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산시의 전통적인 지역에 대한 경관과 소리경관의 정량적 인상평가

        임동균(Dong-Kyun Yim),스기야마 카즈이치(Kazuichi Sugiyama),김응남(Eung-Nam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5

        본 논문의 목적은 충남 아산시의 전통적인 지역을 대상으로 경관과 연관된 소리경관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평가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의 인상 평가를 각각 수집 및 분석하여 그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의 평가방식의 타당성과 유효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연구 절차를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아산시의 전통적인 경관을 잘 보여주는 다섯 군데 명소를 선정하고, 비디오카메라를 활용하여 현지의 경관을 형성하고 있는 사물의 상황과 함께 그 곳의 소리를 기록하였다. 기록한 데이터를 한국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에게 보여주어 그것에 대한 인상평가를 하게 하였다. 인상평가는 SD법(의미미분법)을 활용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정성적 평가 데이터에 수량화이론 및 클러스터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각각의 샘플을 분류하는 동시에 인상평가의 등급을 설정하는 정량화를 실시하였다. 샘플을 분류하는 방법과 샘플의 인상평가 등급을 구하는 방법은 서로 다른 접근에 의한 독립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이 두 가지 방법에 의하여 도출된 결과를 비교하여 평가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은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평가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 방법이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아울러 한국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은 상당 부분에서 전통적 경관에 대한 인상의 차이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to analyze and quantitatively evaluate the impression of landscapes and soundscapes about traditional area of Chungnam Asan city in Korea. For this, we collated data about impression evaluation of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and, based on these result, we proved the validity and usefulness of the evaluation system that we proposed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 process conducted in this study as follows: first of all, we had selected five traditional places of interest in Asan City, and investigated various conditional elements of the area including soundscapes which is forming the landscape using video camera. And we made both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evaluate the impression for these videotaped landscape data through using the SD(semantic differential) method. And then, we quantified these qualitative data through applying the quantification theory and cluster analysis method to them. Though this process, we could obtain both data as a result derived by classifying each sample and categorizing levels of those impression evaluation. Because of totally difference between those two analyzing processes, which one is for sample classification and the other is for determining impression level, we could validate the usefulness of our evaluation system through conducting comparative analysis of results from both methods. Analysis showed that our novel evaluation system for landscape is effective and, in most part of the traditional landscape, Japanese students’ responses are different far from the Korean students’ responses.

      • KCI등재후보

        학교시설 화재예방에 관한 연구 - 미국, 영국, 일본의 특징과 시사점 -

        임동균(Yim, Dong-Kyun),양기근(Yang, Gi-Geun)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1 법률실무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시설의 화재예방을 위하여 국내의 교육시설의 화재예방과 관련된 제도와 미국, 일본 등 해외의 교육시설 화재예방 시스템과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미국, 영국, 일본의 교육시설 화재예방 시스템의 분석을 통하여 알 수 있었던 것은, 첫째, 교육시설 등 건물의 특수목적에 적합한 세부적인 화재안전기준 마련이고, 둘째, 지역의 소방국과 협조하여 상세 가이드라인 마련이다. 셋째, 주기적 화재 훈련 및 학교 건물의 화재안전공법준수 의무화와, 마지막으로 교육시설의 화재안전 표준 및 가이드라인 웹사이트 등에 공개이다. 이에 우리나라 교육시설 화재예방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특성에 맞는 학교 화재안전 가이드라인의 마련이 필요하다. 해외 사례에서 살펴보았듯이 교육시설은 교육부 또는 교육자치구가 지역의 소방국과 협조하여 건축물의 시공, 관리, 감리, 점검 등 모든 분야에서 상세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때 지역적 특색에 맞는 화재안전 가이드라인의 마련이 가능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fire prevention system of domestic educational facilities and the fire prevention system of overseas educational facilit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o derive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What can be seen through the analysis of fire prevention systems in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and Japan is as follows. First, it is a detailed fire safety standard suitable for the special purpose of buildings such as educational facilities. Second, detailed guidance in cooperation with local fire departments. Third, regular fire drills and compliance with fire safety construction laws in school buildings are mandatory. Finally, it is the disclosure of the website of fire safety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educational facilities, and so on. In order to effectively improve the fire prevention system of educational facilitie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prepare fire safety guidelines for schools suitable for local characteristics. As explained in the case of overseas education, it is necessary for th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or the educational autonomous district to cooperate with local fire departments to prepare detailed guidelines in all areas such as construction management, supervision, and inspection of buildings. And when such detailed guidelines are prepared, it is possible to prepare fire safety guidelin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 KCI등재후보

        재난안전법의 문제 및 지방정부의 재난 예방 완화 노력 평가를 위한 지역안전지수 개발

        임동균(Yim, Dong-Kyun),송승현(Song, Seung-Hyun)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0 법률실무연구 Vol.8 No.4

        재해나 각종 위험에 대응할 수 있는 지방정부의 재난 예방 및 완화의 실현을 목표로 함에 있어 목표 달성을 향한 진행 상황 파악, 문제의 발견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이에 적절한 지표를 설정하고 공개 된 통계에 근거하면서 지방정부의 재난 레질리언스를 추정 할 수 있다면, 인적, 물적, 시간적 비용의 절감과 더불어 실태파악이 가능해진다는 것에서 그 유용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부의 재난 예방 및 완화를 위한 노력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군 (재난 예방 및 완화를 위한 재난 레질리언스 평가 지표)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방정부 재난 예방 및 완화 평가 지표를 제시함에 있어, 각 부처의 통계 및 지방정부 안전평가지표 등의 평가 지표와 공개 통계의 조사를 통하여 지방정부의 재난 예방 및 완화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 후보를 나열했다. 다음으로 ① 데이터 수집 성, ② 데이터의 신뢰성, ③ 지표의 대표성, ④ 지역의 보편성, ⑤ 정책 적용 가능성 등의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지표만을 남겨, 지방도시 재난 예방 및 완화 노력 평가 지표를 선정했다. 이 평가 지표를 이용하여 지방정부의 재난 예방 및 완화를 평가 한다면, 지방도시의 재난 레질리언스 실태와 특징을 밝힐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Conducting assessments using disaster resilience indicators based on public statistical information helps us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and resilience of local government, thereby enhancing our ability to resist, adapt to, and recover from devastating disasters. The paper introduces the methodology and procedure of developing disaster resilience indicators. Initially, indicators were carefully selected based on selection criteria; 1) data availability, 2) data reliability, 3) representativeness, 4) local adaptability, and 5) policy relevance. By using this evaluation index and evaluating the disaster prevention and mitigation of the local government, it is hoped that the actual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disaster resilience of the local city can be clarified.

      • KCI등재후보

        일본사례를 통한 기능연속성계획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임동균(Yim, Dong-Kyun),네모토 마사쯔구(Nemoto, Masatsugu)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1 법률실무연구 Vol.9 No.4

        지진, 태풍, 산사태 등과 같은 자연재난, 전염병 확산 및 테러 등의 사건과 대형사고, 공급망 단절, 돌발적인 경영환경의 변화 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 재난의 발생시 중요 기능이 중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기능연속성계획(Continuity of Operation Plan, COOP)이다. 기능연속성계획은 중요한 기능이 중단된 경우를 상정하고 복구시간 내에 기능을 재개시키며, 기능중단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재난대응을 계획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기능연속성계획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기능연속성 계획 수립적용에 유효한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기능연속성계획 구축에 기초자료로 사용되리라 기대한다. Continuity of Operation Plan (COOP) is a function to prevent the disruption of important functions in the event of various social disasters such as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typhoons, landslides,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nd terrorism, major accidents, disconnection of supply chains, and sudden changes in management environment. The functional continuity plan is a disaster response plan to assume that important functions are interrupted, resume functions within recovery time, and minimize the risk of discontinu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functional continuity plan of Japan and seeks implications that are effective in establishing and applying the functional continuity plan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functional continuity plans of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재난발생시 재난약자 지원에 관한 연구 -복지 대피소를 중심으로-

        임동균(Dong-Kyun Y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재난의 양상은 그 발생 빈도와 규모에서 나날이 예상하기 어려워지고 있다. 더구나, 도시의 산업화, 공업화에 따른 인구 유입과 고시의 고밀화로 인하여 재해발생시 그 피해 규모는 점점 대형화 복잡화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대피소는 재난 등으로 인한 재난피해자들이 일시로 대피 및 거주하게 되는 공간으로서 가장 기본적인 방재시설이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재난피해자들이 임시로 거주하게 될 대피소에 대한 지정, 관리 등에 관한 사항은 물론 지원에 대한 내용들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재난피해자들의 피난처인 대피소에서의 피난생활에 관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안전취약계층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 중에서도 재난약자에 속하는 고령자나 장애자에 대한 피난생활 지원에 관한 문제점에 대하여 일본의 복지피난소를 사례로 살펴보고, 우리의 대피소 운영능력 강화 방안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발생시 가장 먼저 재난 자체로부터 생명을 지키기 위하여 피난하고, 생활환경을 정비하여, 필요한 생활 지원을 보장함으로써 심신 상태의 악화와 재패 관련사를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재난약자에 대하여 복지 대피소가 생명을 지키는 가능을 담당하는데 무엇이 요구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Disasters are difficult to predict daily because of their frequency and scale. Moreover, The population influx due to the industrialization of cities and the densification of cities make the scale of damage at the time of disasters larger and more complicated. Therefore, there are some problems with evacuation life at shelters for disaster victims. I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welfare shelters in Japan with regard to the problems concerning the evacuation life support for the vulnerable people. And, I considered the measures to strengthen the shelter operation ability in Korea. In this study, in order to protect lives from the disaster itself, it was considered most important to prevent deterioration of physical and mental condition and disaster related death. Therefore, we investigated what is required of welfare shelters in charge of the function to save lives for disaster vulnerable people.

      • KCI등재

        학교시설의 화재실태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임동균 ( Dong-kyun Yim ),채진 ( Jin Chae ),류상일 ( Sang Il Ryu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1 공공정책연구 Vol.38 No.3

        최근 급속한 경제 성장으로 건축물의 대규모화, 초고층화, 과밀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 구조는 복잡 다양화되고, 내장재는 인테리어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욱 복잡해졌다. 이들 재료가 난연성이나 방염성이 확보되어 있지 않다면 화재 발생 시 더욱 큰 위험에 노출될 것이다. 이와 같은 환경 속에서 화재로 인한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시설에서 학생 및 교직원의 보호와 화재로부터 안전한 교육여건을 조성하기 위한 학교시설 화재예방 가이드라인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학교시설의 화재실태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교시설의 화재안전 위험요소를 발굴하고, 도출된 학교시설 화재안전 취약요인에 전문가분석(AHP 분석)을 활용하여 화재예방 체계가 구축될 수 있도록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Recently, the rapid economic growth has led to the rapid progress of large-scale, high-rise, and overcrowding of buildings.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buildings is becoming more complex and the interior materials are more complex to meet the interior needs. If these materials are not flame retardant or flame retardant, they will be exposed to greater risk in the event of a fire. In this environment,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fire. In this study, the fire conditions of school facilities were analyzed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fire prevention guidelines of school facilities to protect students and staff at school facilities and to create safe educational conditions from fire.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draw policy implications through this. In particular, the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fire safety risk factors of school facilities and to find improvement plans so that the fire prevention system can be established by utilizing expert analysis (AHP analysis) on the derived fire safety vulnerability factors of school facilities.

      • KCI등재

        개인 및 사고원인 특성이 재난안전인식에 미치는 영향분석

        오후,임동균,Oh, Hoo,Yim, Dong-Kyun 한국안전학회 2021 한국안전학회지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level of disaster safety perception (disaster safety importance, accident possibility, personal safety, and regional safety) of local residents,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individual and accident cause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method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isaster safety importance and accident possibility were higher as residents who had experience in safety education and were willing to visit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in the province. Second, disaster safety importance was higher as the cause of the accident was the lack of response 119 and police. And accident possibility was higher as the cause of the accident was the lack of prior treatment by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Third, personal safety and regional safety were higher for men, and especially personal safety was lower as residents with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regional customized disaster safety policies based on the perception of local residents, who are policy consumers.

      • KCI등재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사회적·경제적 취약성 노출과 사회적 경제조직의 역할-충북지역 사례-

        네모토마사쯔구 ( Nemoto Masatsugu ),임동균 ( Yim Dong-kyun ) 한국자치행정학회 2020 한국자치행정학보 Vol.34 No.4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경제적 취약성 노출 문제 파악과 이에 대한 사회적 경제조직의 대응 노력, 이에 근거한 지자체 지원 방향, 및 코로나19 사태를 포함한 재난교육 필요성을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충북지역 사회적 경제조직 관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기관에 의한 어린이, 고령자, 여성, 장애인 현황 파악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를 포함한 생활안전 관련 교육·훈련의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향후 방향으로 행정기관 주도에 의한 취약계층 포함 지역사회 조사, 목소리 없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는 사회적 경제조직 협업 및 상부상조 문화를 위한 정책개발 필요성 등이 도출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 of exposure to social and economic vulnerabilities caused by COVID-19, the role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nd the need for local government support. Specifically,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in the Chungbuk region. As a result, the response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children, the elderly, women, and the disabled by public institution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addition, the need for education and training related to life safety including COVID-19 was suggested. In the future, an administrative agency-led survey of local communities including the vulnerable, the need to cooperate with local governments and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to give a helping hand by listening to voiceless voices, and to develop policies for mutual assistance were suggested.

      • KCI등재

        아동 교통사고 사례분석을 통한 교통안전 문제점과 개선방안 - 아파트 단지 내 교통사고 중심으로 -

        김신혜(Shin Hye Kim),임동균(Dong-Kyun Yim)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5

        이 연구는 생활안전 교통사고 중 취약계층인 아동들에게 발생하는 아파트단지 내 교통사고를 중심으로 사고발생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아파트단지 내는 자동차, 오토바이, 전동킥보드 등의 주행이 많아지고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인식이 낮음에 따라 교통사고 발생이 빈번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아파트단지 내 도로는 도로교통법 상 ‘도로’에 해당되지 않는 도로 외 구역으로 처벌이나 법규가 의무화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아파트 단지 내 교통사고 위험성 인식이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아동 아파트단지 내 교통사고 사례를 파악하고 사고발생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아동 교통사고 사례를 통한 교통사고의 문제점 시사는 아동과 보호자 그리고 운전자들에게 위험을 인지시키고, 아파트 단지 내 교통안전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focusing on traffic accidents in apartment complexes that occur to children among life safety accidents. Roads in most apartment complexes are not “roads” under the Road Traffic Act. In addition, there is no mandatory punishment or regulations, so the perception of the danger of traffic accidents in apartment complexes is very low. Recent, traffic in automobiles and motorcycles is increasing in the apartment complex, and traffic accidents are frequently occurring due to low safety awareness for both drivers and pedestrians.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cases of traffic accidents in childrens apartment complexes and to present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accidents. Problems of traffic accidents through child traffic accidents The current affair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are aware of dangers to children, carers, and drivers, and suggest traffic safety measures in apartment complex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