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지원 <삼종형수록대부금성위겸오위도총부도총관증시충희공묘지명(三從兄綏祿大夫錦城尉兼五衛都摠府都摠管贈諡忠僖公墓誌銘)>의 구조와 서술전략 : 정조 <錦城尉朴明源神道碑銘幷序>와의 비교를 통해

        정순희(Sun hee Jeong) 어문연구학회 2015 어문연구 Vol.83 No.-

        박지원은 정조의 명에 따라 을 쓴다. 그 묘지명은 정조의 와 비지류의 구성 요소, 구성의 전개 과정, 어휘에서 상당히 비슷하다. 두 작품은 주제상으로도 서로 긴밀하게 연결된다. 에서는 박명원이 어떻게 '충희(忠僖)'로운 삶을 살았는지를 보여주고, 에서는 박명원이 정조에게 어떤 '은인(恩人)'인지를 보여준다. 이때 '충희'와 '은인(恩人)'은 각각 신하와 임금의 입장에서 박명원을 규정한 말일 뿐, 박명원을 중심으로 보면 같은 말이다. 에서 박명원은 할아버지(영조(英祖))로 인해 아버지(사도세자)를 잃은 정조의 '슬픔'을 깊이 슬퍼하고, 사도세자의 묘 이장을 실현시킴으로써 정조의 '슬픔'과 실천적으로 연대한다. 그 '슬픔'과 연대의 과정이 바로 '충희'와 '은인'으로 명명된 박명원의 삶이라는 말이다. 박지원은 을 통해 박명원과 정조 사이의 이해와 연대를 보여주며, 동시에 과 박명원을 사이에 두고 박지원 자신과 정조 간의 이해와 연대도 함께 보여준다. 박지원은 또한 과 박명원을 사이에 두고 정조와 대립하기도 한다. 에서 정조는 박지원의 『열하일기』를 박명원의 저작이라고 밝힌다. 이것은 '문체반정(文體反正)'을 염두에 둔 정조의 도발이다. 이에 대해 박지원은 박명원의 에서 자신의 8촌형 박명원에게 글쓰는 재주는 없었노라고 밝히며 정조와 대립한다. 박명원은 박지원과 정조에게 각각 다르게, 결정적인 영향을 준 사람이다. 박지원과 정조는'문체반정'과 관련된 대표적 신하와 임금으로서, 자의식 강한 '작가(作家)'로서, 박명원의 행적을 담는 비지류 산문을 통해 연대하고 대립하는 것이다. Ji-won Park inscribes Myojimyeong for Myeong-won Park, which iSamjonghyeongSurokdaebuGeumseongwiGyeomohwidochonggwanJeungsichungheegongMyojimyeong>. It is similar to of King Jeongjo as well as composition, development process and word of Bijiryu. Two work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topic. Myeong-won Park shows us how to live a faithful and happy life in Myojimyeong, and gratitude for King Jeongjo as a savior. Specifically, 'ChungHee' and 'savior' are words used to define Park Myeong-won from vassal and king, but they are the same words based on Myeong-won Park. In Myojimyeong, Myeong-wonPark deeply grieved for King Jeongjo who lost his father(Prince Sado), and practically band together with King Jeongjo's sadness by moving the grave of Prince Sado. Solidarity with the sadness is Park Myeong-won's life designated as 'ChungHee' and 'savior'. Ji-won Park shows understanding and solidarity between Myeong-won Park and King Jeongjo as well as between he and King Jeongjo. Furthermore, Park Ji-won sometimes conflicts with King Jeongjo between Myojimyeong and Myeong-won Park. In Shindobimyeong, King Jeongjo determines that 『YeolhaIlgi』 is Myeong-won Park's writing. This is a provocation of King Jeongjo based on Munchebanjeong. Ji-won Park is opposed to King Jeongjo on this because he determines that Myeong-won Park, a third cousin, does not have a talent in writing in Myojimyeong. Myeong-won Park is a person who influence differently to Ji-won Park and King Jeongjo. Ji-won Park and King Jeongjo are a vassal represent and king related with Munchebanjeong and self-conscious writers. In addition, they band together and conflict through Bijiryu prose which includes track of Myeong-won Park.

      • KCI등재

        전곡리 구석기 유적 절대연대측정의 현황 및 제언

        김명진(Myung jin, Kim),김은정(Eun jeong, Kim),정봉구(Bong gu, Jung) 한국구석기학회 2021 한국구석기학보 Vol.- No.44

        전곡리유적 지표에서 발견된 주먹도끼는 형태적 특징으로부터 오랜 인류의 소산으로 인식되어 온 아프리카 아슐리안형 주먹도끼에 비견되었다. 아울러 찍개와 달리 동아시아에서의 발견 사례가 드물었던 점이 부각되어 전기 구석기시대의 유물로 예찰되었다. 따라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절대연대 값을 얻고자 유적의 기저를 이루고 있는 용암대지에 대한 K-Ar 연대측정이 처음 시도되었다. 이후 각 문화층의 생활상을 비롯하여 각 시기의 자연환경 변화 및 유적 형성과정을 이해하고자 지형 및 지질조사, 고생물학적 분석 등 자연과학적 연구를 폭넓게 병행되었다. 특히 퇴적층의 시간 층위를 확립하고자 K-Ar/Ar-Ar 연대측정, FT 연대측정, 화산재 분석, TL/OSL/IRSL/BLSL 연대측정, 고지자기 연대측정, 동위원소측정, AMS-14C 연대측정 등이 다각적으로 시도되었다. 현재까지 40여 년의 발굴조사 및 연구가 거듭되면서 전곡리유적의 절대연대를 둘러싸고 20여 건의 성과가 축적되었다. 이 글에서는 현무암 용암대지의 형성부터 전곡리유적의 소멸까지를 통시적 관점에서 고찰하기 위해 전곡리유적에서 산출된 모든 절대연대 값들을 고고층서적으로 종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절대연대 분포를 통계적으로 추정하는데 가장 적합하다고 알려진 커널밀도추정(kernel density estimation, KDE)을 이용하여 각 고고층서의 절대연대 확률밀도함수 산출을 시도하였다. 절대연대 확률밀도함수는 OxCal 프로그램의 KDE_Model 명령어를 사용하여 산출하였으며, AT 화산재(22~25 ka)의 존재로 인해 고고층서의 하한을 보다 객관적으로 인정할 수 있는 플라이스토세 퇴적층부터 백의리층 순으로 확률밀도함수의 특성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 전곡리유적에서는 500 ka 이전에 형성된 백의리층 위로 500~120 ka 사이에 현무암 용암대지가 형성되었으며, 120~60 ka 사이의 하성퇴적층(or 호소퇴적층), 60~25 ka 사이의 플라이스토세 퇴적층이 순차적으로 퇴적된 것으로 추론되었다. 전곡리유적은 출토유물의 고고학적 중요성만큼이나 형성 시점에 대한 검토도 중요하다. 하지만 지난 42년간 다양한 절대연대측정이 이루어졌고 수많은 자료들이 산출되었음에도 아직까지 전곡리유적의 형성 시점에 대한 합일된 절대연대편년은 성립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연구현황의 한계를 극복하고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모색해야 하는 시점에서 (재)겨레문화유산연구원이 수행중인 22차 발굴조사를 통해 주먹도끼와 함께 전곡리유적의 형성과정을 복원할 수 있는 다양한 퇴적양상이 확인되었다. 이 글에서는 전곡리유적의 절대연대편년 수립을 통한 미래지향적 고고학 연구를 위해 유적의 형성 및 폐기 과정 복원, 고고지질환경 복원, 나아가 고고과학 분석결과의 종합 및 고고통계분석을 통한 절대연대편년 구축 등을 추가로 제언하였다. The hand-axe found at the surface of the Jeongok-ri Site is comparable to the Acheulean-type hand-axe that has been recognized as a product of mankind for a long time due to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unlike chopper, the rare discovery in East Asia was highlighted, and it was foreseen as a artefact of the Lower Paleolithic. Therefore, to obtain an absolute age corresponding this, K-Ar dating was first attempted on the lava plateau that forms the basis of the site. Since then, natural scientific research such as topographical and geological researches and paleontological analysis has been extensively conducted in parallel to understand the lifestyles of each cultural layer, chang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process of formation of site in each period. In particular, various attempts including K-Ar/Ar-Ar dating, FT dating, volcanic ash analysis, TL/OSL/IRSL/BLSL dating, paleomagnetic dating, isotope geochronology, AMS-14C dating, etc. were made to establish the temporal stage of sedimentary layers. Over 40 years of excavations and investigations have been repeated until now, and about 20 achievements have been accumulated around the absolute age of the Jeongok-ri site. In this study, all absolute agd calculated from the Jeongok-ri site were compiled in an archaeological format to examine the period from the formation of the basalt lava to the extinction of the Jeongok-ri site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Based on this, we tried to calculate the absolute dating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for archaeological stratigraphy using kernel density estimation (KDE), which is known to be the most suitable for statistically estimating the absolute age distribution. It was calculated using the KDE_Model command of the OxCal program. Due to the presence of AT volcanic ash (22~25 ka), the characteristics of the absolute ag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were analyzed in the order from the Pleistocene sedimentary to the Baekuiri layer, which can more objectively recognize the upper limit of the archaeological stratigraphy. As a result, it is inferred that a basalt lava plateau was formed between 500 ka and 120K above the Baekui-ri layer formed before 500 ka, and the fluvial sedimentary layer (or lake sedimentary layer) between 120 ka and 60 ka, the Pleistocene sedimentary layer between 60 ka and 25 ka were sequentially deposited in the Jeongok-ri site. As much as the archaeological importance of the excavated remains of Jeongok-ri ruins, it is also important to examine the timing of their formation. However, although various absolute dating measurements have been made over the past 42 years and numerous data have been produced, a unified chronology by absolute dating for the formation of the Jeongok-ri site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At a time when it is necessary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of the current research status and seek future research directions, various sedimentary patterns along with hand-axe that can reconstruct the formation process of Jeongok-ri site were confirmed through the 22nd excavation conducted by the Gyeore Institute of Culture Heritage. For future-oriented archaeological research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bsolute date chronology of Jeongok-ri site, it is suggested to reconstruct the formation and disposal process of the remains, reconstruct the archaeological geological environment, and furthermore, to establish an absolute date chronology through the synthesis of archaeological science analysis and archaeological statistical analysis.

      • 발해(渤海) 정효공주묘(貞孝公主墓) 전탑(塼塔) 출현의 의미

        박유정 ( Park Yu Jeong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2019 韓國史論 Vol.65 No.-

        이 논문은 8세기 말 발해와 당나라의 사회적 배경과 문화적 흐름을 살펴보는 속에서 渤海 貞孝公主墓 塼塔의 출현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발해 文王 넷째 딸의 무덤인 정효공주묘는 墓上建塔 현상이 등장하는 대표적인 고분으로, 계단식 墓道, 羨道, 玄室로 이루어진 塼室墓의 상부에 전탑의 基壇部가 남아 있는 독특한 구조를 보인다. 馬滴達塔 고분, 靈光塔 고분, 龍海區域 M10호묘 등 동일한 구조를 가진 고분이 몇 기 더 존재하나 피장자와 축조연대를 분명히 알 수 있어 고분의 축조 배경을 살펴볼 수 있는 경우는 정효공주묘가 유일하다. 아울러 다른 발해 왕실 고분과 달리 葬制와 墓制에서 당의 영향을 크게 받은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축조 연대의 차이가 크지 않은 발해 貞惠公主墓와 비교했을 때 더욱 뚜렷하게 드러난다. 전탑이 함께 나타나는 정효공주묘의 구조가 당나라의 甲字形 地宮과 거의 동일하다는 사실은 이미 지적된 바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사리안치실은 황실 분묘 구조를 차용한 橫穴式 구조로, 唐代에 처음 등장한 것이었다. 한편, 정효공주묘는 唐 長安 일부 귀족들 사이에서 보이는 묘상건탑 현상의 영향을 받아 등장한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현재까지 중국 내에서 발견된 묘상건탑 관련 실물 자료는 소수에 불과하며, 정효공주묘와 동일한 구조를 보이는 고분도 발견된 적이 없다. 한편, 문헌에서 정효공주묘의 축조 시점과 비슷한 시기에 당나라 德宗이 요절한 자녀들인 肅王 祥과 唐安公主의 장례과정에서 불교의 예에 따라 탑을 세워 고분의 분구 혹은 고분 그 자체를 대신하려 했던 모습이 확인된다. 建塔의 목적에 망자에 대한 추도의 의미가 담겨 있음이 분명해진 것이다. 이에 더해 묘상건탑 문화가 8세기 말 당나라 황실에도 알려져 있었음은 물론 그를 시행하려 했었음을 짐작할 수 있기도 하다. 이는 8세기 말 발해 내에서의 묘상건탑 문화가 등장하는 배경을 추측할만한 단서가 될 수 있다. 그런데 중국 正史에서 당나라 황실의 喪葬과 관련된 건탑 기사는 앞서 언급한 德宗代의 두 사례만이 보일 뿐이다. 공교롭게도 이 두 사례는 당나라가 藩鎭勢力의 반란으로 상당히 어려운 정국을 맞이하고 있었던 때에 등장한다. 당대에 불교가 황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었음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건탑의 배경에는 당시의 혼란한 정국을 안정시키려는 정치적 의미가 담겨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발해의 정효공주 또한 아버지인 文王보다 일찍 세상을 떠났다. 문왕 또한 당나라 덕종과 마찬가지로 본인이 요절한 자식의 무덤을 축조하게 된 것이다. 정효공주묘가 축조된 8세기 말 발해의 정치적 상황 역시 불안정했다. 문왕 사후 왕위 계승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정국의 혼란은 문왕 말기부터 시작되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정효공주묘가 축조된 792년은 문왕이 세상을 떠나기 바로 직전이다. 이를 고려한다면 당나라의 사례와 마찬가지로 정효공주묘와 그 전탑의 축조에도 추도는 물론 정국 안정의 의미 역시 함께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탑을 지어 무덤으로 삼거나 그 분구를 대신하는 것은 塔葬의 일종으로, 중국과 발해에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비슷한 시기의 티베트와 위구르 및 統一新羅를 비롯해, 후대의 사례이긴 하나 西夏에서도 탑장이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례들은 공교롭게도 8-10세기 唐 혹은 11-13세기 宋 등 중국과 관계를 맺고 있었던 국가들에서 등장하며 그 지역 고유의 문화와 섞여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효공주묘를 비롯한 발해 묘상건탑의 사례처럼 중국에서 불사리를 장엄하는 가장 존엄한 방식을 따라 고분을 축조한 경우를 현재까지는 어느 지역에서도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발해 정효공주묘와 그 전탑은 동아시아의 탑장 사례 중 독특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추후 塔이나 塔址의 조사 시 염두에 두어야 할 존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하겠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of the emergence of the Balhae (渤海) stupa on the Tomb of Princess Jeonghyo(貞孝公主墓, c.792). Myosang-geonchuk(墓上建築) refers generally to any construction, building or structure installed on a tomb mound. Myosang-geontap(墓上建塔) specifically designates a tomb construction style whereby a stupa surmounts a tomb mound. The Tomb of Princess Jeonghyo(757-792), fourth daughter of King Mun(r. 737-793), is a prime example of Myosang-geontap and is the only known instance for which both the construction date of the tomb and the identify of the person buried have been established. It contains remnants of the stylobates of a brick stupa erected on top of a brick burial chamber(塼室). Unlike other Balhae royal tombs, including that of Princess Jeonghye(貞惠公主), which was built in similar period, it displays striking indications of influence from Tang(唐) China. The Tomb of Princess Jeonghyo is almost identical to that of a Tang Buddhist tomb structure with a tunnel entrance(甲字形 地宮). On one hand, it may be argued from extant tombs with stupa superstructure of Balhae that such tombs derive from Changan(長安) aristocratic culture of the Tang period. However the number of actual instances of related tombs found in China are scant in number, and to date there have been no prior cases discovered that similar in structure to that of the Tomb of Princess Jeonghyo. There are only two passages in the Jiu Tang shu(舊唐書) concerning the use of stupas for burials(塔葬, Ch. Tazang, Kor. Tapjang,) related to the Tang imperial household within a time frame corresponding to the construction of the Princess Jeonghyo Tomb. According to these records, there were attempts to construct stupas according to strict Buddhist ritual in the funeral proceedings of the children of Emperor Dezong(德宗) of Tang as symbols of mourning for the children lost to a premature death. The period of stupa constructions coincided with the Fanzhen(藩鎭) Rebellion which wrought immense political turmoil in China. Princess Jeonghyo also met death prematurely before her father, Balhae’s King Mun(文王). When the tomb of Princess Jeonghyo was under construction in the late 8th century, Balhae also was faced with great political instability. In light of this context, the stupa as well as the brick chamber structure of its basement may be seen displays of memorial symbolism evincing hope for political stability. On the other hand, burial ceremony utilizing stupa in place of mound chamber, or Tapjang was not a unique feature in either China or Balhae. Cases of Tapjang culture appeared in Tibet(吐蕃), Uighur(维吾尔), Seoha (西夏) and Unified Silla(統一新羅) between the 8th and 12th centuries. However, there are as yet no confirmed instances of burial mound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utmost dignified customs of Buddhist ritual practice other than that of the Balhae Myosang-geonchuk or the Princess Jeonghyo tomb. The Princess Jeonghyo Tomb, therefore, occupies a distinctive position among East Asian Tapjang cases, and merits further scrutiny in future investigation of stupas or stupa sites.

      • KCI우수등재

        정철(鄭澈) 전설에 나타난 사건의 계열화와 인물상의 의미 분화

        한정훈(Han, Jeong-hoon) 국어국문학회 2016 국어국문학 Vol.- No.176

        본 논문은 정철의 인물상을 통해서 정철전설에 내재한 역사적 의미와 이야기 전승주체의 의식에 대해서 살펴본다. 전설은 전유하지 못한 사건에 대한 기층민의 역사비평이다. 정철전설은 바로 기층민의 역사비평을 수행하면서 전승되고 있으며, 정철의 인물상은 사건에 대한 지역적 이해가 결합되면서 다양하게 분화된다. 정철은 위대한 시인이며, 관료로서 정승의 지위까지 오른 인물이다. 이런 인식이 정철의 인물상을 형성하였고, 문인-관료로서 이상적 가치를 실현하는 모습으로 전설 속에 기입되었다. 하지만 정철은 붕당정치의 중심에 있었던 인물이고, 조선시대 최대의 옥사인 ‘기축옥사’를 처리한 인물이다. 붕당정치가 심화되는 과정에서 정철이 첫 외직을 수행했던 강원도는 정철을 부정적 외부인으로 형상화하면서, 자신들의 삶을 파괴한 관료로 묘사했다. 반면 호남은 정철이 유년시절을 보냈던 곳이지만, 정철로 인해서 정치적 피해를 크게 본 곳이기도 하다. 이러한 호남 사람들의 역사적 경험은 긍정과 부정이 혼효된 복합적 인물상으로 전설의 정철을 주조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historical meaning and the subject’s consciousness of story transmission inherent in Jeongcheol legend through Jeongcheol’s figure. A legend is folks’ historical critics on an affair that failed to be exclusively possessed. Jeongcheol legend was handed down performing folks’ historical critics, and his figure was combined with regional understanding of the affair to variously be discriminated. Jeongcheol was a great poet and bureaucrat to rise to be a prime minister in Joseon dynasty. This perception formed a figure of Jeongcheol, and he was entered in a legend as a literary man and a bureaucrat who made ideal values come true. However, Jeongcheol was in the center of factional politics and he was the one who executed ‘Gichukoksa’ that was one of the worst Oksas in Joseon era. In the process that factional politics was intensified, Gangwondo where Jeongcheol performed his first provincial government post gave shape to him as a negative outsider, depicting him as a bureaucrat who destructed their lives. On the other hand, Honam was a region where he spent his childhood but it had a big harm in politics owing to him. These historical experiences of people in Honam casted Jeongcheol in a complicated figure mingled with positive and negative.

      • KCI등재

        ‘집-나무-산’의 공간기호체계 연구

        정유화(Jeong Yu-hwa) 우리문학회 2008 우리文學硏究 Vol.0 No.25

        정지용의 시 텍스트는 ‘上/下’의 대립적 코드를 변환해 가며 ‘집-나무-산’이라는 수직상의 공간기호체계를 건축하고 있다. 먼저 ‘상/하’의 대립적 코드로 건축된 ‘집’의 기호체계를 보면, 오로지 自我(지상)와 神(천상)의 교섭만을 중심으로 수직 운동을 한다. 그의 집은 그 수직 운동에 의해 집의 내부와 천상의 세계가 소통ㆍ융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그의 집은 세속적, 육신적인 집에서 정신적, 종교적인 집으로 전환한다. 하지만 ‘집’의 기호체계는 그 특성상 안팎의 운동을 하기는 쉬워도 상하의 운동을 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집’의 변환코드로써 ‘나무’의 기호체계를 창조하게 된다. ‘나무’의 기호체계는 ‘집’처럼 천상으로만 운동하는 것이 아니라 땅속으로도 동시에 운동하는 수직성을 보여준다. 천상으로의 운동은 神의 성령을 수육하려는 운동이고, 땅속으로의 운동은 원죄의 땅인 ‘검은 흙’을 정화하려는 운동이다. 그리고 이 ‘나무’의 기호체계는 신적인 삶의 원리를 매개해주는 것으로서 육체적 자아를 영혼의 자아로 재생시켜주는 의미작용을 한다. 하지만 문제는 자아와 神이 이미 완전한 합일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텍스트를 지속적으로 산출할 필요가 없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이에 따라 그는 ‘나무’의 변환코드로써 ‘산’의 기호체계를 창조하게 된다. 지상과 천상을 매개하는 ‘산’의 기호체계는 ‘나무’의 범주를 벗어나 인간적 삶의 원리와 자연적 삶의 원리를 보여준다. 그래서 ‘산’의 기호체계는 두 층위의 의미작용을 한다. 그중의 하나는 산정을 향한 그의 등정이 다름 아니라 곧 인간적 기표를 해체하고 사물로서의 기표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하나는 이와 달리 인간적 가치를 지닌 ‘산장(방)’을 수직상승하게 하여 그 속에서 산정과 천상의 세계를 향유한다는 층위이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집-나무-산’의 수직적 공간기호체계를 수평으로 눕힌다면, ‘집-기차-배’의 수평적 공간기호체계와 대응하게 될 것이다. The texts of Jeong's poems switch the codes of 'up' and 'down', and thereby construct a symbolic system of space: 'house-tree-mountain'. The symbolic system of 'house' constructed from these two opposite codes first shows a vertical extension centered on the sole connection between God and the Self. This extension permits the house described by Jeong to connect and unify its interior space and the Heaven. The house is converted accordingly from its physical and secular nature to a spiritual and religious character.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e that this symbolic system represents an upward-downward extension though susceptible to the inward-outward counterpart.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Jeong creates another symbolic system of 'tree' instead as a switching code. The symbolic system of 'tree' does not merely indicate an upward extension to the Heaven, as does that of 'house', but also reveals its simultaneous vertical nature of downward extension underneath the Earth. The upward extension is a motion of embodying the spirit of God, and the downward counterpart a motion of purifying the 'black soil' of the Earth of the Sin. The symbolic system of 'tree' also signifies the reproduction of the spiritual Self from the physical as a mediator of the principles of divine life. The problem is however that, because God and the Self have already been unified here, it is not necessary to produce such texts constantly. Accordingly, Jeong devises another symbolic system of 'mountain' as a switching code for that of 'tree'. The symbolic system of 'mountain' mediating between the Earth and the Heaven while freeing itself from the bounds of the category of 'tree' shows the principles of human and natural life. Therefore, this symbolic system has two layers of signification. One of these two layers signifies that Jeong's climb towards the summit of a mountain deconstructs the signifier of being human and becomes a true signifier as being a thing. Unlike this layer, the other signifies that the vertical rise of the mountain hut or cabin bearing a human value alludes to the enjoyment of the Heaven's world and the mountain's summit both in that shelter. The horizontal layout of the vertical symbolic system of 'house-tree-mountain' in this structure enables it to correspond to a horizontal symbolic system of 'house-train-boat'.

      • KCI등재

        가야금산조 생삼청 연구 - 한성기, 최옥삼류 진양조를 중심으로 -

        추정현 ( Chu Jeong-hyun ) 남도민속학회 2020 남도민속연구 Vol.41 No.-

        생삼청이란 일명 가는목, 외갓집 목이라고도 하며, 선율의 단조로움을 피하고, 연주자가 본청에서 쓰인 주음의 위치를 바꾸어 새로운 청을 중심으로 엮은 가락을 지칭한다. 가야금산조의 생삼청은 최옥삼류 가야금산조 진양조에서 볼 수 있는데, 청의 변화로 인해 가야금의 현을 대부분 역안(力按)하여 연주해야 한다. 따라서 생삼청은 정확한 음정을 구사하기 가장 어려운 대목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최근 제도권에서 가야금산조를 배우는 많은 학습자들은 명인들의 실연이나 음원을 통해 실체에 접근하기보다는 채보된 악보를 통해 공부한다. 그런데 현재까지 연구된 가야금산조 생삼청 음계의 오류와 부정확한 채보로 인해 실제와 거리가 있는 생삼청이 연주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바로잡고자 하였다. 또한 오늘날 전하는 생삼청은 최옥삼류 가야금산조 진양조뿐만 아니라, 그 연원이 한성기 가야금산조에 닿아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생삼청의 음악적인 분석을 위해 한성기와 함동정월 두 명인의 음원을 비교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성기의 연주에서 생삼청의 원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성기의 Chieron52 - A 전체 39장단 중 18~26장단의 9장단, Taihei9000 - B 전체 29장단 중 21~29의 9장단이 생삼청이다. 그리고 Chieron52 - A의 21~25장단, Taihei9000-B 24~28장단의 5장단이 음계상의 생삼청에 해당된다. 둘째, 두 연주자의 음원을 각각 분석한 후 공통된 음들을 추출하여 음계를 구성할 수 있었는데, 땅(B♭)본청 우조로 연구되고 인식되어 채보되었던 한성기와 최옥삼류 가야금산조의 생삼청이 지(B)본청 우조로 파악되었다. 셋째, 한성기와 함동정월은 생삼청에서 ‘땅(A) - 지(c#)’줄을 검지와 엄지로 집는 수법을 구사하였다. 이 연주법은 한성기-최옥삼-함동정월을 거치는 60여 년 동안 변하지 않고 이어져 왔으나, 현행 연주에서는 ‘땅(A) - 지(c#)’가 아닌 ‘징(G) - 지(c)’줄을 집어 연주한다. 이 역시 채보상의 오류에서 비롯된 현상이므로 재고가 필요하다. 넷째, 스승의 가락을 변형시키지 않고 원형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함동정월의 우직함과 뛰어난 음악성을 확인하고, 함동정월이 산조를 악보로 공부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던 원인을 알 수 있었다. 악보는 실연을 그대로 담아낼 수 없기에 음원에 대한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그 연주의 실체가 음원으로 존재하고 있다면 우선순위를 악보에 둘 것이 아니라 명인의 실연에 두어야 할 것이다. 가야금을 공부하는 학습자들이 본고를 통해 생삼청에 대해 정확한 음조직을 인식하고, 명인들의 음원을 가까이한다면 모호하게만 느껴졌던 생삼청 연주의 실체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으리라고 확신한다. Saengsam-cheong is said to be so-called Ganeun-mok or Oegasjib-mok, and it refers to the melodies composed around the new Cheong(the tone that is the reference note in the given scale) to avoid the melodic monotony and change the position of main notes used in Bon-cheong by a player. Saengsamcheong in Gayageum Sanjo can be seen in Choi Ok-sam Ryu, and there the most of strings of Gayageum must be played in yeokan(力按-, a method of changing tones by pressing a string with the left hand) due to the change of Cheong. Therefore,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Saengsamcheong is the most difficult section to make the accurate pitches. Nowadays, many learners who are learning Gayageum Sanjo in the institution do not approach the musical reality through performances or sound sources of masters, but rather through the written scores. However, Saengsamcheong being played these days is far from the reality due to the errors of scale and inaccurate transcription of Saengsam-cheong in Gayageum Sanjo studied so far.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correct this problem. In addition, it was attempted to reveal that the origin of Saengsam-cheong passed down today is not only the Jinyangjo of Choi Oksam Ryu Gayageum Sanjo, but also the Han Seong-gi Ryu Gayageum Sanjo. And for the musical analysis of Saengsam-cheong, the sound sources of two performers, Han Seong-gi and Hamdong Jeong-wol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riginal form of the Saengsam-cheong could be confirmed in Han Seong-gi’s performance. 9 Jangdans (18~26 Jangdan) in the total 39 Jangdans of the Chieron52-A by Han Seong-gi and 9 Jangdans (21~29 Jangdan) in the total 29 Jangdans of the Taihei9000-B are the Saengsam-cheong. And 5 Jangdans (21~25 Jangdan) of the Chieron52-A and 5 Jangdans (24~28 Jangdan) of the Taihei9000-B correspond to the Saengsam-cheong. Second, it was possible to construct a scale by extracting common notes from the two players’ sound sources. Therefore, the Saengsam-cheong of Han Seong-gi and Choi Ok-sam Ryu Gayageum Sanjo, which has been studied and recognized as Woojo of Tang (B♭) Bon-cheong, were identified as Woojo of Ji (B) Bon-cheong. Third, Han Seong-gi and Hamdong Jeong-wol used the methods of grabbing the “Tang(A)-ji(c#)” strings with their index fingers and thumbs in Saengsamcheong. This technique has been continued without changing for more than 60 years through Han Seong-gi, Choi Ok-sam, and Hamdong Jeong-wol, but in the current performance, the strings “Jing(G)-ji(c)” are picked up rather than “Tang(A)-ji(c#)”. This is also a phenomenon caused by an error in transcription, so reconsideration is needed. Forth, it could be confirmed the honesty and the outstanding musicality of Hamdong Jeong-wol, who kept the original sounds without changing the master's melodies, and the cause of the concern that Hamdong Jeong-wol had been concerned about studying Sanjo as a score. The score should be used as an aid to the sound source for it cannot contain the performance as it is. If the substance of the performance exists as a sound source, the priority should be on the masters’ performances, not on the scores. It is convinced that if learners studying Gayageum recognize the exact tone structure of Saengsam-cheong through this paper, and get closer to the sound sources of the masters, they will be able to approach closely the reality of performance of Saengsam-cheong which was only felt vague.

      • KCI등재

        강정일당의 『척독』에 드러난 공부론 연구

        유정은 ( Yu Jeongeun ) 한국공자학회 2024 공자학 Vol.52 No.-

        본 논문은 조선후기 여성 성리학자로 불리는 강정일당의 문집 『정일당유고』속의 척독 을 분석하여, 척독 의 내용 속에 드러난 특징과 그녀의 공부 방법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정일당유고』에 전해지는 『척독』은 모두 82편이다. 이 82편의 『척독』을 중심으로 척독의 특징과 척독에 드러난 그녀의 학문에 대한 의지, 공부의 목적을 살펴본 것이다. 척독은 정일당이 남편 윤광연에게 보낸 쪽지편지로, 주된 내용은 남편의 학문과 수신(修身)을 권유하는 내용, 일상에서의 예법과 의례에서의 예법 등에 대해서 자신의 생각을 밝히거나 문의하는 내용, 남편이 제자들을 가르치면서 보여야 할 스승의 자세를 조언하거나 교우관계에 있어서 옳지 못한 행동들을 지적하기도 하였다. 또 자신이 공부하는 서책에 대한 궁금증도 담겼고, 필요한 서책을 빌려와달라는 강력한 요구도 포함되어 있다. 더 나아가 자신의 학문 목적을 남편에게 밝히는 당찬 포부도 모두 척독에 드러나 있다. 정일당의 신념은 성인과 범인은 그 본성에 있어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기 때문에 누구나 공부를 통해 공자와 같은 성인이 될수 있다는 것이었다. 더 나아가 여성도 남성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기에 규방의 여성 역시 공부를 통해 자신을 수신해 나간다면 성인에 이를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러한 까닭에 여성 교육의 부재에 대한 안타까움도 당당히 척독에서 주장하고 있다. 즉 여성을 남성의 부수적인 존재가 아니라 개체성을 인정하는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존재로 인식한 것이다. 이는 조선 최초의 여성 성리학자라 불리는 임윤지당의 사상을 적극 수용한 것이지만 임윤지당의 사상을 수용한 것에만 머무르지 않고 남편 윤광연을 성인지도(聖人之道)의 길로 이끌어 그로부터 스승으로 인정받은 확장된 신념과 실천력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규방 여성이 아닌 한 인간으로서 오롯이 인정받았던 강정일당의 독실한 공부 방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Jeong Il-dang’s study methods that are revealed in the contents of Cheokdok by analyzing the Cheokdok in the collection 「Jeongildang Yugo」 written by Kang Jeong Il-dang, who is a female Neo-Confucianist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are a total of 82 Cheokdoks included and remaining in Jeongildang Yugo. Focusing on these 82 articles,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heokdok and looks into her will to study and the purpose of study. Being notes sent by Jeong Il-dang to her husband Yoon Kwang-yeon, the contents of Cheokdok are as follows: the recommendation on study and moral training to her husband, her own opinion and inquiry about both ordinary etiquette and ritual etquette, advises on the attitude of a teacher which her husband needs to show his disciples, and a comment on inappropriate behaviors in friendship, and so on. Furthermore, there are curiosity about the books she studies, a strong request to borrow the necessary books, and additionally, her determination by which she reveals her academic objectives to her husband in this Chukdok. Jeong Il-dang's belief was that there is essentially no difference between saints and ordinary people in their nature, so anyone can become an saint like Confucius through studying. Furthermore, since men and women are intrinsically not different, women in Gyubang are also able to reach being a saint if they cultivate themselves through study. For these reasons, the regret over the lack of women's education is also boldly expressed in Chuckdok. In other words, she recognizes women not as accessaries to men, but as independent beings who are recognized as having individuality. This is an active acceptance of the belief of Im Yoon-ji Dang, who is called the first female Neo-Confucianism scholar in Joseon, but by extension, as Jeong Il-dang leads her husband Yoon Kwang-yeon to the path of becoming a saint(聖人之道), it shows her broadened belief and power of execution that are recognized as a teacher by him. In this paper, we will be able to confirm the committed study method of Kang Jeong-ildang, who is recognized wholly as a human being, not as a woman in Gyubang.

      • 白雪小說에 나타난 鄭 知常의 漢詩 「夏雲多奇峰」批評 硏究

        金正德 단국대학교 대학원 1983 學術論叢 Vol.7 No.-

        Jeong Ji-Sang is a poet whose background of family stock is little known to us more than by the fact that he was from Seo-Gyoung (currently pyung-yang), the capital city of the Goryo Dynasty. Moreover, little has been known about his family constellation―that is, who and what his father was―which reveals that he was not of noble stock. It is regrettable that we find little of his masterpieces because he was put to death on charges of the alleged betrayal againct the regime of his time, even though he known to have been very good at poetry, calligraphy and painting. It is remarkable that the marrow of his poetry runs the whole gamut of the poetic dictions and styles prevalent in the Late Tang Dynasty. Jeong Ji-Sang is a poet who finds no one of his kind to be flanked by in his "fairy and unearthly" character not only in the Goryo Dynasty but throughout all ages. Rhee Gyu-Bo, the author of Pai Yu¨n Haiao Shuo, commented that Jeong Ji-Sang excelled Kim Bu-Shik, a renowned poet and man of letters of his time, in poetry. Kim Bu Shik was absorbed in cult in Confucianism and conservativism, while Jeong Ji-Sang was in progressivism and Taoism, which fact indicates that both of them could not meet halfway in every aspect of life and poetry, as seen in the incident where Jeong met with his tragic death caused by Kim. In fine, Jeong Ji-Sang is the best-ever poet, produced by the Goryo Dynasty,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

      • KCI등재

        김정한의 〈인가지〉를 둘러싼 친일 담론 연구

        정봉석(Jeong Bong seok) 동남어문학회 2016 동남어문논집 Vol.1 No.42

        1943년 9월 『 춘추』에 발표된 이후 사장되었던 김정한의 희곡 〈인가지〉는 1966년 임종국의 『친일문학론』에서 처음으로 거명되고, 1989년 양승국이 엮은 『한국근대희곡작품자료집』에서 텍스트의 전문이 영인본으로 공개된다. 하지만 〈인가지〉의 친일극적 성격이 본격적으로 문단과 학계에서 공론화되어진 것은 2002년 박태일의 논문 「김정한 희곡 〈인가지〉 연구」가 발표되면서부터이다. 이 글은 〈인가지〉를 둘러싸고 전개된 친일극 논쟁을 분석하기 위하여 작품이 학계에 소환되어진 일련의 과정을 우선적으로 정리하였다. 본론에서는 〈인가지〉를 둘러싼 김정한의 부일 행적을 이른바 ‘절필 담론’과 ‘피신 담론’을 중심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김정한은 조선어 교육이 금지되던 1940년부터 1966년 〈모래톱 이야기〉를 발표할 때까지 절필하였음을 밝혀왔다. 하지만 자전기록들과는 달리 1943년에 친일극 〈인가지〉를 발표하였고 광복기에는 좌익 계열의 소설들을 발표하였던 사실들을 비추어볼 때 그의 절필 담론이 허구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일제 말기에 식민지 지배기관이었던 ‘경남면포조합’에서 근무하였던 사실에서 〈인가지〉의 창작이 일제에 협력하였던 시기의 한 증좌임도 확인하였다. 피신 담론에서는 김정한이 해방 직전에 ‘불령선인’으로 지목되어 피신하였던 행적을 밝히고 있는데, 이 또한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지점이 있으며, 그진술의 일관성과 신빙성에도 의문이 제기되었다. 그리고 광복을 맞이하는 심경을 표현하는 대목에서도 모순적인 태도가 발견되었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동안 형성된 민족주의적 저항 이미지와 우국지사의 이미지가 사실은 김정한이 스스로를 분식한 결과였음을 밝힘과 동시에, 일제 말에는 친일로, 광복기에는 좌익으로, 정부수립 후에는 보도연맹으로 세 번의 전향을 경험하게된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인가지〉는 김정한이 윤색하고자 하였던 일제 부역 행적의 정점에 놓여있는 상징적 표상이다. 한동안 〈인가지〉의 텍스트 독법과 해석 문제를 둘러싼 찬반 논의가 이루어졌으나 최근 발전적으로 계승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2부에서는 그 해석에 따른 쟁점들을 텍스트 분석을 통하여 비판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In September 1943, 〈Ingaji(Neighbor Story)〉 which was written by Kim, Jeong-han died out after being published in 〈Chunchu〉. In 1966, 〈Ingaji〉 was mentioned firstly in Im, Jong-Gook’s Pro-Japanese Literary Theory, and its full text was recovered through Korean Modern Drama Sourcebook edited by Yang, Seung-Gook in 1989. However, 〈Ingaji〉’s pro-Japanese play characteristics became an official issue in the literary and academic world in Park, Tae-Il’s thesis, Study in pro-Japanese play “인가지” written by Kim, Jeong-han in 2002. This writing preferentially arranged a series of process of 〈Ingaji〉 being recalled to the academic world to analyze the arguments of pro-Japanese play surrounding 〈Ingaji〉. This thesis tried to explain Kim’s trace of Japanophilism (pro-Japanese collaborationism) in 〈Ingaji〉 with two discourses: 1) giving up writing and 2) hiding from arrest. Kim, Jeong-han announced that he gave up writing from 1940 to 1966, from the time when teaching Korean was banned by Japan and to the time when he wrote 〈Moraetop(shoal) Story〉. However, his discourse of giving up writing was a false claim according to the fact that he published pro-Japanese play, 〈Ingaji〉 in 1943, and he also published left-leaning novels in contrast to his autobiographical records. Furthermore, he worked at ‘Kyoengnam Textile Union’ which was an institution of colonial exploitation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t means that his creation of 〈Ingaji〉 is evidence which shows that he collaborated to Japan consistently. At the same time, Kim wrote about his trace of escaping from arrest. He explained that he was pointed out as 不逞鮮人(ふていせんじん, Huteisenjin)from Japan right before the independence of Korea which made hide from Japan. It has some less convincing explanations, however, and questions are being asked regarding the consistency and reliability. Also, his self-contradicting attitudes were found in the passage that he expresses his feelings when Korea became independent. Through the analysis, this thesis could reveal that his images of nationalistic defiance and patriotism were made-up by himself. In addition, it turned out that Kim had turned three times into the pro-Japanese collaboration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left-wing in the liberation period, and the Bodo-League after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Thus 〈Ingaji〉 is a symbolic representation which is at the peak of pro-Japanese behavior that Kim tried to embellish. 〈Ingaji〉’s pros and cons about the way of reading and interpretation have been debated for a while, but it couldn’t be developed and continued effectively in recent years. In part II, this thesis attempts to demonstrate issues depending on interpretations critically through the analyzing the 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