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SCISCOPUSKCI등재

        Second Trial of Repeated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in a Schizophrenic Patient with Persistent Auditory Hallucinations

        YoungChul Chung,EunSung Im,GwangHyun Cho,MyungHwan Ko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6 PSYCHIATRY INVESTIGATION Vol.3 No.2

        We report the case of a 30-year-old male schizophrenia patient with persistent auditory hallucinations (AHs) who had received 1 Hz repeated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rTMS) to the left temporoparietal cortex in 2 separate trials. He had suffered from severe persistent AHs for more than 5 years. Four different combinations of two antipsychotics were tried at high doses, without any observable beneficial effects. He was admitted for the administration of rTMS. At the start of the 2nd week of the 1st rTMS trial, he reported a substantial improvement of AHs with a further reduction to 30% of baseline severity at the end of the 3rd week. However, AHs were returned to baseline levels at about 2 months after discharge. The 2nd rTMS trial produced no therapeutic benefit. The length of beneficial effects of the 1st rTMS trial as well as possible effects of the 2nd rTMS trial on the returned AHs needs to be established with a large sample size.

      • KCI등재

        An Improved CWDM Demultiplexer based on Two-Mode-Interference Principle

        Youngchul Chung,In-Sang Oh,Joon-Oh Park,Nam-Chun Heo 한국물리학회 2003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43 No.2

        An improved design for a CWDM (coarse wavlength division multiplexing) demultiplexer based on the two-mode interference (TMI) principle is proposed, and the performance, such as crosstalk and insertion loss, is shown to be superior to that of a conventional demultiplexer.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transmission is very small, which makes the TMI demultiplexer suitable for CWDM applications.

      • KCI등재

        신화와 현실: 북한 정규군“100만”신화 비판

        정영철 ( Youngchul Chung ) 북한연구학회 2016 北韓硏究學會報 Vol.20 No.1

        이 글은 이미 ``신화``처럼 굳어져있는 북한군 정규군 병력수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북한의 정규군 병력수는 100만을 넘어 120만으로 알려져 있고, 이는 움직일 수 없는 신화처럼 자리하고 있다. 그러나 그 어디에서도 북한군 병력수에 대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근거를 찾을 수 없다. 『국방백서』가 북한 정규군 병력수에 대한 거의 유일한 자료원천이다. 『국방백서』가 처음 발간된 1967년의 북한군 병력수는 약 41만명 이었다. 그 후 꾸준히 증대하여 2014년에는 마침내 120만으로 추산되고 있다. 약 45년 동안 3배 가량의 증대가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추정이 과연 사실일까? 북한군 병력수는 북한이 그 진실을 밝히지 않는 상황에서 정확히 추산을 하기는 어렵다. 다만, 1993년과 2008년의 북한 인구 자료를 통해 간접적인 추론이 가능하다. 1993년과 2008년의 북한 인구 조사 자료에 의하면, 지역별 인구와 연령별 인구는 대략 70만 명 가량의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2008년의 자료를 기준으로 직업별 인구, 1993년과 2008년의 연령 구간별 변화, 그리고 성비 보정을 통한 분석을 통해 추산한 차이는 약 50-75만 명 가량으로 계산된다. 북한 정규군 병력수가 120만이라고 할 때 이는 전체 인구의 약 5%를 상회하는 비율이다. 전시를 제외하고 이 정도의 병력수를 유지하는 국가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50-75만명으로 추산하더라도 이 수치 역시 전체 인구 대비 약 2.1-3.1% 수준이다. 다른 국가들과 비교해도 상당히 높은 수치이다. 우리 역시 약1.3%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남북 모두 전체 인구에 비해 엄청나게 높은 군대의 규모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한반도의 분단이 가져온 과도한 국방력 투입의 결과라고 할 수 있으며, 남북한이 모두 과도한 국방력의 유지에 국가 자원을 소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We know that the number of North Korea Regular Army is over million, 1.2 millions. And we believe that this is the absolute truth like the myth. But, we cannot find the rational bases of estimation. The only material origins are the Defense White Paper tha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publishes. The first published Defense White Paper estimated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gular army at 410 thousands. Since then,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gular army has grown continually, now 1.2 millions. It multiplied threefold during 45 years. Is this true? In this paper, I estimated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gular army with the North Korean demographic data of 1993 and 2008. By this data, It reveals the statistical gaps between regional population and age groups. it is about 700 thousands. In addition, through the population of worker in the 2008, the changes of the age group of 1993 and 2008 and the calculation of the man population by the sexual ratio correction is estimated by 500-750 thousands. Although that we estimate the North Korean regular army at 500-750 thousands, it takes the 2.1-3.1% of whole population of North Korea. This is very high rate in comparison to other countries. South Korea is 1.3%. The two Korea all have big size army compared with the whole population. Is is caused by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r, and the two are spending the national resources for keeping the big defense power.

      • KCI등재
      • KCI등재

        분단, 탈분단 그리고 통일의 상상력 넓히기

        정영철 ( Chung Youngchul )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구 동국대학교 안보연구소) 2019 북한학연구 Vol.15 No.1

        지난 평창올림픽의 남북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을 둘러싼 논쟁은 여러 가지 의미를 던져준다. 즉, 과거와 같은 ‘민족’의 당위성만으로 통일을 말하기 어렵게 되었다. 또한, 자유, 정의, 연대, 평화 등과 같은 보편적 가치가 통일 문제에서도 힘을 얻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에 따라 기존의 통일 담론과는 구분되는 ‘탈분단의 담론’이 등장하였다. 탈분단의 담론은 분단이 우리 사회에 가져다 준 여러 가지 모순과 구조적인 왜곡 등을 성찰하면서 당장의 통일이 아니라 우리 내부의 분단 모순을 해소해가는 것에 우선적인 관심을 두고 있다. 또한, 탈분단은 분단의 극복이 반드시 통일일 필요는 없다는 문제 의식 속에서 새로운 통일의 방도를 제기하고 있다. 탈분단의 담론은 지금까지의 민족-민족주의에 대한 부정과 보편주의적 가치관에 우선을 둠으로써 기존의 분단의 시선과는 차별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탈분단의 담론은 달라진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며, 통일에 대한 기존의 도식화된 사고방식을 넘어서서 새로운 방식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협소한 민족적 이데올로기를 넘어서고 있다. 그러나 탈분단의 담론이 기초하고 있는 보편주의적 가치관에 기반한 통일은 자칫 우리에게 익숙한 가치를 통일의 가치로 제기함으로써 북한에 대해 패권적 태도를 보일 우려가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통일의 가치로서 민족과 민족주의의 현실적인 힘을 도외시할 수 있는 우려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런 점에서 탈분단의 담론은 민족과 보편주의에 대해 조금 더 신중한 자세를 가질 필요가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통일은 보편과 특수를 넘어 남북이 함께 합의할 수 있는 ‘합의된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에 있다. The controversy over a single team of South-North Korean women’s ice hockey at the last PyeongChang Olympics has several implications. That is to say, it is difficult to say unification of Korea with just the necessity of ‘nation’ as in the past. It also showed that universal values such as freedom, justice, solidarity, and peace are gaining strength in the issue of unification. As a result, the ‘discourse of post-divisi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existing discourse of unification, emerged. The discourse of post-division reflects the various contradictions and structural distortions that the division has brought on our society, and it gives priority to the elimination of the contradictions within ourselves rather than the immediate reunification. In addition, the post-devision raises a new unification strategy within the consciousness that the overcoming of the division is not necessarily a unification. The discourse of post-division shows the differenti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existing division by giving priority to the universal values and negative the ‘nation-nationalism’ up to now. The discourse of post-division is positive in that it reflects a changed reality, and it is beyond narrow national ideology in that it pursues new ways beyond the existing schematized thinking about unification. However, the unification by the universal values based on the discourse of post-division is likely to show a hegemonic attitude toward the North by raising the values familiar to us as values of unification. Also, there are concerns that many people can overlook the real power of ‘nation-nationalism’ as the value of unification. In this sense, the discourse of post-division needs to be more cautious about nation and universalism. More importantly, reunification is about creating a “consensual value” that can be agreed upon by both Koreas beyond universal and special.

      • KCI등재

        북한의 반미 : 이데올로기, 문화 그리고 균열

        정영철(CHUNG Youngchul)(鄭英喆) 신아시아연구소 2011 신아세아 Vol.18 No.2

        북한에서 반미는 제국주의론에 기초한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띠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분단과 전쟁의 경험에 기초한 역사적 반미주의의 성격도 아울러 띠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반미주의는 전쟁의 기억을 끊임없이 ‘되불러옴’으로써 재생산되고 있다. 북한의 반미주의는 북한 주민들의 사상교양과 문화혁명의 핵심기제로 작동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의 설득의 담론이자 동시에 체제 정당화의 담론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이데올로기 · 역사적 반미를 넘어서서, 문화로 전이되었음을 의미한다. 한편, 북한의 반미주의는 1970년대 현실의 정책적 필요에 따라 ‘도구적 반미’로 일정하게 변화하였다. 그러나 이시기의 반미는 냉전의 틀 속에서의 변화였고, 북한이 공세적 위치에서 미국과의 직접 협상을 촉구한 가운데서 제기된 것이었다. 이와 비교하면, 1990년대의 ‘실용적 반미’는 냉전의 해체이후, 생존을 위한 국가전략의 차원에서 제기되고 있다. 즉, 냉전의 해체 이후, 체제의 생존을 미국과의 관계에서 찾을 수 밖에 없는 상황에서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북한의 반미는 사회적으로 여전히 이데올로기적이고, 역사적인 반미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정치적인 측면에서는 ‘실용주의적’ 성격을 띠는 등의 균열이 발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 북한은 외부정보의 침투와 경제적 위기의 지속 등으로 과거와 같은 위로부터의 정치사회화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조건에서 ‘반미의 균열’이 어떤식으로 북한 체제에 영향을 미칠지는 현재로서는 예단하기 어렵다. 그러나 지난 60여 년간의 반미주의에 변화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만은 분명하다 할 것이다. On the basis of the imperialism, the North Korean Anti-Americanism is ideological. It is, however, so historical from the division and the Korean War. Furthermore, this can reproduce the memory of the war by “recalling” in succession. The North Korean anti-Americanism is a key factor of their ideological and cultural revolution. It functions as not only a justification but a persuasion for their daily lives. This means that the condition has spread to their culture from the ideological and historical anti-Americanism. In the 1970s the North Korean Anti-Americanism, on the other hand, changed to ‘instrumental’ one with their realistic political need. On the way in the Cold War system, they demanded a direct negotiation to U.S. with an aggressive stance. In comparison with this, the ‘practical anti-Americanism’ was posed for their survival as a national strategy after the Cold War in the 1990s. In other words, it is the only way to survive that they establish relationship with U.S. Thus, they have a crack which is caused by the difference that their ideological and historical anti-Americanism becomes practical in political dimension. At present,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s much difficulty to socialize politically because of the outside information infiltration and the economic crisis. So we can not prejudge how the cracked anti-Americanism has an effect on their system. Nevertheless it is obvious that the change has kept going on for last 60 years.

      • KCI등재

        김정은 시대 북한의 전략적 선택: 21세기 부국강병의 길

        정영철 ( Youngchul Chung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20 한국과 국제정치 Vol.36 No.4

        김정은의 시대적 과제는 인민생활 향상이다. 그러나 북한이 경제건설에 집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안보 문제를 해결해야만 했다. 따라서 초기 김정은은 선군정치를 계승하면서, 핵과 미사일 능력의 강화를 추구하였다. 김정은의 북한은 인민생활 향상을 위해 가장 먼저 당과 국가체제의 정상화, 군의 정상화, 그리고 경제 및 사회문화적 변화를 추구하였다. 김정은 집권 초기에 보여주었던 군 인사의 숙청 등은 군을 제자리에 돌려놓는 것이었고, 2016년의 제7차 당대회는 당-국가 체제로의 북한을 정상화에 기초하여 새로운 전략적 노선을 결정짓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핵심은 바로 강성국가 건설, 특히, 과학기술에 기반한 경제강국 건설에 있었다. 남북-북미관계의 개선에 따라 병진노선이 경제건설총력집중 노선으로 변화하였고, 경제 건설을 위한 국가적 자원을 총동원할 것을 예정하였다. 그러나 2019년 ‘하노이 교착’은 이러한 북한의 전략적 선택에 중대한 장애물을 조성하였고, 그 결과 ‘정면돌파전’을 통한 경제건설을 추구하고 있다. 최근의 남북-북미관계가 교착상태에 있지만, 현재까지 북한은 자신들의 채택한 ‘경제건설’의 전략적 노선을 바꾸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It can be said that Kim Jong-un's national strategic route is to build a wealthy and a strong military state in the 21st century. Its core is science and technologybased economic construction, and its ultimate goal is to improve people's lives. To this end, improvement in inter-Korean relations and NK-US relations is required, and the great change in 2018 could be said that showed the dramatic appearance of North Korea's foreign policy for this. In spite of the “Hanoi deadlock,” North Korea is making its efforts to concentrate national resources on economic construction and strengthen military deterrence. In the near future, it is unlikely that North Korea will change the strategic line of the 21st century power of wealthy nations.

      • KCI우수등재

        남북관계의 구조와 ‘국면’ 그리고 국내정치

        정영철(Chung, Youngchul) 비판사회학회 2017 경제와 사회 Vol.- No.115

        이 글은 남북한이 주도성을 발휘해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남북관계의 협력 ‘국면’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역사적으로 남북관계의 협력 국면은 한반도의 근본 문제 즉, 구조의 문제를 드러내고 이에 대해 문제제기를 할 수 있는 여지를 넓혀주었다. 또한, 국내정치는 이러한 ‘국면의 힘’을 통해 한반도 구조에 대해 발언력을 확대하고 주도적인 힘을 발휘할 수 있었다. 국면을 전환시키는 것은 국제정치적 영향력에도 불구하고 남북한이 자율성을 가지고 진행할 수 있는 영역이다. 이 점에서 ‘국면’을 바꾸기 위해 요구되는 것이 바로 ‘국내정치’의 민주주의적 확대와 발전, 남북관계 개선의 의지와 역량의 강화이다. 따라서 이번 대선을 통한 신정부의 출범은 이제 갓 한발을 뗀 것에 불과하다. 지난 2000년의 경험처럼, 남북관계의 ‘국면의 힘’을 만들어내게 된다면, 우리가 상상하는 것 이상의 힘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이미 그러한 경험과 역사를 만들어왔고, 잠시 좌절의 순간을 겪기도 했지만 그러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음을 충분히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solution of Korean problem has to be supported by cooperative conjuncture of South-North. the conjuncture can be changed by the domestic politics. Although the dependency of international power politics, domestic politics has relative autonomy. Domestic politics can change the conjucture, but can not change the structure directly. What is required to change the conjuncture are the development and enlargement of the domestic democracy and its consistent will and abilities on the improvement of South-North relations. In this point, the inauguration of new government through the ‘candle revolution’ takes the only first step forward to changing the South-North relations. As the experience that we took in 2000s, If we can make the cooperative conjuncture’s power of South-North, we can approach to the structural problem of the Korean peninsula. Only in that point, domestic power has a real power to solve the structural problem.

      • KCI등재후보

        김정일 시대의 대남인식과 대남정책

        정영철(Chung, YoungChul) 서강대학교 현대정치연구소 2012 현대정치연구 Vol.5 No.2

        김정일 시대의 대남인식과 대남정책은 김일성 시대와는 변화되었다. 김일성 시대와 달리 김정일 시대는 탈냉전의 국제적 환경과 남북관계의 힘의 역전이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었다. 이러한 조건에서 김정일은 김일성의 일원론적인 통일방안에서 벗어나 다원론적인 통일방안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과거 정치군사적 문제의 우선적인 해결을 요구하던 데에서 변화하여 남한의 (신)기능주의적 협력을 받아들이고, 남북관계 개선에 나서게 되었다. 한편, 김정일 시대의 한반도는 과거의 냉전적 대립 구조가 변화하면서,‘서울?평양?워싱턴’간의 새로운 삼각게임이 나타났다. 이러한 삼각게임의 등장은 북한으로서는 서울과의 협력을 통해 워싱턴을 압박하고, 또한 세계로 나아갈 수 있는‘기회의 창’이 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김정일의 사망 이후에도 아직 크게 변화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북한의 새로운 지도자로 등장한 김정은은 김정일 시대의 대남정책을 적어도 단기적으로는 충실히 계승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다른 한편, 김정일 시대부터 추진해왔던 <통일과 세계화>의 과제가 미완의 과제로 남아 있는 상황에서 <세계화의 보편성>을 보다 더 적극적으로 수용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는 김정은 시대에 들어와 남북관계가 북한의 변화 여부에 보다 더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됨을 의미한다. 이에 대한 우리의 준비와 노력이 요구된다 하겠다. The recognition and policy toward South Korea has been changed from that of Kim Il Sung in the Kim Jong-il era. Unlike the Kim Il Sung era,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 of post-cold war and the turn around the power between the South and North were located in the Kim Jong-il era. Under these conditions, Kim Jong-il had no choice but accept the pluralist unification different from that of Kim Il Sung. Kim Jong-il recognized the South as the negotiation partner for overcoming from the international isolation and for economic cooperation. Therefore, North accepted the (neo) functionalistic approach that has been required by South and set out to improve the inter-relations. Meanwhile, the New triangle game different from the cold war confrontations was appeared on the Korean peninsular in the Kim Jong-il era. At these conditions, The complex Structure was come on, the cooperation of Seoul and Pyongyang pressed the Washington, on the contrary to this, the cooperation of Seoul and Washington pressed the Pyongyang. Therefore, This was the window of operturnity to North Korea was able to press washington by cooperating with Seoul and go out to the World. This complex structure made ‘the Koreanization of the Korean problem’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the Korean Problem’ go out simultaneously, and North Korea also had to adopt it. After demise of Kim Jong-il, This structure is not changed. So, The new leader of North Korea, Kim Jong-un would succeed the Kim Jong-il’s unification policy faithfully in the short run at least. But on the other hands, on the conditions that <Unification and Globalization> has been prosecuted by Kim Jong-il remains, Kim Jong-un must have proceeded the globalization more actively. And, This imply that the relations of South-North will take much effect the change of North Korea more than before. This require us to prepare and effort to inter-re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