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전립선암과 전립선비대증 환자에서 혈청 유리 및 총전립선특이항원 측정의 의의

        서혁준,박형민,권태균,정성광,김법완,이재태 경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경북대학교병원의학연구소논문집 Vol.4 No.1

        Purpose: This study was peform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free to total PSA ratio(F/T PSA ratio) offers a better discriminant for the detection of patient with prostatic cancer(CaP) and those with benign prostatic hyperplasia(BPH) than serum total PSA alone.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1996 to February 1999, free and total PSA levels were measured on frozen sera samples of 154 men with BPH and 46 with CaP using immunoradiometric assay. Results: In all subjects, the mean total PSA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P group(72.57±66.58ng/ml) than BPH group(3.12±4.10ng/ml). The mean PS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P group(1.64± 1.86) than BPH group(0.08±0.01). The mean F/T PSA ratio was significantly lower in CaP group(0.19± 0.07) than BPH group(0.30±0.13). Among 41 subjects whose total PSA were between 4-20ng/ml, the mean PSA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aP group(0.37±7.16) than BPH group(0.17± 0.07), but the mean F/T PSA ratio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CaP(0.19± 0.10) and BPH group(0.25±7.13). By comparing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otal PSA alone, PSAD and F/T PSA ratio on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lic (ROC) Cutie in all subiects and subiects with total PSA between 4-20ng/ml, F/T PSA ratio had no superiority than total PSA alone and PSAD for discrimination between CaP and BPH. Conclusions: We suggest that the F/T PSA ratio is not superior to total PSA alone and FSAD in the detection of prostatic cancer, and further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F/T PSA ratio should be required.

      • SCISCIESCOPUS

        Effects of layer-by-layer assembled PEI/MWCNT surfaces on enhanced pool boiling critical heat flux

        Seo, Gwang Hyeok,Jeong, Uiju,Son, Hong Hyun,Shin, Doyoung,Kim, Sung Joong Pergamon Press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heat and mass transfer Vol. No.

        <P><B>Abstract</B></P> <P>Layer-by-layer (LbL) assembly is a versatile deposition technique for the fabrication of nanostructured thin films on a substrate. In this study, multilayers of poly(ethylenimine) (PEI) an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MWCNTs) were deposited onto a stainless steel surface. Since a substrate experiences notable changes in surfac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s during the LbL deposition process, resulting surface characteristics were thoroughly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randomly oriented porous structures were developed by the fibrous wires of MWCNTs. As a result, surface roughness increased by 20–30%, and surface wettability increased by 70% for all samples. Both roughness and wettability were improved as the bilayer number increased. After the surface modification process, pool boiling heat transfer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thermal margin achievable with the LbL deposition. Critical heat flux (CHF) enhancement was obtained as the number of bilayers increased, with the maximum enhancement evaluated at 94%. The enhancement was mainly attributed to the improved surface characteristics due to the formation of porous structures in the PEI/MWCNT layer. The comparison works with newly proposed CHF correlations supported the wicking effect on the CHF enhancements for the LbL-assembled test samples. Image processing results indicated a desirable structure for improved capillary action, which could affect further wetting to dry spots. High-speed bubble departure images were obtained from which a few msec reduction in rewetting intervals was observed for all LbL-assembled heaters.</P> <P><B>Highlights</B></P> <P> <UL> <LI> After LbL process, roughness and wettability were improved as the bilayers increased. </LI> <LI> LbL deposition of PEI/MWCNTs exhibited hydrophilic surfaces. </LI> <LI> Enhanced pool boiling CHF was observed with PEI/MWCNT-layered heaters. </LI> <LI> CHF enhancement was attributed to the improved wettability and porous structures. </LI> <LI> High-speed images of bubble departures demonstrated a reduced rewetting interval. </LI> </UL> </P>

      • KCI등재

        세계측지계 변환을 위한 공통점 선정방안에 관한 연구

        서혁준(Seo, Hyeok Jun),김준현(Kim, Jun Hyun) 한국지적정보학회 2016 한국지적정보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지적공부를 세계측지계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지적소관청 업무담당자의 판단이 적용될 공통점 선정에 관하여 좀 더 정확한 변환계수 산출 및 좌표변환으로 일필지 연결교차를 최소화하는 최적의 변환계수 산출을 위한 공통점 선정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른 선정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 RTK 측량 시 상공장애 없이 고정해 값을 얻기까지의 시간인 초기고정시간이 짧은 기준점을 공통점으로 선정하여야 한다. 둘째, 설치일자가 다른 재설치 기준점보다는 경계점좌표 등록당시 최초 설치한 기준점만을 공통점으로 선정하여 균질성을 일원화하여야 한다. 셋째, 사업지구 내의 공통점 분포가 특정부분으로 치우침 없이 외곽 및 중앙 등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공통점을 선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방안을 참고하여 향후 지적소관청의 변환사업 수행 시 공통점 선정업무에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suggested the method of common control point selection to minimize a more accurate conversion coefficient calculation and coordinate transformation for optimum transformation coefficients calculation about common control point selection that applies to the discretion of the cadastral competent agency business person in charge by conversion world geodetic system of cadastral record. According to this study results, the method of common control point selection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must be selected the initial fixed time is short reference point which is the time until the sky at the time of network RTK surveying failure fixed without to get the value to a common control point. Second, the date of the installation must be one of the reference points of the other reinstalled at the time coordinate registration of the boundary point the homogeneity selected which the first installation was a reference point only common control point. Thirdly, it must be selected common control point to the common distribution is evenly distributed like blur without outer and central to certain parts of the business district.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common control point selection work of reference when to perform the conversion business in the future of cadastral competent agency.

      • 1kW급 고분자 연료전지용 통합형 천연가스 개질 수소 제조 시스템의 성능 및 운전 특성

        서유택(Seo, Yu-Taek),서동주(Seo, Dong-Joo),서용석(Seo, Young-Seog),노현석(Roh, Hyun-Seog),정진혁(Jeong, Jin-Hyeok),윤왕래(Yoon, Wang-Lai)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6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0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는 가정용 고분자연료전지 열병합 발전시스템을 위한 통합형 천연가스 연료처리 시스템을 개발해 왔다. 가정용 시스템으로서 필수적인 소형화와 고효율을 현실화하기 위해, 연료처리 시스템의 각 단위 공정 즉 수증기 개질, 수성가스 전이, 선택적 산화 공정 등을 이중 동 심관형 반응기에 통합하여 상호 열교환이 용이하도록 반응기를 설계하였다. 현재 시험 운전 중인 Prototype-I 연료 처리 시스템은 1kW급 고분자 연료전지 열병합 발전 시스템에 개질 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기초 성능은 정격 부하 운전시 열효율 78% (HHV 기준), 메탄 전환율 91%이다. 개질 가스 내 일산화탄소 농도는 고분자 연료전지 전극의 피독을 피하기 위해 10ppm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며, Prototype-I 연료 처리 시스템은 백금과 루테늄 촉매를 적용한 선택적 산화 반응기를 통해 개질 가스 내 일산화탄소 농도를 10ppm 이하로 제거하였다. 일반 가정에서는 고분자 연료전지 시스템의 부하 변동이 예상되기 때문에 연료 처리 시스템의 부하 변동 운전 특성도 살펴보았다 정격 부하에서 80%, 60%, 40%로 부하를 변동하며 운전하였고, 각 부하에서 안정한 메탄 전환율과 10ppm이하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보였다. 80%까지는 열효율이 77%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60%에서는 76%, 40%에서는 72%로 열효율이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다 연료 처리 시스템의 일일 시동-정지 운전시 내구성을 테스트 중이다. 현재까지 50여회의 일일-시동 정지를 시도하였다 시동 후 약 세 시간가량의 정력 부하 운전을 실시한 후 부하 변동을 실시하였고, 총 운전 시간 8시간 정도 운전한 후 시스템을 정지하였다 메탄 전환율과 일산화 탄소 농도, 열효율을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초기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앞으로 일일시동-정지 운전 시험을 지속하면서 초기 시동 특성 및 부하 변동에 따른 응답 특성 개선, 그리고 연료전지와의 연계 운전을 실시할 예정이다

      • KCI등재

        반복삼축압축시험을 이용한 국내 모래지반의 액상화 거동 특성 비교

        서혁 ( Hyeok Seo ),김대현 ( Daehyeon Kim ) 대한지질공학회 2021 지질공학 Vol.31 No.4

        액상화 현상이란 지반이 포화된 느슨한 사질토 지반에 지진과 같은 동적하중이 급속히 작용할 때 과잉간 극수압이 발생하고, 지반이 유효응력을 상실하고 액체화 되는 현상을 말한다. 액상화 평가를 위한 실내 반복시험은 반복삼축압축시험과 반복전단시험을 통하여 확인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반복삼축압축시험을 이용한 모래의 상대밀도와 입도분포에 따른 액상화 저항 강도를 확인하고자 하였고, 실험장비의 신뢰도 검증과 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기존의 선행연구와 대조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실험결과, 흙의 분류에 상관없이 상대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액상화 저항 강도가 높아짐을 확인하였고, 모래의 입도분포에 따른 액상화 저항강도는 SW에 가까운 SP시료의 액상화 저항강도가 상당히 높게 확인되었다. 또한 세립분 0% 대비 세립분 30%를 분석한 결과, 상대밀도 40~70%까지 증가함에 따라 액상화 저항강도가 5~20% 가까이 감소하였고, 국내 풍화토 지반이 주문진 표준사 대비 액상화 저항 강도가 세립분이 10%일 때는 30% 이상, 세립분이 30%일 때는 50% 이상 낮게 측정되었다. Liquefacti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excessive pore water pressure occurs when a dynamic load such as an earthquake rapidly acts on a loose sandy soil saturated with soil, and the ground loses effective stress and becomes liquefied. The indoor repeated test for liquefaction evalua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repeated triaxial compression test and the repeated shear test.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d to confirm the liquefaction resistance strength according to the relative density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sand using the repeated triaxial compression test.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liquefaction resistance strength increased as the relative density increased regardless of the soil classification, and the liquefaction resistance strength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of the sand was confirmed that the liquefaction resistance strength of the SP sample close to SW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30% of fine powder compared to 0% of fine powder, as the relative density increased to 40~70%, the liquefaction resistance strength decreased by 5~20%, and the domestic weathered soil ground had a fine liquefaction resistance strength compared to Jumunjin standard sand. When the minute was 10%, it was measured to be 30% or more, and when the fine particle was 30%, it was measured to be less than 50%.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