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클라미디아 트라코마티스 감염 후 발생한 반응성 관절염

        이승준(Seoung Jun Lee),이준규(Jun Gyu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3

        저자들은 성적 접촉 후 수주 후에 발생한 반응성 관절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36세의 남자 환자가 갑자기 발생한 완관절, 제3 수지, 슬관절, 아킬레스건 등 다발성 관절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면역혈청학적 검사와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는 특별한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소변의 중합효소 연쇄반응검사를 통해 Chlamydia trachomatis균이 동정되었다. 선행 감염의 과거력과 다발성 급성 통증이 있는 환자에서 여러 검사를 통해 다른 진단을 배제한 후 반응성 관절염의 가능성을 고려해 항생제와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소염제로 적절히 치료하여 환자는 호전되었기에 이러한 환자군에서는 반드시 반응성 관절염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한다.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reactive arthritis that was caused by sexual contact as below example. A 36-year-old male visited our center due to sudden pain in wrist joint, the 3rd finger, knee joint, and achilles tendon. There were no specific abnormalities for the immunoserologic tests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however, we found a positive test result for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test of urine that identified Chlamydia trachomatis. Through considering the patient’s medical history and various examinations, we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reactive arthritis, to the exclusion of alternate diagnosis. According to the our diagnosi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antibiotics and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and we found that the patient was getting better. Therefore the authors think that we have to contemplate the possibility of reactive arthritis and treat appropriately in patients with similar symptoms.

      • KCI등재

        젊은 성인 한국인의 체중부하 기립상 관상면 및 시상면 하지축 정렬에 대한 측정

        이승준(Seoung-Joon Lee),이호준(Ho-Joon Lee),김진일(Jin-Il Kim),오광준(Kwang-Jun Oh)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3

        목적: 체중부하 하지축 정렬에 대한 표준 측정치를 제시하여 하지재건술 시행시 유용하게 사용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체중부하 전하지 기립상 방사선 촬영을 시행한 20~30대 환자, 총 274명(남자 147명, 여자 127명) 중 골격계 이상이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그 중에서 방사선학적 기준에 합당한 188명에 대하여 관상면상, 시상면상 방사선학적 수치를 계측하여 연령 및 성별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체중부하비는 관상면상에서 38.47±10.52%, 시상면상에서 36.11±7.88%로 전내측에 위치하였고, 대퇴골의 역학적축과 체중부하축은 평균 0.68±0.89°의 차이가 있어 두 축이 동일하지 않았다. 시상면상에서 대퇴골 양과가 경골 고평부와 가장 인접한 점을 슬관절 중심으로 잡았을 때 역학적축과 체중부하축의 차이는 0.04°로 두 축간에 거의 차이가 없었다. 결론: 대퇴골두 중심부터 슬관절 중심을 이은선과 슬관절 중심부터 족관절 중심을 이은 선이 이루는 역학적축과 대퇴골두 중심부터 족관절 중심을 직접 이은 체중부하축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체중부하축이 슬관절면의 전내측을 통과함을 확인하였다. 시상면상 슬관절 중심을 대퇴골 양과의 경골 고평부 인접점으로 정의할 수 있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measurement standard for the weight-bearing axial alignment of the lower extremities when performing a lower extremity re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Among 274 patients (147 males and 127 females) in their 20s to 30s without any physical disabilities, and who had undergone weight-bearing full leg standing radiographs, 188 patients (100 males and 88 females) were examined this study. The data was analyzed further according to their age and gender using the radiographic value on the coronal and sagittal alignment of the lower extremities. Results: The weight bearing ratio was 38.47±10.52% on the coronal plane and 36.11±7.88% on the sagittal plane. Both the mechanical axis and the the weight bearing axis were not identical due to their 0.68±0.89° difference on average. The most adjacent point of the femoral condyles to the tibial plateau on the sagittal plane was assigned to the center of the knee joi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chanical axis and weight bearing axis was 0.04°, which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mechanical axis, which consists of both a line from the center of the femoral head to the center of knee joint and a line from the center of the knee joint to the center of ankle joint, and the weight bearing axis, which is linked directly from the center of the femoral head to the center of the ankle joint. Furthermore, the weight bearing axis passes through the anteromedial part in the knee joint. The center of the knee joint is defined as the most adjacent point of both femoral condyle to the tibial plateau on the sagittal plane.

      • KCI등재

        하지의 외견과 축성 배열의 관계

        이승준(Seoung Joon Lee),주성대(Sung Dae Joo),박상원(Sang Won Park),이광석(Kwang Suk Lee),전지성(Jun Ji Sung),이순혁(Soon Hyuck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7

        목적: 외형상 하지의 내반 소견과 방사선 사진상 축성 배열과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평균 26.9세(20-33세)의 자원한 성인 남자 46명을 대상으로, 외형상 하지 내반 여부에 대해 설문 조사를 한 후 체중 부하 기립 상태로 양 하지 전장을 촬영하여 역학적 및 해부학적 측정을 하여 서양인의 보고와 비교하고 외형상 하지 내반 여부와의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하지의 대퇴-경골 간 역학적 축사이의 각은 평균 177.4±2.4°, 슬부의 내반 각은 94.3±2.0°로 서양인보다 내반되어 있었다. 내반 변형이 있다고 답한 군에서 정상으로 답한 군보다 하지의 역학적 축 사이의 각, 슬관절 및 족관절의 내반 각이 내반되어 있었고, 근위 경골의 골간단-골간각이 더 증가되어 있었다(p<0.05). 결론: 남자 대학생 하지의 역학적 축 및 슬부의 내반 각은 서양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내반되어 있고, 하지의 외형상 내반 소견은 내반 축성 배열과 관계가 있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us appearance and the axial alignment of the lower extremity. Materials and Methods: The axial alignments of the lower extremities of 46 normal male adults (volunteers) were measured from the radiographs and compared with the reports for Caucasians, and between the groups divided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appearance. Results: The femorotibial mechanical angle was 177.4±2.4° and the medial obliquity of the knee was 94.3±2.0°, which were the varus compared with the reported reference points. In the group containing those with the subjective varus appearance of the lower extremities, the femorotibial mechanical angle and the medial obliquity of the knee and ankle joint were the varus, and the metaphyseal-diaphyseal angle was greater than in the group containing those with the subjective straight appearance of the lower extremity (p<0.05). Conclusion: The axial alignment of the lower extremities of young male adult Korean is the varus, and the subjective varus appearance of the lower extremity is related to the varus axial alignment.

      • KCI등재

        대퇴골 과상부 골절에서 슬와 동맥의 가동맥류에 의해 발생한 대퇴부의 후방 구획 증후군 - 보고-

        이승준 ( Seoung Jun Lee ) 대한골절학회 2007 대한골절학회지 Vol.20 No.3

        Compartment syndrome of the thigh is a rare condition and usually occurs in the anterior compartment. It is frequently caused by muscle injury, femur fracture, muscle overuse and vessel injury, but there have been few reports about posterior thigh compartment syndrome caused by pseudoaneurysm of the popliteal artery after fixation of distal femoral fracture with the retrograde intramedullary nail. We report a case of posterior thigh compartment syndrome caused by pseudoaneurysm of the popliteal artery, and report the clinical progression and result of our case.

      • KCI등재

        Characteristics of Photon Beam through a Handmade Build-Up Modifier as a Substitute of a Bolus

        김성준,이승준,문수호,설기호,이정은,Kim, Sung Joon,Lee, Seoung Jun,Moon, Su Ho,Seol, Ki Ho,Lee, Jeong Eun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2014 의학물리 Vol.25 No.4

        본 논문에서는 자체 제작된 선량상승영역 변환기(build-up modifier, BM)을 투과하는 high energy photon beam의 심부선량백분율(PDD)을 특성을 측정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BM 산란인자(BM scatter factor, $S_{BM}$)를 계산하였다. 다양한 조건에서 BM scatter가 PDD의 Build-up region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BM의 유용성을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S_{BM}$는 BM을 사용하지 않은 SFS 30 mm에서 측정된 산란인자의 값을 1로서 정규화 하였다. 가장 큰 SFS 200 mm의 경우, 6 MV 광자선을 사용할 때 $S_{BM}$는 두께에 따라 각각 1.331, 1.519, 1.598, 1.641, 그리고 1.657이었다. 10 MV 광자선에는 각각 1.384, 1.662, 1.825, 1.913, 그리고 2.001이었다. BM의 효과는 bolus의 최대 76% 효율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Bolus를 밀착시키기 어려운 특정적 부위에 대해 BM은 그 대안으로써 효과적인 장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e evaluated the effect of scatter on a build-up region based on the measured percent depth dose (PDD) of high-energy photon beams that penetrated a handmade build-up modifier (BM) as a substitute of bolus. BM scatter factors ($S_{BM}$)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PDDs of photon beams that penetrated through the BM. The calculated $S_{BM}$ values were normalized to 1 at the square field side (SFS) of 30 mm without a BM. For the largest SFS (200 mm), the SBM values for a 6-MV beam were 1.331, 1.519, 1.598, 1.641, and 1.657 for the corresponding BM thickness values. For a 10-MV beam, the $S_{BM}$ values were 1.384, 1.662, 1.825, 1.913, and 2.001 for the corresponding BM thickness values. The BM yielded 76% of the bolus efficiency. We expect BM to become useful devices for deep-set patient body parts to which it is difficult to apply a bolus.

      • KCI등재

        2차원 배열형 이온함의 부피효과가 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선량분포 측정에 미치는 영향

        김성준,이승준,박인규,이정은,박신형,설기호,김재철,Kim, Sung Joon,Lee, Seoung Jun,Park, In Kyu,Lee, Jeong Eun,Park, Shin Hyung,Seol, Ki Ho,Kim, Jae Chul 한국의학물리학회 2013 의학물리 Vol.24 No.1

        부피효과를 가지는 2차원 배열형 이온함으로부터 측정된 세기조절방사선치료의 선량분포와 부피효과를 가지지 않는 장치로부터 측정된 선량분포를 비교함으로써 이 효과가 측정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였다. 조사면 크기에 따라 총 5개의 세기조절방사선치료계획을 5문 조사방식으로 가상의 팬톰에 시행하였다. 선량분포 측정은 매트릭스 팬톰, 빔 영상시스템, 필름 등 총 3가지 측정장치를 이용하였다. 측정된 값은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화치료계획 시스템을 통해 획득된 선량분포와 비교하였다. 비교된 선량분포는 분석프로그램 상에서 상관계수와 감마값을 통해 측정장치의 부피효과 유무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매트릭스 팬톰에서 최대 1.3% 이상으로 나타났다. 매트릭스 팬톰은 조사면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내부의 이온함에 의해 부피효과가 커지게 되므로 다른 측정장치에 비해 더 큰 측정오차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We evaluated the influence of volume effect on the measurement of IMRT dose distribution by comparing a 2D-array ion chamber and other dosimeters. Matrix phantom which is a 2D-array ion chamber having volume effect was compared with beam image system and film for the measurement of dose distribution. Five intensity-modulated radiation therapy plans were created using five fields in thevirtual phantom. The measured dose distribution was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one by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system and analysis program. We evaluated the conformity of dose distribution by calculating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gamma values. The highest error rate of 1.3% was associated with matrix phantom in which volume effect in small field sizes was substanti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