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과기반 학습성취 평가 및 적응형 피드백 시스템 설계

        정현숙,김정민,Chung, Hyun-Sook,Kim, Jung-Min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The research of course-embedded learning evaluation method, which can be used to measure the competency of learners by evaluation of learning outcomes, has been performed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the univers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learning evaluation and adaptive feedback model based on learning outcomes, learning subjects, learning concepts graph, and an evaluation matrix. Firstly, we define the layered learning outcomes, a graph of learning subjects and concepts, and two association matric. Secondly, we define algorithms to calculate the level of learning achievement and the learning feedback to learners. We applied the proposed method to a specific course, "Java Programing",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our metho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method can be useful to measure the learning achievement of learners and provide adaptive feedbacks to them.

      • KCI등재

        담금액 온도에 따른 히카마 피클의 저장 중 품질변화

        정현숙,정희남,Jung, Hyun Sook,Jung, Hee Nam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20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5 No.6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um temperature of the jicama pickle solution by evaluating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at various temperatures. The soaking solution of the jicama pickle was prepared at different temperatures (95, 75, 50, and 25℃). During storage, the titratable acidity, Brix, and the salinity of the jicama pickles increased, and these values in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of the soaking solution. The higher the temperature of the soaking solution, the lower the L and b values. In all samples, the hardness increased rapidly until the 5th day of storage, and then gradually decreased. During storage, the jicama pickles showed a high tendency to harden at soaking solution temperatures of 75 and 95℃. Sensory evaluation indicated that the taste, flavor, crispness, and overall preference of the jicama pickle were higher at a soaking solution temperature of 75℃ and above. The higher the temperature of the soaking solution, the higher the accept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 that soaking solution temperature of 75°¦95℃ in the manufacture of jicama pickl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duction in tissue softening and the sensory properties of the jicama pickle.

      • KCI등재

        이효석의 소설론과 그 실제

        정현숙(Hyun-sook, Jung) 어문연구학회 2014 어문연구 Vol.81 No.-

        이 글의 논점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이효석의 평론을 중심으로 그가 지향한 문학론의 핵심은 무엇이었나 하는 것을 검토해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것이 작품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수용되어 있는가 하는 점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효석이 추구한 소설론의 요체는 시적 경지에 이르는 소설을 창작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 무엇보다 기교와 표현을 강조한다. 즉 압축과 비약, 함축과 암시 등의 기법을 통해 주제를 형상화하려는 것이 그가 지향한 기교의 핵심이다, 또한 그는 리얼리즘에 대해 일관성 없는 태도를 드러내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가 경계하는 것은 리얼리즘의 관념성과 이데올로기에 매몰된 문학이지, 현실을 사실적으로 그려내고 전망하는 리얼리즘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그의 소설이 현실을 반영하면서 장황한 서술보다는 은유와 상징, 이미지 등 다양한 표상들을 통해 독특한 심미성을 확보하는 것은 그가 추구한 이러한 고유한 창작 태도에서 비롯된다. <도시와 유령> <마작철학>등은 유령과 마작 등 몇 가지 표상을 통해 당시 도시화의 모순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노령근해> <상륙> <북국사신> <프렐류드> <오리온과 능금>등 경향성 짙은 소설도 은유와 상징 등이 서사를 추동하고 주인공들이 주관적 개별성에 근거하고 있다. 또한 <들> <산> <메밀꽃 필 무렵>등은 그가 지향한 시적 경지의 특징이 잘 담겨 있다. 이 소설의 인물들은 세계에 대한 주관화된 인식을 통해 분열된 현실에서 화합과 조화로움을 이끌어내려는 서정적 자아의 시선을 지니고 있으며, 자연과 식물들이 표상하는 이미지들이 서사를 추동하는 특징을 보인다. This paper will focus two points mainly. One will be investigation about his novel discussions on the basis of critique, and the other will be examination that how he reflects the realization to his work concretely. Lee Hyo-suk aimed at technique and expression in novels. His technical goal was that a novel attains to poetry by using compression, jump, implication, and a suggestive expression. Also, he seemed like to expose inconsistent attitude toward the realism because he had jumbled up ideology of realism and technique of creation. He didn't contradict realism that reflects reality graphically. But, he took strict precaution against buried literature to ideology of realism. He tried to reflect reality and to secure his unique esthetic element at the same time. For that, he avoided a diffuse description and utilized metaphor, symbol, and image. His early works such as <City and ghost> expressed contradiction of urbanization at the age figuratively through ghost, vehicle, mah-jong, and others. Also, <Field>, <Mountain>, and <When buckwheat flowers blossom> have all the appearance of his poetic acme. These novels contain his unique analogy, simile, and metaphor remarkably. Images through nature and plants give an impetus to description, and characters have lyrical ego that elicits harmony and balance from divided reality by recognizing subjective perception to the world.

      • KCI등재

        최인연 쓴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의 서풍

        정현숙(Jung Hyun sook) 한국서예학회 2018 서예학연구 Vol.32 No.-

        낭혜화상 무염이 개산한 성주산문은 구산선문의 하나이며, 그를 기린 <성주사낭혜화상백월보광탑비>는 최치원이 지은 사산비명의 하나이다. 이 글은 9세기 말 최치원이 짓고 909년 최인연이 당나라에서 귀국한 후 어느 시점에 해서로 쓴 이 비의 서풍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사산비명에 속하면서 최치원이 887년 짓고 쓴 <쌍계사진감선사대공탑비>, 최치원이 894년 짓고 혜강이 924년 쓰고 새긴 <봉암사지증대사적조탑비>와의 비교를 통해 이 비 글씨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비문의 글씨는 정방형과 장방형, 향세와 배세 등 여러 면에서 변화가 많은 원만한 서풍으로 쓰여 유창하다기보다는 너그럽고 후한 그의 천성과 어울리는 개성적 분위기를 풍긴다. 42세 이후에 쓴 최인연의 원만한 글씨는 방필의 굳셈과 배세의 힘참이 돋보이는 31세 청년 최치원의 글씨, 83세 노승의 완숙미가 두드러진 혜강의 글씨와는 확연히 구분되어 그만의 자가풍을 잘 표현했다. 또 행기가 있는 이 비의 해서를 9세기 중반 이미 성주사에 세워진 사적비인 <김립지찬성주사비>의 정연한 해서와 비교해 보면, 사적비와 선사비서풍의 차이점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7-9세기에 세워진 통일기 왕릉비의 엄정한 해서와는 달리 최인연, 최치원, 혜강세 사람의 해서에 공통적으로 가미된 행서의 필의는 서자의 성품, 교리에 얽매이지않는 선을 추구한 선사의 사상 또는 선사비라는 비의 성격 등을 고려한 서풍의 선택으로 여겨진다. 최인연은 이 비에서 최치원, 혜강과는 다른 서풍으로 10세기 신라 해서의 일면을 잘 보여 준다. Seongju Mountain School opened by Nanghyehwasang Muyeom is one of the Nine Mountain Monastery Schools, and Nanghyehwasang-bi of Seongju-sa is one of the Four Mountain Stele Inscriptions composed by Choi Chi-won.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alligraphic style of Nanghyehwasang-bi of Seongju-sa written in regular script by Choi In-yeon who returned to Silla from T’ang in 909. I examined the calligraphic characteristics of this stele by comparing with those of Jingamseonsa-bi of Ssanggye-sa, which was composed and written by Choi Chi-won in 887, and Jijeungdaesa-bi of Bongam-sa, which was composed by Choi Chi-won in 894 and written and engraved by Monk Hyegang in 924. The character forms both square shape and rectangular shape, and direction of vertical stroke is both facing each other and leaning on each other. It was written in amicable style with variety in many ways and shows the personality of Choi In-yeon that is naturally generous. The broad-minded calligraphy he wrote after 42 represents his own style and is distinguished from the style of Choi Chi-won written at 31 with the vigorousness of angular and leaning brush strokes and that of Hyegang written at 83 with the ripening of skilled brush strokes. Its regular script with the sense of running script is also distinguished from the Memorial Stele of Seongju-sa in regular script only, which was composed by Kim Rip-ji and already established in the middle of 9th century. I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alligraphic style of monk stele and that of monastery stele. Unlike the regular script of royal tomb stelae in strict style from the 7th century to the 9th century, those of Choi In-yeon, Choi Chi-won, and Hyegang with the senses of running script seem to be the choice of calligraphic style considered the nature of writer, the characteristic of monk with liberal thought, and the character of monk stele. Choi In-yeon shows one aspect of regular script in the 10th century of Silla by writing it in different style with Choi Chi-won and Hyegang.

      • KCI등재

        6세기 신라금석문의 서풍

        정현숙(Jung Hyun-sook) 한국목간학회 2010 목간과 문자 Vol.6 No.-

        현재까지 발견된 6세기의 신라금석문은 20여 종이 넘어 고구려나 백제에 비하여 그 수량이 많고 따라서 그 내용도 풍부하여 신라사와 신라서예사 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고신라 서풍의 연구는 단순히 문자 自體의 연구에 근거를 두고 고구려의 웅건함이나 백제의 유려함과 비교되어 상대적인 치졸함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고구려나 백제의 글씨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비의 형태 즉 글씨를 쓸 수 있는 서사공간을 고려한 서풍의 연구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본고가 6세기의 신라서풍이 다양한 공간에 어울리는 장법과 자형 그리고 거기에 적합한 필법을 구사하고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 써 신라글씨의 졸박함이 서법의 미성숙 때문이 아니라 서법을 체득한 후 표현되는 신라글씨의 특징으로 규정 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6세기 신라금석문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한 형태의 자연석을 선택한 것이고, 그 서체는 예서 기운이 농후한 원필의 과도기적 해서다. 진흥왕의 순행을 기록한 세 비의 형태가 비의 전형인 碑蓋, 碑身, 碑趺로 만들어진 것을 보면, 그 후에 세워진 비에서의 자연석의 사용이 비를 다듬는 기술이 부족하기 때 문이 아니라 자연을 즐기는 신라인들의 선택이었을 것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다. 진흥왕순수비 이전과 이후의 100년 이상에 걸쳐 세워진 자연석비에 어우러지는 고박한 글씨의 연속성은 역대 중국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한국 신라만의 독특함이다. 6세기 신라글씨의 이 특이함은 인위보다는 무위를 택한 신라인의 성정이 바로 無爲之爲의 세계를 품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고, 그것이 곧 신라인들의 심성의 표현이라는 점에서 그 고유의 글씨를 감히 “신라성”이라고 불러도 무방할 듯하다. 書如其人, 즉 글씨는 곧 그 사람의 품성을 그대로 나타내기 때문이다. The number of so far discovered Silla stone inscriptions in the 6th century are more than 20. Compared to those of Goguryeo and Baeje, the quantity is larger and, their contents are more various so that deserves to the studies of Silla history and Silla calligraphy history. Previous studies of Silla calligraphic style were only focused on character itself, but this study will mainly concentr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ing space and the composition of inscriptions and structure of characters, which does not exist in the calligraphy of Goguryeo and Baeje. By proofing the relationship in this paper, the naturalness and naiveness of the Silla calligraphy considered as the lack of writing technique so far is fixed as the characteristic of Silla calligraphic styl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Silla stone inscriptions in the 6th century is to choose natural stone, and they were written in the round Regular script in the taste of the Official script. The three steles erected by Jingheungwang are equipped with the typical form of stele in a cover, a body, and a bas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natural form of steles afterward is because of not the lack of stone cutting skill but Silla people’s choice enjoying nature. The continuity of natural calligraphic style appeared for more than 100 years before and after Jinheungwang’s steles is uniqueness of the Silla, which cannot be found in any dynasties in China. This own calligraphic style of Silla shows the spirit of Silla people who chose non-doing rather than doing and is the description of Silla people’s mind. It can be, accordingly, called “Sillaness” because calligraphy exactly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of the calligrapher.

      • KCI등재

        연구논문 : 고추씨를 첨가한 청경채 백김치의 저장 중 품질 특성

        정현숙 ( Hyun Sook Jung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4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0 No.5

        To develop a variety of salted vegetabl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ak-choi Baikkimchi with 0, 1, 3, 5 and 7% (w/w) red pepper seed during 50 days at 10℃. The pH of pak-choi Baikkimchi decreased little for the first days but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day 20. The larger amount of the red pepper seed kept pH the less affected. The total acidity of pak-choi Baikkimchi increased within 20 days. Lactic acid bacteria count, pak-choi Baikkimchi with 0% red pepper seed decreased after 30 days` increase, while pak-choi Baikkimchi with 3% and 5% red pepper seed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20 days` increase. Hunter`s color L value increased during storage but a and b value decreased. Pak-choi Baikkimchi with 0%, 5% and 7% red pepper seed on day 10, pak-choi Baikkimchi with 1% 3% red pepper seed on day 20. Flavor preference was higher on day 20 of storage. In taste analysis, pak-choi Baikkimchi with 3% and 7% red pepper seed higher preference on day 10 and with 5% on day 30. Appearance preference was higher for pak-choi Baikkimchi with 0% and 3% red pepper seed on day 10 and with the others on day 20. Texture preference decreased as the storage time. Overall preference of pak-choi Baikkimchi with 0%, 1% and 7% were higher on day 10, pak-choi Baikkimchi with 3% and 5% red pepper seed were higher on day 20. In conclusion, the quality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ak-choi Baikkimchi were optimal on day 20 of storage and 3% red pepper seed.

      • KCI등재후보

        북한, 중국, 일본의 한국현대문학사에 대한 인식(1)

        정현숙(Jung Hyun-So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1

        이 글은 북한, 일본, 중국에서 간행된 한국현대문학사를 비교ㆍ분석함으로써, 이질성과 동질성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북한의 문학사는 이전과는 달리 점차 유연한 태도를 보이기 시작하고 있다. 중국의 한국문학사는 개혁 개방 이후 남한과의 소통이 활발해지면서 남한과 북한의 시각을 통합하려는 의지를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있지만, 일본은 아직까지 남북한의 이념적 대립이 그대로 남아 있어서 이념 성향에 따라 북한의 문학사를 그대로 수용하거나 남한 문학사를 번역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논문의 구체적인 논의는 현대소설사로 한정하며, 분석 대상은 북한의 『조선근대 및 해방 전 현대소설사 연구』(은종섭), 중국의 『조선현대문학사』(김병민), 일본의 『한국문학의 흐름』 (사에구사 도시가즈) 그리고 『한국소설사』 (김윤식ㆍ정호웅)이다. 이 네 권은 문학사-소설사를 인식하고 기술하는 관점이 서로 다르다. 북한의 현대문학사는 주체문예사상과 공산주의 계급투쟁을, 중국은 남한과 북한의 시각을 통합하는 관점에서 문단의 중요한 변화와 문학의 변모 과정을, 일본은 한국소설의 중요한 작가와 작품을, 그리고 남한은 중요한 작품과 내적 형식을 각각 문학사 기술의 중심축으로 삼고 있다. 또한 북한의 소설사는 프로레타리아 계급투쟁과 성격 형성을 중시하는 반면, 중국의 소설사는 남한과 북한의 시각이 혼재되어 있으며, 일본의 소설사는 남한의 문학사 인식을 수용하면서 친일소설의 이면적인 의미에 주목하고 있다. 또한 이들 문학사-소설사는 작가와 작품을 선택하고 배제하는 기준도 서로 다르다. 북한의 소설사에는 김유정, 박태원, 이태준, 김동리 등이 배제되어 있으며, 남한과 중국의 소설사에는 북한에서 중요한 작가로 평가하는 윤세중, 한인택, 송영, 이북명 등을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또한 이석훈, 김사량, 최병일, 최재서 등은 일본의 문학사에만 기록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eterogeneity and homogeneity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published in North Korea, China, and Japan. The history published in North Korea have started to show a flexible attitude in contrast to the past. After reformation and evolution, China and South Korea communicated lively about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s a result, the history published in China has expressed a strong desire to unite the views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However, the history published in Japan still has ideological opposition between North Korea and South Korea. Thus, they accept either the perspective of North Korea or that of South Korea according to their ideological tendency. This study will analyze four books which are The History Research of Literature in Modern Chosun Period and Contemporary Period before Liberation (by Jongsub Eun) from North Korea, Chosun Contemporary Literature History (By Byungmin Kim) from China, A Stream of Korean Literature (by Saegusa Doshigatch) from Japan, and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Yunsik Kim and Howoong Jung). The above four books have different point of views to write a history of literature. North Korean books describe the Juche literature ideology and a communistic struggle of classes. Chinese books emphasize an important change of the literary world and a process of the change from an united sight of view within North and South Korea. Japanese books concentrate on important works and writers in Korean literature. South Korean books represent important works and an internal form. These four books also have different standards to select writers and works. A novel history in North Korea doesn't mention about Yujung Kim, Taewon Park, Taejoon Lee, and Dongri Kim. Furthermore, literature history in South Korea and China doesn't mention about Sejoong Yoon, Intaek Han, Young Song, and Bukmyung Lee, who are evaluated as important writers in North Korea. In addition, Sukhoon Lee, Saryang Kim, Byungil Choi, and Jaeseo Choi are only record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published in Japan.

      • KCI등재

        北魏 平城시기의 금석문과 그 연원

        정현숙(Jung, Hyun-Sook) 한국서예학회 2007 서예학연구 Vol.10 No.-

        평성에 수도를 두었던 북위 전기(386-493)는 낙양으로 천도한 후의 후기(494-534)에 비하여 서적이 훨씬 적은 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서체의 변화를 보여주기 때문에 전기의 서예 연구를 위해서는 매우 소중한 자료이다. 북위 초기의 최씨와 노씨, 두 가문은 각각 서진의 위관과 조위의 종요의 필법을 이었으나 불행하게도 현존하는 필적이 없다. 따라서 북위 평성시기의 서적은 금석문이 주를 이루는데, 이를 크게 순행비, 종교비, 묘지명으로 나눌 수 있다. 진 시황제의 입비 전통을 이은 태무제와 문성제의 순행비는 예서에서 해서로의 변화를 보여주는 과도기적인 서체로 쓰였는데, 이것은 진의 遺風이다. 불교와 도교의 이미지가 혼합된 북위 최초의 불도교비에서도 자유분방한 과도기적 서체가 사용되었다. 도교가 국교였던 태무제의 치세 기간 동안 건립된 도교비들의 서풍도 그 사상에 걸맞게 형식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자재한 편이다. 태무제의 훼불 전이나 후에 만들어진 불교조상기 가운데 거의 隸氣가 없는 해서로 쓰인 것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과도기적 서체가 유행하던 때에도 민간에는 이미 해서가 실용서체로써 사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평성시기 말인 5세기 말엽에 세워진 <휘복사비>에 이르러 隸法이 전혀 없는 완전한 해서가 사용되었는데 이것은 동진의 왕희지의 서법이나 이를 계승한 남조의 서풍과 유사하다. 묘지명은 예서로 쓰인 것도 있고, 예기가 있는 해서로 쓰인 것도 있는데 지석의 형태나 명문의 형식이 진의 풍습을 따랐다. 평성시기의 글씨는 이처럼 대대로 한나라의 전통을 이은 위․진과 남조의 서풍을 따라 변화․발달했다. 초기에는 당시 서단을 이끈 한족 출신 명가들의 서적은 비록 남아 있지 않지만 금석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위․진의 비의 서풍이 주를 이루었으며, 말기에는 ‘문화개혁’이라는 내적인 요소와 ‘남조와의 잦은 접촉’이라는 외적인 요인으로 초기와는 다른 남조 글씨의 필법이 서예술에 반영되었다. 이것은 인접한 지역의 영향을 벗어날 수 없는 서예가 당시의 사회적인 분위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을 말해 준다. The former period of the Northern Wei that had its capital in Pingcheng has not produced as many calligraphic remains as the later period that had its capital in Luoyang. Nonetheless, they are so valuable because they contain various contents and show the calligraphic change of Pingcheng period. The Cui and Lu Families of the early Northern Wei had transmitted the calligraphy of Wei Guan of the Western Jin and Zhong Yao of the Cao Wei each. However, there are unfortunately no remains. Accordingly, the calligraphic remains of the Northern Wei Pingcheng period mainly consist of stone inscriptions, and the stone inscriptions can be divided into the three categories: royal tour stelae, religious stelae, and epitaphs. Following the tradition of erecting royal tour stelae of the First Emperor of Qin, Emperors Taiwu and Wencheng also built their owen royal tour stelae, written in the transitional calligraphic style from clerical script to regular script. This calligraphic style is the remnant of the Eastern Jin. The same calligraphic style was also applied to the first Buddo-Daoist stele of the Northern Wei. Those of the two Daoist stelae, erected during the period Daoism was a state religion, are unrestricted in accordance to its thoughts. The fact that, among the Buddhist inscriptions established before and after the Buddhist suppression, some were written in regular script without clerical atmosphere tells us that the regular script was already used as a practical script when the transitional calligraphic style had been popular. Huifusi stele erected in the late fifth century demonstrates a mature regular script without any clerical touch. And its calligraphic style is similar to those of Wang Xizhi of the Eastern Jin and the South, handed down Wang's style. One epitaph was written in clerical script and the other, in regular script. And the shapes of the epitaphs and the form of the inscription also followed those of the Jin. The calligraphy of the Pingcheng period thus changed and developed by following those of the Wei, Jin, and South. As observed in the stone materials, the early Pingcheng calligraphy resembles the calligraphic styles of the Wei-Jin stelae although there are no remains of the famous calligraphers. Because of the cultural reforms, an inner cause, and the frequent contacts with the South, an outer cause, the late Pingcheng calligraphy followed the calligraphic style of the South. This informs us that calligraphy influenced by the neighbor is profoundly related to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time.

      • KCI등재

        최명익(崔明翊) 소설(小說)에 나타난 은유(隱喩)

        정현숙 ( Jung Hyun-sook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2 No.1

        이 論考에서는 崔明翊 小說에 나타난 다양한 隱喩를 분석하였다. 최명익 소설은 事物, 空間, 現狀 등에 대한 隱喩를 통하여 登場人物들의 內面意識과 性格, 主題를 드러내는 특성을 나타낸다. 최명익 소설에는 결핵, 癌, 각기병 등 갖가지 疾病에 대한 은유가 나타난다. 이 隱喩로서의 疾病은 지식인의 암울한 內面意識과 近代 資本主義에 대한 비판의식을 드러낸다. 특히 癌은 非正常的인 成長으로서 財貨에 대한 집착을, 결핵은 靈魂의 疾病으로서 정신적인 淨化에 대한 욕구를 표출한다. 또한 거리, 집, 기차 안, 성 등 다양한 공간에 대한 은유가 나타난다. 이 空間에 대한 隱喩는 傳統과 近代, 外的 現實과 內面 世界, 物質과 精神의 對立 속에서 動搖하는 등장인물의 心理的인 空間으로 再構成된다. 그리고 고양이, 두꺼비, 소나무, 기차, 비 등 다양한 事物에 대한 隱喩가 나타난다. 이러한 隱喩를 통해 등장인물의 性格과 主題意識이 효과적으로 表出된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n the various metaphors in Choi, Myung-ik's novels. Choi Myung Ik's writings illustrate the characters inner consciousness and personality through figurative speech on objects, places, time, and happenings. Many sicknesses including consumption, cancer, beriberi, typhoid, drug addiction, neurasthenia, and venereal disease are used metaphorically in Choi, Myung-ik's novels. Figuratively, sickness in novels shows the vulgarity of modern capitalism and the gloomy inner consciousness of the intellectual. Particularly in Choi, Myung-ik's writings cancer shows abnormal growth, meaning tenacity for substance while consumption illustrates exhausted vitality that implies a desire to be spiritually purified. There also appears metaphoric expressions using diverse places in Choi, Myung-ik's novels including streets, houses, factories, stores, inside trains, and palaces(old constructions). This figure of speech reflects the characters' longing for a valuable life through the conflict and confrontation that happens in the characters' inner senses. These include tradition and modernization, candidness(opening) and closure, the multitude and the individual, external reality and the internal world, material and soul. Choi, Myung-ik uses figurative speech with various animals, plants, objects, and happenings such as cats, cows, toads, fish, pine trees, rail travels, cars, and the rainy season as well. This kind of metaphor helps to express the characters' personality and the main theme effectively. Particularly, rain portrays the melancholy period, trains intervene observation and reminiscence with reaching to self-awareness.

      • KCI등재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연속성과 불연속성(2) - 196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정현숙(Jung hyun-sook) 어문연구학회 2008 어문연구 Vol.57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of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Pak Tae-Won"s literature before and after going to North Korea. The novels which the study will discuss are six historical biographies published serially in 『Literature News』, Kye Myung San Chun Eun Bal Ga Oh Neu Nya(section 1, 2), and Gabo Nongmin Jun Jaeng(section 1, 2, 3). These novels are closely related to his works before going to North Korea. After going to North Korea, his literary style was mostly similar with that of before going to North Korea. He concentrated to translating Chinese classics and writing historical novels right after liberation. And, this trend was continued until after going to North Korea.<BR>  He published historical biographies about six historical people who are Yu-Shin Kim, Sang Kim, Gae-So-Moon Yeon, Je-Sang Park, and Jin-Chun Ku in 『Literature News』. Although these works was emphasizing patriotism and socialistic national consciousness, they had interest to art and individual ideology. Also, description pattern was same with that of his historial biographies written before going to North Korea. 「Kye Myung San Chun Eun Bal Ga Oh Neu Nya」 and 「Gabo Nongmin Jun Jaeng」 are on a line of continuity with 「Gun Sang」 written before going to North Korea. For example, the historical background, event, and people in 「Gun Sang」 are repeated in 「Kye Myung San Chun Eun Bal Ga Oh Neu Nya」. The various lifes of people are expressed better than the socialistic ideology. And, even though 「Gabo Nongmin Jun Jaeng」 expressed the socialistic ideology and class consciousness directly, it was also concerned about an individual everyday happening<BR>  In conclusion, after going to North Korea, Pak Tae-Won kept up his literature style and reflected the socialistic ideology of Nor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