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구내 표준 방사선사진을 이용한 구내방사선촬영기의 선질 평가

        이상섭,권혁락,심우현,오승현,이지연,전국진,김기덕,박창서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 2000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Vol.30 No.3

        Purpose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eam quality of intraoral X-ray equipments used at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YUDH) using the half value layer (HVL) and the characteristic curve of intraoral standard X-ray film. Materials and Methods : The study was done using the intraoral X-ray equipments used at each clinical department at YUDH. Aluminum filter was used to determine the HVL. Intraoral standard film was used to get the characteristic curve of each intraoral X-ray equipment. Results : Most of the HVLs of intraoral X-ray equipments were higher than the least recommended thickness, but the REX 601 model used at the operative dentistry department and the X-707 model used at the pediatric dentistry department had HVLs lower than the recommended thickness. The slopes of the characteristic curves of films taken using the PANPAS 601 model and REX 601 model at operative dentistry department, the X-705 model of prosthodontic dentistry department, and the REX601 model at the student clinic were relatively low. Conclusion : HVL and the characteristic curve of X-ray film can be used to evaluate the beam quality of intraoral X-ray equipment. In order to get the best X-ray films with the least radiation exposure to patients and best diagnostic information in clinical dentistry, X-ray equipment should be managed in the planned and organized fashion.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00; 30: 183-188)

      • Thermoplasma acidophilum의 20S Proteasome에 의한 ATPase-활성적 단백질분해에 관한 연구

        우기민,장예진,조만희,김창세,김완종,조성호,이상한 순천향의학연구소 1999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5 No.1

        The eukaryotic 26S proteasome is an ATP/ubiquitin-dependent proteolytic complex consisting of the 20S core particle and 19S ATPase complex. However, because of its complexity and unstable propert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esent more simple and stable model for the ATP-activated proteolytic complex in prokaryotes which can take the place of the eukaryotic 26S proteasome. For this purpose, recombinant Thermoplasma 20S proteasome (T20S) and Methanococcus MS4, a sequence homolog of one ATPase subunit in the 19S ATPase complex, were successfully isolated from Escherichia coli (E. coli). The α and β subunits of T20S expressed in E. coli could assemble for themselves, and showed the peptide-hydrolyzing activity. Whereas both T20S and R20S (the 20S complex from rabbit skeletal muscle) had the highest peptidase activity against Suc-LLVY-AMC, a good substrate for chymotrypsin-like peptidase activity, the specific activity of T20S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R20S. In addition, several reagents such as KCI, SDS, and ovalbumin were shown to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peptidase activities between T20S and R20S. When the ATPase activity of the purified MS4 were assayed , the Km for ATP was about 0.5 mM, and casein could stimulate the activity more than 2 fold without the change in Km. This result implicates that protein-activated ATPase may induce the conformational change of casein, and therefore suggests that MS4 ATPase may activate the proteolytic activity of the 20S proteasome via accelerating the recognition and translocation of the protein substrates.

      • 담배 박각시나방 Manduca sexta의 계획된 세포죽음동안의 Proteasome의 변화

        이구봉,우기민,조만희,이상한,장예진,김창세 순천향의학연구소 2000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6 No.2

        모든 진핵세포의 주요 단백질 분해요소인 proteasome은 변성되거나 상해된 불필요한 단백질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세포주기를 비롯한 다양한 대사과정들의 주요 효소들을 필요 시 적절히 분해함으로써 항상성을 유지시키는 필수적인 효소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proteasome은 특정 포유동물 조직의 계획된 세포죽음(programmed cell death 또는 apoptosis)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본 연구에서는 담배 박각시나방(Manduca sexta)의 변태과정에서 일어나는 마디간 근육(intersegmental muscle)의 급격한 파괴과정동안의 proteasome의 변화양상을 발현 및 단백질 분해활성을 중점으로 조사하였다. 정상근육과 파괴직전의 근육으로부터 proteasome을 분석한 결과 단백질 분해활성이 최소한 6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proteasome의 주요 구성성분들의 발현 변화를 각각의 항체(antibody)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세포죽음 직전에 급격히 증가함을 보였다. 이러한 구성성분들의 발현증가가 proteasome 복합체 형성을 통해 활성의 증가를 일으키는지 조사한 결과, 세포내에서 실질적으로 단백질 분해활성을 담당한다고 여겨지는 26S proteasome(2,000 kDa)의 위치에서 커다란 활성의 변화와 구성성분의 증가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담배 박각시나방의 계획된 세포죽음 현상은 특정 호르몬의 신호에 의해 proteasome의 발현이 급격히 증가하여 26S proteasome의 복합체 형태로 세포 내 대부분의 단백질들을 분해함으로써 30시간이내 근육조직을 완전히 소멸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proteasome을 구성하는 특정 구성성분의 과다 발현이 세포의 단백질 분해현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조사하기 위하여 쥐의 fibroblast cell에 26S proteasome의 ATPase 구성성분인 m56 유전자를 삽입한 후 세포의 추출물로부터 proteasome의 양과 활성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Proteasome을 초원심분리로 추출하여 관찰한 결과, 담배 박각시나방의 경우와는 달리 유전자 삽입 세포는 모든 실험에서 정상 세포와 전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로부터 세포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이고 매우 다양한 기능을 가진 proteasome은 40여개의 구성성분들의 발현이 매우 정교하게 조절되고 있으며, 특정 세포죽음 자극(apoptotic signal)이 왔을 때 일련의 구성 성분들의 발현과 26S proteasome 복합체 형성이 증가함으로써 그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보다 자세한 연구는 비정상적 단백질 분해나 세포죽음을 동반하는 여러 질환들의 원인과 현상을 규명할 수 있으며, 또한 그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궁극적인 치료의 방향도 제시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골격근의 26S proteasome에 작용하는 nucleotide의 다양한 기능

        우기민,이상한,조만희 순천향의학연구소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1

        26S proteasome은 진핵세포에서 ubiquitin이 결합된 단백질들을 분해하는 ATP-의존성 단백질 분해복합체로서 19S ATPase 복합체와 20S core proteasome으로 구성되어있다. 그 활성을 위한 ATP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토끼의 근육조직으로부터 26S proteasome을 순수분리하고, 펩타이드와 단백질 분해 시 nucleotide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 nucleotide 결합이 26S proteasome을 안정화시키고, 또한 chymotrypsin-like, trypsin-like, post-acidic 펩타이드 분해활성을 3-5배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TP, CTP, GTP, UTP 및 분해되지 않는 ATP 유사체인 AMPPNP와 AMPPCP, 심지어 ADP도 펩타이드 분해를 활성화시켰다. Nucleotide가 결핍 시, 26S proteasome은 실온에서 3-5분의 반감기로 비가역적으로 비활성화되었으며, 이는 26S proteasome이 단순한 20S와 19S 복합체로 분리되지 않음을 암시한다. 26S proteasome의 ATP분해를 위한 K_(m)은 42 μM인 반면, 펩타이드분해 활성화를 위한 ATP의 K_(a)는 겨우 1μM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ATP의 높은 친화성 부위와의 결합이 26S proteasome을 안정화시키고, 펩타이드 분해를 가능하게 해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26S Proteasome은 ubiquitin이 표지 되지 않은 단백질 기질들도 ATP-활성적으로 분해할 수 있다. ATP는 FITC표지로 변형된 casein의 분해를 3배 증가시켰으며, AMPPNP는 ATP의 50-60%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ubiquitin이 표지된 lysozyme이나, antizyme 존재 하에 재빨리 분해되는 ornithine decarboxylase (ODC) 같은 단백질들의 분해를 위해서는 ATP의 분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nucleotide의 결합은 26S proteasome을 활성화시켜 짧은 펩타이드와 구조가 풀려진 단백질들의 분해를 가능하게 하지만, 구조적으로 치밀한 단백질과 ubiquitin이 결합된 단백질들의 분해는 26S proteasome의 ATP 분해에너지를 이용한 기질 단백질의 구조적 변성과 proteasome의 구조적 변화에 의해 조절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 Lumbricus rubellus에 존재하는 Lumbrokinase의 Ubiquitin-conjugate 분해활성에 관한 연구

        우기민,이상한,조만희 순천향의학연구소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1

        본 연구에서 Lumbricus rubellus에 존재하는 강력한 fibrinolytic 효소인 Lumbrokinse들을 여러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부분정제하고 그들의 생화학적 성질들을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L. rubellus의 단백질 추출물은 fibrinogen, lactalbumin, BSA, casein 등 다양한 단백질들을 분해하는 활성을 가졌으며, 그들의 활성은 poly-lysine같은 poly-cation들에 의하여 활성화되었다. 또한 이러한 활성화 정도는 poly-cation들의 길이에 의존적이며 poly-lysine의 경우 이성체에 상관없이 모두 활성화시켰다. DEAE-Sepharose를 통하여 확인된 3 종류의 분해활성으로부터 2 종류의 서로 다른 Lumbrokinse들을 Phenyl-Sepharose, Superose-12 크로마토그래피들을 통하여 부분정제하여 E-I, E-III라고 명명하였다. SDS-PAGE와 gel filtration을 시행하였을 때 그들은 각각 33 kD과 38 kDa의 폴리펩타이드로 구성된 단일체로 규명되었다. E-I의 fibrinogen을 분해하는 특이적 활성은 poly-lysine이 없을 경우 3.75 ng hydrolysis/ng enzyme/20 min으로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poly-lysine이 첨가될 경우 75 ng hydrolysis/ng enzyme/20 min로 활성이 20배가량 증가하였다. 반면 E-III는 poly-lysine이 없을 경우 20 ng hydrolysis/ng enzyme/20 min으로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poly-lysine의 첨가시 129 ng hydrolysis/ng enzyme/20 min로 약 6.5배의 증가를 보였다. 0.2 M의 KCI은 poly-lysine에 의한 fibrinogen 분해활성을 강하게 억제하였으며 펩타이드 분해활성은 E-I와 E-III가 서로 다른 영향을 받았다. E-III는 poly-lysine에 의해 증가된 활성이 억제받는 반면, E-I는 오히려 펩타이드 분해활성이 KCI에 의하여 10배가량 증가되었다. 이러한 상반된 결과는 두 효소가 서로 다른 분해기작과 조절기작을 가짐을 의미한다. 정제된 E-I와 E-III는 놀랍게도 ubiquitin이 결합된 일련의 단백질들을 분해하였으며, 이 활성도 또한 poly-lysine에 의하여 증가되었다. 또한 ubiquitin-conjugate의 분해활성은 PMSF에 의하여 억제받으므로 serine계의 단백질 분해효소이며 IAA에 의하여 억제받지 않으므로 활성화 부위에 sulfide 기가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fibrinogen의 분해에서와 같이 이들의 활성도 KCI에 의해 억제되었다. Ubiquitin-conjugate들은 분해된 후 자유 ubiquitin이 반응산물로 나타났으므로 E-I과 E-III는 포유동물들에 존재하는 ubiquitin C-terminal hydrolase (UCH)의 새로운 종류이거나 26S proteasome을 대신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단백질 분해효소일 가능성을 제공해준다.

      • 데이타베이스 릴레이션의 튜랜잭션에 대한 할당문제 분석

        이우기 聖潔大學校 自然科學硏究所 1996 自然科學硏究 Vol.1 No.-

        In this paper a scheme is suggested that deals with database queries and relevant relations. Queries that struggle among other queries to occupy a portion of databases exclusively can be decomposed into several transactions as an atomic processing unit. Here a scheduling algorithm with greedy beuristics is addressed to solve the allocation problem among competing transactions, and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the algorithm is analyzed within those problem domain.

      • β-Carotene 이 혈중 효소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상한,우기민,조만희,장예진,김창세,김현철 순천향의학연구소 1997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3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observe the effects of ethanol and β-carotene on the 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HDL-cholesterol,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activities. The normal white S.D ra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 0.9% NaCl administration and 20% ethanol administration were referred to as group A, 20% ethanol and 50% β-carotene mixture administration was group B and 50% β-carotene administration was group C for the 30 day-feeding experiment.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ing: 1. The blood lipid concentration was most highly increased in group A, was almost normal in group B,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goup C. 2. The bloo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 A, but significantly increased in goup B and C. 3. The blood β-carotene concentra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 A, and slightly decreased in group B. Surprisingly it was increased in group C.

      • 방사선조사에 따른 케이블용 절연재료의 유전특성

        이우선,박정기,이영식 조선대학교 에너지.자원신기술연구소 2001 에너지·자원신기술연구소 논문지 Vol.23 No.2

        This study describes the diectric effect of γ-ray irradiation on the properties of insulation materials for low voltage cables in a nuclear power plant. The radiation effects were characterized by measuring OIT,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irradiated specimens. As a result, they showed the decrease of OIT and the increase of chemical structural defects with the increase of γ-ray amount. Also, the electrical properties such as dielectric constant, tan δ and current were changed by aging. These changes may come from the increase of chemical structural defects by γ-ray irradiation.

      • Lumbricus rubellus의 내열성 지질분해효소에 관한 연구

        우기민,이상한,조만희 순천향의학연구소 2004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10 No.1

        여러 가지 chromatography법들(anion exchange, hydrophobic interaction, gel filtration)을 이용하여 Lumbricus rubellus로부터 지질분해효소를 정제하였다. 정제된 효소는 SDS-PAGE와 Superose-12 gel filtration을 통하여 32 kDa의 단일체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정제된 Lumbricus rubellus의 지질분해 효소를 Lumpase Ⅰ (Lumbricus + lipase Ⅰ)이라고 명명하였으며, 이 효소는 FDA를 기질로 이용하였을 때 10μM의 높은 친화도를 보였다. 또한 상업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상품화된 다른 지질분해효소와 그 특이적 활성을 조사하였을 때, 최소한 200배 이상 높은 단위활성을 가진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다양한 기질 특이성을 가져 여러 가지 지질 기질들을 분해하였다. 높은 온도(60℃)에서 Lumpase Ⅰ의 활성을 측정하였을 때, 다른 내열성 지질분해효소처럼 한 시간 이상 그 활성이 잘 나타내어 열에 강한 지질분해효소로 판명되었다. 여러 가지 화학 반응물들의 영향을 조사해 본 결과, Lumpase Ⅰ은 serine을 활성 부위(active site)로 가지고 SDS같은 detergent에 강한 효소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정제된 Lumpase Ⅰ은 지질분해효소를 이용한 의약산업, 환경산업, 식량산업, 세제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이용가치가 매우 높은 효소로 여겨지며,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재발성 아프타성 궤양과 구강점막 각화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이유경,기우천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1995 전남치대논문집 Vol.7 No.1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current aphthous ulcer and oral mucosal keratinization, exfoliative cytology in buccal mucosa. lip mucosa, tongue mucosa were performed on 25 recurrent aphthous ulcer patients and 25 controls whose age ranged from 10 to 65. Keratinization cell ratio was then measur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Yellow cell ratio in the control group was more than that in the patient group in buccal mucosa, lip mucosa, tongue mucosa. Red cell ratio in the control group was more than that in the patient group in lip mucosa. Blue cell ratio in the patient group was more than that in control group in all regions (p<0.01) 2. In the comparison by sex, the patient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ite but, the control group showed different results according to the site ; males were more than females in yellow cell, but less than females in red cell. Females were more than males in yellow cell, but less than males in red cell. 3. In the comparison by age, patient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site, but the contro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 yellow cell ratio in buccal and tongue mucosa over the age of 50. In conclusion, there was close relationship between recurrent aphthous ulcer and decreased oral mucosal keratinization. In other words, reduced oral mucosal keratinization can cause frequent recurrent aphthous ulcer. Therefore, methods to maintain proper oral mucosal keratinization must be recommended for prevention of recurrent aphthous lu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