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심박과 언어를 활용한 특정 장소에 대한 인간의 감정 유추 연구

        박상선(Sangsun Park),정동녘(Dongnyeok Jeung),노지영(Geeyoung Noh),조준동(Jundong Cho)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2

        본 연구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인간의 감정을 측정하는 연구와 연결되는 선행연구로서 핵심 주제는 인간의 감정을 측정하고, 감정 모델에 따라 분류하는 것에 HRV 데이터와 언어(verbal)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는 것을 중심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장소와 분위기의 공간의 사진을 사용자에게 투영하고 그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의 심박에 따른 감정을 분류하고 사용자의 감정을 유추한다. 실험 후에 다시 사용자가 실험 중 본 사진에 대한 느낌을 5 점 척도로 설문하였고, 분석된 실험 결과와 대조하여 사용자의 감정과 대조하였다. 실험의 결과로 5 개의 실험군에서 3 개의 감정 일치와 2 개의 유사 일치를 이루었다. This research is the device and Bio-data mining to infer the emotions of the human study. In order to measure the human emotions, the HRV data of human is very important and easy way to obtain the Bio-Data. By classifying emotions by heartbeat of the user to be projected to the user space and atmosphere different locations varies accordingly, the experimental method accessed estimates the emotion of the user. It validated that the experiment after the user questionnaire with 5 point scale. After the experiment ended. We compared the results of a survey with the inferred emotion. In experimental results it made 5th emotion reflected user intention. In result of experiment, The correction of emotion inferred rates is 3 of 5 and the other 2 experiments also closed similar area.

      • KCI등재

        협동조합과 공급사슬 협력

        박상선(Sangsun Park),이문희(Moonhee Lee),이준겸(Joonkyum Lee) 한국생산관리학회 2015 한국생산관리학회지 Vol.26 No.3

        최근 한국의 협동조합은 양적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으나, 질적인 면에서는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의 협동조합들이 이 같은 어려움을 겪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사업체로서의 협동조합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다. 이 같은 관점에서 지금은 경영학 관점에서 협동조합을 이해하고 연구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우리는 특히 공급사슬관리의 관점에서 협동조합 분석을 시도하였는데, 공급사슬관리의 연구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공급사슬의 협력이 한국의 협동조합 공급사슬에서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협동조합 원칙의 이해와 실천이 공급사슬의 협력의 실행에 영향을 주는지, 또 이러한 협력의 실행이 실제 협동조합의 공급사슬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한국의 협동조합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 결과, 협동조합의 공급사슬 협력은 협동조합의 원칙을 기반으로 하는 협력적 문화와 실제 협력의 실행,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는 점을 밝혔고, 이러한 공급사슬 협력의 실행이 협동조합의 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얻었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dramatic growth in the number of co-operatives in Korea. However, with this rapid expansion of co-operatives, they are also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qualitative aspects. One of the reasons for these difficulties is the lack of a business perspective in managing the co-operatives. Therefore, it is important and timely to understand and study co-operatives from a business administrative perspective. By focusing on analyzing co-oper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supply chain management, we investigate the role of collaboration in the supply chain of co-operatives in Korea. In particular, we study the impact of understanding and implementing the principles of co-operatives on the degree of collaboration practice and the performance of co-operative supply chains. Based on an empirical study using a sample of co-operatives in Korea, we show that the drivers of collaboration in co-operative supply chains consist of two stages of components: collaborative culture based on the principles of co-operatives and the actual practice of collaboration. We also show that the practice of collaboration affects the supply chain performance of co-operatives.

      • KCI등재

        사회적경제 조직의 공급망 협력과 성과

        박상선 ( Sangsun Park ),박지호 ( Jiho Park ),이준겸 ( Joonkyum Lee ) 한국중소기업학회 2020 中小企業硏究 Vol.42 No.4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적경제 조직을 대상으로 공급망 협력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협력은 대다수 국내 사회적경제 조직이 가지고 있는 신생과 소규모의 불리함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회적경제 조직에 관한 연구들은 협력과 성과 간의 관계를 개념적으로 다루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사회적경제 조직의 공급망 협력 활동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실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공급망 협력을 협력의 문화와 협력의 실행, 두 단계로 구조로 나누고, 이 구조를 통해 사회적경제 조직의 협력이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99개의 사회적경제 조직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PLS구조방정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경제 조직의 협력의 문화가 협력의 실행에 정(+)의 영향을 주고, 협력의 실행이 공급망성과에 정(+)의 영향을 준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경제 조직의 협력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공급망 이론을 바탕으로 실증했다는 점과, 공급망 이론의 적용 범위를 시장경제 조직을 넘어 사회적경제 조직까지 확장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supply chain collaboration on performance in social economy in Korea. Collaboration is an effective metho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newness and smallness of domestic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Nevertheless, most research on social economy examined conceptual relationship between collaboration and performance. Hence, this study focuses on empirically demonst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y chain collaboration and performance in social economy. We identify two steps of supply chain collaboration structure, i.e., collaboration culture and collaboration implementation, and establish a research model to analyze the impact of collaboration of social economy organization on performance. Based on responses to a survey of 99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we test the hypotheses in the theoretical model using P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 shows that both the effect of collaboration culture on collaboration implementation and the effect of collaboration implementation on performance are significant.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social economy literature by empirically investigating the impact of collaboration in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on performance based on supply chain theories, and by expanding the application scope of supply chain theories to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 스마트 워치 사용 환경에서 랜드마크형 길 찾기 GUI 연구

        박상선(Sangsun Park),강시내(Sinae Kang),김은아(Eunah Kim),이동욱(Dongwook Lee),박성원(Sungwon Park),조광수(Kwangsu Cho)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2

        본 연구는 인간의 길 찾기에 대한 공간적 지각 능력을 고려하여 기존의 지도 APP 서비스의 길 찾기 GUI 보다 더욱 효율적인 사용자 중심형 길 찾기 GUI를 제안한다. 또한, 이를 스마트 워치에 적용하여 더욱 편리하고, 능률적인 길 찾기 GUI의 형태에 일련의 가이드라인을 만들고자 한다. 연구의 핵심이 되는 스마트 워치에 탑재된 지도 APP 형태의 길 찾기 GUI는 연구 참여자들이 공동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안된 랜드마크형 길 찾기 GUI는 교통 표지판과 같이 사용자가 방향과 기준이 되는 랜드마크 만을 가지고, 방향을 찾는 것에 초점을 두어 제작한 것 이다. 이를 통해 인간 본연의 시각과 방향적 정보로 길을 찾는 방법을 제시한다. 총 6명 20대의 남, 여 의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는 기존의 지도 APP의 GUI에 따른 길 찾기와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랜드마크형 길 찾기 GUI를 비교하여, 도보로 동일한 실험 지역을 이동하게 함으로써 길을 찾는데 걸린 시간과 디스플레이 확인 횟수, 오류가 발생한 횟수를 측정 하였다. 실험 결과 기존의 지도 APP의 GUI에서 제공하는 길 찾기는 사용자가 길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전체의 맥락을 이해하며 찾아가는데 강점을 보였으나 길을 잃거나 정확한 골목길을 찾아가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랜드마크형 길 찾기 GUI는 단계 별 과정을 랜드마크를 통해 이해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좁은 길을 찾는 것에 큰 강점을 보였다. 랜드마크형 길 찾기 GUI가 길을 찾는데 걸린 시간은 기존의 지도형 GUI가 길을 찾은 시간에 비해 빠르게 목적지에 도착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landmark type wayfinding GUI in smartwatch. The proposed method is more efficient than the existing wayfinding GUI such as google maps. Human’s for smart watch since the smart watch has smaller size display than suggest landmark-based approach which is one of the best way to human centered wayfinding. Our experimental results compares our wayfinding GUIs with Google maps. We time, accuracy and the number of displays we need to see. In our experiments,our approach has a significant advantage for the wayfinding of narrow roads, and find the destination in shorter amount of time.

      • KCI우수등재

        보완적 혁신의 확산

        박철순(Chulsoon Park),박상선(Sangsun Park) 한국경영학회 2014 經營學硏究 Vol.43 No.6

        Many high-technology industry offers products or services which can be complemented by the other products, services, or contents. For example, the sales of a new digital device can be promoted by killer apps and a new application can penetrate market faster due to the wide-spread devices. It is called as “complementary innovation”. eBook industry is one of complementary innovations in which contents provider and terminal provider are complementers. Because of the complementarity among players, it is hard to predict the innovations diffusion and to suggest the market penetration strategy for each providers. Additionally, in a eBook industry, digital right management (DRM) makes the problems more complex. This article suggests an agent-based model for an eBook industry and brings several propositions based on simulation results. First, in a complementary innovation there exists a critical point of investment for software (or contents) provider that makes the market fail. In other words, unless the software (or contents) provider invest to push the appropriate quality of software (or amount of content) to the market, the market is saturated earlier with lower adoption rate. Second, in a complementary innovation the return on investment of the hardware provider diminishes. Therefore, there exists an optimum level of investment for the hardware provider. Finally, the effect of the digital right management on the diffusion of digital contents depends on the strategy of contents provider. Only when the contents provider pushes contents to market passively, the digital rights management can be effective in terms of high adoption rate and short payback period. This research shed little light on the penetration strategy for each player which participates in the complementary innovation.

      • KCI등재

        디자인씽킹을 도입한 학부과정의 융합교육 사례 -교수설계의 관점을 중심으로-

        이상선(주저자) ( Sangsun Yi ),김동민(공동저자) ( Dongmin Kim ),김미희(공동저자) ( Mihui Kim ),김수찬(공동저자) ( Soochan Kim ),김한중(공동저자) ( Hanjoong Kim ),박경문(공동저자) ( Kyongmoon Park ),이인석(공동저자) ( Inseok Lee ),이상선(교신저자) ( Sangsun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1

        연구자는 연구자 소속 대학의 학부과정에서 2012년부터 3년간, 3학년을 대상으로 융합교육을 시행하였다. 특히, 2014학년도에는 디자인씽킹을 융합교육에 적극적으로 도입함으로써 교수법에 큰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는 학부과정에서 프로젝트 기반으로 학제 간 융합교육을 하고자 할 때, 교수자가 참고할 수 있는 수업운영과정을 시간순으로 다룬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지난 융합교육을 성찰하고, 둘째, 융합교육의 준비, 시행, 후속 단계에서 디자인씽킹을 적용해본 교수자의 경험을 기술한다. 또한, 융합교육을 계획할때 고려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융합교과목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자의 제한된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는 한계가 있다. 이 연구가 교과목 차원에서 융합교육을 시행하고자 하는 교수자에게 참고자료로서 역할을 하고, 교수자 간의 융합교육과 관련된 논의를 촉진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searcher has implemented interdisciplinary education curriculum for the junior class at college the researcher belongs to, for 3 years since 2012. In 2014, the researcher implemented ‘design thinking’ which contributed to improvement of teaching method. The research suggests procedure and ways of running project based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that professors can refer to. The research first reviews last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and second, describes the researcher’s experience of preparing and running interdisciplinary education. Also, it provides details of how ‘design thinking’ was implemented in curriculum. Furthermore, the research explains what professor should consider when carrying out an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This research is mainly a report of case of running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Moreover, this research may have limits since it is only based on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Yet, the researcher wishes that the research may promote sharing experiences and discussion between researchers. Also, the researcher expects professor planning to carry out interdisciplinary curriculum to learn from this research.

      • KCI등재

        제조기업의 유연성과 성과 간의 관계

        박철순(Chulsoon Park),박상선(Sangsun Park) 한국생산관리학회 2011 韓國生産管理學會誌 Vol.22 No.2

        Using survey data of 193 firms from 22 manufacturing industries, we empirically show that manufacturing flexibility is composed of two hierarchical constructs: internal flexibility and external one. A structural equations model provides evidence that an organizational effort to improve the flexibility by a firm enhances the internal flexibility and this improves the external one sequentially. We als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flexibility and two dimensions of business performance – new product development(NPD) and financial performa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xternal flexibility not only directly enhances the financial performance but does indirectly through the NPD performance, which confirmed the mediating role of NPD performance between flexibility and financial performance. Finally, we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an external variable(quality requirement level of marke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ufacturing flexibility and business performances. The results suggest that NPD performance promotes financial performance in the higher level of quality-required market. 본 연구는 제조업의 생산유연성이 단계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지와 조직차원의 노력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생산유연성이 획득되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생산유연성이 기업의 여러 성과 차원과 어떤 관계를 갖고 있으며, 그 관계가 시장의 품질 요구 수준에 따른 조절효과의 영향을 받는지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제조업의 22개 업종, 193개의 기업이었으며 분석 결과, (1) 생산유연성은 내부와 외부 생산유연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내부 생산유연성이 외부 생산유연성을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2) 생산유연성을 높이려는 조직차원의 노력은 내부 생산유연성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지만, 외부 생산유연성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키지는 않음을 확인하였다. 생산유연성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는, (3) 생산유연성이 신제품개발 성과와 재무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신제품개발 성과를 매개로 간접적으로 재무성과를 향상시킴을 확인하였다. 특히 (4) 신제품개발 성과와 재무성과간의 관계에 시장의 품질요구수준이 조절효과를 준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 김치 양념의 분리저장 효과

        박정난;나영아;이상선 한양대학교 2004 韓國 生活 科學 硏究 Vol.- No.2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parate preservation of Kimchi-yangnyum during storage period.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changes of Kimchi and Kimchi-yangnyum were investigated during 30-day preservation at 4℃. The changes in pH and total acid of Kimchi-yangnyum were slower than those of Kimchi. The pH and acid content of Kimchi-yangnyum were not changed significantly. The change of total viable cell and lactic acid bacteria numbers of the Kimchi-yangnyum were insignificant. The fermentation was retarded by preservation of Kimchi-yangnyum separat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eparate preservation of Kimchi-yangnyum can be effectively used for extension of shelf-life of Kimch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