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mage Analyzer를 이용한 고추장 숙성 예측에 관한 연구

        배철섭,한규홍,김병용 경희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원 2000 硏究論文集 Vol.21 No.-

        고추장을 각 저장온도에서 숙성하였을 때 환원당과 아미노태 질소는 증가하였고 점도, 색도, 전분 입자 수는 감소하였다. 높은 저장온도에서 모든 품질인자들의 증가와 감소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점도의 경우 저장기간이 끝난 후 온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점도, 색도, 전분 입자 수에 대한 반응 속도는 1차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k값은 20℃보다는 35℃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20℃보다는 35℃에서 숙성이 빠르게 일어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고추장의 숙성에 있어서 단기간에 숙성을 필요로 할 경우 고온에서 숙성하는 것이 좋으나, 장기적으로 숙성을 원할 경우에는 상온에서 숙성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영상분석을 이용한 입자수 측정결과와 점도, 색도 측정간의 결정계수(r^2)가 상당히 높은 값으로 나타나 영상분석을 통한 저장 수명 예측을 가능하게 하였다. The fermentation degree of kochujang during storage at different temperature was predicted by viscosity, color and particle numbers determined by an image analyzer. Reducing sugars and ammo-nitrogen contents of kochujang were increased during storage, whereas color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of kochujang was decreased at all storage temperatures. The difference in viscosity at each storage temperature was less as storage time was increased. Above parameters at various storage times followed the first oder reaction pattern and the rate constant (k) was mostly dependent on storage temperature. The relationship of particle number and storage time of the Kochujang was applied to a simple regression model, to be able to predict fermentation time.

      • KCI등재

        아크 플라즈마 용사한 Al_2O_3-TiO_2의 미끄럼마모 특성에 미치는 용사조건의 영향

        이한영,배상규 대한금속재료학회 2003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41 No.4

        The plasma spray technique has been known as one of the surface modification methods to improve the mechanical properties or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This paper ha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pray conditions, such as spray distance and arc power level, on the sliding wear properties of plasma sprayed Al_2O_3-40%TiO_2 coating layer. The sliding wear test using pin-on-disc type machine, has been conducted at several sliding speeds for the Al_2O_3-40%TiO_2 coating layer. The sliding wear test using pin-on-disc type machine, has been conducted at several sliding speeds for the Al_2O_3-40%TiO_2 layer coated on mild steel under different sprayed conditions. It is observed that the wear resistance of the plasma sprayed Al_2O_3-40%TiO_2 coating layer is changed with the spray distance and the arc power level. The wear resistance could be improved by decreasing the spray distance and by increasing the arc power level.

      • 식중독균 항원(Salmonella typhimurium)에 의한 계란항체(IgY) 생산성과 항체특성 및 항균효과

        백경연,손규목,배만종,백반석,한준표 경산대학교 생명자원개발연구소 1999 생명자원과 산업 Vol.3 No.-

        본 연구는 식중독균을 항원으로 하여 산란계에 면역시킨 후 계란 항체(IgY)의 생산 가능성을 검토하고, 그 항체의 특성과 항균성을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그 방법으로는 항원으로 사용된 Salmonella typhimurium(ATCC 14028) 등을 incomplete Freund's adjuvant와 동량으로 혼합하여 면역시킨 후 10주간 생산된 계란을 수집하여, 계란항체(IgY)의 분리 및 식중독균 항원에 대한 항체의 특성, 항균성, 생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S. typhimurium 항원에 면역된 산란계의 계란항체(IgY)생산 및 증가를 측정한 결과, 산란계가 이들 항원에 면역반응을 일으켜 2주 후 혈청과 난황에서 각각 normal군에 비하여 뚜렷한 항체가 생성능을 보였으며, 혈청내의 IgG생성에 비하여 계란항체(IgY)의 생성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 및 난황내의 단백질 함량은 normol군에 비하여 약간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 산란계의 혈청 및 난황내의 단백질이 이들 항원에 의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EAE-Sephacel column을 통과한 fraction은 두 개의 peak를 나타내었다. 각 fraction의 IgY농도를 ELISA법으로 확인한 결과 두 번째 peak에서 대부분 측정되었다. 분리 정제된 IgY의 분자량을 SDS-polyacrylamide 전기영동법으로 측정한 결과, heavy chain 72∼75KD, light chain 30∼40KD정도였다. Anti-S. typhimurium 항체의 온도에 대한 활성은 60℃에서 30분 가열시 91.5%, 65℃에서 15분 가열시 각각 73.2%의 활성도를 나타내었으며, 80℃에서 15분간 가열시는 거의 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pH에 대한 안정성은 pH 7부터 pH 4까지는각각 98.7%의 활성도를 유지하다가 pH 3부터 급격히 감소하여, pH 2에서는 9.6%로 거의 활성도를 나타내지 않았다. 항균활성을 응집가, 생균수, disc diffusion susceptibility test 등으로 측정한 결과 anti-S. typhimurium 항체의 항균활성도는 매우 미약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본 실험에서 사용된 IgY는 항원에 대한 특이성 및 생화학적 특성 등을 고려해 볼 때 앞으로 식중독균 제거 및 예방 치료뿐만 아니라 식품산업 소재, 각종 질병예방을 위한 의약품 소재, 연구용 kit와 진단용 kit 및 축산분야 등 여러 분야에 응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d to get a industrial information from discussion about productive a possibility if IgY antibody, antimicrobial activity and properties of IgY antibody in egg yolk. Immunoglobulin Y in egg yolk and immunoglobulin G in serum were obtained from gens which were immunized with Salmonella typhimurium(ATCC14028). These antibody titers were evaluated in serum and egg yolk by ELISA. After the initial immunization the anti-Salmonella typhimurium IgY antibody level gradually were decreased from firth week to tenth week. On the other hand, the antibody level in the serum were increased from the first week, reaching its peak in the sixth week. The residual antibody activities of IgY were 91.5% after heating for 30min at 60℃. At the same time, were 73.2% after heating 15min at 65℃ and decreased vapidly at 70℃ and little antibody activity was left after heating for 15min at 80℃. When the prepared IgY was stable from pH 7 to 4 and remained to 69.8% at pH 3, respectively.

      • KCI등재

        진주시 화재발생 패턴분석과 위험등급 산출

        배규한(Bae, Gyu Han),유환희(Yoo, Hwan Hee)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2 No.4

        급속한 도시성장에 따라 도시지역에는 다양하고 복잡한 시설물들이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화재발생 피해에 대한 위험도도 증가되고 있다. 특히 화재사고는 인위적 재해 중 교통사고와 함께 도시지역에서 가장 높은 발생빈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소방방재청에서는 효과적인 화재관리를 위하여 국가화재정보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7년부터 화재발생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데이터와 진주시 소방서로부터 자료를 취득하여 진주시 화재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2007년부터 2013년까지 화재 발생 추이에 대한 시계열분석과 Moran"s I, Getis-Ord Gi<SUP>*</SUP> 분석을 통하여 진주시 공간상의 화재발생 밀도변화분석과 시설물별 화재위험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화재발생위치의 시계열적 변화와 화재발생 밀집도가 높은 Hot Spot지역을 추출할 수 있었으며, 시설물별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 매트릭스를 작성하여 화재위험등급을 산출함으로서 도시지역의 화재발생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Diverse and complex facilities have been on the increase in urban areas in accordance with rapid urbanization. Along the lines of the increase in facilities, the risk of fire has increased. In particular, fire accidents as well as traffic accidents accounted for the highest rate in artificial disasters. Therefore, the National Fire Information Systems managed by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appeared for the effective fire management. The NEMA has provided the public with the Internet services regarding information about fire outbreak since 2007. This study acquired data from both NEMA and the Jinju City Fire Department. It constructed the fire data of Jinju City and calculated the change in spatial density targeting fire, occurred in Jinju city with a view to examining the fire risk of facilities by conducting a time series analysis on the trends of fire outbreak over a span of periods between 2007 and 2013. It also conducted an analysis of Moran"s I, Getis-Ord Gi. Therefore, it came to select higher hot spots in terms of fire location and fire density. In addition, it attempted to calculate the levels of fire hazard by drawing up the matrix of personal injury and property damage, depending on facilities to present the methods, which can predict the risk of fire occurrence in urban areas.

      • 진주시 화재발생 군집패턴 분석

        배규한(Gyu-Han Bae),유환희(Hwan-Hee Yoo)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5

        각종 재해 중 인위적 재해에 속하는 화재는 시간과 장소를 막론하고 도시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으나 빠른 초기대응과 과거의 발생현황을 이용한 피해저감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 중소도시인 진주시의 2007년부터 2014년까지의 화재 발생현황의 발화지점을 TM좌표계의 point 데이터로 변환하여 도시 공간 내 화재발생의 분포패턴을 커널밀도 분석과 최근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현재 상업시설이 많이 위치하고 있는 중심상업지역과 공업시설과 주거지역이 혼재된 지역의 화재군집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진주시 도시시설물별 화재발생 위험도 평가

        배규한(Bae, Gyu Han),원태홍(Won, Tae Hong),유환희(Yoo, Hwan Hee) 대한공간정보학회 2016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4 No.1

        우리나라의 도시화율은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시인구 증가와 더불어 다양한 도시시설물들이 급속도로 도시에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재해로 인한 피해가 발생되고 있고 사회재난 중 화재는 교통사고와 더불어 도시에서 가장 많은 피해를 입히고 있다. 2015년 우리나라의 화재발생은 44,432건이 발생하여 253명의 사망자와 4,300억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여 다양한 피해 저감 노력에도 불구하고 감소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화재정보시스템과 진주소방서를 통하여 2007년부터 2014년까지 발생한 진주시 화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행정자치부의 시설물 현황 DB를 통해 진주시의 화재와 시설물의 군집성을 분석하고 화재위험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미국소방기술사회(SEPE:Society of Fire Protection Engineers) 기준에 따른 화재발생빈도에 대한 위험 등급을 4단계로 구분한 경우 가장 높은 A등급으로 업무시설, 위락시설, 자동차시설이 분류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U등급은 단독주택, 공동주택, 교육시설, 판매시설, 숙박시설, 집합시설, 의료시설, 산업시설, 생활서비스시설, EU등급은 기타주택이고, 마지막으로 가장 낮은 BEU등급은 위험물제조시설로 나타났다. 또한 인명피해를 기준으로 한 경우 가장 위험도가 높은 시설물은 위험물제조시설이었고 재산피해를 기준으로 한 경우는 집합시설과 산업시설이 가장 위험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도시에서 발생된 화재를 시설물별로 구분하여 발생빈도, 인명피해, 재산피해에 대해 위험등급을 산정하여 제시함으로서 도시공간에 분포한 시설물에 대한 화재저감대책을 수립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Urbanization in Korea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subsequently, various facilities have been concentrated in urban areas at high speed in accordance with a growing urban population. Accordingly, damages have occurred due to a variety of disasters. In particular, fire damage among the social disasters caused the most severe damage in urban areas along with traffic accidents. 44,432 cases of fire occurred in 2015 in Korea. Due to these accidents, 253 were killed and property damage of 4,50 billion won was generated. However, despite the efforts to reduce a variety of damage, fire danger still remains high. In this regard, this study collected fire data, generated from 2007 to 2014 through the Jinju Fire Department and the National Fire Data System(NFDS) and calculated fire risk by analyzing the clustering of fire cases and facilities in Jinju-si based on the current DB of facilities, offered by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s a result, the risk ratings of fire occurrence were classified as four stages under the standards of the US Society of Fire Protection Engineers(SEPE). Business facilities, entertainment facilities, and automobile facilities were classified as the highest A grade, detached houses, Apartment houses, education facilities, sales facilities, accommodation, set of facilities, medical facilities, industrial facilities, and life service facilities were classified as U grade, and other facilities were classified as EU grade. Finally, hazardous production facilities were classified as BEU grade, the lowest grade. In addition, in the case of setting the standard with loss of life, the highest risk facility was the hazardous production facilities, while in the case of setting the standard with property damage, a set of facilities and industrial facilities showed the highest risk.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effectively utilized to establish the fire reduction measures against facilities, distributed in urban space by calculating risk grades regarding the generation frequency, casualties, and property damage,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fire, occurred in the city, according to the facilities.

      • 진주시 토지이용과 화재발생 특성분석

        배규한(Gyu-Han Bae),유환희(Hwan-Hee Yoo) 대한공간정보학회 2014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5

        화재는 급속한 도시화와 다양한 에너지원의 사용에 따라 큰 손실을 초래하는 도시재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진주시의 화재발생 데이터를 통해 토지이용과 주거형태가 화재발생과 갖는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진주지역에서 일반주거지역이 밀집한 지역(상대·하대·평거동)에서의 주거형태를 분석한 결과 공동주택보다 단독주택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의 화재발생건수가 높았다. 또한 공업지역과 주거지역간의 특성을 비교하였을 때 제조업체의 수가 많을수록 화재발생건수가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배합수량 증가에 따른 콘크리트의 성능저하에 관한 연구

        김규용(Kim Gyu-Yong),구경모(Koo Kyung-Mo),이의배(Lee Eui-Bae),정한영(Jeong Han-Young),길배수(Khil Bae-Su),김무한(Kim Moo-Han) 대한건축학회 2009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5 No.5

        The performance of concrete mainly depend upon its water-cement ratio. If water percentage is excess in concrete, it may cause the degradation of performance. Because of these reasons, the change of water content is managed by using various evaluation method of unit water content. And criterion for the change of waer content is regulated and used. However the criterion is set only considering production error and measurement error but criterion does not consider performance degradation of concrete.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degradation of performance while adding extra water by artificial manipulation or management error in concrete. The contents of extra water for tests are set as 0, 20, 40, 60㎏/㎥, to examine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concrete, strength, shrinkage, cracks, carbonation are tested. This study conclude that, when extra water content is excess than 20㎏/㎥ in concrete, then performance level of concrete declined rapidly. So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quality of concrete for its better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