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장기입원환자 관리 방해요인

        이경석,윤석만,권희,이호,김혜경,조미자,한규남,김명성 순천향의학연구소 2003 Journal of Soonchunhyang Medical Science Vol.9 No.1

        Background: Recentl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tried to cut off the cost of unnecessary hospital stay. It is important to reduce the prolonged occupation of the hospital beds. However, there are some obstacles of the management for the prolonged bed occupation. We report our experiences and the problems of bed-control. Methods: To increase the rate of effective bed-usage, a task force was made. This team was consisted of 4 dctors, 2 nurses and 2 personnel of the administrative department. From December 20th 2001 to May 17th 2002, the task force analysed the rate, number and causes of the prolonged (more than 60 days, regardless of the disease entities) bed occupation. We announced and explained the necessity of bed-control and actively pressed to reduce the prolonged bed occupation. Results: The number of the prolonged bed occupation was 71 at the beginning of the management. It was reduced to 46 at best, then turned back to 65 at the end. It seems to be impossible to reduce the prolonged bed occupation until there are sufficient number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Aggressive bed control makes the sick patients to move every two or three months, it is never desirable. Conclusion: We cannot expect any Quality Improvements without improvement of the wrong system. Prior to the management for the prolonged bed occupation, it is necessary to build a sufficient number of long-term care facilities.

      • 1. 06㎛ Nd : YAG Laser를 이용한 요추간판탈출증의 경피적 수핵감압술

        이흥선,변박장,최순관,신원한,권귀향,이인수,이경석,김범태 순천향대학교 1994 논문집 Vol.17 No.4

        The 1.06㎛ Neodymium-YAG Laser(800 micron hemisherical) is revealed a useful tool for percutaneous laser disc decompression(PLDD). Especially PLDD would be applied to the management of lumbar disc herniation with minimal intervention. Total irradiated energy to one level of disc space was bout 1000 to 2000 joules. We performed this method at 10 levels, in 7 cases of patients, consisting of 4 males and 3 females with an average age of 37.7 years. Five cases showed excellent and good results, were observed. In two cases, open surgery was required because of unsatisfactory results. The best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protrusion type of disc herniation. We have summarized some advantages of PLDD: a) safe and simple procedure in an outpatient setting, b) avoiding general anesthesia, late spinal instability, c) possibility of repetitive use.

      • KCI우수등재

        오리사 바닥 깔짚자동살포장치 개발 및 실증

        권경석 ( Kwon Kyeong-seok ),우제석 ( Woo Jae-seok ),노재희 ( Noh Je-hee ),오상익 ( Oh Sang-ik ),김종복 ( Kim Jong-bok ),김중곤 ( Kim Jung-kon ),양가영 ( Yang Kayoung ),장동화 ( Jang Donghwa ),최성민 ( Choi Sungmin ) 한국농공학회 2021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3 No.1

        The automatic-spreader of bedding materials was developed to reduce labor cost, and to achieve successful biosecurity in duck houses. Algorithm of the device was designed to realize a concept of the automatic unmanned operation including entire processes such as loading and spreading of the bedding materials. From the field measurem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ed water content reduction and weight of bedding materials per unit area according to the operation condition of the devices was induced. In the case of the measurement of particulate matters during the process of spreading works, the results of using both conventional manual-spreader and automatic-spreader were exceeded the allowable limit of inhalable and respirable dust, respectively. But, workers using automatic-spreader could be free from harmful aero-condition because they did not stay inside the facility during the spreading works. In addition, from the Duck hepatitis virus PCR test, influence on pulmonary tissue of the duck was not found. It could be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automatic-spreader of bedding materials for duck house can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duck breeding facilities.

      • 육계 축사표준설계모델의 에너지부하 산정을 위한 건물에너지시뮬레이션 모델 개발

        권경석 ( Kyeong-seok Kwon ),김종복 ( Jong-bok Kim ),하태환 ( Tahwan Ha ),양가영 ( Ka-young Yang ),장동화 ( Dong-hwa Jang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축사표준설계도는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작성하고 국토교통부장관이 인정한 설계도로 양질의 축사를 건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축사표준설계도를 이용할 경우 인·허가는 건축신고로 완화되어 일반건축물 인허가에 비해 요구되는 서류와 검토기간이 짧아지고, 별도의 설계비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해당 표준설계도의 이용률이 극히 떨어지고, 도면 정보에 대해 인지하고 있지 못하는 농축산인이 많은 실정이다. 이에 대한 원인으로 기 개발된 축사표준설계도 적용 시 과도한 건축비용이 발생할 수 있거나, 농가 부지면적이 축사표준설계도 모델과 부합하지 않는 점, 해당 도면의 적용 시 가축 생산성 개선에 대한 신뢰성 부족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축사표준설계도 모델의 공학적인 검증 및 분석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으며 특히, 환기와 냉·난방 에너지 부하 효과에 대한 정량적인 근거 마련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축사표준설계도 중 육계 2016년 모델을 대상으로 모델의 크기(사육두수), 지역, 건물의 단열 특성 등을 조건으로 냉방 및 난방 에너지 부하 값을 산출하기 위해 수치해석 모델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행정구역별 육계 사육수수가 가장 많은 지역을 해석 대상 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2011년부터 2020년까지의 10년치 기상 데이터를 입력자료로 구축하였다. 계사 내부 가축으로부터의 현열, 잠열 발생량은 주변 온도와 체중 등의 함수로 구성되며, 이때 체중은 국내에서 주로 사육하는 육계 품종의 일령별 체중 회귀곡선을 사용하였으며, 주변 온도 값은 수치해석 모델을 통해 실시간으로 계산되는 내부 온도 및 습도 값이 연동되도록 설계하였다. 건물의 지붕 및 벽체 단열특성치는 건축법에서 제시하고 있는 중부1, 중부2, 남부, 제주 권역의 열 저항 특성치 및 권장 두께를 변수로 구성하였다. 환기의 경우 국내 주요 계열사의 현장 컨설턴트가 주로 이용하고 있는 일령별, 외부 온도 조건별 최저환기권장량 산출식을 기본으로 적용하고, 실제 사육환경을 고려하여 내부 온도가 생육 적온 이상의 값을 보일 때 시설 규격별로 설치된 환기팬이 단계별로 추가 구동될 수 있도록 환기로직을 구성하였다. 해석 대상 모델은 기상입력데이터(10)×지역(9)×건물규격(4)×배치방향(8)×지붕단열조건(3)×벽체단열조건(4)의 조건에 따라 총 34,560개로 구성된다.

      • 국내 오리사 열 환경 평가 및 표준설계도 모델의 환기 성능평가

        권경석 ( Kyeong-seok Kwon ),김종복 ( Jong-bok Kim ),김중곤 ( Jung-kon Kim ),양가영 ( Kayoung Yang ),장동화 ( Donghwa Jang ),최성민 ( Sungmin Choi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2018년 농산물 생산액 기준 오리는 13.3천억 원 규모로 상위권에 위치하고 있으나 2020년 사육 가구 수는 2011년 대비 46% 감소한 527개소를 기록하였으며 사육수수 또한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더욱이, 최근 무허가축사의 양성화와 관련하여, 무창 형태의 현대식 사육시설을 도입한 상당수의 오리 농가가 육계로 축종을 전환하고 있으며, 폐업 신고 수도 증가하고 있어 오리 사육업의 반등을 위한 원동력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가금류 중 육계, 산란계의 경우 환기, 단열 등과 관련한 환경관리를 위한 현장 컨설팅 지침 등이 다방면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오리의 경우, 관련자료가 매우 제한적이고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어, 현장에서의 활용도가 매우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질병 방역 등을 목적으로 무창 형태의 축사 전환을 유도하고 있는 농식품부의 정책 방향성과는 달리 현장에서는 여전히 재래식 개방형 비닐하우스 오리사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 오리사의 시설 형태에 따른 객관적인 사육 환경 평가 및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오리 사육시설 표준설계도의 경우 현장에서의 시설 선호도와 활용 방식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형태로 제시되고 있으며, 신뢰성 제고를 위해 국내 대표적인 기후 조건별 정량적 평가가 실시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표적인 오리 사육 시설 형태인 재래식 비닐하우스 오리사 및 무창 오리사의 환경 조건별 열 환경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수치해석기법을 이용하여 2016년 오리사 표준설계도를 대상으로 하절기, 동절기 기후조건 및 환기구 이용방식에 따른 내부 지점별 환기 효율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시설 형태별 열 환경 분석을 위하여, 시설 내부 온도 및 습도에 대하여 다 측점 모니터링을 실시하였으며, 표준화지수를 도입하여 균일성을 평가하였다. 표준설계도 모델에 대한 환기 효율성 분석의 경우, 국내 최다 사육수수를 갖는 전라남도를 대상으로 하절기, 동절기 대표 기후 조건에 대하여 터널 환기팬의 조합별 가동방식, 상·하향식 윈치커튼의 개방 방식 등에 대하여 조건별로 추적가스감쇠법을 이용하여 환기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 ICT 기술 기반 오리깔짚살포장치 개발 및 현장 실증

        권경석 ( Kyeong-seok Kwon ),최희철 ( Hee-cheol Choi ),김종복 ( Jong-bok Kim ),이준엽 ( Jun-yeob Lee ),전중환 ( Jung-hwan Jeon ),이동현 ( Dong-hyun Lee ),우샘이 ( Samee Woo ),양가영 ( Ka-young Yang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9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1

        가금시설 바닥재의 수분함량이 과다하게 높아질 경우, 깃털 쓸림, 발바닥 피부염을 비롯한 각종 질환이 발생하여 도체품질 하락이 발생할 수 있으며, 세균 및 진균의 증식으로 인한 가축질병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가금류, 특히 오리의 피부질환 발생 방지, 복지수준 향상, 질병관리, 단열관리 등을 목적으로 왕겨, 톱밥 등과 같은 깔짚을 수시로 살포하여 바닥재의 수분함량을 조절하고 완충재의 역할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가금 농가에서는 손수레 등을 이용한 수작업 향테러 깔짚을 살포하는 경우가 많아 과도한 노동 부하가 발생하고 있다. 종래의 차량형 깔짚살포기를 이용할 경우, 바퀴에 가축의 분변 및 이물질이 묻어 각종 축산 질병을 발생시킬 소지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오리사 등과 같은 가금사육시설 내 깔짚 살포 작업 시 과다한 노동부하 절감 및 가축 질병의 교차 오염 방지 등을 목적으로 가축이 실제로 사육되는 바닥면과 분리된 형태로 깔짚을 자동으로 살포하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ICT 기술을 이용하여, 완전 무인 방식으로 왕겨의 선적, 이동, 살포 등의 전 과정이 자율주행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해당 장치의 설정 조건에 따라 바닥재의 수분함량이 약 5~20% 감소되었으며 작업시간의 경우 관행 1동당 90~120분 가량 소요되던 작업이 15분 내로 완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 오리 사육시설 실태 조사 및 분석

        권경석 ( Kyeong-seok Kwon ),김종복 ( Jong-bok Kim ),김중곤 ( Jung-kon Kim ),양가영 ( Kayoung Yang ),장동화 ( Donghwa Jang ),최성민 ( Sungmin Choi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2018년 농림업 총 생산액은 52조 5,198억 원으로 이중 축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37.6%(19조 7,308억)로 1990년의 24.4% 대비 크게 성장하였다. 농산물 생산액 상위 품목을 살펴보면 1위인 미곡에 이어, 돼지(71.2천억 원), 한우(48.3천억 원), 닭(22.6천억 원), 우유(21.3천억 원), 오리(13.3천억 원)와 같은 축산물이 자리 잡고 있다. 오리의 경우 생산액 규모를 기준으로 여전히 상위권에 자리 잡고 있으나, 사육 농가 가구 수가 2020년에 527개소로 2011년 대비 46%가 감소하였으며 사육수수 역시 지속적인 감소 추세로 27% 감소한 9,302,812수를 기록하고 있어 국내 오리 사육업이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더욱이, 최근 무허가축사의 양성화와 관련하여, 무창 형태의 현대식 사육시설을 도입한 상다수의 오리 농가가 육계로 축종을 전환하고 있으며, 폐업 신고 수도 증가하고 있어 오리 사육업의 반등을 위한 원동력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오리 사육 농가 반등을 위한 정책, 관련 기술 개발 마련에 앞서 사육형태, 환기, 난방, 사양관리 방식 등 국내 오리 사육 실태 현황을 조사하였다. 실태 조사에 앞서, 전문가 협의를 통해 질문지를 작성하였으며, 2018년 오리 농가 경영주 집합 교육 등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응답자 수는 중복응답자, 미기입자 등을 제외하고 총 74개 농가(계열화, 95.9%, 독자경영 2.7%, 무응답 1.4%)이다. 조사 대상 농가의 경우 91.9%가 육용오리, 6.8%가 종오리, 무응답이 1.4%였으며, 연간출하횟수는 평균 5.4회 수준으로 나타났다. 시설 형태의 경우 무창이 2.7%, 비닐하우스 55.4%, 윈치커튼형 31.1%로 응답되었다. 시설 형태는 농식품부의 스마트팜 보급 확산 사업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는데, 응답의 대부분을 차지한 비닐하우스, 윈치커튼형태의 경우, ICT 장치의 설치 및 유지관리가 어려워 스마트팜 보급 확산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될 우려가 있다. 환기 방식의 경우 자연환기가 40.5%, 자연환기 방식에 추가적으로 환기팬을 설치하는 경우가 56.8% 수준으로 나타나 적정 생육 환경 조성에 다소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 추정가능하다. 하절기의 경우 크로스 환기, 지붕 배기 방식을 혼합한 환기 방식이 44.6%의 응답률을 보였으며 단순 크로스환기 방식이 31.1%로 그 뒤를 이었다. 동절기의 경우, 유사하게 크로스 환기 방식이 36.5%, 크로스, 지붕 혼합 환기 방식이 33.8% 수준으로 나타났다. 입기구 방식의 경우 윈치커튼 방식(79.7%)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그 중 25.7%의 농가만 자동제어 방식을 이용하고 있었다. 환기팬을 사용하는 농가의 경우 환기팬의 작동 기준 설정에 있어 86.5%의 농가가 농장주 경험에 따르고 있었으며 8.1% 농가가 시공업체에서 제공하는 매뉴얼에 따르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바닥의 경우 93.2%가 흙 바닥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79.7%의 농가가 왕겨를 깔짚으로 활용하며 85.1%의 농가가 깔짚을 연속 이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난방은, 79.7%의 농가가 온풍기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관리 기준의 경우 75.6%가 농장주에 경험에 따른다고 응답하였다. 냉방기의 경우 안개분무가 43.2%의 응답률을 보였다. 환기, 냉·난방에 있어, 농장주에 경험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연환기를 기본으로, 냉·난방을 실시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효율이 떨어질 것이라 추정 가능하다.

      • 계사 내 분진 농도 모니터링 및 발생 메커니즘 규명

        권경석 ( Kyeong-seok Kwon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국내 축산업 생산액은 농림업 전체 생산액의 약 34.8%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970년 축산업 총 생산액 1.2조원 대비 약 13.5배의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식도락 변화에 따른 지속적인 육류 소비량 증가로 인하여 축산업은 전문적인 고밀도 집중 사육 형태를 띄고 있다. 한편, 단위 규모 당 육계 생산량 증대 및 용이한 사육환경 조성을 위하여 밀폐형의 강제환기식 계사 시설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밀폐형 사육 시설에서는 계군의 깃털, 분변, 바닥재, 사료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유기 분진 등과 같은 입자상 물질이 농장 근로자 및 동물군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고농도의 분진 환경에 가축이 노출될 경우 면역 체계 이상, 사료 섭취량 감소, 생산량 감소, 폐사율 증대 등이 야기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경우 단기간, 장기간 노출에 따른 천식, 천식 유사질환, 폐렴, 기침, 면폐증 등과 같은 호흡기 이상 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 경제 동물 및 작업자에 대한 호흡기 관련 복지를 증진하기 위하여 분진 발생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이를 통한 효과적인 분진 저감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초 연구로써, 국내 대표적인 강제환기식 계사를 대상으로 시기별 상황별 분진 발생 수준을 측정하고 동시에 다양한 환경 변수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각 환경 변수가 분진 발생에 미치는 영향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강제환기식 자돈사 작업 종사자의 호흡기 관련 공기 중 분진 농도 측정 및 분석

        권경석 ( Kyeong-seok Kwon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As the amount of meat consumption has been increased, mechanically ventilated pig house has been popularized. However, the negative social recognition of the livestock farm has been continuously pervaded because of the odor and poor working condition. Among the various problem in the livestock house, dust can cause the chronic or acute respiratory symptom of farm workers and bring about the infection and dispersion of contagious livestock disease and communicable disease. Therefore, control of the air quality through the proper strategy for dust reduction is very important. In this paper, as a first step of noted issue, the periodic monitoring of aerial dust (TSP, PM<sub>10</sub>, Inhalable and Respiralbe dust) was conducted in the mechanically ventilated pig house and statistical approach also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mechanism of the dust generation. To induce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rmal environment of pig house was steadily recorded and actual ventilation rate was measured according to the output stage. In addition, the relative level of pig activity was evaluated through the image analysis and real-time measurement of aerial dust. From the periodic experiment, it was observed the concentration of the each dust frequently exceeded the recommendation level considering the pulmonary function of farm workers when level of pig activity was high and during the feeding periods. The measured concentration of the inhalable dust showed inverse-linear relationship with the installation height of feed pipe near the feeder (R<sup>2</sup>=0.96), implying that it can be possible to control the dust dispersion near the feeder through adjusting the feed pipe.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gression equation of TSP derived and R<sup>2</sup> was 0.87. Similar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PM10 (R<sup>2</sup>=0.90), inhalable dust (R<sup>2</sup>=0.83) and respirable dust (R<sup>2</sup>=0.86) were conducted. The derived regression equations will be applied to the boundary condition of CFD model for simulating the dust dispersion inside the pig ho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