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Nelumbinis Semen Reverses a Decrease in $5-HT_{1A}$Receptor Binding Induced by Chronic Mild Stress, a Depression-like Symptom

        Jang, Choon-Gon,Kang, Moon-Kyu,Cho, Jae-Han,Lee, Sun-Bok,Kim, Hyun-Taek,Park, Soon-Kwon,Lee, Jin-Woo,Park, Seong-Kyu,Hong, Moo-Chang,Shin, Min-Kyu,Shim, In-Sup,Bae , Hyun-Su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2004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Vol.27 No.10

        Depression is associated with a dysfunctional serotonin (5-hydroxytryptamine; 5-HT) system. More recently, several lines of evidence suggest that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depression may be a deficit in the function and expression of $5-HT_{1A}$ receptors. The present study assessed if Nelumbinis Semen (N. s.) had an anti-depression effect through reversing a decrease in $5-HT_{1A}$receptor binding in rats with depression-like symptoms induced by chronic mild stress. Using a $5-HT_{1A}$ receptor binding assay, with a specific $5-HT_{1A}$receptor agonist, 8- OH-DPAT (8-hydroxy-2-(di-n-propylamino) tetralin), the mechanism of the anti-depression effect of N. s. on rats was investigated, and the effects compared with two well-known antidepressants, Hyperium Perforatum (St. Johns Wort) and fluoxetine (Prozac). Animal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the normal (N) group without chronic mild stress (CMS), the control (C) group under CMS for 8 weeks, the Nelumbinis Semen (N. s.) treatment group under CMS for 8 weeks, the Hyperium Perforatum (H. p.) treatment group under CMS for 8 weeks and finally, the fluoxetine (F) treatment group under CMS for 8 weeks. Each treatment was administered to rats during the last 4 weeks of the 8-week CMS. A sucrose intake test was performed to test the anti-depression effect of N. s. The N. s. treatment significantly reversed the decreased sucrose intake under CMS (P<0.05 compared to control group under CMS). In the CA2 and CA3 regions of the hippocampus, both N. s. and H. p. reversed the CMS-induced decrease in $5-HT_{1A}$receptor binding. In the I to II regions of the frontal cortex, N. s. and H. p. also reversed the CMS-induced decrease in$5-HT_{1A}$receptor binding, and even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5-HT_{1A}$receptor binding compared to the F treatment group (N. s. vs. P, p<0.05, H. p. vs. P, p<0.05). However, in the hypothalamus, all treatments reversed the CMSinduced decrease in $5-HT_{1A}$receptor binding. This reversal effect of N. s. on the decrease in $5-HT_{1A}$receptor binding in the frontal cortex, hippocampus and hypothalamus of rat brains was very similar to that of H. p, but different from that of F. It is concluded that N. s. presents an anti-depression effect through enhancing $5-HT_{1A}$receptor binding.

      • KCI등재후보

        관상동맥 약물 방출 스텐트 삽입 후 스텐트 골절에 대한 임상결과 및 예후

        김인수(In Soo Kim),한재복(Jae Bok Han),장성주(Seong Joo J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4 방사선기술과학 Vol.37 No.2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 중재술로 관상동맥 약물방출 스텐트(drug-eluting stent, DES) 삽입 후 스텐트 골절에 대한 임상적 특성, 결과 및 예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약물방출 스텐트 시술을 받고 추적 관상동맥조영술을 실시한 4,701명 환자에서 스텐트 골절이 발생한 환자는 32명(남:여=19:13, 평균연령 62.44±9.8세, 0.68%)이었다. DES의 종류별 스텐트 골절의 빈도는 SES(sirolimus- eluting stents) 19(59.4%), PES(paclitaxel-eluting stents) 9명(28.1%), BES(biolimus A9-eluting stents) 2명(6.3%), EES(everolimus-eluting stents) 1명(3.1%), EPC(endothelial progenitor cell capture stent) 1명(3.1%), ZES(zotarolimus-eluting stents) 0명(0%) 이었다. 표적 병변은 우관상동맥 13명(40.6%) 좌전하행지 16명(50.0%), 좌회선지 3명(9.4%)이었다. 각 혈관의 병변 형태는 복잡병변인 B2, C형이 25명(69.4%)이었다. 스텐트 골절 환자 중 스텐트 내 협착은 17명(53.1%)이었으며, 스텐트 골절 병변에 대한 치료는 내과적 관찰 16명(50.0%), 동종의 관상동맥 DES 시술 3명(9.4%), 이종의 관상동맥 DES 시술 10명(31.3%), 관상동맥 풍선 확장술 3명(9.4%)이었다. 추적검사에서는 32.9±12.4개월 동안 스텐트 골절로 인한 사망을 포함한 심장사는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관상동맥 중재술로 관상동맥 DES를 시술받은 추적관찰 대상 환자에서 3.7년 추적관찰 기간동안 스텐트 골절 발생률은 0.68%로 나타났으며, PES보다 SES에서 많은 발생 빈도를 보였다. 좌전하행지와 복잡병변에 대한 시술 후 스텐트 골절이 많이 발생하였다. 또한 스텐트 골절 정도와 협착 병변이 중대한 경우에만 관상동맥 중재술을 실시하였으며, 추적관찰 기간 중 스텐트 골절이 있는 환자는 병용 항혈소판 요법을 지속적으로 투여하였다. 특히 사망을 포함한 주요 심장사건에 관련하여 스텐트 골절과 연관된 심장사의 발생률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스텐트가 가지고 있는 특성 스텐트 디자인이 폐쇄형(closed cell) 디자인 SES에서 발생 빈도가 높음을 제시함으로써 스텐트 개발에 도움이 될 거라 판단된다. Many studies have suggested that in the era of Drug-Eluting Stents(DES) are one of the causes of In-Stent Restenosis(ISR) of Stent Fracture(SF). The present study sought to evaluat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stent fracture after successful DES implantation. The 4,701 patien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who underwent a follow-up coronary angiography irre-spective of ischemic symptoms. The overall incidence of SF was 32 patients(male:female=19:13, Av. age 62.44±9.8year, 0.68%). Fractures of Sirolimus-Eluting Stents(SES), Paclitaxel-Eluting Stents(PES), Biolimus A9-Eluting Stents(BES), Everolimus-Eluting Etents(EES), Endothelial Progenitor Cell Capture Stent(EPC) and Zotarolimus-Eluting Stents(ZES) are accounted for 19(59.4%), 9(28.1%),2(6.3%),1(3.1%),1(3.1%)and 0(0%) respectively. SF developed in the left Anterior Dscending(LAD) artery in 16 patients(50%) and in complex(type B2, C) lesions in 25 patients(69.4%). T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heterogenous DES, the rest being treated with either homogenous DES(3 patients), plain old balloon angioplasty(3 patients), or conservative medical treatment(17 patients). None of the patients with SF suffered from cardiac death dur-ing a follow-up period of 32.9±12.4 months. The overall rate of DES fracture over up to 3.7 years of follow-up was 0.68% with higher incidence in SES than in PES. SF frequently occurred in the LAD artery and in complex lesions. Of the patients with SF, coronary intervention was performed only when the binary restenosis lesion was significant. During the follow-up, patients with SF have continued on combination antiplatelet therapy. There is a very low rate of major adverse cardiac events(post-detection of SF), especially cardiac death associated with SF.

      • KCI등재

        약물방출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 후 스텐트 혈전증 발생 환자의 임상경과

        김인수(In-Soo Kim),정명호(Myoung-Ho Jeong),한재복(Jae-Bok Han),장영일(Young Ill Jang),장성주(Seong-Joo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약물방출 스텐트 (drug-eluting stents, DES)는 일반금속 스텐트에 비하여 재협착을 현저하게 줄었지만, DES의 구조적인 특성으로 인한 스텐트 혈전증 (stent thrombosis, ST)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혈전증 유형의 정의는 Early ST ; (EST)은 30일 이내, Late ST ; (LST)은 31일 이상에서 1년 이내 그리고 Very late ST ; (VLST)은 1년 이상으로 분류 하였다. 스텐트 세대별 (시장 출시와 스텐트 디자인, Polymer 향상에 따른) ST발생빈도, 임상 양상 및 예후를 알아보았다. 2003년 6월부터 2013년 6월까지의 전남대학교병원 심혈관센터에서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 받은 10,273명 중 ST 발생은 134명(1.30%) 이었다. 세대별 발생빈도는 1세대에서 81명 (0.79%)으로 높았으며, 세대별 ST 유형은 1세대에서는 VLST의 발생률이 높았고 (p=0.002), 2세대에서는 EST와 LST의 발생률이 높았지만 (p=0.025), 3세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278). ST로 인하여 사망한 14명은 EST 10명 (18.2%), LST 2명(8.3%), VLST 2명 (3.6%)로서 EST에서 사망률이 높았다 (p=0.042). DES 시술 후 발생하는 ST는 1.3%이였고, VLST는 1세대 스텐트에서 많았으며, 입원 중 사망률은 EST에서 높았다. Stent thrombosis after successful drug-eluting stent(DES) implantation has been reported in around 1% of patients in clinical trials. However, the increased risk of ST associated with DES remains a matter of concern. From 1 June 2003 to 30 June 2013, we investigated clinical characteristics, in-hospital outcomes in 10,273 patients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the Heart Center of CNUH. Overall incidence of ST was 1.30% (134 patients). The incidence of ST according to the stent generations and the timing of ST (n= total, early vs. late vs. very late) were 0.79% (n =81, 26 vs. 12 vs. 43) in first-generation, 0.38% (n=39, 21 vs. 9 vs. 9) in second-generation and 0.14% (n=14, 8 vs 3 vs. 3) in third-generation, (p=0.70). The mortality from S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arly ST group compared to the late and very late ST groups (18.2% vs. 8.3% vs. 3.6%, p=0.042). Overall incidence of ST after DES implantation was 1.30% (134 patients). The in-hospital morta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early ST group compared to the late and very late ST groups.

      • KCI등재후보

        약물용출 스텐트를 이용한 관상동맥중재술 후 재협착의 독립적 예측인자에 관한 연구

        김인수(In-Soo Kim)한재복(Jae-Bok Han),장성주(Seong-Joo Jang),장영일(Young-Ill Jang)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2010 방사선기술과학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약물용출성 스텐트 삽입 후 재협착에 관한 독립적 인자를 확인하고 MDCT로 측정된 calcium score가 재협착 발생의 예측인자로써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6년 5월부터 2009년 5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에서 MDCT상 관상동맥 협착이 발견되어 약물 용출 스텐트를 삽입 받은 환자 1,131명 중 추적검사로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되었던 178명(남자 159명, 여자 19명, 평균 연령 61.7, 연령분포 51~71세), 190개소 병변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재협착 여부에 따라 두 군(비협착군 133병변, 재협착군 57병변)으로 나누어 비교 ․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상진단명은 진구성 심근경색이 비협착군 3예(2.3%), 재협착군 5예(8.8%)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 = 0.040), 급성 심근경색증, 불안정 협심증, 안정 협심증의 유병률은 차이가 없었다. 관상동맥 조영술 소견에서 병변 혈관의 위치는 재협착군에서 좌주간지 병변이 더 많았다(0.8% vs. 5.3%, p = 0.047). 스텐트 직경은 재협착군에서 유의하게 작았으며(3.3±0.4 mm vs. 3.1±0.3 mm, p = 0.004), 스텐트 길이는 양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관상동맥 조영술 상 혈관의 초기 협착 정도는 재협착군에서 더 심했으며(86.1±11.4% vs. 91.5±9.2%, p = 0.001), 복잡 병변(B2/C형)은 양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연령은 재협착군에서 더 높았고(60.2±9.9세 vs. 65.8±9.0세, p = 0.0001), 흡연력과 고지혈증은 비협착군에서(42.1% vs. 19.3%, p = 0.003, 23.3% vs. 8.8%, p = 0.019), 그리고 당뇨병은 재협착군에서 많았다(21.8% vs. 52.6%, p = 0.0001). 심초음파로 측정한 좌심실 구혈률은 양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 MDCT coronary artery calcium scoring는 비협착군 371.2±500.8, 재협착군 389.3±458.3로 차이가 없었고, 목표혈관과 좌주간지, 좌전하행지, 좌회선지 및 우관상동맥 각각의 calcium score 역시 양군 간 차이가 없었다. 다 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좌주간지병변(OR = 168.0, 95% CI = 7.83-3,604.3, p = 0.001), 남성(OR = 36.5, 95% CI = 5.89-2,226.9, p = 0.0001), 당뇨병의 존재(OR = 2.62, 95% CI = 1.071~6.450, p = 0.035)가 약물용출성 스텐트 삽입 후 재협착 발생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인자이었다. 따라서 관상동맥 협착에 대해 약물용출 스텐트를 삽입 받은 환자에서 스텐트 내 재협착의 발생은 좌주간지병변, 남성, 당뇨병의 존재와 관련이 있었으나, MDCT로 측정된 calcium score는 재협착 발생에 대한 독립적인 예측인자로써 기능은 없었다. We sought to confirm an independent factor about in-stent restenosis (ISR) in the patients who underwent drug-eluting stent (DES) and know a possibility as a predictor of measured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by MDCT. A total of 178 patients (159 men, 61.7±10.0 years of age) with 190 coronary artery lesion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out of 1,131 patients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with DES implantation for significant stenosis on MDCT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y 2006 and May 2009. All lesion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the presence of ISR : group I (re ISR, N = 57) and group II (no ISR, N = 133). Compared to group II, group I was more likely to be older (65.8±9.0 vs. 60.2±9.9 years, p = 0.0001), diabetic (21.8% vs. 52.6%, p = 0.0001), have old myocardial infarction (8.8% vs. 2.3%, p = 0.040), left main stem disease (5.3% vs. 0.8%, p = 0.047), and smaller stent size (3.1±0.3 mm vs. 3.3±0.4 mm, p = 0.004). Group II was more likely to be smokers (19.3% vs. 42.1%, p = 0.003), have dyslipidemia (8.8% vs. 23.3%, p = 0.019).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lesion complexity, and stent length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otal CAC score was 389.3±458.3 in group I and 371.2±500.8 in group II (p = 0.185). No statistical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in CAC score in the culprit vessel, left main stem,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eft circumflex artery, and right coronary artery. 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left main stem disease (OR = 168.0, 95% CI = 7.83-3,604.3, p = 0.001), male sex (OR = 36.5, 95% CI = 5.89-2,226.9, p = 0.0001), and the presence of diabetes (OR = 2.62, 95% CI = 1.071-6.450, p = 0.035)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ISR after DES implantation. In patients who underwent DES implantation for significant coronary stenosis on MDCT, ISR was associated with left main stem disease, male sex, and the presence of diabetes. However, CAC score by MDCT was not a predictor of ISR in this study population.

      • KCI등재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일차적 관상동맥 중재술 후 장기적 임상 경과-65세를 기준으로

        이한올(Han-Ol Lee),장성주(Seong-Joo Jang),김인수(In-Soo Kim),한재복(Jae-Bok Han),박수환(Soo-Hwan Park),김정훈(Jeong-Hun Kim),장영일(Young-Ill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4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는 일차적인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를 시술 받은 65세 이상의 고령 환자들에서 임상적 특성, 관상동맥 병변 및 중재술의 특성, 병원 내 및 1년 사망률과 주요심장사건(major adverse cardiac events, MACE)의 발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6년 1월 1일부터 2010년 12월 30일까지 모 대학병원 심혈관센터에서 급성 심근경색증으로 진단받고 흉통 발생 12시간 이내 관상동맥 조영술 및 일차적 PCI를 시행 받은 환자 1,974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65세 이상의 I군(1,018예, 연령 73.8±5.99세, 남자 : 여자 =574 : 821)과 65세 이하의 II군(956예, 연령 52.8±7.96세, 남자 : 여자 = 444 : 135)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는 I군에서 더 높았고, 흡연력, 고지혈증, 가족력은 II군에서 높았다. PCI표적 병변은 I군에서 좌주관지(2.7 vs. 1.6%, p=0.007)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다혈관병변(54.5 vs. 41.0%, p<0.001)도 I군에서 많았다. 병원 내 사망(8.4 vs. 1.9%)과 MACE(20.1 vs. 14.0%)는 I군에서 많이 관찰되었다(p<0.001). 로지스틱 다중회귀분석 결과 65세 이상 고령 환자에서 1년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인 인자는 내원 시 혈중 creatinine 1.3 mg/dL 이상, 뇌혈관 질환, 수축기 혈압<100 mmHg, Killip class II이상, 다혈관 질환, 그리고 좌심실 구혈률<40%로 나타났다. Primary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has been found to be superior, in terms of hospital mortality and long-term outcome, compared with thrombolytic therapy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However, the clinical benefits of primary PCI have not been precisely evaluated in elderly patients.1,974 patients (Group I: n=1,018, age≥65years, 73.8±5.99years; Group II: n=956, age<65years, 52.8±7.96years) who underwent primary PCI for AMI a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2006 and 2010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clinical, angiographic characteristics for hospital and one-year survival. Group I had a higher percentage of women,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multi-vessel disease and lower prevalence of current smoking, hyperlipidemia, familial history than Group II. Culprit lesions were at the left anterior descending artery, left circumflex artery, right coronary artery and left main artery in 42.8% vs. 45.0%, 34.1% vs. 29.6%, 14.6% vs 14.6, 2.7% vs. 1.6%, respectively (p=0.007). Stent diameter was smaller in group I (3.17±0.39 vs. 3.29±0.42mm, p=0.001). In-hospital mortality was higher in group I (8.4 vs. 1.9%, p<0.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tes of major adverse cardiac events between the two groups during one-year clinical follow-up (20.1 vs.14.0%, p<0.001). 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ystolic blood pressure<100mmHg, serum creatinine≥1.3mg/dL, Killip class> I, multivessel disease,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40% and cerebro vascular disease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one-year motality in patients over 65 years after PCI.

      • KCI등재

        약물 용출 스텐트와 일반 금속 스텐트에서 혈전증에 대한 발생과 예후

        김인수(In-Soo Kim),최남길(Nam-Gil Choi),장성주(Seong-Joo Jang),한재복(Jae-Bok Han),장영일(Young-Ill Jang)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7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약물 용출 스텐트(drug-eluting stents, DES)는 일반 금속 스텐트(bare-metal stents, BMS)에 비해 재협착은 감소하지만 구조적인 특성으로 스텐트 혈전증(stent thrombosis, ST)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ST의 발생빈도, 임상양상, 그리고 1년간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병원 심혈관센터에서 급성심근경색증으로 관상동맥 중재술을 받은 2,667명에서 스텐트 혈전증이 발생한 환자 80명을 대상으로 DES-ST를 I군(n=57), BMS-ST(n=23)를 II군으로 분류하여 양군 간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양군간의 ST는 I군에서 57명(2.7%)과 II군에서 23명(4.3%)로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64). ST의 유형으로는 acute ST는 I군5(8.8%), II군3(2.3%), subacute ST는 I군 29(50.9%), II군14(60.9%), late ST 는 I군11(19.3%), II군2(8.7%), very late ST는 I군12(21.1%), II군4(17.4%)로 양군간의 차이는 없었다(p>0.605). DES와 BMS를 삽입 후 1년 예후에 미치는 인자로는 ST(OR 8.166 95% CI 2.825-23.608 p<0.001), 좌심실구혈율(<40) (OR 6.409 95% CI 2.422-16.955 p<0.001), 나이(≥75세) (OR 4.979 95% CI 1.946-12.744 p=0.001) 이었다. ST의 발생율은 양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1년 예후에 미치는 인자로는 ST의 발생, 좌심실 구혈률의 저하 및 환자의 연령 등 이었다. Drug-eluting stents (DES) have significantly reduced in-stent restenosis, compared to bare-metal stents (BMS). However, there remains concern for the increased risk of stent thrombosis (ST) associated with DES. The present study sought to evaluate the incidenc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 of ST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MI) during a 1-year follow-up. 80 patients who developed ST were divided into 2 groups according to stent type: group I (DES-ST, n = 57 ) and group II (BMS-ST, n = 23 ).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group I and II in the overall incidence of ST (2.7% vs. 4.3%, p=0.064) and in the incidence of each type of ST: acute ST (8.8% vs. 2.3%), subacute ST (50.9% vs. 60.9%), late ST (19.3% vs. 8.7%), and very late ST (21.1% vs. 17.4%) (p=0.605). Predictors of 1-year mortality were the occurrence of ST (OR 8.12, 95% CI 2.83-23.61, p<0.001),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40% (OR 6.41, 95% CI 2.42-16.96, p<0.001), and age≥75 years (OR 4.98, 95% CI 1.95-12.74, p=0.001).

      • 결장을 이용한 식도재건 환자에서 경피 내시경하 결장루술 1예

        채희복,윤수인,홍장수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忠北醫大學術誌 Vol.13 No.2

        뇌졸중, 파킨슨 병, 척수신경손상 등으로 연하관련 근육들의 협동운동장애가 발생한 환자에서 흡인성 폐렴이 반복되거나 경장영양이 곤란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경피내시경하 위루술(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은 이들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위궤양 혹은 위암 등으로 위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위루술 대신에 부득이 경피내시경하 공장루술(direct percutanous endosopic jujunostomy)이 시행되었던 경우는 국내외에 몇 례의 보고가 있다. 본 증례는 과거 후두암 때문에 후두부식도절제술 후 결장 끼어듬(colon interposition) 수술을 받은 65세 남자 환자로 최근 좌측중대뇌동맥 경색으로 연하장애가 발생되었다. 저자들은 이 환자에게 지속적인 영양공급을 위하여 경피내시경하 결장루술을 합병증 없이 시행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Dysphagia is a loss of coordination in the swallowing musles. It has occurred in patients with cerebrovascualr accident, head injury, Parkinson's disease or cervical cord injury. Dysphagia results in nutritional deficiency or repeated aspiration pneumonia. Percutaneous endoscopic gastrostomy have helped these patients to maintain healthy and save lives. Several cases of direct percutaneous endoscopic jejunostomy have been reported in patients who received gastric resection for a stomach cancer or peptic ulcer hemorrhage. A 65-year-old male patient, who was suffering from dysphagia, whose symptom was caused by left middle cerebral infarction. He was referred to the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for the provision of permanent enteral feeding. His esophagus had been resected and replaced with a part of colon because of laryngeal cancer 5 years ago. We could not approach the stomach because the angle of anastomosis was acute and the colonic graft was long. We performed direct percutaneous endoscopic colostomy without any complications. Herein, we report on this successful case.

      • 조리방법에 따른 식품 중 영양소 잔존률(retention factor)에 관한 연구(Ⅰ) : 채소류 및 감자류 Vegetablesn ane potatoes

        김대병,장영미,김인복,이혜영,장재희,박정현,엄세정 식품의약품안전청 2000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4 No.-

        조리조건에 따른 식품의 영양소 잔존를을 측정하여 보다 정확한 조리식풍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합리적인 영양소섭취량 조사, 영양 평가를 위한 개선책을 제시하고자 끓였다. 대상 시료와 조리법은 시금치(데치기, 끓이기), 배추(끓이기), 콩나물(데치기, 끓이기), 호박(끓이기, 볶기). 당근(끓이기, 볶기), 우엉(조림), 감자(끓이기, 볶기)이었으며, 조리 전 후의 비타민 A(β -carotene), Bl, B2, C, E, 나이아신, 칼슘, 철, 아연, 칼륨, 인, 나트륨의 함량을 분석하여 조리법에 따른 잔즌률을 국하였다. 조리조건별 잔존률을 구한 결과 무기질은 데치기의 경우 조리수를 제거하므로 손실이 있었으나 끓이기, 볶기 등의 조리법에서는 손실이 거의 없었다. 비타민 A와 I는 대부분 80%이상으로 많이 손실되지 않았으며 비타민 Bi은 데치기가 가장 낮았고, 조림, 괄이기, 볶기의 순으로 잔존률이 높았다. 비타민 B2와 나이아신은 비타민 Bi보다는 잔존를이 높은 경향이었다. 비타민 C는 대부 분의 조리법에서 크페 손실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합리적이고 정확한 영양소 섭취량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기존의 평가방법을 개선 보완하여 영양소섭취량 평가으 과학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various mutrition activities, the necessary values of nutrient intake were usually calculated from food composition tables which have nutrient contents of raw ingredients and dishes, but Korean food composition tables of dishes were lacking, So we studied todetermine the nutnent retention factors(RF) of vegetables and potatoes by cooking methods. Atfirst, we surveyed cooking methods of vegetables and potatoes, and selected major vegetablesand cooking methods. Selected items and cooking methods were sp.mach(blanching and boiling),cRnese cabbage(boiling), soybean sprout(bBanchlng and boiling), pumpkin(boiling andstir-frying), carlot(boiling and stir-frying), burdock(braising), and potato(boiling and stir-frying)We analyzed 6 vitamins luhich were vitamin A(β-carotene), Bl, B2, C, E, and niacin, and 6minerals which were calciurrl, iron, zinc, potassium, phosphorus, and sodium. The results wereas follows : Minerals almost retained in boiling, stir-frying, except in blanching method, RF ofvitamin A and I were 80% or more. RF of vitandn Bl were decreased in order of sfir-frying,boiling, braising, blanching and the RF of vitamin B2 and niacin were higher than vitandn Bl,RF of the vitamin C were varird in So~90% in all cooking methods

      • 영양표시정착화사업(Ⅱ) : 식품참고량설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Establishement of the Reference Amount in Foods

        김대병,장영미,김인복,이혜영,장재희,김보영,이정구,김창민,정해랑 식품의약품안전청 2000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4 No.-

        본 연구는 영양표시에서 1회분량 및 영양소함량표시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식픔창고량"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므로써 합리적이고 일관성있는 영양표시기준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국 및 캐나다를 중심으로 제외국의 현황 및 식품참고량 설정방법을 조사 ·연구 하으며 제도도입 및 개선 방안을 강구하였파. 또한, 시판 제품의 영양료시현황 및 음료류 둥의 포장단위 등을 피악하여 식품참고량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코자 하였다. 앞으로 국민건강 ·영양조사자료의 체계적인 통계분석, 가공식품의 섭취량조사 등을 통하여 우리나라 국민의 1인 1회 섭취량자료의 축적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oject is to study on the reference amounts customarily consumed per eating occasion to improve the nutrition labelling standards. We Performed to study on the methodology to establish the reference amounts on the basis of the review on the advanced counITy's status. And we investigated the packaged unit ofprocessed foods. Further study is needed to establlsh the customarily consumed amount per eating occasion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nationwide food consumption data. Our results will be helpful information to improve nutrition labelling system in Korea.

      • KCI등재

        전력수용가포털을 위한 구내 통신 및 컴퓨터 네트워크 용량 설계

        홍준희(Jun-Hee Hong),최중인(Jung-In Choi),김진호(Jin-Ho Kim),김창섭(Chang-Sub Kim),손성용(Sung-Young Son),손광명(Kwang-Myung Son),장길수(Gil-Soo Jang),이재복(Jea-Bok Lee)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7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Vol.21 No.10

        고전력수용가포털(Consumer Portal)은 소비자의 다양한 장치들과 광역 네트워크, 그리고 에너지서비스사업자 (ESP: 한전 등)의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을 연결하는 물리적 링크이자 논리적 결합으로, 전력서비스 체계에서 소비자-공급자 간 정보교환과 서비스 거래를 담당하는 양방향 통신의 핵심 인프라로서 포털이다. 전력수용가포털(Consumrr Portal)의 성공적인 설계와 개발을 위해서는 효율성, 경제성, 확장성을 고려한 네트워크 설계가 선행되저야 한다. 그러나 전력수용가 포털의 네트워크 설계에 필요한 네트워크 용량 설계 모델링에 대한 공학적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수용가포털의 네트워크 설계에 필요한 네트워크 용량 설계 모델링 방법을 논하고 실제 구축중인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기존 네트워크 설계방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여 네트워크의 최대수용 단말기의 수를 30~40배 증대시킬 수 있는 데이터 수집 알고리즘을 개발할 수 있게 되었다. Consumer Portal is defined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that enables two-way conmunication between energy service providers(ESP, like KEPCO) and equipment within the consumer's premises. The portal provides both a physical link (between wires, radio waves, and other media) and a logical link (translating among language-like codes and etiquette-like protocols) between in-building and wide-area access networks. Thus, the consumer portal is an important, open public shared infrastructure in the future vision of energy services. In this paper, we describe a new methodology for local communication and computer network capacity design of consumer portal, and also presents capacity calculation method using a network system limitation factors. By the approach, we can check into the limitations of existing methods, and propose an improved data processing algorithm that can expand the maximum number of the networked end-use devices up to 30-40 times. For validation, we applies the proposed methode to our real system design. Our contribution will help electrical power information network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