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네시오 테이핑 적용 방식이 정상인의 척수운동신경원 흥분성과 뇌파변화에 미치는 영향

        배세현(Sea-Hyun Bae),김기도(Gi-Do Kim),김경윤(Kyung-Yo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1

        본 연구는 키네시오 테이핑을 적용하는 방식에 따라 나타나는 척수운동신경원의 흥분성과 뇌파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건강한 성인 16명을 대상으로 비복근의 테이핑 적용 방식에 따라 실험군 Ⅰ(n=8); 근육 주행방향, 실험군 Ⅱ(n=8); 근육 횡 방향으로 구분하여 2주간 실시하였다. 척수운동신경원 흥분성 측정을 위해 경골신경에 자극을 주어 H 반사를 획득하였으며, 뇌파는 β-SMR를 측정하기 위해 C3, Cz, C4에 활성전극을 붙여 테이핑 적용 전, 즉시, 1주일 후, 2주일 후에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Ⅰ의 척수운동신경원의 변화는 실험군 Ⅱ보다 α-운동신경원의 활성도가 감소하였고 지속 시간도 길었다(p<.05). 뇌파는 실험군Ⅰ의 β-SMR 활성도가 실험군 Ⅱ 보다 증가하고 지속시간도 길었다(p<.05). 근육 주행방향에 따른 적용 방식은 횡 방향 보다 β-SMR 뇌파를 더 활성화 시키며, 척수운동신경원의 활성도 감소를 지속적으로 유발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to evaluate the spinal motor neuron and electroencephalogram effects of applying different kinesio taping method therapy in normal people. The study was performed on 16 healthy adults. We divide two group; groupⅠ(n=8); Tape along muscle, group Ⅱ(n=8); Tape across muscle. Two different method taping were applied to gastrocnemius in two weeks. Spinal motor neuron measurement to evoke H-reflex, the posterior tibial nerve was stimulated. Electroencephalogram measurement for β-SMR, attached to active electrode C3, Cz, C4. The H-reflex, β-SMR results were measured before ,immediately, one week later and two week later after the apply ta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pinal motor neuron change of group Ⅰ were decreased α-motor neuron and the duration time longer than group Ⅱ(p<.05). Electroencephalogram change of group Ⅰ were increased β-SMR and the duration time longer than group Ⅱ(p<.05). Thus, we knew the taping along muscle was β-SMR brain wave more active and reduces the activity of spinal motor neuron.

      • 전북지역에서의 국내육성 감귤류 수체생육 특성

        김현정(Hyun Jung Kim),성문호(Mun Ho Seong),기세현(Sea Hyun Gi),김치선(Chi Seon Kim)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지구 온난화 영향에 의한 기후변화로 아열대작물의 재배 가능 지역이 남부지역부터 확대되어 이미 중부 내륙까지 북상했다. 전북 도내 주요 재배품종은 한라봉, 홍예향이며 2021년 기준 재배면적은 32ha로 정읍(11ha, 34..8%) > 김제(7ha, 20.4%) > 완주(5ha, 14.1%)순이다. 본 연구는 온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아열대 기후구의 경계가 점진적으로 북상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감귤이 기후변화 대응 신소득 작목으로 적합할 것으로 본다. 또한 국내에서 재배되는 감귤류 품종의 94%가 일본 품종이며 앞으로 만감류 재배 다양성 및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국내에서 육성한 신품종 중 전북지역에서 적품종을 선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품종별 수체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시험재료는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서 육성한 2년생 묘목 윈터프린스, 선킹, 미니향, 탐빛1호, 설봉미, 하례조생, 제라몬 7종을 ‘19, 3월에 익산시 시험포장 시설하우스에 정식하여 재배환경과 유목에서부터 품종별 수체생육을 검토하였다. ‘21년 개화 특성으로 품종별 만개기는 4월 중순으로, 만감류 설봉미와 온주밀감 계통 하례조생이 가장 빨랐으며 생리적 낙과종료기는 6월 중순이었다. 품종별 수체생육 특성으로 수관용적은 윈터프린스 품종(0.5(’19) → 10.7㎥(’21))이 다른 품종에 비해 가장 컸으며 탐빛1호(0.2(’19) → 3.1㎥(’21)) 가 가장 작았으며 주간두께는 정식 후 3년째 품종별 7~8배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신초길이는 윈터프린스, 제라몬 품종이 가장 길었으며 탐빛1호가 가장 작았다. 또한 윈터프린스와 설봉미 품종은 가시가 없었으며 나머지 품종의 가시길이는 2.4~3.5cm였으며 제라몬 품종이 가장 길었다. 이상의 결과로 윈터프린스 품종이 나무를 키우는 과정에서 빨리 커지고 그만큼 수관이 빨리 확대되면 착과될 수 있는 부위가 많아지게 되어 다른 품종에 비해 장점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오미자과 2속 3종의 잎 형질 및 광합성 특성

        김판기,이갑연,김세현,한상섭 한국농림기상학회 1999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 No.2

        Foliar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chisandraceae plants distributed in Korea were investigated to elucidate differences in growth and the variations of inter and intra species of the plants. For this study, three species of Schisandraceae plants were used; ⅰ) Schisandra chinensis, decidious broadleaved tree, ⅱ) S. nigra, decidious broad-leaved tree, including monoecious, male and female types, ⅱ) Kadsura japonica, evergreen broad-leaved tre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f length and width among three species, but leaves of Schisandra sp. plants were shorter and wider relative to those of K. japonica. The length of petiole of Schisandra sp. plants was greater than that of K. japonica and the difference was evident between female type of S. chinensis and K. japonica as longer as two times. Schisandra sp. trees showed larger size of stomata, but fewer numbers of stomata, compared with K. japonica. Although substantial changes in leaf morphology were not found in the Schisandraceae plants grown in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foliar length of K. japonica was seemed to be increased with increasing an altitude. Chlorophyll contents were also variable in inter and intra species and in general K. japonica showed higher levels of chlorophyll contents relative to Schisandra sp. plants. K. japonica also showed higher light compensation point(LCP), light saturation point(LSP) and CO_2 assimilation rates at LSP, compared with Schisandra sp. trees. However, Schisandra sp. trees showed lower respiration per photosynthesis rates at LSP. The finding suggested that Schisandra sp. trees were acclimated to the growth conditions of lower light intensity with more effective photosynthetic activity. This was also confirmed by the fact that Schisandra sp. plants grown in shading places of a forest demonstrated the elevated rates of net CO_2 assimilation under the conditions of low light intensity.

      • KCI등재

        흑오미자 자생 임분의 입지환경과 식생구조

        이갑연,김세현,김판기,신창호,한상섭 한국농림기상학회 1999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 No.2

        To propose basic information for natural resourc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strategy of Schisandra nigra Maxim., its habitat environment and vegetation structure of forest communities growing the species was investigated. Fourteen plots (each plot size 400 m^2) were set up at the distributed area of Cheju island, southern part of Korea. S. nigra is the economic useful species that scatteringly grows at 850~920 m in the western part, at 660~710 m in the northern part and at 750~1,250 m in the southern part of Mt. Halla. The community of S. nigra in Mt. Halla is the mixed secondary forest of pine and broad leaved trees that are mainly composed of Pinus densiflora, Quercus serrata, Styrax japonica, Lindera erythrocarpa and Carpinus laxiflora. The density in a main distribution sector of S. nigra appears in the range of 3~39 individuals per each 20×20 m plot. The distribution patterns by Morisita's Index showed that S. nigra was distributed randomly in all of the stands. The associa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following tree speci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 nigra. In other words, the following trees were appeared to require the same ecological niche together with S. nigra: Lindera erythrocarpa, Cornus waltri, Acer mono, and Styrax japonica.

      • KCI등재

        Differences of Wood Vinegar Ingestion and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s, MDA, and SOD Activities in Rats

        Jong-Suk Kang(강종석),Sea-Hyun Kim(김세현),Pan-Gi Kim(김판기),Dong-Woon Lee(이동운),Sungpil Ryu(류승필)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9

        본 연구는 운동훈련과 목초액의 장기섭취가 혈중 지질성분 및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8마리의 Sprague Dawley 수컷 쥐를 이용하여 대조군(CON), 운동군(EXE), 목초액섭취군(VIN), 그리고 목초액과 운동군을 병행한 군(VINEXE)으로 각각 7마리씩 구분하였다. 식이는 고지방식이(40%)를 기본으로 하였으며, 운동군은 4주간의 트레드밀 달리기하였으며, 목초액은 경구투여하였다. 목초액을 섭취하지 않는 집단에게는 동일한 양의 증류수를 경구투여하여 동일한 스트레스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체중의 변화는 운동 후반기에 CON에 비하여 VINEXE이 유의하게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지방량의 변화는 VIN 및 EXE군에서 유의한 상승의 억제가 나타났으며(p<0.05), VINEXE 역시 동일한 결과가 나타났다(p<0.05). 혈액성분 중 글루코스와 암모니아는 CON에 비하여 다른 집단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혈중 지질 중 TC, LDL-C는 CON에 비하여 다른 집단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VINEXE의 유의한 상승효과가 나타났다(p<0.05). HDL-C는 EXE와 VINEXE군에서 유의하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MDA 함량은 각각의 집단간 모두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며(p<0.05), SOD 활성은 VIN과 VINEXE가 다른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과 같은 결과를 볼 때 4주간의 운동을 하는 동안 목초액 섭취는 체중 증가 억제 및 혈중 지질성분의 개선, 그리고 지질과산화 억제로 나타나며,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and oak tree wood vinegar ingestion on the blood lipi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rats. The subjects were 28 Sprague Dawley male rats, and they were assigned into four groups (n=7, respectively): the control group (CON), the exercise group (EXE), the vinegar ingestion group (VIN), and the vinegar ingestion and exercise training group (VINEXE). The diet was based on high fat and oral administration of oak tree wood vinegar. The rats that were not given oak tree wood vinegar were given the same amount of distilled water orally in order to maintain the same level of stress. They were exercise trained on motor-driven treadmills during a four-week session. Weight changes in the VINEXE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in the later period of exercise, when compared to the CON (p<0.05). Fat increase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in VIN and EXE (p<0.05), and a synergistic effect was discovered in the VINEXE (p<0.05). Glucose and ammonia level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XE, VIN, and VINEXE compared to the CON (p<0.05). In blood lipids, TC and LDL-C were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EXE, VIN, and VINEXE compared to the CON (p<0.05), while HDL-C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EXE and VINEXE (p<0.05). Liver MDA content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each group (p<0.05), and SOD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VIN and the VINEXE when compared to other groups (p<0.05). Therefore, oak tree wood vinegar ingestion with exercise training for four weeks may result in inhibition of weight gain, improvement of blood lipids, and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contributing to health promo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