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시각장애인의 시각미술품 감상을 돕기 위한 촉온도 인지기반의 색상 인식 방법

        조길상(GilSang Cho),조성기(SungGi Jo),조준동(JunDong Cho)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본 연구는 기계 학습 중 비 지도 학습의 일종인 K-평균 군집화(K-means Clustering) 알고리즘를 사용하여 자동으로 회화를 분석하여 컬러-온도 매칭을 통해 컬러 이미지를 온도 이미지로 변환시켜 시각장애인의 시각미술품 감상을 돕기 위한 촉온도 인지기반의 색상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 KCI등재

        시각장애인의 미술 작품 감상 시 정보 획득 요구 분석

        박경빈(Gyeongbin Park),조준동(Jundong Cho),이상원(Sangwon Lee)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0 시각장애연구 Vol.36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과 비시각장애인이 미술 작품 감상 시 작품과 관련하여 추가로 알고 싶은 정보 유형은 무엇인지 요구를 분석한다. 특히, 시각장애인은 선천적 전맹인, 후천적 전맹인, 저시력인 그룹으로 분류하고 그룹별 그 요구를 분석한다. 연구방법: 온라인 환경에서 오디오 해설 또는 시각적 자료를 통해 미술 작품을 감상한 시각장애인, 비시각장애인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접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시각장애인은 작품 내 소재들의 구체적인 배치정보, 형태 및 색감의 묘사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시각장애인은 해당 정보들에 대한 요구가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다른 정보 유형에 비해 작가의 의도와 관련한 정보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인공지능 도슨트 개발 시 음성 답변을 디자인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Purpose: In this study, what type of information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nd sight wanted to know was investigated when they appreciated an artwork. In particula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were classified into people with congenital, acquired visual impairments, and partial vision, the needs of each group was examined. Metho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participa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sight who enjoyed artwork through audio explanations and visual materials, respectively, in an online environment. Results: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had high demands for detailed arrangement, shape, and color description of elements of the artwork. However, people with good eyesight have little or no need for them, but they have high demands, especially for an artist s purposes to produce the artwork.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used to guide the design of voice responses when developing AI docents.

      • 타이밍이 고려된 배치를 위한 기하적인 제약조건 탐색

        이재훈(Jaehoon Lee),조준동(Jundong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C

        고성능 VLSI 설계 시 배치 후를 포함한 전체적인 설계 과정이 완성되기 전까지는 물리적인 정확한 설계의 특성은 배치 단계에서는 알기 어렵다. 따라서 주어진 성능 (시간적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즉, timing-driven placement (타이밍이 고려된 배치)는 1.0 미크론 이하의 초미세한 설계에서 중요하게 되었다. 타이밍을 고려한 배치는 초기 레이아웃 디자인 단계에서 타이밍 제약조건에 의해 디자인 반복을 줄인다. 하지만 대부분의 배치 단계의 디자인 모델은 배치단계에서 기하학적인 면을 고려하여 최대허용 지연시간 (slack 이라고 부름) 과 같은 물리적인 디자인 효과를 분석하기 어려운데 이것은 물리적으로 정확한 특성이 이 단계에서 알려지지 않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하적인 요소를 고려한 slack의 재분배의 이점을 이용하여 허용 지연시간 처리의 혁신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접근법은 timing-closed 솔루션을 쉽게 찾는데 도움을 주고 이는 디자인을 반복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한다.

      • FOTA에서 Scatter Loading의 최적화 방법 연구

        이희영(Heeyoung Lee),조준동(Jundong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D

        FOTA는 무선기능이 장착된 Mobile Device에 새로운 Software에 대한 알림기능이 도착하면, Software가 탑재된 서버에 접속하여 Software를 Download 받고, 그 Download한 Software를 Upgrade 하는 기능을 말한다. FOTA 기능을 장착하기 위해서 Mobile Device는 Delta Package의 사이즈를 최소화 하기위한 특별한 Binary 구조를 가지는데, 두 Binary 의 차이를 압축한 것을 Delta Package라고 부르며, Binary 사이에 Upgrade를 위한 여분의 Gap을 두어, 향후 수정된 내용이 있을 때, 수정사항을 공간 내에 포함할 수 있도록 한다. 바이너리를 구성하는 Object들이 Image내에 어떤 위치에 포함될 것인지를 결정하는 Scatter Loader에 따라, Binary의 구조 및 확장성, Delta의 크기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것은 Object의 Type이나 Scatter Loading File내에서 명시한 순서와는 관계가 없고, Execution Region의 분할 개수를 늘릴수록, 각 Object의 Dependency 별로 묶을수록 Delta Size가 작아지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조건이 Delta Size에 미치는 원인에 대해 분석하고, Scatter Loading File을 최적화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연구한다.

      • 사운드를 활용한 예술작품 감상 접근성 향상에 대한 연구

        정하영(Hayoung Jeong),정재호(Jaeho Jeong),조준동(Jundong Cho) 한국HCI학회 2020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2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으로만 감상하던 예술작품이 아닌 청각을 더하여 다중 감각을 활용한 작품 감상을 제안하며 작품 당시의 배경을 고려하여 유사한 환경에서 작품에 표현된 대상들을 사실적으로 표현한 앰비언스 사운드와 작품의 분위기에 맞는 정서적인 배경 음악을 제작하였다. 작품에 적용된 앰비언스 사운드가 작품 내의 대상 이미지와 적합하게 표현되었는지에 대해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사용성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앰비언스 사운드와 배경 음악을 제작하여 6채널 스피커를 이용하여 배치함으로써 작품을 감상하는 데 있어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감상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감상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작품 감상에 미적 경험을 보다 풍성하게 경험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더 나아가 시각장애인들도 사운드를 통한 시각이 아닌 다른 감각으로 작품을 이해할 수 있으며 예술작품 감상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자기계발의 지속성을 위한 실물 성장 아바타 시스템 제안

        이성구(Seonggu Lee),이은미(Lee Eunmi),조준동(Jundong Cho)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현대 사회에서 자신에게 자기계발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다. 그래서 자기계발을 돕기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이 이미 존재하나, 이 스마트폰 가상 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 활용은 지각된 어포던스의 관점에서 접근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어포던스를 확보하고,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를 더하여 지속적인 자기 계발을 돕는 실제 환경에서의 성장 아바타 시스템을 제안한다.

      • Leap Motion 을 활용한 학습 환경에서의 제스처 인식 인터페이스

        구본창(Bonchang Koo),김준호(Joonho Kim),조준동(Jundong Cho) 한국HCI학회 201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2

        자연스러운 사용자 조작환경이라고 할 수 있는 NUI(Natural User Interface)는 마우스나 키보드와 같은 간접적인 입력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센서를 이용하여 신체를 바로 입력장치로 사용한다. 이러한 이유로 NUI 는 CLI(Command Line Interface)나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비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NUI 의 영역에는 Voice Interface, Sensory Interface, Touch Interface, Gesture Interface 등이 있다. NUI 의 요소 기술 중 제스처 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NUI 의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비해 보다 직관적이고 간단하다. 본 논문에서는 손동작을 3D 형태로 캡쳐하여 분석 후 애플리케이션에서 모션 컨트롤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인 Leap Motion 을 이용하여 새로운 제스처 인식인터페이스 모델을 제안한다. Leap Motion 을 이용하여 연필이나 펜의 심 부분을 트랙킹하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이다. 사용자가 연필이나 펜을 가지고 정해진 제스처를 취하면 원하는 기능이 바로 수행된다. 키보드, 마우스 및 필기구를 동시에 이용하는 학습환경에서 세 가지 입력장치를 번갈아 가며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집중력을 흐트러뜨리기 쉽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제스처 인식 인터페이스는 데스크톱 컴퓨팅 환경에서 최소의 입력장치로 사용자의 작업효율을 극대화한다. NUI(Natural User Interface) which means a natural user manipulation environment uses body as an input device by u sing a sensor, without using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or a keyboard. For these reasons, it has a feature that can be used easily as compared to CLI or GUI. There are Voice Interface, Sensory Interface, Touch Interface, and Gesture Interface in the field of NUI. Compared to other technologies of NUI, gesture based user interface of NUI is more simple and intuitive. In this paper, we propose new gesture based interface model using Leap Motion. The point of this study is that the core part of the pencil or pen tracking using Leap Motion. If user make a defined gesture with a pencil or pen, a desired function is executed immediately. If user is using combined input devices, such as keyboard, mouse and writing materials, for learning environment, it can disturb concentration of user. This paper propose an action recognition based interface for desktop computing environment using leap motion which can improve user"s work effici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