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연구논문 : 만성 바이러스간질환에서 간섬유화의 다양한 비침습 혈청표지자검사의 비교

        김선민 ( Sun Min Kim ),손주현 ( Joo Hyun Sohn ),김태엽 ( Tae Yeob Kim ),노영욱 ( Young Wook Roh ),은창수 ( Chang Soo Eun ),전용철 ( Yong Cheol Jeon ),한동수 ( Dong Soo Han ),오영하 ( Young Ha Oh ) 대한간학회 2009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15 No.4

        목적: 만성 바이러스간질환에서 병의 경과와 예후를 평가하고 치료반응을 예측함에 있어 간섬유화의 진단은 중요하다. 최근 간섬유화 평가에 표준방법이지만 침습적 간생검을 대신하여 여러 가지 비침습적 진단법이 이용되고 있고, 또한 새로운 검사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저자들은 만성 B형 및 C형간염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에서 광범위하게 흔히 시행하는 혈액검사와 임상 소견을 이용한 아래와 같은 진단법들만으로 간섬유화를 얼마나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 단일 검사로 간섬유화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는 hyaluronic acid(HA)와 IV형 콜라겐 농도와 비교하여 그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2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만성 바이러스간 질환으로 간생검을 시행받은 225명의 환자(HBV 180명, HCV 43명, HBV+HCV 2명)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간생검을 시행하는 날에 말초혈액검사, 혈액응고검사, 혈청생화학검사를 시행하고, 혈중 HA, IV형 콜라겐 농도를 측정하였다. 간섬유화의 정도는 F0(섬유화가 없음), F1(문맥역 섬유화), F2(문맥주변부 섬유화), F3(섬유성 격막) 및 F4(간경변증)의 4단계로 구분하였다. 대상 환자를 F0-1, F2-4 혹은 F0-2, F3-4의 두 집단으로 분류하여 두 집단을 구분하고자 할 때 AAR(AST/ALT ratio), API(age-platelet index), APRI(AST to platelet index), CDS(cirrhosis discriminant score), platelet count, HA, IV형 콜라겐의 예측능을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ROC)값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환자의 섬유화의 단계는 F0 집단은 17명, F1 집단은 40명, F2 집단은 61명, F3 집단은 74명, F4 집단은 33명이었다. 의미 있는 간섬유화를 F2 이상으로 판단할 때, 의미 있는 섬유화의 예측에 대한 AUROC 값은 APRI=0.822, CDS=0.776, platelet count=0.773, API=0.756, HA=0.749, IV형 콜라겐=0.718, AAR=0.642 순이었고, F3 이상의 광범위한 섬유화 예측에 대한 AUROC값은 CDS=0.835, platelet count=0.795, API=0.794, HA=0.766, AAR=0.711, IV형 콜라겐=0.697, APRI=0.691 순으로 관찰되었다. 결론: 만성 바이러스간질환에서 간섬유화를 평가하는 데 임상 소견 및 혈액검사를 이용한 방법들이 비침습적 진단법 중 단독 검사로도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혈중 HA와 IV형 콜라겐 농도와 비교하여 우월하거나 대등하였다. 특히 APRI는 다른 인자들에 비해 F2 이상의 의미 있는 섬유화를 예측하는 데 가장 유용하였고, CDS는 F3 이상의 광범위한 섬유화를 예측하는 데 가장 유용하였다. Background/Aim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linical performances of noninvasive serum markers for the prediction of liver fibrosis in chronic viral liver diseases. Methods: We analyzed a total of 225 patients with chronic viral liver diseases (180 with hepatitis B virus, 43 with hepatitis C virus, and 2 with hepatitis B+C virus) who underwent a liver biopsy procedure at the Hanyang University Guri Hospital between March 2002 and February 2007. Serum was also obtained at the time of liver biopsy. Liver fibrosis was staged according to the scoring system proposed by the Korean Study Group for the Pathology of Digestive Diseases. Various noninvasive serum markers were evaluated, including th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alanine aminotransferase (ALT) ratio (AAR), age-platelet (AP) index, AST/platelet ratio index (APRI), cirrhosis discriminant score (CDS), platelet count, hyaluronic acid (HA), and type IV collagen. Results: There were 17, 40, 61, 74, and 33 patients at stages F0, F1, F2, F3, and F4, respectively. The overall diagnostic accuracies of each marker, as determined by the area under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s, were APRI=0.822, CDS=0.776, platelet count=0.773, AP index=0.756, HA=0.749, type IV collagen=0.718, and AAR=0.642 for predicting significant fibrosis (≥F2); and CDS=0.835, platelet count=0.795, AP index=0.794, HA=0.766, AAR=0.711, type IV collagen=0.697, and APRI=0.691 for predicting extensive fibrosis (≥F3). Conclusions: Conclusions: All noninvasive serum markers evaluated in this study were useful for predicting significant or extensive liver fibrosis in chronic viral liver diseases. In particular, APRI was most useful for the prediction of significant fibrosis, and CDS was most useful for the prediction of extensive fibrosis. (Korean J Hepatol 2009;15:454-463)

      • KCI등재

        상징 조형물과 상징공간에 이미지화된 지역성

        손은하(Sohn Eun-ha),공윤경(Kong Yoon-kyung)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7

        도시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다. 그 가운데 상징 조형물과 상징공간의 조성을 통하여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거나 그 지역에 특별한 영향을 끼친 인물들을 조명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들의 공간적 재현은 지역민들의 정서에 적잖은 영향을 미친다. 마산은 3ㆍ15의거 등 역사적인 사건으로 인한 ‘민주화의 성지’ 이미지와 이은상의 시 ‘가고파’를 선두로 하는 ‘문학의 도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한 상징 기념물과 상징공간이 곳곳에 조성되어 있다. 이것은 이미지가 형성된 후 그것을 기념하고자 상징물이 조성이 된 것인지 재현된 공간으로 인해 도시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것인지 선후관계를 따질 수는 없으나 그 기념물의 공간적 재현은 마산을 상징하는 데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본 논문은 마산의 기념비, 상징탑 등의 상징물과 장소적 의미를 담고 있는 상징공간을 살펴봄으로써 팽배해져 있는 두 이미지에 대한 논란을 다루고 역사적 기억들이 마산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공간을 둘러싼 투쟁으로 보고 르페브르의 ‘사회적 공간’의 시각으로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마산지역의 두 이미지는 사상적인 측면에서 언론이나 각종 단체들 간에 끊임없는 논쟁과 충돌을 빚고 있었다. 그러나 정작 마산시민들은 두 이미지에 대해 마산을 상징하는 가치가 있으며 존속 보존할 필요성이 있다는 긍정적인 편에 무게를 두고 있다. 현재 마산, 창원, 진해 세 개 도시의 통합으로 인하여 새로운 역사가 시작되고 있다. 따라서 마산에서는 보존하고 성장시켜야 할 가치와 도시 이미지에 대해 진지한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There are many factors that form the urban image. Among the many factors, the symbolic monuments and space are developed in order to memorize historic events or important person. The representation of space that uses the symbolic monuments and space has an effect on resident’s sentiment. The two images of Masan are both ‘the democratized holy place’ on the basis of historic events like 3?15 Uprising and ‘literary city’ with the ‘Gagopa’ poem of Lee, Eun-sang in the lead. In relation to these, there are many symbolic monuments and space in the city. It may not be easy to decide which one comes first: that monuments were developed to memorize the built image or that developed space formed the urban image.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monument’s representation of space is symbolizing Masan in many p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spute of two images and an effect of historic memory on Masan’s identity examining the symbolic monuments and space in Masan. Moreover, this issue is investigated in a point of Lefebvre’s ‘social space’ as a fight around the space. The two images of Masan induce conflicts between the mass media and various associations from an ideological standpoint. However Masan’s residents want to get out of antagonistic relationships and have positive attitude because of symbolic value and need of preservation on two images. Recently, the new era starts because the integration of Masan, Changwon and Jinhae get decided. Therefore it is the right time for Masan to consider careful approach on values to develop and urban image.

      • KCI등재

        한국영화를 통해서 본 로컬과 로컬리티

        손은하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9 한국민족문화 Vol.34 No.-

        This thesis investigated how concepts of local and locality are used and are affecting in a research of Korean movies. First we traced viewpoint of recent investigators, who look at local and locality in movies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tic rule, through summae, and then we studied change of meanings through real movies. We found that, the meaning of word 'local' was what Joseon means to Japan under the Japanese rule, then changed to what farm villages mean to Seoul during modernization, and now is what characteristics of each area are expressed. As time passes, the meaning of location in movies changed from a stage offer, where characters act, to spatial surroundings related a dramatic plot revealing the property of the location. This was clearly shown in the movies throughout each period. In 1980s, it was often that places in Seoul are described. By the late 1990s, movies trying to present the images of each region appeared. With this context, the film commission now has a craze for public relations and location offer to attract filming (need some revision). To overcome this situation, which is limited the offering convenience in the production of films or introducing location. We concern our study in this thesis on investigating the effective characteristics that had not been studied before such as local feature, vividness, and originality. 본 논문은 한국영화연구에 있어서 로컬과 로컬리티의 개념이 어떻게 사용되고 변화되어 왔는가에 대해서 살펴본 논문이다. 먼저 일제강점기시의 영화를 통해 로컬과 로컬리티를 바라보는 최근의 연구자들의 시각들은 연구서들을 통해 추적해보았고, 그 이후에 변화되어가는 의미는 실제 영화를 통해 살펴보았다. 일제강점기시의 로컬의 의미는 일본에 대한 조선의 의미로, 근대화 시기에는 서울에 대한 농촌의 의미로 사용되었다가 지금은 각 지역의 특성이 드러나는 의미로 변모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영화의 장소의 개념은 등장인물이 연기할 수 있는 무대(stage) 제공의 의미에서 그 지역의 특성을 드러내고 극의 흐름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공간적 배경의 의미로 변화되었다. 이는 각 시대별로 영화의 작품 속에서 뚜렷하게 드러났다. 1980년대는 ‘서울’이라는 특정한 공간에 크고 작은 장소들이 묘사되는 경우가 많았고 90년대 후반에 와서야 각 지역들의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는 영화들이 등장했다. 이런 맥락으로 각 지역의 영상위원회에서는 로케이션 촬영의 유치를 위해 홍보와 장소제공에 열을 올리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영화제작의 편의사항 제공이나 로케이션 장소안내로만 그치고 있는 지금의 상황에서 벗어나 각 지역마다의 특색과 역동성, 독자성 등 지금껏 발견하지 못하고 묻혀있었던 여러 가지 특성들을 발굴해내야 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Validation of the cloud height -assignment using ground-based observation data

        Eun-Ha Sohn,Myoung-Hwan Ahn 한국기상학회 2004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4 No.-

        We retrieved the Cloud Top Height (CTH) from GOES-9 satellite using two methods (IRW method & H20/IRW intercept method) and validated using backscattering intensity from lidar at Tsukuba. CTH from Iidar is derived by the threshold method. The validation results show that H20/IRW intercept method is more effective than the IRW method in CTH estimation for semitransparent cloud. The RMSE and Bias for IRW method are 1.43 and -1.16 ㎞, respectively, for H20/IRW intercept method are 0.99 and 0.37 ㎞. respective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