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당뇨병성 합병증을 가진 환자에서 혈중 Erythropoietin 농도

        김동규,유기동,허광식,김상용,윤성호,조영신,권용은,김태원,김건영,정종훈,배학연 朝鮮大學校 附設 醫學硏究所 1998 The Medical Journal of Chosun University Vol.23 No.1

        연구 배경 : 고혈당성에 의한 산화환원반응 이상(가저산소증)이 조절 되지않는 당뇨병의 특징으로 혈관과 신경 기능에 대한 진성 저산소증의 효과와 유사하며, 당뇨 합병증의 병태생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고혈당이 있는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에서 인슐린 수준이 정상이듯이, 빈혈이 있는 당뇨병 환자에서 EPO의 농도는 실제 혈색소 농도의 감소비율과 차이가 있을 것이라 추측된다. Friedman 등은 당뇨병성 합병증 원인 인자로 가저산소증(pseudohypoxia) 또는 저산소증(hypoxia)을 제기하였고 이런 인자들이 EPO의 상대적 또는 절대적 결핍에 의한 것임을 보고하였다. 방법 : EPO-Trac^(TM 125)I RIA kit을 이용하여 방사면역측정법으로 EPO 수준을 검사하였다. 전혈 3㎖을 5-10㎖ 시험관에 정맥 채혈하였으며, 용혈과 장기간의 보존을 위하여 원심분리를 즉시 시행하여 혈청을 영하 200C에서 냉동 보관 후 일괄적으로 검사 결과를 얻었다. 결과 : 1996년 9월부터 1997년 2월까지 조선대학교 부속병원 내과에 입원한 2형 당뇨병 환자 63례를 대상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당뇨병성 합병증이 없는 군과 있는 군간의 혈색소, 혈중 EPO농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혈색소의 감소율보다 혈중 EPO의 감소율이 더 높았다. 2) 당뇨병성 망막증의 유무에 따른 혈색소 농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혈중 EPO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증식성군에서만 혈중 EPO의 감소비율이 혈색소에 비해 높았다. 3) 당뇨병성 신증의 유무에 따른 혈색소, 혈중 EPO농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혈색소 감소율에 비해 EPO농도의 감소율이 높았다. 신증의 중증도에 따른 혈색소, EPO의 차이는 미세알부민뇨군을 제외하고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혈색소 감소율에 비해 EPO의 감소율이 더높았다. 4) 당뇨병성 신경병증의 유무에 따른 혈색소 농도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EPO농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혈색소와 EPO의 감소비율은 비슷하였다. 신경병증의 중등도에 따른 혈색소와 EPO농도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stage 3에서는 혈색소감소율보다 EPO감소율이 더높았다. 결론 : 당뇨병성 합병증을 가진 환자에서 빈혈의 정도는 대부분 혈청 EPO치의 절대적 감소에 의함을 간접적으로 밝혀낼 수 있었으며 차후 더 많은 대상으로 비교 분석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Background: Hyperglycemic-induced redox(pseudohypoxia) imbalance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poorly controlled diabetes that mimics the effects of true hypoxia on vascular and neural function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pathogenesis of diabetic complications. As is true for apparently "normal" insulin levels typically found in NIDDM even in the presence of hyperglycemia, a "normal" erythropoietin level in an anemic diabetic subject may be disproportionally low for the actual red cell mass. Therefore, Friedman et al suggested that pseudohypoxia or hypoxia as an etiological factor of diabetic complications are due to absolute or relative erythropoietin deficiency Method: EPO-TracTM 125I RIA kit was used for the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erythropoietin(EPO) in serum by radioimmunoassay. An adequate sample of blood (3ml whole blood) was collected aseptically by venipuncture in a 5~10ml glass tube to yield a minimum of 400 L of serum per assay. The serum was promptly removed from the clot by centrifugation in order to avoid hemolysis. Then to increase its storage time it was frozen at -200C in a nonself defrosting freezer. Finally, tests were undertaken simultaneously Results We studied 63 cases with diabetes mellitus, who were admitted to Chosun University Hospital from September, 1996 to February, 1997 at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e defined the control group, as diabetic patients who did not have anemia(<13mg/dl), diabetic complications(retinopathy, nephropathy, neuropathy) and the remainders were defined as the experimental group(we excluded anemic patients, who had secondary causes of anemia and diabetic patients with end stage renal disease)Data were as follow 1) The relationship of Hb and the 24hr urine protein between diabetic patients with and without complications significantly differed(p=0.02, < 0.001 respectively), but the Hb level was poorly related between diabetic patients with and without retinopathy(except in preproliferative, proliferative subgroups) and neuropathy. 2) Subgroups of patients with diabetic complications had higher 24hr urine protein than patients without diabetic complications, except stage I diabetic neuropathy 3) The EPO leve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diabetic patients with and without complications. 4) The correlation between EPO and Hb was significantly different,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with retinopathy and nephropathy according to severity of diabetic complications, compared with patients who did not have diabetic complications such as retinopathy and nephropathy. Conclusion: We know that anemia induced by diabetic complications is due to relative EPO deficiency than absolute EPO deficiency, and further evaluation and studies are needed on many cases in the future

      • KCI등재

        5-FU에 의해 유발된 흰쥐 태아의 골격계 기형

        김명아(KIM Myeong Ah),권오유(KWON 0 Yu),이영호(LEE Young Ho),김원식(KIM Won Slk) 대한체질인류학회 1997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0 No.1

        5-FU가 흰쥐 태아에 미치는 최기효과의 일부분을 규명하기 위하여 임신 10 5 일의 흰쥐에 5-FU 25mg/kg 홀 단회 근육내 투여하고 임신 17 5 일에 적출한 흰쥐 태아에게 골-연공대조엽색을 설시하여 입제현미경으로 골격계 이상을 관찰한 바 다음과 강은 결과를 얻었다. 1. 5-FU를 투여한 군의 태아생존율은 63 4% 로 정상대조운의 94 1% 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며, 명균체중도 598±77mg으로 정상대조운의 756±86mg 보다 현저히 적었다 2. 5-FU를 투여한 균에서 노뼈와 자뼈 및 일부 갈비뼈각의 뼈발생이 지연되었다 3. 5-FU를 투여한 문에서 척추뼈고리판 융합증, 갈비뼈 융합증, 갈비뼈 분리, 덧갈비뼈, 갈비뼈 결손, 윗다리 정강뼈 결손, 뒷다리 발목뼈 일부 결손, 뒷다리 제 1, 2 발가략뼈 결손 등의 선전성 기형이 출현하였다 4. 5-FU를 투여한 군에서 윗다리의 선전성 기형은 오FMS쪽에서 왼쪽보다 현저히 많이 나다났다. 이상의 경과로 볼 때, 5-FU는 독성 작용으로 태아의 자궁내사망을 일으키고, 태아의 성장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며 특히 골격계에 작용하여 척추뼈, 갈비뼈, 사지골격 둥에 선천성 기형을 일으키는 물질임과 그 기형형성기전의 일부를 양 수 있었으나 , 좀 더 상세한 기명의 종류나 기전에 관해서는 이 물질을 투여량과 투여시기를 다양화함으로서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FUDR로 유발된 선천성 기형의 분석

        양은진(Eun-Jm YANG),최송표(Song-Pya CHOI),조근자(Keun-Ja CHO),김수일(Soo-II KIM),권오유(O-Yu KWON),이영호(Young-Ho LEE),김원식(Won-Slk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1997 대한체질인류학회지 Vol.10 No.2

        항문직장암 등의 치료에 입상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FUDR의 최기효과와 죄기기전의 일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흰쥐(rat, Sprague-Dawley계)를 실험동물로 임신 10 5 일에 FUDR (Sigma사 제품 )60㎎/kg, 65 mg/kg, 70㎎/kg을 각각 단회 복강내 투여하고 임신 17 5 일에 ether마취하에 희생시켜 임신낭의 수, 생존태아의 수, 태아체중 등을 계측하고, 외형상 출연한 기형을 입제현미경으록 관찰하여, 나타난 기형의 종류, 투여량에 따른 각종 기형의 발생 빈도 등을 비교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본 실험에서 FUDR의 투여로 유발원 선천성 기형에는 물머리중, 수정체결손 입천장파열, 꼬리기형, 사지기형 등이었으며, 사지기형에는 엄지 및 둘째 발가락결손, 엄지 및 둘째 발가락 발육부전 바다표범발증, 발갈림증 , 흩발가락, 발가락 융합증 등이었다. 2. FUDR로 유발된 선천성기형은 기관의 종류에 따라 또한 투여량의 증가에 따라 발생빈도가 서로 달랐다 3. 사지기형에 있어서는 전 후지간에 그리고 전지의 좌우측간에 그 발생빈도가 현저히 달랐다 이상의 경파로 미루어 볼 때 FUDR은 흰쥐에서 다양한 선천성기형을 유발하고 그들의 발생빈도나 최기효과는 투여량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었으나, 전지에서 좌우측간의 차이 등 보다 명확한 최기기전에 관해서는 향 후 더 연구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