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ㆍ대만ㆍ중국ㆍ조선 재무제표의 비교 연구

        정건영,최순희 계명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01 經營經濟 Vol.34 No.1

        This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of four different nations-Korea, Taiwan, China, DPRK-financial statements. It consists of financial statements preparing criteria and those forms and systems. This study found as follows. ①There are distinctive differences in financial statements between two different economic systems so called market economic system and planning economic system. ②Those differences include financial statements preparing criteria and those forms and systems along with elements and account classification of financial statements. ③There is also distinctive differences in elements and account classification of financial statements along with the difference of expense classification and revenue determination method between Chinese financial statements and DPRK's financial statements even if those nations have same socialist economic system as an accounting environment.

      • 췌장암 환자에서 알코올 내장신경 신경파괴블럭 후 발생한 간염

        이상은,최석환,김영환,임세훈,이정한,이근무,정순호,최영균,김영재,신치만 인제대학교 2008 仁濟醫學 Vol.29 No.-

        Splanchnic neurolytic block(SNB) with alcohol improves the management of pancreatic cancer pain. Adverse effects of alcohol SNB which include regional pain, hypotension, diarrhea, and acute alcohol intoxication are common, but acute hepatitis caused by alcohol neurolytic block is rare. A 63-year-old patient with pancreatic head cancer and liver metastasis had complete pain relief after both retrocrural tansdiscal SNB with 100% alcohol 10 ml. But, 1 day later, liver function test showed a high elevation in th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2182 IU/L)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1807 IU/L). The patient had slight jaundice, general weakness, chilling, nausea and vomiting after SNB. Both AST and ALT decreased to 46 and 119 IU/L within 10 days with only supportive therapy. But, 19 days later, the patient died due to pneumonia. Our case illustrates the importance of clinical surveillance especially in patient with hepatic disease after alcohol SNB.

      • TiO₂를 이용한 아세틸렌, 프로필렌, 프로판 가스의 광촉매 산화반응

        정대일,변석인,이도훈,이용균,박유미,최순규,김동현 동아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2002 硏究報告 Vol.25 No.1

        Photocatalyzed degradation of acetylene, propylene, and propane gases were carried out over precoated titanium dioxide(anatase) illuminated UV light in a flow reactor. photocatalytic oxidation of acetylene, propylene, and propane gases respectively indicated high conversion rates (78.0%) to CO₂gas. And photocatalytic oxidation of three gases according to a fold, twofold, and threefold of titanium dioxide(anatase) respectively gave high conversion rate. The longer reaction time was, the higher conversion rate to CO₂gas showed.

      • 05 포스터 발표 : 자연생태 환경 분야(PN) ; 조류를 이용한 논 생태계 건전성 평가

        최순군 ( Soon Kun Choi ),김미란 ( Miran Kim ),김명현 ( Myung Hyun Kim ),조광진 ( Kwang Jin Cho ),최락중 ( Lak Jung Choe ),김민경 ( Min Kyeong Kim ),정구복 ( Goo Buk Jung ),홍성창 ( Seong Chang Hong ) 한국환경농학회 2014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4 No.-

        지구의 자연은 장기간에 걸쳐 점진적으로 변화하며, 논 생태계는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한 반응으로 그 구조와 기능이 변화하고 있다. 최근 농산물에 대한 품질 및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국가 농업정책 역시 환경 친화적인 방향으로 전환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친화적 농법에 대한 평가는 주로 수서무척추동물, 육상곤충, 식생 등에 의해서 주로 수행되어져 왔다. 논 생태계를 평가함에 있어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수서무척추동물 들은 생태계 먹이사슬에서 하위 단위에 속하는 것들이 대부분으로 생태계 전반에 대한 영향을 전체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먹이사슬의 상위 영양단계에 있는 생물군을 대상으로 조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한다. 조류는 논에 의존하여 살면서 논 생태계의 상위 영양단계에 있는 포식자로서 하위 영양단계의 변화상을 반영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접한 친환경농업지역(6㎢)과 관행농업지역(6㎢)을 2013년 7월~11월까지 월 1회 조사하였다. 조사 방법은 농로를 따라 천천히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선 조사법과 정점조사법을 병행하여 2명이 한 팀으로 수행하였다. 이동 중 쌍안경으로 관찰되거나 울음소리로 구별되는 조류의 종명과 개체수를 관찰지점의 조사지환경(본답, 논둑, 농로, 농수로, 주변습지)과 조사자, 조사일, 날씨 등의 정보와 함께 기록하였다. 조사기간 중 확인된 조류는 총 37종 3,259개체였다. 친환경농업지역에서는 33종 2,501개체가 확인되었고, 관행농업지역에서는 23종 758개체가 확인되어 친환경농업지역의 종수 및 개체수가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종수 및 개체수 분석에서는 9월에 가장 많은 종이 관찰되었고, 개체수는 8월과 9월에 가장 많고, 10월에 가장 적었다. 종다양도지수는 통과조류와 월동조류가 논 생태계를 이용하는 10월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친환경농업지역이 관행농업지역의 조류 개체수보다 최소 1.2배~최대 5.8배까지 많이 나타났으며, 특히 8월과 9월에 두 지역 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 장기 계절예측 정보를 활용한 증발산량 예측 및 불확실성 평가

        최순군 ( Soon-kun Choi ),조세라 ( Sera Jo ),김응섭 ( Eung-sup Kim ),양예린 ( Yerin Yang ),어진우 ( Jinu Eo ),전상민 ( Sang-min Jun ),안난희 ( Nan Hee An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제1차 국가물관리기본계획(2021~2030)에 따르면 우리나라 용수 이용량 중의 약 63%가 농업용수이며 집중호우는 증가추세이나 가뭄발생 주기는 짧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한편, 농업 가뭄은 장기적인 물부족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중ㆍ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한다면 풍수해 등의 초단기적인 재해와 달리 선제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장기 계절예측 정보(1~6개월)를 활용하여 농경지의 증발산량을 추정하고 예측의 불확실성을 평가 하고자 하였다. 계절예측 정보는 PNU CGCM-WRF model chain을 통해 생산된 3~6월 일별 농업기상예측 자료이며, 최근 30년 과거예측 실험 결과를 통해 모형의 계통적 오차를 보정한 5 km 수준의 자료로서 오차보정 방법별 4개의 시나리오를 사용하였다. 농경지 토양특성정보는 환경부의 토지피복도와 국립농업과학원 정밀토양도를 활용하여 추출하였으며 농업기상예측 자료 해상도에 맞춰 일반적인 표토 토성 정보를 구축하여 기상정보와 토양정보가 공간적으로 일치하도록 하였다. 대상작물로서 하계작물은 콩을, 동계작물은 보리를 선정하였다. 기준작물증발산량의 추정은 Hargreaves 공식을 사용하였으며 작물의 유효적산온도(GDD, growing degree day)와 작물계수(Kc, Crop coefficient), 토양수분 함량에 따른 물 스트레스 지수(Ks, water stress coefficient)를 고려하여 작물의 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장기 계절예측 시나리오 별 실 증발산량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증발산량 산정의 불확실성을 평가하였다.

      • 기후변화가 논 생태계 물 순환에 미치는 영향 평가

        최순군 ( Soon-kun Choi ),정구복 ( Goo-bok Jung ),홍성창 ( Seong-chang Hong ),어진우 ( Jinu Eo ),김민경 ( Min-kyeong Kim ),김명현 ( Myung-hyun Kim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논 생태계에서 물은 물질의 생산과 양분의 유입과 유출, 분해 등 물질순환의 주요인자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물 순환의 변화연구는 논 생태계 물질순환 연구를 위한 기초가 된다. 따라서 기후변화가 농업 생태계 물 순환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에 대한 정량적인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가 논 생태계 물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형을 선정하였으며, 김제 시험포장에 모니터링시스템을 설치하여 논 물수지를 분석하였다. 모니터링시스템은 자동기상관측장비(AWS), 유입·유출구 위어(Weir), 침투유량계로 구성되어 기온, 상대습도, 강우량, 풍속, 일조량의 기상자료와, 유입·유출구 유량, 논 침투유량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물수지 분석을 위하여 수집된 기상자료로부터 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증발산량 산정을 위한 식으로 Penman-Monteith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측정기간(5월~7월) 평균 증발산량은 4.02 mm, 최대 일 증발산량은 7.9 mm로 나타났다. 써레질 기간 관개량은 1477.5 mm, 배수량은 1055.9 mm, 강우량은 34.4 mm로 측정되었으며 모내기 후-낙수기 전 기간 관개량은 557.1 mm, 배수량은 17.8 mm, 강우량은 81 mm로 나타났다. 기후변화 영향 평가를 위한 모형으로서 APEX모델을 선정하였다. APEX모델은 전 농장, 소규모 유역관리를 위해 개발된 모형으로서 표면유출, 환원수, 침전물 퇴적 및 분해 양분 이동 및 지하수 흐름간의 상호작용 평가가 가능하다. 본 연구의 모니터링 자료는 APEX모델 보정 및 검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되며 검정된 모형에 기후시나리오를 적용함으로써 기후변화에 의한 논 물질수지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기액계면의 경계층 두께에 관한 연구

        최순호(Soon-Ho Choi),송치성(Chi-Sung Song),최현규(Hyun-Kyu Choi),이정혜(Jung-Hye Lee),김경근(Kyung-Kun Kim) 대한기계학회 200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4 No.11

        The boundary layer is a very important characteristic of a liquid-vapor interface since it governs the heat and mass transfer phenomena across an interface. However, the thickness of a boundary layer is generally micro- or nano-sized, which requires highly accurate measurement devices and, consequently, costs the related experiments very high and time-consuming. Due to these size dependent limitations, the experiments related with a nano-scaled size have suffered from the errors and the reliability of the obtained data. This study is perform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a liquid-vapor interface, by using a molecular dynamics method. The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with other studies if possible. Although other studies reported that there existed a temperature discontinuity over an interface when the system was reduced to micro- or nano-sized, we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uch a temperature discontinuity.

      • KCI등재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논 서식 애물땡땡이 (Sternolophus rufipes)와 잔물땡땡이(Hydrochara affinis)의 비행시기 예측

        최순군 ( Soon Kun Choi ),김명현 ( Myung Hyun Kim ),최락중 ( Lak Jung Choe ),어진우 ( Jinu Eo ),방혜선 ( Hea Son Bang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6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18 No.1

        우리나라 농경지 중 논은 약55%로 가장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논에 서식하는 생물 중 논 환경변화에 민감하고 일정한 방향의 반응을 보이는 생물종은 생물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생물계절 및 서식범위등 생물지표를 이용한 분석은 기후변화의 영향을 직관적이고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수단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논에 서식하는 수서생물의 온도변화에 따른 생물반응 연구는 논 생태계의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계획 수립과 기후변화 감시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계절을 관측하기 위하여 일 단위 관측이 가능한 무인관측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무인관측시스템은 유인부, 촬영부, 전원공급부로 구성되며 위도를 고려하여 해남, 부안, 당진, 철원에 설치하였다.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철원을 제외한 세 지역에서 잔물땡땡이(Hydrochara affinis)와 애물땡땡이(Sternolophus rufipes)의 개체 수를 계측할 수 있었다. 계측 값을 바탕으로 비행시기의 유효적산온도를 판별하였으며 KMA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2020년대, 2050년대, 2080년대 평년의 비행시기의 변화를 예측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2020년대에 비하여 2080년대는 비행시작시기가 15일 이상 앞당겨졌으며 최대 비행시기가 22일, 최종 비행시기가 27일 이상 빨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 위치에 따라서는 내륙보다 해안, 도심보다 도외지, 평야보다 곡간지 논의 비행시기 변화가 뚜렷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잔물땡땡이와 애물땡땡이를 기후변화 지표종으로 활용할 수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total area of paddy field was estimated to be 55 % of the cultivated lands in South Korea, which is approximately 1 million hectares. Organisms inhabiting paddy fields if they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hanges can be environmental indicator of paddy fields. Biological indicators such as phenology and distributional range are evaluated as intuitive and quantitative method to analyze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This study aims to estimate flight time change of Hydrophilidae species’ based on the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 Unmanned monitoring systems were installed in Haenam, Buan, Dangjin and Cheorwon relative to the latitudinal gradient. In the three regions excepting Cheorwon, it was able to measure the abundance of flying Hydrochara affinis and Sternolophus rufipes. Degree-day for the flight time was determined based either on field measurement values and estimates of 2020s, 2050s and 2080s from KMA climate change scenario data. As a result, it is found that date of both species of initial flight becomes 15 days earlier, that of peak flight becomes 22 days earlier and that of final flight does 27 days earlier in 2080s compared to 2020s. The climate change impact on flight time is greater in coastal area, rural area and valley than inland area, urban area and plan. H. affinis and S. rufipes can be used as climate change indicator species.

      • 쌀 물발자국 산정 및 기후변화 영향분석

        최순군 ( Soon-kun Choi ),김민경 ( Min-kyeong Kim ),허승오 ( Seung-oh Hur ),홍성창 ( Seong-chang Hong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국내외에서 논 생태계의 물수지, 비점오염 유출량 분석을 위해 SWAT-Paddy 모델, HSPF-Paddy 모델 등을 개발하고, 모델을 적용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물 발자국은 시·공간적 물 사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주기 때문에 가뭄과 비점오염, 농업생산성을 평가하기위한 지표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APEX 모델을 확장하여 개발한 APEX-Paddy 모델을 이용하여 논에서의 물발자국을 예측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변동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논벼 재배면적을 고려하여 도별 4지역 이상의 대표시군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시군의 논에 대해 기후, 토성, 농업활동 특성 등의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기후변화시나리오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제어적분 400년의 RCP8.5 시나리오를 사용하였으며 대기중 CO2 정보는 FAO-AquaCrop 5.0v의 입력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각 시기의 30년 평균 자료를 적용하였다. 대기중 CO2 농도 증가에 따라 RUE (Radiation Use Efficiency)가 증가하지만 기온상승의 영향으로 생산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enman-Monteith 공식의 식물 잎의 저항이 높아져 증발산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발자국 총량은 기후변화로 인하여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우패턴의 변화에 따라 녹색물발자국의 비율이 줄어들고 청색물발자국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기후변화시나리오 다중모형 앙상블에 따른 논 질소 유출 부하량 변동 및 불확실성 평가

        최순군 ( Choi Soon-kun ),정재학 ( Jeong Jaehak ),엽소진 ( Yeob So-jin ),김민욱 ( Kim Minwook ),김진호 ( Kim Jin Ho ),김민경 ( Kim Min-kyeong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2 No.5

        Rice paddy accounts for approximately 52.5% of all farmlands in South Korea,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water environment. Climate change is expected to affect not only agricultural productivity also the water and the nutrient circul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changes of nitrogen load from rice paddy considering climate change scenario uncertainty. APEX-Paddy model which reflect rice paddy environment by modifying APEX (Agricultural Policy and Environmental eXtender) model was used. Using the AIMS (APCC Integrated Modeling Solution) offered by the APEC Climate Center, bias correction was conducted for 9 GCMs using non-parametric quantile mapping. Bias corrected climate change scenarios were applied to the APEX-Paddy model. The changes and uncertainty in runoff and nitrogen load were evaluated using multi-model ensemble. Paddy runoff showed a change of 23.1% for RCP4.5 scenario and 45.5% for RCP8.5 scenario compared the 2085s (2071 to 2100) against the base period (1976 to 2005). The nitrogen load was found to be increased as 43.9% for RCP4.5 scenario and 76.0% for RCP8.5 scenario. The uncertainty analysis showed that the annual standard deviation of nitrogen loads increased in the future, and the maximum entropy indicated an increasing tendency. And Duncan’s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CMs as the future progressed. The result of this study seems to be used as a basis for mid- and long-term policies for water resources and water system environment considering climate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