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항생제 혼합 시멘트 정을 이용한 장관골 감염성 불유합의 이단계 치료

        조세현,정순택,박형빈,황선철,하용찬,황인환 대한골절학회 2004 대한골절학회지 Vol.17 No.4

        목적: 장관골 감염성 불유합의 치료 시 항생제 혼합 시멘트 정을 이용한 이단계 재건술의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2년 9월까지 장관골 감염성 불유합으로 이단계 재건 수술을 받은 41예 (대퇴골 26예, 경골 1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단계 수술에서는 광범위한 변연 절제술, 부골 제거 및 세척술과 기존 고정 장치의 제거 또는 외고정 장치로의 교환을 시행한 후 시공 (dead space)과 불유합 주변 연부조직 내 항생제 혼합 시멘트 정을 삽입하였다. 임상적 감염 증상이 호전된 평균 8.7주 (3주~32주) 후 이단계 재건술로서 Ⅰ군은 내고정 장치 (금속판 5예, 골수강내 금속정 8예), Ⅱ군은 외고정 장치 (Ilizarov 25예, Monofixator 3예)로 각각 고정하고 17예에서는 골내 이동술이나 골 연장술을 시행하였다. 양군 모두 필요한 경우 골 이식과 시멘트 정의 교환을 추가하였다. 추시 기간은 16개월에서 최장 71개월로 평균 45개월 이었다. 치료 결과는 골유합 기간 및 Paley 방법에 의한 방사선상 골유합 상태와 하지 기능으로 평가하였다. 결과: Ⅰ군 13예 전부와 Ⅱ군 28예 중 26예에서 감염의 치료와 골유합을 얻었다. 이단계 재건술 후 골 이식술, 골 소파술, 외고정 핀 교환과 각변형 교정술, 피부 이식 또는 근육 피판 회전술 등의 보조적 시술이 Ⅰ군은 평균 2회, Ⅱ군은 평균 6.2회 추가되었다. 평균 골유합 기간은 Ⅰ군이 19.3주이고 Ⅱ군이 23.1주로 내고정군이 더 빨랐다. 방사선상 Paley 골유합 상태는 Ⅰ군이 우수 8예, 양호 5예이었고, Ⅱ군이 우수 18예, 양호 7예, 보통 1예, 불량 2예 이었다 (p=0.492). 기능적 결과는 Ⅰ군에서 우수 6예, 양호 6예, 보통 1예 이었고, Ⅱ군에서는 우수 10예, 양호 13예, 보통 3예, 불량 2예 이었다 (p=0.267). 결론: 항생제 혼합 시멘트 정의 골수염 치료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감염이 호전된 후 내고정 장치로 교환해 준 군이 외고정을 유지한 군에 비하여 추가 수술 횟수가 적고, 골유합 기간도 빨랐다. Purpose: To evaluate treatment results between internal na external fixation groups in two-stage reconstruction of infected nonunion of long bones using antibiotics-impregnated cement beads. Materials and Methods: In the first stage, preexisting hardwares were removed and radical debridement was done. The dead space was filled with antibiotics -impregnated cement beads and the nonunion sits was immobilized by external fixation, cast or skeletal traction. In the second stage, all cas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nonunion was fixed by internal fixation in group Ⅰ versus external fixation in group Ⅱ. The intervening perio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age was average 8.7 weeks (range, 3~23 weeks). Results: The follow-up period was average 45 months (range, 16~71 months). Infection control and bone union were achieved in all 13 cases of group Ⅰ. Infection recurred in two of 28 cases in group Ⅱ, one underwent above-knee amputation and the other case was lost in follow-up. The mean number of supportive operations including repeated curettage, augmentation and change of infected pins, angular correction, and soft tissue flap was average 2 and 6.2 times respectively in group Ⅰ and group Ⅱ. Bony union period was average 19.3 and 23.1 weeks in each group. According to Paley's classification, group Ⅰ was similar to group Ⅱ in bony and functional result (p>0.05). Conclusion: Antibiotics-impregnated cement beads provided positive effect on infection control. Internal fixation group showed less number of additional operations and earlier bony union than external fixation group.

      • 경골 골수정 고정술후 교합나사의 파단

        박형빈,강번중,송해룡,구경회,정순택,조세현 대한골절학회 2002 대한골절학회지 Vol.15 No.4

        목 적 : 경골 골절에서 골수정 고정술후 발생하는 교합나사 파단의 빈도와 발생 원인을 밝히고자한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3월부터 2000년 10월까지 골수정으로 치료하였던 경골 간부골절 82예중 내고정물 파단이 발생하거나 골유합이 이루질 때까지 추시 가능하였던 7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내고정물 파단 빈도와 위치, 골절의 양상, 술후 골절부 신연 및 골유합 이상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 과 : 교합나사 파단은 7예였고 (9.3%), 근위부 두 번째 나사의 파단이 가장 흔하였다. 교합나사으 ㅣ파단은 AO분류 B형과 C형 골절, 술후 골절부가 신연된 경우, 개발성골절, 자연유합 및 불유합의 경우 발생하였다. 결 론 : 교합나사 파단의 주된 요인은 골절부의 골과 골 접촉이 불안정하기 때문이며, 개방성 골절, 지연유합 및 불유합도 교합나사 파단의 위험인자라고 생각한다. 교합나사 파단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수술시 골절부 신연을 피해야하며 골절부 골접촉이 불안정한 경우 완전 체중부하를 골유합시까지 제한하여야할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the causes of crew breakage in tibia nailing.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1995 and 2000, eighty-two tibial diaphyseal fracture were treated with interlocking nails. The loss of follow-up was 7 case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seventy-five cases. We investigated the rate and location of metal failure and evaluated the fracture pattern, the presence of distraction after nailing and union abnormality. Results : Screw breakage was identified in seven cases (9.3%) and most frequently occurred on the second proximal locking screw. Screw breakage occurred in AO type B or C type fractures, fracture site distraction after nailing, open fracture, delayed union and nonunion. Conclusion : The main cause of screw breakage is unstable bone to bone contact on the fracture site caused by comminution of distraction. The open fracture, delayed union, and nonunion also contributing factors for screw breakage. For preventing screw breakage, it is necessary to avoid fracture site distraction and delay full weight bearing in cases having unstable fracture site contact.

      • 빅데이터 기반 가상화폐 공시 분석 AI 연구

        정용빈 ( Yong-bin Jeong ),안상훈 ( Sang-hun An ),이세욱 ( Se-uk Lee ),박현성 ( Hyun-sung Park ),이도윤 ( Do-yun Lee ),이효경 ( Hyo-kyung Lee ),안정운 ( Jeong-wun An ),고진광 ( Jin-gwang Koh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2

        인터넷 가상화폐 거래소에 게시되는 공시를 분석하여 향후 게시된 공시가 가상화폐 가격에 줄 영향을 예측해보고자 한다. 과거 게시된 공시 데이터를 바탕으로 딥러닝을 이용해 영향치를 도출해낸다. 프로그램은 Python 언어로 작성하였으며, django 웹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결과치를 보여줄 수 있는 웹 사이트를 구현하였다. 또한 공시를 통합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새로 게시되는 공시가 해당 가상화폐의 가격에 줄 예측치를 분석하였으며 해당 공시가 가상화폐의 가격에 어떻게 영향을 줄지 쉽게 판단할 수 없는 사용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고로슬래그를 대량 활용한 비정질 금속 섬유보강 투수블럭의 시제품 성능평가

        김도빈 ( Kim Do-bin ),김영욱 ( Kim Young-uk ),김성진 ( Kim Sung-jin ),김혜정 ( Kim Hye Jeong ),정수빈 ( Jeong Su Bin ),최세진 ( Choi Se-jin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 한국건축시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17 No.2

        This study analyzed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characteristics and the permeability coefficient of the trial product of amorphous metallic fiber reinforced porous block using high volume blast furnace slag powder

      • KCI등재

        Houttuynia cordata Thunberg exhibits anti-tumorigenic activity in human gastric cancer cells

        ( Se Chul Hong ),( Hyun Ji Eo ),( Hoon Min Song ),( So Hee Woo ),( Mi Kyeong Kim ),( Jin Wook Lee ),( Jeong Min Seo ),( Su Bin Park ),( Jung Hye Eom ),( Jin Suk Koo ),( Jin Boo Jeong ) 대한본초학회 2013 大韓本草學會誌 Vol.28 No.6

        Objectives: Gastric cancer is a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deaths, worldwide. Houttuynia cordata Thunberg (H. cordata) has been used as a medicinal plants and it has an anti-cancer activity in human colorectal cancer and leukemic cancer. However, the potential anti-cancer activity and mechanisms of H. cordata for human gastric cancer cells have not been tested so far.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biological effects of H. cordata on the human gastric cancer cell line SNU-1 and AGS. Methods: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and cell cycle by H. cordata was carried out by MTT assay and Muse cell cycle analysis and the expressions of protein associated with apoptosis and cell cycle regulation were investigated with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In MTT assay, the proliferation of SNU-1 and AGS cell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H. cordata in a time and dose dependent manne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by H. cordata was in part associated with apoptotic cell death, as shown by changes in the expression ratio of Bax to Bcl-2 by H. cordata. Also, H. cordata regulated the expression of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s such as pRb, cyclin D1, cyclin E, CDK4, CDK2, p21 and p15. Conclusion: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H. cordata on SNU-1 and AGS gastric cancer cells revealed in this study suggests that H. cordata has intriguing potential as a chemopreventive or chemotherapeutic agent.

      • KCI등재
      • A Study on Physiological Signals While Driving in Long Tunnels

        Se Jin Park,Eun Hee Jeong,Seong Bin Park,Si kyung Kim,Ahmed Mostayed 한국자동차공학회 2008 한국자동차공학회 Symposium Vol.2008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states of optimal and safe driving condition by measuring various physiological signals such as EEG, EOG, ECG, GSR and SKT while driving in long tunnels. During driving through long tunnels on express highways, some problems may occur. So Experiments are conducted in Juk-Ryoung tunnels that are located in Korea and Kanetzu tunnels in Japan. We investigated some problems generally occurred from corner segment from Juk-Ryoung tunnels and the effects of delineation systems from Kanetzu tunnels along with tendency to sleepiness in long time driving. As a result of this study a driving simulator is used to simulate driving inside a tunnel and changes in physiological signals are recorded.

      • KCI등재

        흉추 및 요추 골절의 장분절 척추 고정술 및 단분절 척추 고정술의 비교분석

        정순택,조세현,송해룡,구경회,박형빈,정운화 대한척추외과학회 1999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6 No.1

        연구계획 : 척추골절의 치료를 위한 내고정시 사용되는 장분절 고정과 단분절 고정의 임상적 결과 및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후향적 연구를 계획하였다. 연구목적 : 장분절 고정술과 단분절 고정술 사이에 역학적 견고성과 골절의 정복력, 신경학적 회복 정도와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부터 1997년까지 척추의 외상 환자중 후방도달법에 의한 척추경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한 54명 을 대상으로 장분절 고정군과 단분절 고정군으로 구분하였고 단분절 고정술의 경우 골절된 추체에도 척추경 나사 못을 삽입하였다. 단분절 고정군은 35례로 평균 1년 8개월 추시하였고 장분절 고정군은 19례였으며 평균 2년 7개월까지 추시하였다. 결과는 단순 방사선사진에서 전방추체 높이의 변화, sagittal index, 및 신경학적 회복정도를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장분절 고정군에서 전방추체 높이는 술전 50.7%, 술후 78.7%, 최종 추시상 74.9 %이었고, 단분절 고정군에서 는 각각 59.7%, 79.3%, 및 77.7 %로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 Sagittal index는 장분절 고정군에서 술전 17.5。, 술후 6.7。, 최종 추시상 8。였으며 단분절 고정군은 19.9。, 10.4。, 및 12.1。로 차이가 없었다. 다른 임상결과도 양군간의 차이 는 없었다. 신경증상이 발생한 36례중 22례에서 Frankel분류에서 1등급 이상의 회복이 있었다. 결론 : 흉요추 및 요추 골절의 수술적 치료시, 골절된 추체를 포함하여 상하위 1추체씩 고정하는 추경나사못 사용 단분절 고정술이 권장할 만한 수술방법으로 사료된다. Study design : A retrospective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clinical result and difference between short segment and long segment fixation, which was undertaken by posterior approach for thoracic and lumbar spine fractures. Objective : To determine and compare the mechanical maintenance and ability of correction, and clinical and neurologic recovery between short segment and long segment fusion group. Summary of Background Data : The long segment instrumentation is a cause of decrease of motion segment in thoracic and lumbar spine. In short segment fusion, screw failures were reported. Materials and Methods : From 1989 thorough 1997, 54 patients who had been operated on by the posterior approach with transpedicular screw fixation for spine injuri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authors applied the short segment transpedicular instrumentation including fractured vertebra. Short segment group included 35 cases, and long segment group, 19 cases.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one year and eight months for short segment group, two years and seven months for long segment one. The results were evaluated by comparing the anterior vertebral height, sagittal index in simple roentgenogram and neurologic recovery. Results : The average of anterior vertebral height which was 50.7% at preoperation, became 78.7% after the operation and measured 74.9% at final follow-up in long segment fusion group, while in short segment fusion group it was 59.7%, 79.3% and 77.7%, respectively. The average of sagittal index of 17.5°at preoperation became 6.7°after the operation, and measured 8。 at final follow-up in long segment fusion group, while in short segment fusion group it was 19.9。, 10.4。, and 12.1。, respectively. Overall clinical results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f the thirty-six patients with neurologic deficits, twentytwo improved by over the one Frankel grade. Conclusions : The authors conclude that the short segment transpedicular instrumentation including fractured vertebra is a successful method of thoracolumbar and lumbar burst frac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