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2019년 홍콩 시위의 특징과 일국양제 위기론에 관한 고찰

        신원우(Wonwoo Shin) 한국아시아학회 2020 아시아연구 Vol.23 No.1

        이 논문은 2019년 홍콩 시위의 발생 원인과 특징이 무엇인지 논의하고, 홍콩 시위로 인해 제기되고 있는 일국양제 위기론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2019년 홍콩 시위’는 정치적 문제로 촉발되었고, 그 내면에 경제적 문제가 혼재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2014년 홍콩 시위’와 비슷하다. 다만 2019년 홍콩 시위는 2014년 홍콩 시위보다 모든 면에서 더 크고 격렬히 진행되고 있다. 중국은 이번에도 홍콩 시위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는 중국이 홍콩 문제를 대만과의 통일문제에 관하여 공세적 정책을 펴나가는 상황에서 나타난 심각한 위기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2019년의 홍콩 시위 발생 원인을 정치적 · 경제적 불평등과 상대적 박탈감에서 오는 홍콩 시민들의 불만, 중국공산당의 홍콩에 대한 강압적 정책, 이에 대한 홍콩 시위의 적극적 호응으로 발생했다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홍콩 시위로 인해 향후 중국의 일국양제가 실패하게 될 것이라는 일각의 예상에 대해서 의문을 제기한다. 이번 홍콩 시위는 정책의 실패이지 제도의 실패는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국은 이번 홍콩 시위에 대하여 정치적 사안에 관해서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할 것이며, 경제적 사안에 관해서는 경제적 혜택 제공 등 유연한 정책 변화를 진행함으로써 타협점을 찾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cent protests in Hong Kong, and it analyzes the crisis theory on the one country, two systems arrangement brought up by the Hong Kong protests. And, the author set forth a counter-argument against the crisis theory on the one country, two systems principle. “The 2019 Hong Kong protests” are similar to the 2014 protests since they were sparked by political issues intertwined with economic issues. However, “the 2019 Hong Kong protests” unlike “the 2014 Hong Kong protests” have been larger in scale and more intense in all aspects. China has, once again, maintained a firm stance on the Hong Kong protests. This is because Beijing sees the Hong Kong protests as an indicator of a grave crisis that came as its aggressive policies to pursue reunification with Taiwan are employed. The author, in this paper, contends that the 2019 Hong Kong protests were caused by Hong Kong citizens’ grievances built up by political and economic inequality and relative deprivation, Beijing’s oppressive policies on Hong Kong and the Hong Kong government’s active response towards such policies. However, the author argues against those who forecast that China’s one country, two systems arrangement will fail due to the Hong Kong protests. The recent protests in Hong Kong are the outcome of failed policies not a failed system. Therefore, the Hong Kong protests are expected to be resolved as China maintains a firm stance on “the Hong Kong protesters” and flexibly changes its policies on “Hong Kong” at the same time, thereby finding a point of compromise.

      • KCI등재

        홍콩에서의 일국양제 제도화 과정과 불안요인에 관한 연구

        신원우(Wonwoo Shin) 한국아시아학회 2021 아시아연구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홍콩에서의 일국양제 제도화 과정에서 나타난 일국양제의 구조적 문제와 불안요인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일국양제에 대한 역대 중국 지도자들의 발언 들을 통해 중국의 일국양제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홍콩반환 후 중국 정부가 시도해왔던 조치들과 이에 대한 홍콩인들의 저항을 연대기적 서술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덩샤오핑부터 시진핑까지 역대 중국 지도자들의 일국양제에 대한 공식 발언들을 살펴보면, 중국은 자본주의와 사회주의의 공존을 강조하고 있을 뿐, 양제가 일국에 우선한다는 인식을 공식적으로 나타낸 바 없다. 반면 양제에 방점이 있다는 견해는 「홍콩기본법」의 중의적 해석에 기초한다. 이는 홍콩에서의 일국양제 제도화 과정을 대하는 중국 정부와 홍콩인의 태도에 중요한 차이를 가져왔다. 즉, 홍콩에서의 일국양제 제도화 과정에서 나타난 홍콩 문제는 중국 정부가 인식하고 있는 권리(인식된 권리)와 홍콩인이 본래 갖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는 권리(해석된 권리)의 충돌이다. 다음으로 홍콩에서의 일국양제의 제도화 과정에서 나타난 홍콩의 불안요인들을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다. 첫째, 불완전한 주권 문제와 홍콩인들의 정체성 문제이다. 중국은 대만과의 통일문제를 불완전한 상태의 주권국가에서 완전한 주권국가로 거듭나기 위한 주권 문제로 인식하고 있다. 그런데 홍콩의 주권 및 정체성 문제들이 이를 침범하고 있다. 둘째, 중국과 같은 권위주의 국가가 갖는 민주화운동에 대한 불안감과 홍콩인의 중국 정부에 대한 불안감의 충돌 문제이다. 셋째, 홍콩의 일국양제 제도화 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정치적 · 경제적 불평등이 홍콩에서의 일국양제 불안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홍콩에서의 일국양제 제도화 과정에서 나타난 최근 홍콩의 문제들은 중국 정부와 홍콩인들 상호 간의 선험적(先驗的) 인식에 대한 선행적(先行的) 대응의 결과이다. 2019년 홍콩 송환법 반대시위가 이전 시위들과 구분되는 특징은 「홍콩 국가안전법」이라는 제도적 결과물을 만들어 내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계기로 일국양제에 대한 중국 정부의 태도를 홍콩인뿐만이 아니라 대만인도 분명히 인식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This study explores how China has institutionalized one country, two systems after the handover of Hong Kong, and factors that are associated with anxiety from Hong Kong. First, the study looks into statements about one country, two systems made by the leaders of China in order to check China’s perception about one country, two systems. Then, the study analyzes measures taken by the govern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fter the Handover, and how Hong Kong people resisted in chronological order. The official statements by the leaders from Deng Xiaoping to Xi Jinping indicate that China emphasizes coexistence of capitalism and socialism. However, there is no perception that is officially expressed to indicate how two systems are prioritized over one country. The Basic Law of Hong Kong has multiple interpretations, leading to an opinion that “two systems” is prioritized. This is leading to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hinese government and Hong Kong people when they respond to institutionalization of one country, two systems. In short, there are issues found in institutionalizing one country, two systems and these issues involve conflict between rights. These are rights that the Chinese government perceives as its from the beginning (perceived rights) and rights that Hong Kong people interpret as theirs from the beginning (interpreted rights). Next, there is an analysis on factors associated with anxiety from Hong Kong in terms of institutionalizing one country, two systems. This analysis considers three aspects. First, there are issues from incomplete sovereignty and identity of Hong Kong people. To China, the China-Taiwan unification issue is an issue of sovereignty; China wants to be a completely sovereign state instead of having incomplete sovereignty. However, the issues from Hong Kong intrude into this goal, and these issues are linked with identity and sovereignty of Hong Kong. Second, there is a conflict of anxiety between China and Hong Kong; China, an authoritarian state, has anxiety about the pro-democracy movement. On the other hand, people in Hong Kong have anxiety about the Chinese government. Third, there is political and economic inequality observed while institutionalizing one country, two systems in Hong Kong. This, in turn, presents a factor associated with anxiety. Recently, there were several issues during the process to institutionalize one country, two systems. These issues are the results from preemptive action, which is taken due to a priori perception between the Chinese government and Hong Kong people. “Anti-Extradition Law Amendment Bill Movement(2019-20 Hong Kong Protests)” is different from the past protests because it has led to an institution called Hong Kong National Security Law. This is even more significant since not only people in Hong Kong but also those in Taiwan have clearly realized the stance of the Chinese government for one country, two systems.

      • KCI등재

        [특집 : 노숙인, 공동체로부터 소외된 사람들] 1990년대 이후 한국 노동시장 변화와 노숙인 문제의 등장

        신원우(Shin Wonwoo),김소영(Kim Soyoung)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05 亞細亞硏究 Vol.4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the cause of the korean homeless problem in 1990s focused on the social structural perspective in changing labor market. 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aspects of research on the homeless, it is much rare on the cause of the homeless origination referring to the importance.<br/> Before examining this structural causes, we considered the historical experiences on homeless problem in U.S, England, and Japan in the 1980s which have been understood evidently as a different kind of occurrence of homeless people resulting from the neo-liberalism and social-structural shift. Also we examined that the Korean homeless people have been the fragile conditioned group undergoing chronical job instability, unemployment, and risk on poverty.<br/> And more specifically, we stared the structural causes of homeless problem driving from the globalization causing from neo-liberalism. The structural aspects consist of three parts. First, the korean company has taken the new employment strategies increasing of labor market flexibility and outsourcing. Second, industrial structural shifts have occurred as a form of manufacture downsizing and growing of service sector. Third, IMF economic crisis and recession make their employment opportunity shrink.<br/> As the conclusion, this study insists that it is requested to overcome the limit of individual perspective which considers to be homeless people as a result of the idleness, a weak-will, or an unfortunate childhood of the individual. In other words, in order to prevent the poor from becoming homeless and solve the problem, it need to convert the viewpoints to the structural causing perspective. Also this study recommends the national poverty policy that can guarantee the expansion of the employment opportunities to the weak group in the labor market as well as the actual minimum living.

      • KCI등재

        폭발하중 조건에 따른 슬라이딩 형식 방폭문의 구조거동 유한요소해석

        신현섭(Shin, Hyunseop),김성욱(Kim, Sungwook),문재흠(Moon, Jaeheum),김원우(Kim, Wonwoo) 한국방재학회 2021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1 No.4

        현재의 방폭 설계기준에서는 구조체 특성이나 폭발조건에 대한 구분 없이 같은 구조체에서 동일한 처짐이 발생한다면, 손상수준이 서로 같고 동일한 구조성능을 갖는다고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구조체의 응답특성은 구조체 특성 및 폭발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고, 파괴거동과 관련하여 휨처짐 거동뿐만 아니라 전단에 대해서도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콘크리트 합성구조의 슬라이딩 형식 방폭문에 대해 충격/동적/준정적 영역에서의 기본적인 거동 차이를 유한요소해석에 의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동일한 최대 처짐이 발생하는 조건이지만 충격영역에 속하는 거동 특성을 보이며 폭약과의 이격거리가 가깝고 충격력이 크게 작용할 경우, 초기 거동 단계에서 방폭문 슬래브에 전단파괴가 발생함으로써 동적 및 준정적 영역에 비하여 전단에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방폭문 하부에 설치된 휠 부재에도 상대적으로 더 큰 변형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방폭문의 개폐와 같은 기능적 역할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추정해 볼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휨전단 복합 파괴 또는 직접 전단파괴는 단순 휨파괴 보다 더 큰 피해를 주므로 구조성능 검토 및 설계 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전단의 영향에 대한 일반화된 평가방법 및 설계기준을 얻기 위해 향후 많은 실험적 및 해석적 연구가 필요하다. In current specifications, it is assumed that the structural performance is the same if the same deflection occurs, regardless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r explosive conditions. However, depending o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explosion conditions, structural responses may differ. Therefore, flexural deflection and shear need to be considered. In this study, the differences in the structural behaviors of steel-concrete sliding-type blast doors in the impulsive, dynamic, and quasi-static regions were analyzed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impulsive region and under significant impact forces, shear failure occurred at the initial behavioral step, and the door was more vulnerable to shear than in the dynamic and quasi-static regions. Furthermore, in the impulsive region, a relatively large deformation occurred in the wheel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door, affecting functionality, such as opening and closing. Because combined flexural-shear and direct shear failures cause more damage than flexural failure, they must be considered during the design process, an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velop a generalized evaluation method and design criteria to reflect the shear effect.

      • KCI등재

        불쾌글레어의 주관적 평가를 위한 한국어 평가척도

        김원우(Wonwoo Kim),신주영(Ju-Young Shin),김정태(Jeong Tai Kim) 한국생활환경학회 2007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14 No.4

        The degree of discomfort glare can be expressed by physical factors such as luminance of the source, size of the source and background luminance. Criteria of discomfort glare should have a linear relationship with these physical factors. Criteria of discomfort glare proposed by Hopkinson has been used from the 1960s. In Korea, the terms of the criteria are translated into Korean for evaluating discomfort glare. Therefore applicability of Korean terms should be tested before using these terms for the subjective assessments of discomfort glar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applicability of terms. Thirty-six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 result shows that criteria of discomfort glare used in this study have a linear relationship with luminance of glare source. Therefore, the terms of the criteria are suitable for the evaluation of discomfort glare. Women reported discomfort glare at higher luminance than men. This means that men are more sensitive to discomfort glare than women. Discomfort glare sensation is influenced by individual difference reacting with the luminance of the glare source.

      • KCI등재

        5G 기반 증강현실 통합 지휘통제플랫폼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신규용(Kyuyong Shin),이원우(Wonwoo Lee),김동욱(Dongwook Kim)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0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5

        The Augmented Reality(AR) which is one of the core area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en widely applied to various fields. In particular, the military is actively conducting research on incorporating AR technology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order to deal with lack of training ground and ensure safety during training. In addition, the combination of the 5G technology (which has been commercially available in South Korea since this summer) with the core technologies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uch as IoT, Cloud, Big-data, Mobile, etc.) yields tremendous synergy effects on many domains. This paper proposes an AR-based Integrated Command and Control Platform under 5G Technologies, combining the high speed, ultra low latency, large volume of data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provided by 5G networks with the sense of reality offered by the AR technology.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s the applications of the proposed platform.

      • KCI등재

        지속 가능한 콘텐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유비쿼터스 가상현실 프레임워크 및 응용

        신춘성(Choonsung Shin),하태진(Taejin Ha),김기영(Kiyoung Kim),이원우(Wonwoo Lee),이영호(Youngho Lee),우운택(Woontack Woo) 大韓電子工學會 2010 電子工學會論文誌-CI (Computer and Information) Vol.47 No.1

        본 논문에서는 가상공간과 현실공간이 융합되는 지능형 환경에서 지속 가능한 콘텐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유비쿼터스 가상현실 프레임워크 및 응용을 제안한다. 유비쿼터스 가상현실 프레임워크는 가상현실과 현실공간을 융합한 환경에서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콘텐츠를 생산하고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데스크톱 및 모바일 저작 플랫폼, 그리고 듀얼 공간 관리기로 구성된다. 데스크톱 저작 플랫폼은 서비스 제공자들이 콘텐츠를 저작하기 위한 환경을, 모바일 저작 플랫폼은 일반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소비, 생산 및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환경을 그리고 듀얼 공간 관리기는 이들이 생산하는 콘텐츠를 관리하는 환경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한다. 사용자들은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유비쿼터스 가상현실 프레임워크를 통해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이 융합된 환경에서 콘텐츠 생산, 소비, 공유 확대 및 재생산 등의 활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여 콘텐츠 생태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제안하는 유비쿼터스 가상현실 프레임워크의 유용함을 보이기 위해 모바일 플랫폼을 중심으로 실시간 처리 성능을 측정하였으며 응용 시나리오를 통해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실험결과 그래픽 가속기와 부동소수점 연산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기에서 실시간 콘텐츠 증강 및 저작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유비쿼터스 가상현실 프레임워크는 가상과 현실이 융합되는 지능형 환경에서 사용자들의 참여에 의해 지속 발전 가능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환경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ubiquitous virtual reality framework and its application for fostering a sustainable content ecosystem in the convergence space of virtual reality and real space. The ubiquitous virtual reality framework supports fundamental infrastructure which consists of platforms for end-users and service providers and dual space management. The platform for the service provider allows experts to generate contents related to real objects while the platform for the end-users allows to consume, share and regenerate the contents contextually augmented over real objects. The dual space management stores, visualizes and provides the contents generated and extended by them for connecting different users and service providers. The proposed framework allows users to continuously generate, share and extend the contents and thus contribute to making multimedia service environment. We also implemented and evaluated the framework consisting of a desktop authoring platform, mobile authoring platform and a dual space management server. We then introduced a promising application scenario to show how the content ecosystem is empowered by ubiquitous virtual reality framework and is realized in our life. Consequently, we are expecting that the ubiquitous virtual reality technology will play a vital role in building continuously evolving multimedia service environment for the future computing environment.

      • Quantized Precoding Techniques for Spatially Correlated Channels without Correlation Feedback

        Myoung-Seok Kim,Myeongcheol Shin,Wonwoo Park,Chungyong Lee 대한전자공학회 2008 ITC-CSCC :International Technical Conference on Ci Vol.2008 No.7

        This thesis deals with the quantized precoding techniques for spatially correlated MISO (multiple-input single-output) channels. The transformed codebook, which has been proposed recently for correlated channel, has problem of loosing diversity despite using additional feedback for channel correlation matrix. In this thesis, an efficient algorithm to estimate the correlation matrix without additional feedback and also prevent diversity loss is proposed. In the proposed algorithm, the estimation can be done using the codeword selection patterns. In order to estimate and get SNR gain simultaneously, the proposed algorithm uses both transformed codebook and specific forms of IID (independent identically distributed) codebook for estimation, which also prevents diversity loss.

      • 지적 발달장애 아동과 청소년의 치료 및 교육을 돕기 위한 인공지능 소셜 로봇

        고현웅(Hyunwoong Go),신원우(Wonwoo Shin),이현주(Hyunju Lee),지승민(Seungmin Ji),유철중(CheolJung Yoo) 한국정보기술학회 2019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19 No.6

        지적 발달장애 아동 및 청소년은 전문적인 기관에서 체계적으로 치료 및 교육을 받을 필요가 있다. 하지만 전국에 치료시설의 수는 현저히 적으며, 입소하기 위한 대기기간도 다소 긴 편이다. 또한 대부분의 부모들은 치료시설을 믿지 못하여 직접 치료 및 교육을 진행하고 있지만 가정에서 이들을 치료 및 교육하는 것에 대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가정에서도 부모가 손쉽게 아이들의 교육 및 치료할 수 있게 도와주는 로봇 매개치료 도구로서의 인공지능 소셜 로봇을 직접 제안하고 개발한다. Children with intellectual development disabilities need to be systematically treated and educated in professional facilities. However, the number of treatment facilities across the country is too small, and the waiting period for hospitalization is rather long. In addition, most parents doesn"t believe in treatment facilities and they have a hard time working with and educating them at hom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nd develop an artificial intelligence social robot as the robot assited therapy tool that helps parents easily educate and trea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evelopment disabilities at h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