핀 근대 시기의 동해안 지역인식의 현재적 상황과 이들 인식이 억압해 온 요소가 무엇인가를 성찰함으로써 환동해 지역연구를 위한 인식 방법론을 모색하였다. 여기에서는 바다와 육지가 만나는 지점에서 발생하는 교류와 갈등, 개방성과 폐쇄성 등의 상호모순성을 동시에 포착하기 위해 창안한 해륙학적 관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제규범으로서 젠더 주류화(gender mainstreaming)의 기원과 확산

        황영주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1 국제지역연구 Vol.15 No.2

        이 연구는 국제규범으로서 젠더 주류화가 어떻게 전 세계적으로 확산․수용되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젠더 주류화를 국제규범의 한 사례로 보고, 그것의 기원과 확산 등을 검토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요 주제가 된다. 이에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제규범으로서 젠더 주류화의 기원에 대하여 초점을 맞추었다. 젠더 주류화는 국가들에 대하여 일종의 도덕적 영향(moral influence)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다. 여성 조직의 초국가적 네트워크는 각종 국제회의에서 여성관련 문제를 제기하고, 젠더 주류화가 주요 이슈와 주제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특히 일부 국가에서 시행되는 젠더 주류화와 관련된 국내적 제도와 실제에 주목하면서 그것을 세계화시키기도 하였다. 개별 국가들은 젠더 주류화를 일종의 무형적인 국가 이익으로 인식하면서 이와 같은 도덕적 영향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국가의 국제규범에 대한 사회화(socialisation)에 초점을 맞추었다. 국가는 새로운 규범, 가치 및 이해에 대하여 인식하면서 국제규범을 통해서 사회화과정을 경험하게 된다. 국가는 젠더 주류화의 담론에 주목하면서, 그 담론이 갖는 성격을 이해하고 때로는 그것을 제도화 시키려 한다. 이와 같은 담론과 제도화의 확산은 그 국가가 속한 국제기구 또는 동료 국가로부터 젠더 주류화를 학습하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말하자면, 젠더 주류화를 일종의 규범으로 인지하고 해당 국제사회와 공동체의 기준과 정체성으로 인지, 수용하면서 국가는 학습하고, 자신의 행동을 규율하는 사회화 과정을 경험하는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underlines the origin and diffusion of Gender Mainstreaming(GM) as International Norms. In other words, the study is dealing with how GM has been generated, diffused and accepted as international norms by a lot of numbers states in the short periods. On the one hand, the origins of GM come mainly from the demand of transnational network of women's organizations. The network has provided the political momentum and societal pressure for meaningful change of women's status and inequality at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level. The network has been tried to show moral influence to change the social practices. On the other hand, the diffusion of GM has been occurred by the many states, which regard that GM is a part of International norms. The states have been tried to show their willingness to accept GM, because the states are thinking of they are a member of international society, so that they are belong to same identity, understanding and interests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The states want to be socialised via accepting GM practices. Overall, the study shows the remarkable global diffusion of GM as international norms.

      • KCI등재

        가족계획 정책에 관한 국제 커뮤니케이션: 사하라이남 불어권 아프리카 사례 (2012-2016)

        이진랑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17 국제지역연구 Vol.21 No.3

        This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reason for the failure of international family planning policy in francophone countries in Sub-Saharan Africa by analyzing international newspaper articles. In other words, the discourse of international communication on the family planning is analyzed from various stakeholders' perspectives in order to evaluate their persuasive effects. We compare the main international policy makers’ discourses with the news frames of articles whose sources are from main donor countries such as USA and Europe, and those are from african countries to see why the african society accepts or resists the international main discourses. A total of 300 articles are collected from the international news database Factiva, with the keyword ‘family planning’ limited to the sub-Saharan region between 2012 and 2016. As a result, international information about family planning goes through four process of discourse change as follows: The family planning policy has historically brought about a discourse change since the 1960s from ‘population policy’ to ‘sexuality right’ in 1994 Cairo conference and added ‘global health’ in London 2012 conference. However, the main donors of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in this domain emphasize discoursively ‘demographic dividend effect’, ‘maternity health’ and ‘HIV-AIDS’ weakening relatively the women rights issues. Third, with weak policy autonomy, the african countries’ discourses are mirroring those of donors’ or even returning to the ‘birth control’ discourse of the 1960s. Fourth, these african governments discourses are confronting the cultural resistance expressed by the opinion leaders of the local community with a distrust about Western policy or adhesion of traditional culture. In conclusion, a cognitive persuasion strategy based on economic and health improvement logics can be inferred as a failure to face the psychological and cultural resistance of local people. Based on these results which show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family planning according the international stakeholders, this study raises the necessity of seeking ‘participatory development communication’ model rather than behavioral perspective adopted in the recent field. 이 연구는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불어권 주요국에서 가족계획이 실패하고 있는 이유를 국제 뉴스를 분석하여 찾아보고자 한다. 즉 가족계획에 관한 국제 커뮤니케이션의 담론을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그 설득적 효과에 대해 평가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사하라이남 불어권 아프리카 국가에서 행해지는 가족계획에 대한 국제 커뮤니케이션을 국제 정책 담론, 뉴스정보원이 국제기구 및 공여국인 뉴스의 프레임 및 수여국인 뉴스의 프레임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함으로써 수용자가 왜 국제 담론을 수용 혹은 저항하는지 이해한다. 주요 분석 자료는 국제뉴스 데이터베이스인 팩티바(Factiva)를 이용하여 ‘가족계획’이라는 검색어를 시작으로, 2012-2016년 사이 사하라이남 지역에 한정된 기사를 수집하여 최종적으로 총 300여 건의 기사로 구성된다. 분석 결과 가족계획에 대한 국제 정보는 다음과 같이 크게 네 번의 담론의 변화 과정을 거친다. 첫째, 역사적으로 가족계획 정책은 1950년대 이후 인구정책에서 모성보호와 모성권을 강조하는 인권의 문제로(1994 카이로 회담), 다시 글로벌 헬스(2012 런던 회의)로 그 담론의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그러나 이러한 정책 담론은 2010년 이후 사하라이남 불어권 아프리카의 가족계획 사업의 주요 공여국인 선진국(미국, 영국 및 유럽)의 국가 담론이 국제 언론에 나타나면서 ‘인구 배당’, ‘모성 보건’ 및 ‘에이즈 퇴치’라는 개발 목표가 강조되고 상대적으로 여성의 인권 담론이 약화된다. 셋째, 공여국의 담론은 고스란히 정책 자율성이 약한 수여국의 주요 국가 담론이 되거나 5-60년대 출산 억제 담론으로 환원되는 결과를 낳는다. 넷째, 이러한 수여국 정부의 주요 담론은 해당 지역 여론지도자에 의해 전통문화 고수나 서구 정책에 대한 불신으로 나타나는 문화적 저항에 직면한다. 결론적으로 경제나 보건 향상을 근거로 하는 인지적인 설득 전략은 해당 지역 주민의 심리적, 문화적 저항에 부딪혀 실패하고 있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최근 국제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행동주의적 관점에서의 개발 커뮤니케이션을 지양하고 ‘참여적 개발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모색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 KCI등재

        동아시아에 있어서 민주주의 확산과 지역적 인과효과

        안승국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6 국제지역연구 Vol.10 No.2

        This paper uses an exploratory approach to understand regional diffusion of democracy. It first considers some explanations for why democratization process should be influenced by contexts and events in neighboring countries. This analysis then shows empirically that distribution of democracy cluster spatially. It also demonstrates that geographical clustering in democracy can not be accounted for by differences in domestic factors. This suggests that the regional contexts and regional causal effects play an important part in diffusion of democracy. This paper addresses the existence of regional causal effects in regard to changes in degree of freedom based on yearly Freedom House data. Thus it bears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s to democratic studies in that it provides some empirical analysis explicitly aimed at uncovering diffusion of democracy. Especially, this analysis presents research that reveals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oral and spatial aspects of democratic diffusion in East Asia since the mid 1980s. Most recently the bulk of empirical research has included external factors. Thus empirical research began to accept the possibility that some factors may diffuse across national border. All the empirical research that has addressed diffusion of democracy has 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external influences of one or another. In this context, this paper provides consistent evidences of temporal cascading of democratic trends as well as spatial association of democracy. 지역 간 인과적 동질성을 전제로 하여 민주화에 대한 내적 요인의 규명과 인과경로의 탐색에 중점을 두었던 범세계적 연구는 초지역적 정치사회현상의 전반적인 경향을 제시하기는 했지만 지역적 인과유형의 차이를 규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범세계적 연구와는 달리 지역수준의 연구는 분석단위로서 지역이 이론적ㆍ방법론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는 전제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민주주의의 지역적 확산은 민주화를 도미노 현상으로 간주하여 지리적으로 군집된 국가들 간에 민주주의로의 연쇄적 이행이 나타나며 지역 내 민주주의 확산은 국가 간 파급효과에 기인되었다는 가정에 입각해 있다. 즉, 지리적 군집성을 고려하여 역내 국가들의 지역의존성에 기초하여 분석하고 있는 것이다. 민주주의 확산에 대한 지역적 인과효과를 측정하는 목적은 지역수준에서 외적 요인들이 민주주의에 미친 인과적 영향력을 규명하고 이를 기존의 내적 요인들과 연계시킴으로써 보다 유용한 분석모형을 구축하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지역수준에서 민주주의 확산을 경험적으로 분석하여 지역적 인과효과의 존재 여부와 지역변수의 규명을 목적으로 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첫째, 민주주의 확산에 대한 지역적 인과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연구전략을 논의했다. 둘째, 역내 국가들의 민주주의 수준변화에 있어서 지역변수들을 규명하여 지역의존적 가설을 검증했다. 셋째, 민주주의 확산에 대한 지역적 인과효과를 측정한 분석모형이 지역연구에 미치는 이론적ㆍ방법론 함의를 제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