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부 농촌지역 주민의 모발중 금속 농도 분포

        고현송,심운택,조영채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지역사회의학연구소 1991 충남의대잡지 Vol.18 No.2

        In order to know the concentration of some metals in human hairs from residents living in rural area, the 88 hair samples were taken from Kunbuk-Myon residents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through October, 1990. The 4 elements(Pb, Cd, Mn, and Zn) in human hair were determin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r with flame and grapite furnace atomizer systems using wet ashing proced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concentrations of metals in human hair of the total 88 samples were: Pb was 3.14±1.63㎍/g, Cd was 0.81±0.71㎍/g, Mn was 4.02±3.86㎍/g, Zn was 199.11± 80.33㎍/g, and in the males: Pb was 3.51±1.54㎍/g, Cd was 0.84±0.63㎍/g, Mn was 3.95±4.78㎍/g, Zn was 215.88±76.76㎍/g, and in the females: Pb was 3.34±1.69㎍/g, Cd was 0.79±0.77㎍/g, Mn was 4.08±2.95㎍/g, Zn was 186.36±82.90㎍/g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4 elements (Pb, Cd, Mn, Zn) by Age groups, by exposed to pesticides and by exposed years to pesticides. 3. In males,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age and Cd level(r=-0.2860, P<0.05), between Cd and Zn(r=-0.3760, P<0.01),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b and Zn(r=0.2881, P<0.05). In females, there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b and Zn(r=0.3096, P<0.01).3 4.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b and Cd(r=0.1835, P<0.05) and between Zn and Pb(r=0.3049, P<0.01), but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Mn and Cd(r=-0.1817, P<0.05).

      • 좌심실비후 환자에서 베타차단제의 급중단이 임상증상 및 좌심기능에 미치는 영향

        황종현,김영태,배용학,임현주,조용근,채성철,전재은,박의현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7 慶北醫大誌 Vol.38 No.1

        목적 : 베타 차단제와 칼슘 길항제의 장기투여로 안정상태에 있는 비후형 심근증이나 고혈압성좌심실비후 환자에서 이들 약제를 갑자기 중단하였을 때 혈역학, 심기능 및 임상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경북대학교 병원 순환기내과에서 통원치료중인 비후형 심근중 환자 5명과 심한좌심실비후를 동반한 고혈압 환자 6명(남자 6명, 여자 5명)을 대상으로 장기투여 중이던 베타 차단제와 칼슘 길항제를 최소 5일 중단한 후 임상증상, 혈압 및 심박수의 변동, 그리고 투약중지 전후에 도플러 심초음파도를 기록하여 좌심실내경, 벽두께, 좌심실근량, 구혈율 및 승모판혈류속도곡선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결과 : 1) 약물치료 중단 후, 베타차단제의 경우 9명 중 6명에서, 그리고 칼슘길항제 및 디소피라미드를 복용하던 각 1명, 도합 7명의 환자에서 심계항진, 호흡곤란의 악화, 흉통이 관찰되었고, 심계항진을 호소한 1예에서는 심방세동이 재발되었다. 2) 혈압, 심박수, 확장말기 및 수축말기 좌심실내경, 심실중격 및 심실후벽 두께, 좌심실근량 및 구혈을 모두는 치료약물 중단 전후에 다소 변화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3) E파 최고속도와 E파 시간속도적분은 약물투여 중단 전후에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A파 최고속도와 A파 시간속도적분은 중단 후에 각각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both P<0.01), E/A 최고속도비와 E/A 시간속도적분비는 각각 유의하게 감소하였다(both P<0.01). 한편, E파 감속시간, 등용이완시간 그리고 A-Ar 간격[A파의 최고점에서 A reversal(Ar)파의 최저점간의 시간] 모두는 중단 후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1 결론 : 비후형 심근증 이나 고혈압성 좌심실비후 환자에서 장기투여중이던 베타 차단제와 칼슘길항제를 일시적으로 중단하였을 때 임상중상의 악화와 더불어 확장기 기능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따라서 약물치료로 비록 임상적으로 안정상태에 있더라도 치료를 갑자기 중단할 때는 주의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changes in clinical findings, hemodynamics and cardiac function after abrupt withdrawal of longterm beta-blockers and/or calcium channel blockers in hemodynamically stable patien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left ventricular(LV) hypertroph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Methods : Eleven patients with hypertrophic cardiomyopathy(n=5) and LV hypertroph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n=6) were studied. Symptom assessment, blood pressure, electrocardiography and echocardiography including pulsed Doppler examination were obtained before and at least 5 days after abrupt cessation of beta-blockers and calcium antagonists. Results : 1) Deterioration in symptoms(i.e. palpitation, aggravation of dyspnea and chest pain) was observed in seven patients after abrupt withdrawal. 2)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blood pressure, heart rate, end-systolic and end-diastolic LV dimensions, interventricular septal thickness, LV posterior wall thickness, LV mass, and ejection fraction before and after drug withdrawal. 3) Doppler time intervals and E wave peak-velocity and time velocity integral(TVI)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before and after drug withdrawal. But A wave peak-velocity and TVI after abrupt withdrawal were significantly increased(both p<0.01), and E/A peak-velocity ratio and TVI ratio were significantly decreased(both p<0.01).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mporary omission of beta blockers and calcium channel blockers develops deterioration in symptoms and LV diastolic dysfunction in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LV hypertroph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Physicians should avoid abrupt withdrawal of longterm beta blockers in LV hypertrophy.

      • 시화호 해수 및 유입하천수 중 PFCs의 농도 분포

        저현서(Cho Hyeon-Seo),강조해(Kang Jo-Hae),조천래(Cho Chon-Rae),박정채(Park Jeong Chae),이대인(Lee Dae-In)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6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

        시화호내ㆍ외해수와 유입되는 하천수 중 PFCs의 농도분포를 2005년 11월에 채취한 시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시화호의 표층수, 저층수 및 유입하천수 중의 농도는 perfluorohexanesulfonate (PFHS)가 ND~0.8, 0.3~0.5, 1.8~35.9 ng/L, perfluorooctanesulfonate (PFOS)는3 3.6~11.6, 3.6~8.1, 5.8~253.2 ng/L, perfluorooctanesulfonamide (PFOSA)는 ND~0.5, ND~0.4, 0.3~2.7 ng/L, perfluorononanoic acid (PFNA)는 ND~3.5, ND~0.6, ND-125.0 ng/L, pefluorooctanoic acid (PFOA)는 ND~3.3, ND~0.7, 0.7~405.5 ng/L의 범위로 각각 검출되었다. 전반적으로 PFOS와 PFOA가 전체 PFCs에서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지역별로는 시화호로 유입되는 하천수 중 산업단지부근에 위치한 L1~L5 지점에서 다른 조사지점의 농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농도를 보였다.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the surface and bottom layer of Sihwa lake, and the inflow stream water around Sihwa lake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PFCs on November, 2005. Ranges of concentrations of perfluorohexanesulfonate (PFHS) in seawater of the surface and bottom layer of Sihwa lake and the inflow stream water around Sihwa lake were ND-0.8, 0.3~0.5 and 1.8~35.9 ng/L, respectively. Those of perfluorooctanesulfonate (PFOS) were 3.6~11.6, 3.6~8.1, 5.8~253.2 ng/L, perfluorooctanesulfonamide (PFOSA) were ND~0.5, ND~0.4, 0.3~2.7 ng/L, perfluorononanoic acid (PFNA) were ND~3.5, ND~0.6, ND~125.0 ng/L, perfluorooctanoic acid (PFOA) were ND~3.3, ND~0.7, 0.7~405.5 ng/L, respectively. Dominant compounds of PFCs were PFOS and PFOA. Concentrations in site(L1~L4) of inflow stream located on the industrial complex were higher than the values of seawater and the others stream.

      • SCOPUSKCI등재
      • 득량만 북동내만해역의 해양수질 및 저질의 계절적변동특성에 관한연구

        조현서(Cho Hyeon-Seo),조천래(Cho Chon-Rae),최민호(Choi Min-Ho),박정채(Park Jeong Chae)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6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6 No.-

        본 연구는 남해안에 위치한 반폐쇄성인 득량만의 북동내만해역에서 해양수질과 저질의 계절적 변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18개 정점에서 2005년 8월 24일부터 2006년 5월 25일까지 계절별로 총 4회에 걸쳐 수질과 저질에 대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염분은 동일한 조사시기에 조석간에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담수유입에 따른 염분의 변동이 크게 나타났다. 부유물질(SS)의 분포는 계절에 따라 상당히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얕은 수심과 조류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어 일기에 따른 변화가 컸다. 용존산소(DO)는 대부분의 조사 해역에서 하계와 춘계는 Ⅱ등급, 추계와 동계는 Ⅰ등급의 수질을 나타냈다.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은 국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이는 정점도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약 정 ~In등급 수준의 수질을 나타냈다. 규산 규소는 전반적으로 동계에 가장 낮은 농도 분포를 보였으며, 하계에 가장 높은 농도분포를 보이고 있었다. 총질소(TN)는 동계에 낮은 특성을 다른 조사시기에는 Ⅲ 등급 전후의 수질을 보여 질소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인(TP)의 경우 하계에 최고 농도를 보였으며, 전 조사시기를 통해 대부분의 조사 해역에서 Ⅱ~Ⅲ 등급의 수질을 보였다. 산휘발성황화물(AVS)은 몇몇 지점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정점에서 수산생물의 성장에 영향을 미친다는 0.2 ㎎/g-dry를 초과하는 농도분포를 보였으나 저질의 오염 기준치인 1 ㎎/g 이상(일본수산자원보호협회편, 1980)보다는 대부분의 해역에서 기준보다 낮은 분포를 보였다. 퇴적물의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은 하계와 추계 조사시에 다소 높은 평균값을 보였으나 하계 조사시에는 상대적으로 10~15 ㎎/g-dry 전후의 낮은 농도분포를 나타내고 있었다.

      • KCI우수등재

        Empirical Bayes Interval Estimation by a Sample Reuse Method

        Cho, Kil-Ho,Choi, Dal-Woo,Chae, Hyeon-Sook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1997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8 No.1

        We construct the empirical Bayes(EB) confidence intervals that attain a specified level of EB coverage for the unknown scale parameter in the Weibull distribution with the known shape parameter under the type II censored data. Our general approach is to use an EB bootstrap samples introduced by Larid and Louis(1987). Also, we compare the coverage probability and the expected interval length for these bootstrap intervals with those of the naive intervals through Monte Carlo simulation.

      • KCI등재

        Emerging role of bystander T cell activation in autoimmune diseases

        Chae-Hyeon Shim,Sookyung Cho,Young-Mi Shin,Je-Min Choi 생화학분자생물학회 2022 BMB Reports Vol.55 No.2

        Autoimmune disease is known to be caused by unregulated selfantigen-specific T cells, causing tissue damage. Although antigenspecificity is an important mechanism of the adaptive immunesystem, antigen non-related T cells have been found in the inflamedtissues in various conditions. Bystander T cell activationrefers to the activation of T cells without antigen recognition. During an immune response to a pathogen, bystander activationof self-reactive T cells via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cytokinescan trigger autoimmune diseases. Other antigen-specificT cells can also be bystander-activated to induce innate immuneresponse resulting in autoimmune disease pathogenesis alongwith self-antigen-specific T cells. In this review, we summarizeprevious studies investigating bystander activation of various Tcell types (NKT, γδ T cells, MAIT cells, conventional CD4+, andCD8+ T cells) and discuss the role of innate-like T cell responsein autoimmune diseases. In addition, we also review previousfindings of bystander T cell function in infection and cancer. Abetter understanding of bystander-activated T cells versus antigenstimulatedT cells provides a novel insight to control autoimmunedisease pathogen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