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GFP유전자를 이용한 대목용 박 형질전환

        임미영,박상미,권정희,한상렬,신윤섭,한증술,한지학,Lim, Mi-Young,Park, Sang-Mi,Kwon, Jung-Hee,Han, Sang-Lyul,Shin, Yoon-Sup,Han, Jeung-Sul,Harn, Chee-Hark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6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3 No.1

        박과 (Cucurbitaceae) 작물에서 박 (Lagenaria siceraria Standl.)은 식용뿐만 아니라 주로 저온 신장성의 확보와 토양전염성 병해를 회피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수박의 대목으로 많이 사용된다. 유전공학 방법을 이용한 토양병 내성이 증대된 신품종 개발이 필요한 요즘 박 형질전환체 개발의 효과적인 시스템 확립을 위하여 식물형질전환 연구에 매우 효율적으로 이용되는 마커인 GFP 유전자를 도입하였다. 실험재료로 이용된 박 계통은 9005, 9006 및 G5였으며, 신초 유기를 위한 선발 배지는 3.0 mg/L_ BAP + 100 mg/L kanamycin +500 mg/L cefotaxime + 0.5 mg/L $AgNO_3$, pH 5.8이었다 박 선발배지에 치상된 자엽 절편체는 3주 정도 지나면 절단면 즉 치상 부위에서 작은 돌기들이 발생하였고, 갈수록 절편체는 갈변하여 고사하였다. 선발된 개체에서는 신초가 발생하였으며 선발 후 7주가 경과하면 pot로 이식하여 발근된 완전한 식물체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실험결과 박 형질전환 시 genotype에 따른 신초 발생률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는데 계통 9005의 경우 신초 발생율이 0.0%이였으며 계통 G5의 경우 4.1%이였다. 형질전환으로 발생된 신초는 GFP가 발현되지 않는 것과 GFP가 발현되는 것 두 가지 양상을 볼 수 있었다. PCR 및 Southern blot 분석을 한 결과, 9006과 G5 두 genotype에서 형질전환 신초에서 GFT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GFP 유전자가 도입된 박 형질전환체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GFP 유전자는 박 형질전환시 유식물체에서 형질전환체를 쉽게 선발할 수 있는 유용한 마커로 이용 될 수 있다. Bottle gourd (Lagenaria siceraria Standl.) has been used as a rootstock for the watermelon cultivation because of better growth ability at low temperature and avoidance from contamination of the soil disease. Since the genetic source for the elite rootstock is limited in nature, the genetic engineering method is inevitable to develop new lines especially to obtain the functionally important or multi-disease resistant bottle gourd. Recently, our lab has set up a successful system to transform the bottle gourd. in order to monitor the transformation process, GFP gene is used. Cotyledons of the inbred line 9005, 9006 and G5 were used to induce the shoot under the selection media with MS + 30 g/L sucrose + 3.0 mg/L BAP + 100 mg/L kanamycin + 500 mg/L cefotaxime + 0.5 mg/L $AgNO_3$, pH 5.8. The shoot was developed from the cut side of the explants after 3 weeks on the selection media. The shoot was incubated in the rooting media with 1/2 MS + 30 g/L sucrose + 0.1 mg/L IAA + 50 mg/L kanamycin + 500 mg/L cefotaxime, pH 5.8 and moved to pot for acclimation. Although the shoot development rate was depended on the genotype, the G5 was the best line to be transformed. Monitoring GFP expression from the young shoot under microscope could make the selection much easier to distinguish the transformed shoot from the non-transformed shoots.

      • KCI등재

        의치 표면에서 심혈관질환과 관련된 치주질환 원인 세균의 검출

        임미영,김화숙,정재헌,양지연,오상호,국중기,Lim Mi-Young,Kim Hwa-Sook,Jeong Jae-Heon,Yang Ji-Youn,Oh Sang-Ho,Kook Joong-Ki 한국미생물학회 2004 미생물학회지 Vol.40 No.3

        심혈관질환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는 치주질환 원인 세균들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및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의 검출빈도를 조사하였다. 조선대학교 치과대학병원 보철과에 내원한 상하악 중 한 악에 잔존 치아가 1개 이상 있고, 그 반대편 악에 의치를 장착하고 있는 11명의 환자와 잔존치아가 전혀 없는 4명의 총의치 환자를 대상으로 의치의 관리 정도와 의치 표면 세균막에 심혈관 질환과 관련 이 있다고 보고된 치주질환 원인균의 검출 빈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상악과 하악 한쪽만 총의치이고, 반대편 악에는 치아가 있는 환자의 의치 표면세균막에서 치면세균막 및 의치 표면 세균막에서 P. gingivalis와 T. forsythia가 91%(10/11)검출되었다. 또한 무치악 환자의 의치 표면 세균막에서 P. gingivalis와 T.forsythia가 각각 25%(1/4), 75%(3/4)색 검출되었다. 하지만, 총의치의 장착 정도, 1일 세척횟수 및 세척방법에 따른 4가지 치주질환 원인세균종에 대한 검출빈도를 조사한 결과 이들 간의 별다른 상관관계를 찾을 수 없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의치 표면 세균막에도 혐기성 세균인 P. gingivalis 및 T.forsythia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으며, 면역력이 약화되어 있거나, 기존의 심혈관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 의치의 부적절한 관리 및 구강 연조직 손상으로 인한 심혈관 질환의 유발 또는 악화가 초래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ection rate of putative periodontopathogens,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and Acti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s(CVD). Plaques were sampled from 15 subjects (4 sites of denture base and/or tooth) with sterilized explorers and were transported in IX PBS. The detection of periodontopathogens was perform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with species-specific primers based on 16S rDNA. The PCR products were cloned into pGEM-T easy vector and its nucleotides were sequenced in order to confirm the specificity. Our data showed that the detection rate of P. gingivalis and T forsythia in denture base of edentulous patients was 25% and 75%, respectively. And the detection rate of P. gingivalis and T.forsythia in denture base of patient having one more tooth was 91%. The results indicate that plaque of denture base may serve as reservoirs of oral bacteria related to CVD.

      • KCI등재

        딸기 삽목 시 자묘 생산시기 조절을 위한 어미묘의 정식시기 및 런너 방임시기에 따른 효과

        임미영(Mi Young Lim),정호정(Ho Jeong Jeong),최경이(Gyeong Lee Choi),김소희(So Hui Kim),최수현(Su Hyun Choi)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0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9 No.4

        9월 15일경 본포에 정식하는 딸기 촉성재배에 필요한 묘령 75일 이상의 정식묘를 삽목을 이용해 육묘하기 위해, 어미묘의 정식 시기와 런너의 방임 시기에 따른 삽수의 생산성을 검토하였다. 시험 품종은 국내에서 육성된 ‘매향(Maehyang)’, ‘죽향(Jukhyang)’ 및 ‘금실(Kuemsil)’ 등 3품종을 사용하였다. 시험 1은 어미묘 정식 시기에 따른 삽수 생산량을 조사하기 위해 20일 간격으로 2월 28일, 3월 20일 및 4월 9일에 어미묘를 정식하였으며, 6월 4일부터 7월 1일까지 2~3회에 걸쳐 삽수를 채취하였다. 시험 2는 어미묘의 런너 방임시기에 따른 삽수 생산량을 조사하기 위해 3월 5일에 어미묘를 정식하였으며, 정식 후 20일, 40일 및 60일 간격으로 런너를 방임하였다. 그리고, 5월 29일부터 6월 26일까지 1~3회에 걸쳐 삽수를 채취하였다. 어미묘 정식 시기별 자묘 발생량을 비교한 결과, 2월 28일 정식 구가 3월 20일 및 4월 9일 정식 구 대비 품종 별로 각각 29∼45%, 114∼165% 더 많았다(시험 1). 어미묘의 런너 방임시기별 자묘 발생량은 정식 20일 후부터 방임한 것이 40일 및 60일 후 방임한 처리구 대비 품종 별로 각 60∼77%, 104∼176% 증수된 것으로 나타났다(시험 2). 결과적으로, ‘매향’, ‘죽향’, 및 ‘금실’ 3품종 모두 9월 15일경 본포 정식에 필요한 묘를 삽목으로 번식할 경우, 어미묘를 2월 하순경 일찍 심는 것이 삽수 발생량이 가장 많았으며, 어미묘에서 발생되는 런너는 정식 후 20일까지 제거한 후 방임하는 것이 삽수 생산에 유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연구 결과는 국내 육성 신품종의 생력 육묘 및 품질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육묘시스템의 개선을 위해 활용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yield of cuttings according to the planting and runner releasing times of mother plants in order to raise the cutting seedlings of raising seedling period 75 days or more needed for forcing culture of strawberries to be transplanted into the field around the 15<SUP>th</SUP> of September. Three domestic cultivars of ‘Maehyang’, ‘Jukhyang’, and ‘Kuemsil’ were tested. For experiment 1 to determine the yield of cuttings with the change of transplanting time, the mother plant were planted on February 28, March 20, and April 9 in 20 days intervals, and the cuttings were collected two to three times from June 4 to July 1. Experiment 2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yield of cuttings depending on the runner releasing time, the runners were released in three intervals of 20 days, 40 days, and 60 days after planting the mother plant on March 5, and the cutting were collected once to three times from May 29 to June 26. From the comparisons of cutting yield according to the transplanting time of mother plants, February 28 treatment was more 9~25% and 114~165% for each cultivar than March 20 and April 9, respectively (Experiment 1). The yield of cuttings with releasing time 20 days after planting the mother plants had higher by 60∼77% and 104∼176% for each cultivar than 40 days and 60 days, respectively (Experiment 2). From these results, in case of propagating the seedlings from cuttings needed for field planting around September 15, early planting around in the latter part of February is the best for cuttings yield. In addition, releasing after the removal of the runners produced from mother plants by 20 days after planting gives an advantage over higher yield of cuttings. Consequently, this study suggest to apply an efficient raising seedling system for labor saving and quality improvement in raising seedlings of three strawberry cultivars in Korea.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멜론(Cucumis melo L.) 수경재배 시 착과 절위, 적심 절위 및 과실 수확시기에 따른 멜론의 생육 및 품질 특성

        임미영(Mi Young Lim),최수현(Su Hyun Choi),최경이(Gyeong Lee Choi ),김소희(So Hui Kim),정호정(Ho Jeong Jeong) (사)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20 생물환경조절학회지 Vol.29 No.4

        멜론(Cucumis melo L.)의 코이어 배지 수경재배 시 고품질 과실을 생산하기 위한 적정 착과 절위, 적심 절위 및 수확 시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코이어 배지 슬라브(100 × 20 × 10cm)에 3주를 정식하였다. 양액은 야마자키 멜론 표준액을 이용하였고, 급액 농도는 ‘초기-중기(과실 비대기)-후기’의 생육 단계별로 1.8-2.0-2.3dS·m<SUP>-1</SUP> 공급하였다. 착과 및 적심 절위 실험은 ‘피엠알달고나’와 ‘얼스아이비’ 2품종을 이용하였다. 착과 절위 실험은 8-10, 11-13 및 14-15 마디에 각각 3처리하였다. 적심 절위 실험은 18, 21 및 24 마디에 각각 3처리하였다. 과실 수확시기 실험은 ‘피엠알달고나’와 ‘얼스크라운’ 2품종을 이용하여 착과 45일, 50일, 55일 및 60일 후로 4처리하였다. ‘피엠알달고나’ 품종에서 11-13마디 이상 착과 시, 엽폭 28.2cm, 엽면적은 10,845㎠로 가장 컸다. 줄기 길이는 ‘얼스아이비’ 품종에서 11-13마디 착과 시 147.6cm로 가장 길었다. 과중은 ‘얼스아이비’ 품종에서 11-13마디 착과시 2.0kg으로 가장 컸다. 과실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SSC)은 ‘피엠알달고나’ 품종에서 8-10 마디 착과시 14.5°Brix, 24 마디 적심시 14.0°Brix로 각각 유의성 있게 가장 높았다. 착과 절위가 낮아질수록 SSC값이 증가하는 경향이 두 품종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피엠알달고나’와 ‘얼스크라운’ 2품종 모두 착과 55-60일 후 수확된 과실의 SSC 값과 과중이 가장 우수하였다. 종합적으로 검토하면 대부분 SSC값은 착과 절위가 낮아지고 적심절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고, 과중은 착과 절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착과 후 일수가 증가할수록 과실의 SSC값이 증가하였으며 다양한 품종에 대한 추가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따라서 코이어 배지를 이용한 수경재배 시 멜론 품종 별로 특성을 잘 파악하여 착과 절위, 적심절위 및 과실 수확시기를 설정하여야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optimum fruiting node order, pinching node order, and harvesting time in hydroponics using coir substrates to produce high quality melon (Cucumis melo L.) fruit. Three plants per coir slab (100 × 20 × 10 cm) were planted for each treatment. Yamazaki standard nutrient solutions for melon were supplied with 1.8, 2.0, and 2.3 dS·m<SUP>-1</SUP> at the early, middle (fruit enlargement step), and late growth stages, respectively. Two cultivars of "PMR Dalgona" and "Earl"s Aibi" were used for fruiting node order and pinching node order experiments. Fruiting node treatments were conducted three replications (8-10<SUP>th</SUP>, 11-13 <SUP>th</SUP>, and 14-15 <SUP>th</SUP> nodes) and pinching node treatments treated with three replications (18 <SUP>th</SUP>, 21 <SUP>th</SUP>, and 24 <SUP>th</SUP> nodes). Two cultivars of ‘PMR Dalgona’ and ‘Earl’s Crown’ were used for fruit harvesting time experiment and treated with in four replications (45, 50, 55, and 60 days after fruiting). In growth characteristics, the leaf width and leaf area of ‘PMR Dalgona’ were the greatest 28.2 cm and 10,845 ㎠. Respectively, 11-13 <SUP>th</SUP> fruiting nodes or more. The node length of ‘Earl’s Aibi’ was the longest by 147.6 cm at 11-13 <SUP>th</SUP> fruiting nodes. For fruit quality characteristics, the fruit weight of ‘Earl’s Aibi’ at 11-13 <SUP>th</SUP> fruiting node fruiting was the greatest by 2.0 kg. The soluble solids content (SSC) of ‘PMR Dalgona’ was the highest by 14.5 °Brix at 8-10 <SUP>th</SUP> nodes in fruiting node orders and 14.5 °Brix at the 24 <SUP>th</SUP> pinching node order, respectively with significant difference. The SSC tends to increase in the same for both cultivars of ‘PMR Dalgona’ and ‘Earl’s Aibi’ as the position of fruiting node was lower. The SSC and fruit weight of melon harvested at 55-60 days after fruiting was the best.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most of SSC tends to increase in the lower position of fruiting node order and the higher pinching node order, whereas the fruit weight shows a tendency of increasing with higher fruiting node. In addition, the SSC of fruit increased as the number of days after fruiting increased, and further research is needed for more various cultivars. In melon hydroponics using coir substrates, it is needed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ultivar to determine optimum fruiting node order, pinching node order, and fruit harves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