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성품 윤리로 분석한 한국교회의 도덕적 성품 형성

        강성호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2 조직신학연구 Vol.41 No.-

        This paper examines the moral crisis of the Korean church based on character’s ethics. It also delves into the ethical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and the assimilation of narratives between Korean society and the Korean church. This paper not only shows the assimilation of narratives that caused the moral crisis of the Korean church but also provides the necessity of faithful narratives for the Korean church. In order to solve many moral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the reality of the current master narrative that distorts the moral character of the Korean church, and to build a narrative of the Korean church that is faithful to the biblical narrative. This paper also aims to show that the methodologies of Stanley Hauerwas and H. Richard Niebuhr can be effective to explain and analyze the assimilation of cultural and ecclesial narratives that have caused the moral crisis of the Korean church. In addition, it argues for the necessity of discovering new narratives for the Korean church and Korean society in terms of character ethics. 한국교회의 도덕적 문제는 한국교회의 일부의 일탈 행위이거나 어느 특정 시기에 일어난 일시적인 행위로 치부할 수 없다. 이 논문은 한국교회의 지배적 서사로 작동한 성장의 서사를 살펴 보고 한국사회의 경제 성장 서사가 한국교회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있다. 성장 서사가 한국사회와 한국교회에 경제 발전과 교회 성장을 이루는데 기여하였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 역시 적지 않다. 성장 서사의 지나친 추구에 의한 부작용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도덕적 문제점들이다. 한국교회의 많은 도덕적 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교회의 도덕적 성품을 왜곡시킨, 현재의 지배적 서사의 실체를 인정하고, 한국교회의 서사를 성경적 서사에 충실하게 구축해 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스탠리 하우어워스(Stanley Hauerwas)와 리처드 니버(H. Richard Niebuhr)의 방법론이 한국 교회의 도덕적 위기를 초래한 문화적, 교회적 서사의 동화를 설명하고 분석하는데 효과적인 접근 방식이라는 점을 보이고자 한다. 또한 공동체의 서사가 공동체 구성원의 성품을 형성하는 성품윤리적 측면에서 한국교회와 한국사회를 위한 새로운 서사 발굴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 KCI등재

        칼 바르트 신학의 연구동향을 통해 본 한국 신학의 지형 분석 -한국에서의 칼 바르트 연구 1세대를 중심으로

        박성규 ( Seoung Gyu Park ) 한국조직신학회 2013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7 No.-

        한국의 신학사를 전체적으로 개관해보면 바르트의 신학은 교계와 신학계의“분열”과 동시에“일치”의 정점에 서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바르트 신학이 한국 신학계의“일치”의 정점에 서 있는 이유는 한국 신학자들 제1세대를 통틀어 적어도 신학자로 이름을 내놓은 이상 바르트의 신학에 관해 한 편의 논문이라도 쓰지 않은 신학자가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아는 내로라하는 신학자라면 누구나 한 번이상 바르트의 신학에 관련된 논문을 당시에 발표하고 있다. 실제로 바르트 서거 1주기를 계기로‘한국 바르트 학회’가 주관하여 발행한 최초의 바르트 연구논문집이라 할 수 있는『바르트 신학 연구』에는 한국의 신학자로 윤성범, 박순경, 이종성, 박봉랑, 은준관, 전경연, 한철하, 변선환, 지동식, 윤성범이 기고하고 있다. 아무튼 조직신학자뿐만 아니라, 성서신학자, 선교신학자, 역사신학자를 포함하여 거의 모든 영역의 신학자들이 바르트 신학에 대한 소개, 해석, 비판에 참여하고 있음을 볼 수있다. 그러나 다른 한 편 바르트의 신학은 한국 교계의“분열”의 정점에 서 있다. 그 이유는 박형룡을 위시한 소위 자칭“정통주의자들”이바르트의 신학을‘신신학’또는 심지어‘자유주의 신학’으로 매도하여 교회 정치적으로 이용하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한국에서의 바르트 해석의 지형은 오늘날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바르트 연구동향을 바르트 연구가들 제1세대를 중심으로 역사적으로 고찰하면서 한국의 연구동향을 몇 가지로 범주화해보고, 그러한 범주들의 연구방법론과 내용적 독특성과 한국의 교회와 사회에 미친 영향들과 부정적인 한계 및 비판점들을 고찰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한국에서의 바르트 연구의 동향을 대략 다음과 같이 몇 가지 범주로 우선 분류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분류가 절대적인 것이 될수는 없지만, 대략적인 분류를 통하여 한국에서의 바르트 연구의 동향이 자연스럽게 비교되면서 그 특성들이 드러나게 되리라는 기대해본다. 첫 번째 연구동향은 윙엘의 방식처럼 바르트의 신학에 대한 정통적인 연구방식이다. 이는 대부분 초창기의 한신대 소속 연구 학자들이었던박봉랑, 오영석으로 이어지는 계통이라 할 수 있다. 두 번째 연구 동향은 앞서 소개한 베를린의 바르트 연구경향과 유사한 사회학적인 연구방식이다. 이는 주로 이대 소속 교수였던 박순경, 김애영(한신대) 교수로 이어지는 연구동향이라 할 수 있다. 세 번째 연구동향은 토착화신학적인 접근방식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감신대의 윤성범 교수를 필두로하여 감신대 신학이 주도하는 접근방식이다. 그리고 네 번째 연구동향으로는 바르트에 대한 근본주의적 접근 방식으로서 바르트 신학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바르트 신학에 대한 왜곡과 오해를 조장한 대표적인 그룹이라 할 수 있다. 여기에는 총신대 소속 교수였던 박형룡 박사를 필두로 하여 소위 말하는‘복음주의(evangelism)’ 계열의 신학자들이 속해 있다. 한국에서의 바르트 신학에 대한 연구의 흐름을 이렇게 대별해 놓고 앞으로 이러한 연구동향이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그리고 그러한 신학의 흐름이 상호 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나아가 한국사회와 교회의 역사적 흐름과 어떻게 맞물려 있는지를 논의한다. 바르트 신학을 단순히 학문적으로만 접근할 것이 아니라, 한국의 교회와 사회 나아가 국가와 민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신학적 준거로 해석하고 작업하는 과제가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이는 비록 한국의바르트 연구 1세대의 공헌이기 때문만은 아니다. 바르트의 신학자체가 그러한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현·후대 바르트 연구가들이 떠맡아야 할 중대한 신학적 과제라고 여겨진다. In diesem Aufsatz handelt es sich um eine Analyse der theologischen Lage in Korea in Hinblick auf die erste Generation der Forschung der Theologie Karl Barths. Wenn man die theologische Forschungsgeshichte in Korea uberblickt, ist es nicht schwer zu erkennen, dass die Theologie von Karl Barth in der zentralischen Stelle sowohl von der Einigkeit als auch von der Trennung der koreanischen Theologie steht. Der Grund dafur, dass die Theologie Karl Barths in der Spitze der theologischen Einigkeit in Korea steht, liegt in der Tatsache, dass fast alle von der ersten Generation der Theologen in Korea mindestens mehr als einmal die Theologie von Barth behandelt hat. Die bekannte Theologe der ersten Generation haben mindestens einmal einen Aufsatz von Karl Barth geschrieben, gleich ob biblische Theologe oder Geschichter, oder praktische Theologen, geschweige denn systematische Theologen. Aber andererseits steht die Theologie Karl Barths in der Spitze der Trennung oder Ausereinandersetzung der Theologie in Korea. Der Grund dafur liegt darin, dass die sogenannten Orthodoxen in Korea wie Hyung-Ryong Park die Theologie Barths einfach als lieberale Theologie nicht nur missverstanden, sondern auch kirchenpolitisch ausgenutzt haben. Noch schlimmer ist die Tatsache, dass diese Forschungsstimmung immer noch in Korea bleibt. In diesem Aufsatz sollte die Forschungslage uber die Theologie Barhts viermalig kategorisiert und danach die Verschiedenheit der Methodologie, die Eigenschaft der Forschung und kritische Pointe je nachdem durchstudiert werden. Dadurch wird die Forschungslage im Blick auf die Theologie in Korea vergleichenderweise klargemacht werden. Der erste Trend der Forschung der Theologie Barths in Korea ist als eine klassische Forschung zu nennen wie der Forschungstrend von E. Jungel in Deutschland. Dazu gehort Bong- Rang Park und Young-Seoug Oh aus Hanshin Univeritat. Ein anderer Forschungstrend ist als die soziologische Methode wie die in Berlin zu benennen. Zu diesem Kreis gehort Sun-Kyeong Park und Aeyoung Kim in Ewah-Universitat. Noch ein anderer Forschungstrend ist als die Adaptationsmetheode zu benennen. Zu diesem Kreis gehort Seoung-Bum Youn aus Kamsin-Universitat. Und der letzte Trend ist als Fundamentalismus von dem amerikanischen Typ zu benenen. Dieser Kreist hat meistens die Theologie Barths missverstanden und kirchenpolitisch ausgenutzt. Zu diesem Kreis gehort Hyung-Ryong Park aus Chongsin-Universitat. Aus diesem Hintergrund sollte es untersuchts werden, wie die Forschunskreise von der Theologie Barhs jeweils weiter entwickelt ist. Außer dem sollte die Frage, wie die vier Kreise miteinander oder gegeneinander Einfluss geubt haben, doch untersucht werden. Noch dazu sollte die Frage danach, wie diese Krese jeweils aus die koreanische Gesellschaft ausgewirkt haben, durchstudiert werden. Dabei sollte die Theologie K. Barhs nicht nur einfach wissenschaftlich beruhrt werden, sondern auch als ein theolischer Axiom fur die Losung der Wirklichkeitsploblem in Korea verstanden werden. Dieser Persepktiv ist nicht nur dank der ersten Generation der Barhtsforschung in Korea zu gewinnen, sondern als ein wesentlicher Teil von der Theologie K. Barths zu charkterisieren.

      • KCI등재

        한국에서 몰트만의 수용과 이해

        신옥수 ( Ok Su Shin ) 한국조직신학회 2013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5 No.-

        본 논문은 몰트만이 한국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이해되어왔는지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연구이다. 먼저 한국에서 이루어진 몰트만에 관한 소개와 연구를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몰트만과 한국교회 및 신학과의 교류와 대화의 내용과 방식을 분석한 후, 최근까지 몰트만 신학사상이 한국 신학자들과 한국 신학 형성에 어떻게 수용되고 이해되어왔는지를 살펴본다. 특히 본 연구는 몰트만 신학의 6가지 핵심적 특성과 공헌들-역사책임적인 신학으로서 정치신학과 평화신학, 이해할 수 있는 삼위일체론과 삼위일체 신학의 실천성, 삶과 생명을 위한 메시아적 신학, 생태학적 우주적 신학, 종말론의 새로운 지평과 만유구원론, 하나님 나라를 지향하는 공적신학-이 한국교회와 한국 신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고찰한다. 결론적으로 몰트만이 한국의 교회와 신학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고 미래방향성을 전망한다. 몰트만의 다양하고 독창적이며 통전적인 신학은 현대신학 논의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한국교회와 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21세기 세계신학 형성을 위해 유익한 통찰력과 방향을 제시해준다. 한국교회는 그 어느 신학자보다도 몰트만을 가깝게 여기며 그의 신학을 수용하고 이해하는 일에 적극적이었다. 몰트만 역시 한국 교회를 사랑하며 한국 신학과 한국 신학자들에 대한 남다른 관심과 애정을 보여주었다. 몰트만은 오랫동안 한국인의 정치적 고난과 민중의 고통을 이해하고 연대하였다. 또한 한국교회의 열정과 선교, 활기찬 영성에 감동하면서 이를 자신의 신학 안에 수용하기도 하였다. 몰트만의 신학은 한국의 민중신학, 여성신학, 오순절신학, 통전적 신학 등에 큰 영향을 끼쳤다. 몰트만과 한국교회와 한국신학은 지속적으로 깊은 교제와 연대를 통해 함께 성장해왔으며, 21세기 세계교회와 신학을 위해서도 함께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몰트만의 수용과 이해에 관한 역사적 고찰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신학적 분석과 평가를 비교적 종합적으로 다룬 연구로서의 가치를 지님으로써 앞으로 전개될 몰트만 신학 연구의 초석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evaluate how J. Moltmann has been received and understood in Korea. The presentations and researches on Moltmann conducted in Korea are first considered historically, then, the exchanges, dialogue contents and methods between Moltmann and Korean churches and theology are analyzed. Lastly, how Moltmann`s theological thoughts have been received and understood until recently by the Korean theologians in the formation of Korean theology are examined. This research particularly looks at the six core characteristics and contributions of Moltmann`s theology in details-Political theology and Peace theology as historically responsible theologies, the doctrine of the Trinity that can be understood and the practicability of the Trinity, Messianic theology for life, ecological and cosmic theology, a new prospect of eschatology and the universal salvation, Public theology aiming toward the Kingdom of God-and especially how these characteristics have affected the Korean churches and theology. In conclusion, this article evaluates how Moltmann has influenced Korean churches and theology and puts future directions into perspectives. Moltmanns` various, ingenious, holistic theology not only ha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discussions of contemporary theology, but also had a profound effect on Korean churches and theology and presented valuable insights and directions for the formation of twenty-first century`s global theology. The Korean Church has had a regard for Moltmann than any other theologians and has been very enthusiastic in receiving and understanding his theology. Moltmann also loves the Korean Church and has shown special attention to and affection for the Korean theology and theologians. For a long time, Moltmann has understood and acknowledged the political sufferings and pains of Koreans. Moreover, he was moved by the passion, mission, and energetic spirituality of Korean churches, which he has accepted into his theology. Moltmann`s theology has made a great impact on the public theology, feminist theology, Pentecostal theology, and the Holistic theology of Korea. Moltmann and Korean churches and theology have been growing together through a long-continuing understanding and solidarity, and together,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ecumenism and theology of the 21st century. This study includes not only the historical considerations on the reception and understanding of Moltmann in Korea, but the comprehensive theological analysis and evaluation is valuable in research. They are expected to be a groundwork for the future study on Moltmann`s theology that will unfold.

      • KCI등재

        한국 개신교회의 ‘개(個)교회화’에 관한 소고 ― 제2차 보편공의회 신조에 견주어 봄

        강응섭 한국조직신학회 2018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0 No.-

        This paper examines why Korean churches are the target of criticism, and why they are centered on ‘unit-churchism’. Recent studies of concerns about the Korean Church show a map of the Korean church, the responsibility of the Church to the nominal Christians, the belief from in the wall bound to out of the wall bound, the public nature of theology, the role of laymen, National Unification of Korean Church,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Theological Approach to Korean Minorities, and Christianity for the Challenges of Modern Society. To summarize these topics, this paper first review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hurch by examining the church history, and then reviewed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Protestants. Because the other three signs are understood to be in relation to the universal(official function of Jesus Christ), they are judged to be well preserved and applied without dispersion in their meanings. The universal church is a official institution. Here the ‘Gong’ is like the high ranking civil service which stands for the official ministry of Jesus Christ. The church is a assembly of believers who believe in Jesus Christ, and the nature of what the Church does is in accordance with the official duties of Jesus Christ. However, the fact that the church becomes the unit-church has turned it into an institution to execute someone’s personal affairs. They have public jobs, but can not be too close and careless with official jobs. God’s economy can be understood as a variety of alternatives in many ways from ‘individualized―institutional’ to ‘community―officialized’, from ‘unit-churchism―unit-denominationism’ to ‘official church― official denomination’. Now is the time when the Church and the Denomination need to cooperate and communicate organically. Through these discussions, I wanted to find a way to get out of Korean church. 본 논문은 왜 한국교회가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는지, 그 비판의 중심에 ‘개교회화’(unit-churchism, 個敎會化)가 있는지, 그 원인을 모색하고 그 원인을 검토하는 데 의의를 둔다. 한국교회에 대한 우려를담은 최근 연구들은 한국교회 미래 지도, 명목상 그리스도인에 대한교회의 책임, 성벽 안에 갇힌 신앙에서 성벽 바깥으로의 신앙, 신학의 공공성, 평신도의 역할, 한국교회의 민족통일, 한국 문화 수용, 한국의 소수자에 대한 신학적 접근, 현대 사회가 안겨준 과제에 대응하는 기독교 등 다각적인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런 주제들을 포괄하여 정리하고자 우선 교회사를 살펴보면서 교회의 전개 과정을 살피고, 이어서 한국 개신교의 전개 과정을 검토하였다. 그를 통해 나타나는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고 정리하기 위해 교회의네 가지 표지 가운데 ‘보편’(공무)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왜냐하면나머지 세 가지 표지는 보편(예수 그리스도의 공적 직무)과의 연관속에서 이해될 때 그 뜻이 흩어짐 없이 잘 보존되고 적용되어 전개될것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이고, 현 교회의 문제가 바로 이것에 대한 정체성을 상실했기 때문이라고 판단해서이다. 보편적 교회는 공교회이다. 여기서 ‘공’은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을의미하는 공무(公務)와도 같다.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는 믿는 자들의 모임이기에, 교회가 행하는 일의 성격은 예수 그리스도께서 행했던 공무에 준한다. 그런데 교회가 개(個)교회가 된다는것은 어떤 이의 개인 용무를 집행하는 기관으로 전락했다는 말이다. 공적 직무(Public Affair, 共的 任務)는 있으나 공적 직무(Official Affair, 公的 任務)에는 소홀하고 근접하지 못하다는 말이다. 하나님의 경륜은 ‘개별화-제도화’에서 ‘공동체-공공체’로, ‘개교회화-개교단화’의 신앙에서 ‘공교회-공교단’으로의 신앙으로 등 여러 각도에서 다양한 대안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지금은 교단과 교회가유기적으로 협력하고 소통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사료(思料) 된다. 이런 논의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한국교회의 나갈 바를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 조직신학연구 : 칼빈주의자 이수영의 성령론에 관한 연구발표

        최윤배 ( Yoon Bae Choi )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5 조직신학연구 Vol.22 No.-

        우리는 본고에서 “칼빈주의자”로서의 이수영 박사와 “성령의 신학자”로서의 이수영을 살펴보았다. 워필드가 깔뱅을 “성령의 신학자”(the Theologian the Holy Spirit)라고 올바르게 명명했듯이, 우리는 칼빈주의자로서의 이수영 역시 탁월한 “성령의 신학자”로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칼빈주의자로서의 이수영에 대해 크게 다섯 가지를 언급했다. 그는 한국장로교회에서 깔뱅으로 신학박사학위를 최초로 받은 깔뱅 전문 연구가이다. 그는 ‘성경적·복음적·개혁적’ 신학자인 동시에 칼빈주의 유산에 충실한 경건 훈련과 실천을 강조하는 경건과 실천의 신학자이다. 이수영 박사는 국내외적으로 널리 폭넓게 활동하는 교회연합(일치)의 신학자이다. 특히 그는 신학자의 한계를 뛰어 넘어 목회와 선교현장에서 모범적으로 목회하고 있는 개혁교회의 전형적인 목회자이다. 이수영은 성령론의 근거와 출발점으로서의 삼위일체론을 강조했다. 한국교회와 신학은 이런 주장에 귀를 기울여야할 것이다. 우리는 그가 주장한 성령의 신성과 인격성을 절대로 놓쳐서는 안 될 것이다. “성령의 본질과 관련해서, 성서의 증언에 따라서, 우리는 성령의 ‘피조성’ 또는 ‘비신성’에 반대하여, 성령의 ‘신성’을 주장해야하고, 성령의 비인(위)격성‘에 반대하여, 성령의 ‘인(위)격성’을 주장해야한다.” 성령론적 인식은 일차적으로 기독론적 인식으로 귀결되고, 기독론적 인식은 하나님에 대한 인식과 우리 자신에 대한 인식과 연결된다는 이수영의 통찰은 우리에게 매우 중요한 기독교적 신학방법론과 목회방법론을 제시해 준다. 이수영은 성령의 사역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을 가졌다. 신학과 목회 현장에서 성령의 사역에 대한 편향된 이해와 실천이 발견되는 것이 일쑤이다. 일방적으로 구원론과 교회론 중심으로 이해된 신학과 목회와 선교 현장은 성령의 사역의 역사적, 우주적 지평을 상실할 수 있고, 그 반대로 지나치게 창조와 섭리 중심으로 전개된 신학과 목회와 선교 현장은 성령의 구원론적, 교회론적 차원을 경시할 수 있다. “성령께서 하시는 일은 단지 사람의 영혼이나 삶 그리고 교회의 일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성령의 일은 이 세상 만물의 창조와 보존과 그 운행, 이방인이나 불신자까지도 포함한 모든 인간의 생명과 활동 그리고 역사의 변화에 이르기까지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 깔뱅이 제네바 대학교와 교회와 시(市) 정부를 오가면서 하나님 나라를 위한 총체적인 사역을 훌륭하게 수행했듯이, 칼빈주의자로서의 이수영도 경건과 학문(pietas et scientia)의 조화, 신학과 목회의 균형을 자신의 인격과 몸 전체에 체득하여, 학문과 삶과 목회와 선교 현장에서 하나님 나라를 위해 철저하게 깔뱅의 정신을 구현시킨 신학자인 동시에 목회자이다. 우리는 그를 “한국교회의 교부(敎父)인 동시에 한국장로교회의 깔뱅”으로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thesis aims at investigating Rev. Dr. Sou-Young Lee’s pneumatology. He was born on October 9, 1946 in Seoul. He can be called a Korean excellent Calvinist. Any thesis about him is not written until now. This writing will be the first thesis about him. In discussing Lee’s theology of the Holy Spirit, we used an approach generally used in systematic theology. His view of the person of the Holy Spirit was examined, followed by his view of the work of the Holy Spirit. Section II deals with the trinitarian Pneumatology. Section III deals with Lee’s view of the person the Holy Sprit. Section IV deals with the general and special work of the Holy Sprit. Sou-Young Lee’s pneumatology can be summarized and evaluated in the following ways. First, his pneumatology is very close to Calvin’s theology. Second, his pneumatology is triune, namely trinitarian pneumatology. The Holy Spirit is God Himself, the third of the three Persons. Third, His pneumatology is Christologically-centred and epistemological. Fourth, in Lee’s theology of the Holy Spirit, the Holy Spirit’s work consists of two kinds: the ordinary work of creation and governance that applies to all creatures; and the special work centerd on Christians and the church, carried from the perspective of election and the Kingdom of God.

      • KCI등재

        한국교회의 역사 경험에 대한 종교개혁적 성찰

        천병석 한국조직신학회 2017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8 No.-

        In commemoration of 500 years since the Reformation, this treatise seeks to re-illuminate faith and theology of Korea's Protestant churches from the light of Luther's theology. Presently, Korea's Protestant churches need to undergo changes from within and without. They don't have, however, any idea from where to start the changes. In this respect, Luther's Reformational discovery can be regarded as the starting point for changes of Korean churches. It's because his theological discovery changed not only the Medieval churches also the whole European society. That said, the point of this treatise is not targeted to the objects of change. It's neither about individuals, churches, nor about societies but important is what is the sources bringing about changes. As Luther considered the old church as Babylonian captivity, we need to have self-examination of the reality of Korean churches and society. It is revealed that principle of justification by faith is not working in our country, since Korean churches have been too dependent on the United States and its churches, beyond being friendly to them. It is surely one of our country's historical experiences just like the victim mentality caused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 or the Korean War. These experiences hinder meaningful changes based on faith-experiences. Historical experiences, which are merely relative and partial, may prevail in human matters but can't obtain ultimate legitimacy in front of God. Only faith-experiences based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s 'being righteous by God's righteousness' are able to bring about true changes to churches and society. Such faith-experiences have been handed down to us in the form of confession of faith of Korean churches, surviving internal life of church history, which we can identify particularly in the Great Revival of 1907 in Korea. The heritage of the Reformation can be and should be applied to the reforms of Korean churches and society. Although ‘Indigenous theology’ and ‘Minjung theology’ were presented as the possibility of Korean theology in Korean theological history, they could not bring as much fruit as expected for the mission and ministry of the church for society because they could not theoretically subject the Korean church's unique faith experience. A meaningful change in Korean church and society is in rediscovering and practicing the principles of the reformational theology that Luther discovered and practiced 500 years ago, like the slogan of “Ad Fontes” (return to the source). 이 논문은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한국개신교의 신앙과 신학을 루터신학의 빛에서 재조명하고자 한다. 한국개신교는 안팎으로 변화를 요청받고 있다. 하지만 어디서 시작해야할 지 당혹해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루터의 종교개혁적 발견은 한국교회를 위한 변화의 출발점으로 여겨진다. 그의 신학적 발견은 중세교회뿐만 아니라 유럽사회를 바꾸어 놓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글의 논점은 변화되는 그 대상에 있지 않다. 개인이거나교회거나 혹은 사회가 문제가 아니라, 변화를 가져오는 원천이 무엇인가가 중요하다. 다만 루터가 당시의 교회를 바벨론 포로로 보았듯이, 복음이 적용되어야 할 대상으로서, 한국 교회와 사회의 현실에대한 반성이 필요하다. 그것은 한국교회가 미국과 미국 교회에 우호적인 것 이상으로 종속되어 칭의론적 신앙의 원리가 작동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와 같은 미국경험은 일제와 6.25로 인해 겪은 피해의식과 마찬가지로 우리민족이 겪은 여러 역사 경험 중의 하나이다. 그러한 경험들이 민족적 무의식 속에 고착되면 신앙 경험에 의거한 의미 있는 변화를 방해하기도 한다. 역사 경험은 상대적이고 부분적이어서 인간사에서 통용될 뿐 하나님 앞에서 궁극적인 정당성을갖지 못한다. ‘하나님의 의로 의롭게 된다’는 칭의론적 신앙 경험만이 교회와 사회에 진정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신앙경험은 한국교회의 신앙고백과 교회사의 내적 생명을 이어오는 것으로서, 특히 1907년 대부흥운동에서 역사 경험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종교개혁의 칭의론적 유산은 한국 교회와 사회의 개혁을 위해 적용될 수 있고 적용되어야 한다. 토착화신학과 민중신학이 한국 신학의가능성으로 제시된 바 있지만, 한국교회의 고유한 신앙 경험을 신학적으로 주제화하지 못했기에 사회를 위한 교회의 선교와 목회를 위해 기대만큼의 결실을 거둘 수 없었다. 한국교회와 사회의 의미 있는변화는 ‘Ad Fontes’(근원으로 돌아가자)라는 종교개혁기의 구호처럼, 500년 전 루터가 발견하고 실천했던 칭의론적 신학의 원리를 재발견하고 실천하는 데에 있다.

      • KCI등재후보

        키에르케고어의 기독교 비판, 그 현재적 의의 및 적용

        장호광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22 조직신학연구 Vol.41 No.-

        In the past, the Korean church was recognized as a major force in social change by non-believers by playing the role of light and salt in the world. However, after Corona 19, when it is revealed that the church has not properly followed the quarantine rules, the Korean church faces the sad reality of being condemned by non-believers.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reflect Kierkegaard's stinging criticism of the national church in his homeland, Denmark, as it is in today's Korean church and use it as a mirror. This is because the situation of the church at Kierkegaard's time and the situation of the church in Korea today are similar in many ways. Among them, the “secularization” of the church, the weakening or loss of the subjective faith of ordinary believers as a single person before God by being subsumed by the authority and subjectivity of the pastor, and the practical faith of God’s love and neighborly love, the essence of the gospel The commonality can be found in the loss and the distorted understanding that is directed towards the well-being of living well and eating well on this earth. Accordingly, this thesis seeks to find the justification and validity of a new application to today's Korean church by recalling the theological ideas contained in Kierkegaard's criticism of Christianity for the purpose of restoring the status and honor of the recently fallen Korean church. To this end, this paper, including “Introduction,” “Existential truth as a basis for attack on the church,” “The importance of honesty and correction in existential truth,” “The age of reflection and equalization,” “As the prototype of the true church, The New Testament Church,” “Conclusion: What does Kierkegaard’s critique of Christianity mean today?” 과거 한국 교회는 세상에 빛과 소금의 역할을 잘 감당함으로써 세상 사람들로부터 사회 변혁의 주체 세력으로 인정받았지만, 코로나19 이후 교회를 중심으로 관리, 감독이 부실한 곳에서 집단감염이 연이어 발생하고 방역수칙을 제대로 따르지 않은 사실이 드러나자 한국 교회는 세상 사람들로부터 지탄과 혐오의 대상으로 추락하는 안타까운 현실을 보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자신의 조국 덴마크의 국가 교회를 향한 키에르케고어의 신랄한 비판을 오늘의 한국 교회에도 그대로 투영시켜 거울로 삼아야 할 필요가 있다. 키에르케고어 당시의 교회 상황과 오늘의 한국 교회 상황이 다양한 측면에서 흡사한 점들이 발견되기 때문이다. 그 중에서도 특히 세상의 풍조에 떠밀려 분별없이 세속적인 것을 수용하는 교회의 “세속화”, 목회자의 권위와 주체성에 포섭되거나 경도되어 하나님 앞에서 단독자로서의 주체적 신앙의 약화 내지 상실, 복음의 본질인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의 실천적 믿음을 통해 세워지는 하나님 나라의 외면과 오로지 이 땅에서 건강하게 잘 먹고 잘 사는 웰빙적 신앙을 지향하는 왜곡된 이해에서 그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최근 추락한 한국 교회의 위상과 명예를 회복할 목적으로 키에르케고어의 기독교 비판에 담겨 있는 신학적 사상을 소환하여 오늘의 한국 교회에 새롭게 적용할 당위성 및 타당성을 찾으려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서론”을 포함해 “교회에 대한 공격의 토대로서 실존적 진리,” “실존적 진리에 있어 정직과 교정의 중요성,” “성찰과 평준화의 시대,” “참된 교회의 원형으로서 신약 교회,” “결론: 키에르케고어의 기독교 비판은 오늘날 무슨 의미를 갖는가?”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제시해 보았다.

      • KCI등재

        ‘어머니-교회’의 관점에서 고찰하는 코로나-19 시대에 직면한 한국교회

        강응섭 ( Kang Eungseob ) 한국조직신학회 2021 한국조직신학논총 Vol.63 No.-

        이 글은 코로나-19 시대에 직면한 한국교회의 모습을 진단하면서 교회의 본질 가운데 긴요한 요소인 어머니-교회를 대안으로 고찰한다. 문제 제기를 위해 논자는 고레에다 히로카즈 감독의 영화 「그렇게 아버지가 된다」를 분석한다. 아버지가 강조될 것 같은 영화임에도 필자가 보기에 이 영화는 어머니가 중심에 있다. 아버지와 어머니는 가족을 이루는 근원이다. 아버지가 아버지 되기 위해서 요청되는 전제가 무엇인지 이 영화는 보여준다. 필자는 그것을 어머니로 본다. 코로나-19 시대의 한국교회를 진단함에 있어 필자는 아버지의 특성으로 세상과 싸우고 있는 한국교회를 본다. 한국교회에게 필요한 또 다른 모습을 어머니의 모습이라 여긴 필자는 교회의 역사에서 이와 같은 전례가 있음을 로마의 박해 시대와 종교개혁의 시기에서 찾는다. 그래서 바이러스로 인해 박해받는 동시에 세상으로부터 박해받는 한국교회가 어머니-교회에서 해결책을 찾고, 여기서 다시 시작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는가에 대한 논의를 통해 오늘날 한국교회의 정체성을 조망해본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mother-church, an important element of the essence of the church, as an alternative, while diagnosing the situations of the Korean church facing the COVID-19. To raise the issue, I analyze Hirokazu Koreeda's film Like Father, Like Son. Although the movie is likely to emphasize the father, I think the mother is at the center of the movie. Father and mother are the source of family. The movie shows what the premise that a father is asked to become a father is. I see it as the mother. In diagnosing a Korean church in the COVID-19, I see a Korean church fighting the world in the character of a father. I regard another image needed by the Korean church as the character of a mother, and I look for such a precedent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in the era of persecu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Korean church, which is infected by the virus and persecuted by the world, can find a solution in the mother-church and start again here. Through discussions on how identity is formed, we look at the identity of the Korean church today.

      • KCI등재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에서 "생명의 부정"으로서의 죽음에 대한 이해 -자살예방을 위한 한국적 삶과 죽음 이해에 관한 신학적 시론

        박형국 ( Hyung Gug Park ) 한국조직신학회 2013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6 No.-

        필자는 이 논문에서 한편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에 담긴 생명의 부정으로서의 폭력적 죽음에 대한 사회적이고 신학적인 해석과 그 폭력적 죽음에도 불구하고 그 죽음에 하나님이 존재의 방식으로 참여하고 연대했다는 생각이 21세기 한국사회의 죽음 이해와 자살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함을 주장한다. 나아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이 시대의 생명파괴의 현실 속에서 하나님나라에 비추어 이해할 것을 제안하고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이 담아내는 보편적이고 공적인 성격을 재조명하면서, 오늘의 시대정신에 비추어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을 인간을 포함한 온 생명을 위한 가장 보편적이고 공적인 죽음으로 이해를 확장하고 고양시킬 것을 제안한다. 다른 한편, 현세를 긍정하고 죽음을 부정하는 한국인들의 전반적인 생사관을 고려하면서, 필자는 현재 한국사회의 높은 자살률의 이유들 가운데 하나를 변증법적 사유의 빈곤에서 찾는다. 이런 면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에서 드러난 생명의 부정으로서의 기독교의 죽음에 대한 이해는 바로 한국인의 삶과 죽음에 대한 변증법적인 인식과 태도의 결핍을 보완해서 자살예방을 위한 한국적 생사관의 재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In this essay the author on the one hand argues that social and theological reflection on violent death as the denial of life revealed in the death of Jesus Christ and God`s ontological solidarity with such violent death is greatly significant for the understanding of death and suicide prevention in the Korean society of the early 21st Century. Furthermore, while proposing to understand the death of Jesus Christ in the light of the Kingdom of God in and re-illuminating the universality and publicity of the death of Jesus Christ, the author suggests that in the light of the spirit of the times the death of Jesus Christ should be extended and sublimated as the most universal and public death for all life including human beings. On the other hand, the author attempts to find one of reasons of the high rate of suicide in the contemporary Korean society, considering the passionate affirmation of life and the strong negation of death in Korean typical understanding, in the poverty of a dialectical thought between life and death. In this respect, Christian understanding of the death as ‘the negation of life’ in Jesus Christ will contribute to the reformation of Korean understanding of life and death in terms of supplementing the poverty of a dialectical thought in Korean conception and attitude concerning life and death.

      • KCI등재후보

        초기 한국어 성경의 번역에 반영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예정론

        한병수,유경민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2018 조직신학연구 Vol.30 No.-

        This paper exams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as revealed in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and the early Korean versions of the Bible (1887, 1900, 1906, the mixture of Korean-Chinese 1906, and 1925) that were done by American missionaries and Korean saints. To understand this doctrine in those versions, the paper provides, compares, and analyzes the Greek text, its Korea transliteration, and the early Korean translations of some of the biblical verses that are quoted in the part of predestination within the Westminster Confession of Faith. By doing this, the paper confirms the theological stance of the early Korean versions on the doctrine of predestination. In sum, the early Korean versions shows some limits in the exact translation of some biblical verses concerning predestination but sufficiently retains its biblical contents (rejection to a-predestination, double predestination, rejection to single predestination, and approval to both supra- and infra-lapsarianism), sometimes showing more emphasis on the meaning of predestination than the original Greek text. 본고는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의 예정론과 한국의 초기 기독교 역사에서 외국인 선교사들 및 한국 성도들에 의해 한역된 성경의 관련 본문들에 나타난 예정론을 비교하며 그 차이점과 일치점을 탐구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는 특별히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제3장에 언급된 예정(예정의 정의, 예지 예정론의 거절, 예정의 이중성, 예정의 불변성, 예정의 내용, 선택의 예정, 수단들의 예정, 유기의 예정, 예정의 신비)의 근거가 되는 성경의 해당 부분을 헬라어 원문과 그것의 직역과 다섯 가지의 유의미한 초기 한국어 역본(존 로스(John Ross) 번역팀의 <예수셩교젼셔>(1887), 성서번역자회의 <신약젼셔> 임시역(1900)과 공인역(1906), 유성준의 <新約全書 국한문>(1906), 그리고 제임스 게일의 개인 역본인 <新譯 신구약젼셔>(1925))을 중심으로 비교하고 분석한다. 이로써 본고는 예정의 교리에 대해 초기의 한국어 번역 성경이 보여주는 신학적인 입장을 확인한다. 간단히 요약하면, 초기의 한국어 번역 성경은 번역을 주도한 외국인 선교사와 한국인 조사들의 언어적 한계를 드러내기도 하지만 고백서가 가르치는 예정의 내용(무예정론 거절, 이중 예정론 승인, 단일 예정론 거절, 타락 전 예정론 허용, 타락 후 예정론 허용, 예지 예정론 거절)을 비교적 충실하게 담아내고 있으며, 때로는 원문보다 더 강조하는 구절도 확인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