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사회 수업 학습공동체 활동 사례 연구

        김경은(Kim, Kyoungeun)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특정 단위학교(S초등학교) 동학년 교사와 대학의 교과전문가로 구성된 사회 수업 학습 공동체 활동에 대한 사례로 사회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해 해당 활동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참여 구성원의 수업(수업동영상, 수업자료, 학생자료), 학습공동체 모임 기록(일지, 녹음 자료), 연구자의 반성적 저널, 교사들이 작성한 에세이 등이 분석되었다. 사회 수업 학습공동체의 주요 활동으로는 학습공동체의 방향 및 내용 설정하기,각자의 사회 수업에 대한 관점 확인하기,공동으로 일상의 사회 수업 설계하기, 실천하기, 반성하기이다. 분석 결과, 사회 수업 학습 공동체 활동은 참여 교사로 하여금 일상에서 사회 수업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공유하고 반성하는 기회를 제공해 줌으로써 사회 수업의 설계와 실천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낳았다.더불어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태도가 보다 적극적으로 변화되었다.한편, 실제에서 이론으로의 접근을 통한 공동체 활동 방향은 이와 같은 변화에 중요한 요인을 작용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quire meaning from the learning community on a social studies lesson which is composed of fifth-grade teachers in 'S' elementary school and an expert from CNUE. To inquire meaning from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the study analyzed record materials of meetings, lesson videos, and member's reflective journals. The main activities of the learning community were the establishing of objectives and contents of the learning community, checking the perspectives on the social studies lesson, planning the lesson in collaboration with members, practicing the lesson individually and reflecting on activities. The results highlighted that the learning community offered opportunity to share members' perspectives and reflect on the individual's perspective. It was noted that teachers' educational professionalism was enhanced. In addition, recognition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became more active.

      • KCI등재

        사회과 핵심역량 중심의 창의·인성교육 수업 자료 개발

        김경은(Kim KyoungE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2 사회과교육 Vol.51 No.3

        미래 사회 구성원의 자질로 창의성과 인성이 요청됨에 따라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체제적인 차원에서의 노력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실제 교과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컨텐츠 개발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사회과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수업자료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최근 새롭게 재개념화되고 있는 창의·인성교육의 의미와 사회과 핵심역량의 의미를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공감적 활동에 기반한 문제해결형 수업을 제안하고 수업자료를 제시하였다. 공감적 활동에 기반한 문제해결형은 학습형태로서의 문제, 주된 학습과정으로서의 공감적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제’와 ‘공감적 활동’은 창의·인성교육에서 추구하는 요소와 사회과 핵심역량을 구현하기 위한 학습경험을 제공하는데 유용하다. 구체적인 문제해결의 과정은 ‘공감을 통한 문제이해하기’, ‘해결방안 모색하기’, ‘해결방안 실천하기’로 진행되며, 공감적 활동을 통해 문제를 발견, 확인한다는 점, 해결방안 모색은 모둠의 형태로 수행된다는 점, 실천의 과정이 강조된다는 점이 특징이다. 더불어 사회과의 주된 학습주제에 해당되는 빈곤문제를 대상으로 한 수업사례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cial studies lesson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focused on key competencies. To achieve this aim, I first examined the meaning of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nd key competency of social studies. Second, I developed a basic format and steps from analyzed results and related articles review. Third I suggested problem-solving based on empathic activity. In addition, I present lesson plans which could be used for social studies instruction in secondary schools. Problem-solving based on empathic activity is composed of problem and empathic activity as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These factors are useful for offering opportunity of learning focu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of social studies. The developed lesson is made of three steps. The first step is to understand problem from empathy, the second is to discover solution, and the last step is practice solution. The main features of this lesson are three. First, students find and identify problem through empathic activities in this lesson. Second, students cooperate to discover solution. Third, students practice solution which proposed by themselves. In addition, lesson plans which I present are about poverty.

      • KCI등재

        청소년의 국민정체성, 통일,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인식

        김경은(Kim KyoungEun),윤노아(Yoon NoAh)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2 사회과교육 Vol.51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국민정체성의 인식이 통일과 다문화수용성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통해서 다문화시대의 통일교육에 대해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서울, 경기 지역의 중고등학생 1,00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청소년들은 국민정체성의 종족적, 시민적 요인을 모두 중시하였으며 한국인으로서 인정받기 위한 요인 중에서는 시민적 정체성의 요소에 해당되는 한국인임을 느끼는 것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에 대한 인식에서는 통일의 당위성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고, 통일의 의미를 단일 민족성의 회복으로 생각하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부정적 태도를 보였다. 다문화사회로의 변화에 대한 태도에 해당하는 다문화수용성에서는 인종적·문화적 다양성 확대와 단일민족 혈통 유지에 모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한편, 국민정체성의 종족정체성은 단일 민족성 회복이라는 통일의 의미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통일에의 열망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 정체성은 통일의 의미와 열망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민정체성의 두 요인은 다문화수용성에서 자민족 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종족 정체성은 자민족 지향성에 정적인 영향을, 다문화 지향성에 대해서는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조사결과는 기존의 단순히 민족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통일교육을 재검토해야 함을 시사한다. 더불어 다문화시대의 통일교육을 위해서는 청소년의 시민정체성을 기반으로 한 구체적인 방법들을 모색할 것을 요청한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adolescents’ perceptions of national identity, unificati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identifying 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s of national identity and consciousness for unification, multiculturalism. Data for this study came from a survey carried out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do. To analyze adolescents’ perceptions of national identity, we devide national identity into the ethnic factor and civic factor.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Students considered the civic factor more important than the ethnic factor in perception of national identity. Students who hold the ethnic type of perceptions want to achieve the homogeneous nation again more, not the reunification itself. They also show exclusive attitudes toward multiculturalism. Meanwhile, students who prefer the civic factor show tolerant attitudes toward reunification and multiculturalism.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mplica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of social studies in multicultural society. Thus we need to apply new curriculum that develope detailed plans based on civic identity of students, not based on ethnic factor.

      • KCI등재

        유아교사 창의적 교수역량 척도 개발 연구

        김경은 ( Kim Kyoungeu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유아 창의성 지원 역량을 측정하는 창의적 교수역량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현재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유아를 담당하는 교사로, 유아교사 3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분석에는 305명의 유아교사 자료가 활용되었다. 문항구성을 위해 1차적으로 문헌분석이 이루어졌고 및 2차에 걸친 전문가 대상 델파이 조사를 통해 창의적 교수역량과 관련된 4개 요인과 60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최종 5개 요인 45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하위요인은 창의적 환경지원, 유아의 창의성 이해, 유아 창의성 지원 및 상호작용, 교사 자신의 창의성 개발 노력, 유아 창의성 평가 등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준거관련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창의적 교수행동 척도와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고, 신뢰도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척도는 유아교사의 창의적 교수역량 수준을 측정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imed to develop and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Creative Teaching Competence Scal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14 early childhood teachers, however, 305 early childhood teacher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ased 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60 items were pre-selected for measuring Creative Teaching Competence. As a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45 final items were selected with 5 factors including ‘support for the creative environment’, ‘understanding the child creativity development’, ‘application of creative teaching methods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teacher’s own creative development efforts’, ‘creativity evaluation for the child’.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the split-half reliability of the scale were good. The scale can be useful for identifying the difference in creative teaching competence.

      • KCI등재

        영아기 사회정서적 행동이 유아기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경은(Kim, KyoungEu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3

        본 연구는 영아기 사회정서적 행동이 유아기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자료 중 1∼4차 연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1차 연도부터 3차 연도까지 K-ASQ 설문에 참여하고 3차 연도 놀이행동과 4차 연도 또래놀이행동 설문에 참여한 유아 220명이다.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영아기 사회정서적 행동의 변화가 영아기 놀이행동 및 유아기 또래놀이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기 사회정서적 행동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는 개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기 사회정서적 행동의 초기치는 3차 연도 영아기 놀이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나 변화율은 3차 연도 영아기 놀이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영아기 사회정서적 행동의 초기치는 영아기 놀이행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유아기 또래놀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기 사회정서적 능력의 변화를 종단적으로 살펴보았고 초기 사회정서적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유아기 또래놀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영아기 초기 사회정서적 능력과 영아기 말 놀이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유아기 또래놀이행동을 지원하기 위한 부모 및 교사의 지원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socioemotional behavior in infancy on peer play behavior in early childhood. Data from the 1st and 4th years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were used. Participants were 220 young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version of Ages and Stages Questionnaire(K-ASQ) survey from the first to third years and peer play surveys in the third and fourth year. A latent growth curve model investigated socioemotional behavior in 0 to 2 year olds and examined the influences of the trajectory of socioemotional behavior in infancy on peer play in early childho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ocioemotional behavior significantly increased in infancy, and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socioemotional behavior in infants. Second, the initial level of socioemotional behavio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fants’ play behavior in the third year, but the slope of socioemotional behavior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n infants’ play behavior in the third year. The initial level of socioemotional behavior also indirectly influenced peer play behavior in early childhood via play behavior in late infancy. This study confirmed the changes in social and emotional abilities in infancy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abilities and play behaviors in early childhood peer play behaviors.

      • KCI등재

        온라인 학습카페 활용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 및 학습활동 유형 분석 : S대학교 WIU 강좌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은(Kim Kyoungeun),장윤호(Jang YunHo),류이슬(Ryu Yiseul)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0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9 No.4

        최근 교육환경의 변화 등으로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기반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포털사이트 기반 학습카페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평가 및 구체적인 학습활동 유형 분석을 통해 온라인 기반 수업의 개선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S대학교에서 운영된 65개 온라인 학습카페 활용 강좌를 대상으로 수업효과에 대한 학생평가 설문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수업별 운영된 학습활동을 학습형태, 활동수준, 상호작용 방식을 중심으로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3.73점으로 나타났고, 인지적 차원의 수업효과에 대한 인식이 3.8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학습활동의 유형은 개인기반/기억 및 이해 수준의 활동/간접적 상호작용 방식이 38.46%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개인기반/적용 및 분석 수준의 활동/간접적 상호작용 방식이 26.15%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수업에서 온라인 학습카페가 ‘개인의 학습활동 결과를 공유하는 장’으로 주로 활용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보다 나은 수업효과를 위한 온라인 학습카페 활용을 위한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courses using a web-based bulletin board in college education from course evaluation of students and analysis of learning activity types. To achieve this aim, a survey of course evaluation was conducted on students in 65 courses which used a web-based bulletin board at S University in 2019. And learning activities performed in these courses were analyzed by elements such as the type of learning(individual based/team based), the level of cognition(remember/understand/apply/analyze/evaluate/create) and the type of interaction (direct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direct interaction between student and student/indirect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ourses was showed 3.73 points and students’ awareness of cognitive effects was showed 3.84 points. Second, the type of learning activities asked that individuals usually carried out tasks for knowledge and comprehension without direct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s was showed 38.46%. And the type of learning activities asked that individuals usually carried out tasks for application and analysis without direct interaction between professor and students was showed 26.15%. These findings mean that a web-based bulletin board were mainly used as a venue for sharing the result of learning activities by individual rather than producing new knowledge based on cooperation in courses.

      • KCI등재

        보육교사의 초기 부모불안애착 및 사회적 관심, 직무열의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김경은(Kim KyoungEun),김연아(Kim Youn-A) 한국인간발달학회 2021 人間發達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생애 초기 부모와의 불안애착이 사회적 관심을 매개로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 관계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에 동의한 보육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초기 부모애착척도(Early Parental Attachment Scale: EPAS), 사회적 관심 척도(Social Interest Inventory) 및 직무열의 척도(Utrecht Work Engagement Scale)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모델의 적합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초기 부모와의 불안애착은 사회적 관심 및 직무열의와 부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교사의 사회적 관심은 직무열의와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초기 불안애착은 사회적 관심을 통해 직무열의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직무 능력 향상을 위한 직무교육이나 프로그램 개발 시 보육교사의 타인에 대한 공감 및 이해, 타인 및 공동체의 복지를 의미하는 사회적 관심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teachers’ insecure-anxious/ ambivalent attachment, social interest and work engagement, and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interest. The participants were 207 preschool teachers in K province who agreed to be involved in this study. Early Parental Attachment Scale (EPAS), Social Interest Scale, and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UWES-9) were used for the survey. A hypothesized model and an alternative model were tes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preschool teachers’ insecure-anxious/ambivalent attachmen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ir social interest and work engagement. Preschool teacher’s social interest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work management. Preschool teachers’ insecure-anxious/ ambivalent attachment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work engagement via social interest. Implications to enhance preschool teacher’s work engagement were discussed, highlighting the necessity for a teacher to perceive the importance of social intere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