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적극적 환자 교육이 혈당조절에 미치는 효과

        이윤욱,황원선,최선정,이동훈,김도현,이은희,홍은경,노혜림,정윤석,이관우,김현만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1

        연구배경: 현재까지의 당뇨병 교육에 대한 노력은 제한되었으며, 연구 결과를 보면 식사 조절 교육과 체중 조절 프로그램을 수행한 환자들 중 적극적이고 기간이 긴 교육을 받은 경우, 성공적 결과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자가관리나 체중감량 등의 당뇨병 치료의 중요한 목표는 적극적이고 긴 기간의 교육 없이는 시행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외래에서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할 수 있는 행동 및 식사 교육 등의 적극적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에게 식사 조절 방법에 대한 목표설정과 문제에 직면하였을 때의 해결 방법 등을 교육해서 궁극적으로는 적극적 자아관리에 연결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목적으로 기존의 통상적 교육과 보다 적극적인 교육이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아주대학교 병원 내분비 대사 내과를 처음으로 방문하여 치료받았던 58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내원 환자들을 무작위하게 추출하여 진찰권 번호 끝자리에 따라 홀수는 통상적 교육군(conventional education group, CE)과 짝수는 적극적 교육군(intensive education group, IE)으로 나누어 교육하고, 3개월후에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1) 연구 대상자들의 교육 전과 후의 공복혈당, 식후2시간 혈당 및 HbA_lc 치는 IE군과 CE군 모두 각 그룹 내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IE군에서는 공복혈당이 12.4nmol/L에서 7.7nmol/L로, 식후2시간 혈당이 20.3nmol/L에서 10.9nmol/L으로, HbA_lc치가 9.4%에서 7.0%로 모두 교육 전에 비하여, 교육 후에 감소(p<0.05)하였고, CE군도 공복혈당은 10.9nmol/L에서 9.4nmol/L로, 식후2시간 혈당은 17.1nmol/L에서 14.6nmol/L으로 HbA_lc가 8.5%에서 7.3%으로 모두 교육 후에 감소하였다(p<0.05). 또한, 교육 전에 비하여 교육 후에 공복 혈당 및 HbA_lc치가 감소하는 정도는 IE군에서의 감소가 CE군에 비해 더 현저하였다Op<0.05). 2) 식사에 대한 태도는 3부분으로 나누어 식사에 대한 규칙성, 식사 내용의 균형성, 식사에 대한 태도 등으로 나누어 각각의 점수 및 총점을 비교하였으며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에 연구 대상자들의 식태도가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그룹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식사의 균형성 항목에서와 총점에서 유의적으로 두 그룹의 차이를 보여서 IE군에 CE군에 비해 식사의 균형성 측면이 향상되었고, 전체적인 식태도가 좋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p<0.05). 결론: 비교적 긴 기간은 아니지만 적극적 교육을 받은 당뇨병 환자들이 통상적 교육을 받은 군보다 혈당 및 HbA_lc, 식태도 점수등의 수치의 호전뿐만 아니라 당뇨병 환자의 삶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식사요법 관리 부분에 있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To this date, efforts to develop effective methods for the education of diabetic patients have been limited. The important goal of self-management and weight control for diabetic treatment can not be attained without long and intensive period of education.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an intensive educational program, of behavior and diet control, which was carried out on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on and out-patient basis. we compared the effectiveness of an intensive education programme with that of a conventional education programme for the self-management of type 2 diabetic patients. Methods: Subjects with type 2 diabetes were randomly selected, and allocated to one of two groups. One group received a conventional education programme of self-management(the CE group), and the second group received an intensive education progammes for three months, after which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mes were evaluate. Results: 1) The levels of fasting blood sugar(FBS), postprandial 2 hour blood sugar(PP2h) and HbA1c were significantly lowered in both groups following the intervention(p<0.05). In the IE group, the FBS declined from 12.4nmol/L to 7.7nmol/L, PP2h declined from 20.3nmol/L to 10.9nmol/L, and the HbA_lc showed a similar decline from 9.4 to 7.0% after intervention(p<0.05). In the Ce group, the FBS declined from 10.9 to 9.4nmol/l, the PP2h decreased from 17.1 to 14.6nmol/l, and the HbA_lc also decreased from 8.5 to 7.3% after intervention(p<0.05). The decrease in the FBS and HbA_lc following the educational intervention was more pronounced in the IE group than the CE group(p<0.05). 2)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programmes in promoting appropriate dietary behavior in the diabetic subjects was assessed by a scoring system in three parts: a regularity score, a balance score and an attitude score. From a comparative study of the three scores, the patients attitudes were observed to be much improved in both the groups following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before the programmes, but the balance and total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E group than the CE group(p<0.05). Conclusion: We can conclude that the intensive diabetic education programme is more effective than a conventional programme, not only in improving the patients' levels of glucose, HbA_lc, and dietary score, but also the diabetic patients self-control abilities, promoting behavioral change, and prompting problem solving capabilities in respect to the everyday problems that they have to face throughout their lives(J Kor Soc Endocrinol 18:63∼72, 2003).

      • The Calculation of Manoeuvring Motion with Use of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s in Regular Wave

        Lee,Gyoung-Woo,Yoon,Soon-Dong,Choi,Myong-Sik 木浦海洋大學校 1997 論文集 Vol.5 No.2

        The traditional governing equations for the sway-yaw manoeuvring motion are a set of ordinary differential equations with constant coefficients. But, as well known, the integro-differential equations with impulse response functions are more strict governing equations that can handle the frequency dependence of hydrodynamic forces. In this paper, the two types of equations are compared and used to calculate the zig-zag manoeuvring motion in waves, and the differences of the solutions are discussed.

      • Conformally coated BiVO<sub>4</sub> nanodots on porosity-controlled WO<sub>3</sub> nanorods as highly efficient type II heterojunction photoanodes for water oxidation

        Lee, Mi Gyoung,Kim, Do Hong,Sohn, Woonbae,Moon, Cheon Woo,Park, Hoonkee,Lee, Sanghan,Jang, Ho Won Elsevier 2016 Nano energy Vol.28 No.-

        <P><B>Abstract</B></P> <P>Bismuth vanadate (BiVO<SUB>4</SUB>) has become a hot topic for solar hydrogen generation by water oxidation due to its appropriate band edges, and narrow band gap. However, the actual conversion efficiency achieved with BiVO<SUB>4</SUB>-based photoanodes is considerably less than the theoretical values because of drawbacks such as poor electron transportation and slow kinetics of oxygen evolution. In these respects, formation of nanostructured heterojunctions is considered to have a marked effect in terms of improving the photoactivities of BiVO<SUB>4</SUB> photoanodes since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charge transfer at the interface and increase light absorption significantly. Herein, we report the synthesis and photoelectrochemical (PEC) properties of various BiVO<SUB>4</SUB>-based heterojunction anodes based on stoichiometric BiVO<SUB>4</SUB> by pulsed electrodeposition. We show that WO<SUB>3</SUB> is the optimum bottom layer for a type II band system with BiVO<SUB>4</SUB> among various metal oxides. It is revealed that the photocurrent density of bare WO<SUB>3</SUB> nanorods can be changed drastically by controlling the porosity and aspect ratio and thus BiVO<SUB>4</SUB>/WO<SUB>3</SUB> heterojunction anodes show as similar tendency to bare WO<SUB>3</SUB> nanorods. Under the optimum conditions, a BiVO<SUB>4</SUB>/WO<SUB>3</SUB> heterojunction anode can lead to a high photocurrent density of 4.55mA/cm<SUP>2</SUP> and an incident photon to current conversion efficiency of 80% at 1.23V versus a reversible hydrogen electrode without additional catalyst. Cross-sectional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hows that dot-like BiVO<SUB>4</SUB> is well decorated on the entire surface of WO<SUB>3</SUB> nanorods. This systematic study provides a viewpoint on the crucial role of the active area of the bottom layer for high-performance BiVO<SUB>4</SUB>-based type II heterojunction photoanodes, and the proposed concept is applicable to various photoelectrode systems.</P> <P><B>Highlights</B></P> <P> <UL> <LI> This is the first systematic study between PEC properties and band structures of BiVO<SUB>4</SUB>-based heterojunction. </LI> <LI> Control of active areas of WO<SUB>3</SUB> is the key to achieve high PEC efficiency of BiVO<SUB>4</SUB>/WO<SUB>3.</SUB> </LI> <LI> Conformally coated 3D BiVO<SUB>4</SUB> nanodots on the surface of WO<SUB>3</SUB>-NRs was firstly reported. </LI> <LI> Our BiVO<SUB>4</SUB>/WO<SUB>3</SUB> show the highest photocurrent without catalyst or doping reported to date. </LI> </UL> </P> <P><B>Graphical abstract</B></P> <P>[DISPLAY OMISSION]</P>

      • SCOPUSKCI등재
      • KCI등재

        PIV기법을 이용한 트랜섬 선미 후류 점성유동장 계측

        이경우(Gyoung-Woo Lee),김옥석(Ok-Sok G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5 No.10

        트랜섬 선미 형상변화에 따른 후류 유동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Re=3.5×103 및 Re=7.0×103에서 수면하부 유동을 계측하였다. 선미 형상변화에 따른 유동장 계측을 위해 2-프레임 그레이레벨 상호상관 PIV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선미형상은 실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선저와 이루는 각을 각각 45°(모델 A), 90°(모델 B)및 135°(모델 C)를 실험에 적용하였다. 모델의 선미 침수면의 깊이는 자유 수면으로부터 40㎜를 기초하였다. 레이놀즈수가 증가함에 따라, 와의 규모가 증가하고 하류로 길게 형성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the instantaneous flow characteristics in the wake of the transom stern's 2-dimensional section by 2-frame grey level cross correlation PIV method at Re= 3.5×103, Re= 7.0×103. The stern angles of models were learning at 45°(Model "A"), 90°(Model "B") and 135°(Model "C") respectively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real ships. The depth of wetted surface is 40㎜ from free surface. As Reynolds number increases, vortices increase in volume and move their way to the downstream. Flow separation appeared at the end of model's bottom.

      • KCI등재

        플랩을 갖는 날개 주위의 유동 특성과 PIV 해석에 관한 연구

        이경우(Gyoung-Woo Lee),최희종(Hee-Jong Choi),이승건(Seung-keon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9 No.6

        선박의 조종성능은 선체와 프로펠러 그리고 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결정되며 선박의 항해 시 선박의 안전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 선체에 부착된 타의 성능은 선박의 조종성능과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타에 의한 선박의 조종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특수타를 채택하는 사례가 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수타의 일종인 플랩타의 2차원 단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플랩타의 성능을 예측하기 위하여 주날개의 받음각과 플랩의 각도를 바꾸어 가면서 모형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모형실험 시 유동장내의 속도분포를 얻기 위하여 PIV 계측기법 중 동일입자 추적법의 하나인 2프레림 입자추적법을 사용하였다. 모형실험은 Re=1.027×10⁴에서 수행하였으며, 계측된 결과들을 서로 비교하였다. Ship maneuverability is mainly determined according to hull-propeller-rudder system of a ship and directly related to the ship safety during the operation in the ocean. Among hull-propeller-rudder system the rudder system had direct concern with the ship maneuverability and a special rudder has been recommended to improve the ship maneuverability. In this paper the study of flapped rudder’s 2-dimensional section was accomplished. Model tests had been carried out with different angles of attack of a main foil and flap’s deflection angles to predict the performance of the flapped rudder and the 2 frame particle tracking method had been used to obtain the velocity distribution in the flow field during model tests. Re=1.027×10⁴ had been used during the whole experiments and measured results had been compared with each other.

      • 저조도 영상에 적합한 혼합 색 항등성 기법

        이우람(Woo-Ram Lee),전우경(Woo-Gyoung Jun),전병민(Byoung-Min Ju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3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11

        색 항등성 기법은 사전 정보를 알지 못하는 영상에서 장면에 대한 가정을 바탕으로 광원의 색을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물체가 가지는 고유의 특성인 반사계수를 계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하지만 저조도 영상을 대상으로 색 항등성 기법들을 적용할 경우에는 비 저조도 영상에 비해 만족할만한 성능을 보이지 못한다. 이는 저조도 영상이 가지는 색 왜곡 때문에 발생한다. 이러한 색 왜곡은 색 항등성 기법에서 도입하는 장면에 대한 가정과 실제 장면의 불일치를 유발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저조도 영상에 적합한 혼합 색 항등성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기법은 저조도 영상의 어두운 영역과 밝은 영역에 대해서 각각 Gray world와 MSRCR 기법을 적용해 결과 영상을 생성하고 이 결과 영상들을 조합해 결과 영상을 생성한다. 제안한 기법의 성능 평가를 위해 Barnard 데이터 셋 기반의 저조도 합성 영상을 실험 영상으로 사용했으며, rgb 공간에서의 평균 각 오차를 성능 평가 요소로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기법은 기존에 연구되었던 색 항등성 기법들보다 저조도 영상에 대해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