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자살생각 변화궤적과 예측요인:

        유창민(Yoo Chang Min),강상경(Kahng Sang Kyoung)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5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6 No.-

        It is well known that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re associated with adolescents’suicide ideation. Because of limitations in available data and analysis methods,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trajectory among adolescents. This study aims to (1) estimate the trajectory of suicidal ideation among adolescents (2) identify the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trajectory. For these purposes, we used latent growth curve modeling(LGCM) involving 3,185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has decreased with time. Second, academic stress and broken family which are risk fact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initial level of suicide ideation, but these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ate of change. Self-esteem and peer-relationship which are protective fact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initial level of suicide ideation, but these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rate of change.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implications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suicide ideation among adolescents. 청소년들의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자살생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은 기존 연구를 통해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횡단자료를 이용한 분석방법 및 종단자료의 한계로 주요 변수들과 자살생각 변화궤적의 관계에 대해 확인한 경우는 많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1) 청소년의 자살생각 변화궤적에 대해 살펴보고, (2) 청소년의 자살생각 변화과정을 예측할 수 있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03년에 수집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중학교 2학년 2차~5차년도 자료(N=3,185)를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 Latent Growth Curve Model)을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1) 중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에 이르는 4년 동안 청소년의 자살생각은 점차 감소하는 변화궤적을 보였고, (2) 학업스트레스와 비양부모 가족구조는 자살생각의 초기수준을 높였으나 기울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그 영향이 시간이 흘러도 지속되는 위험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는 자살생각의 초기수준을 낮췄으나 기울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그 영향이 시간이 흘러도 지속되는 보호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자살생각을 예방할 수 있는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2차원 기공층을 포함하는 초박형 단열기판의 미세구조 및 단열 특성

        유창민,이창현,신효순,여동훈,김성훈,Yoo, Chang Min,Lee, Chang Hyun,Shin, Hyo Soon,Yeo, Dong Hun,Kim, Sung Hoo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7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30 No.11

        We investigated the structure of an ultra-thin insulating board with low thermal conductivity along z-axis, which was based on the idea of void layers created during the glass infiltration process for the zero-shrinkage low-temperature co-fired ceramic (LTCC) technology. An alumina and four glass powders were chosen and prepared as green sheets by the tape casting method. After comparison of the four glass powders, bismuth glass was selected for the experiment. Since there is no notable reactivity between alumina and bismuth glass, alumina was selected as the supporting additive in glass layers. With 2.5 vol% of alumina powder, glass green sheets were prepared and stacked alternately with alumina green sheet to form the 'alumina/glass (including alumina additive)/alumina' structure. The stacked green sheets were sintered into an insulating substrat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revealed that the additive alumina formed supporting bridges in void layers. The depth and number of the stacking layers were varied to examine the insulating property. The lowest thermal conductivity obtained was 0.23 W/mK with a $500-{\mu}m-thick$ substrate.

      • KCI등재

        천연기념물 식물 군락지의 보호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측백 수림을 중심으로-

        유창민 ( Chang Min Yoo ),이재근 ( Jae Keun Lee ),전영갑 ( Young Gab Chu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08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26 No.1

        The improvement plans for natural monument are basically preservation and management plans, and are proposed within the scope of avoiding damage to their prototypes. However, it is supposed that there are lots of cases in which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monument are reinforced rather than their utilization by the species of natural monument is encouraged. It is imperative to seek diverse improvement plans by preservation type and con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es of natural monument.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 habitat of natural monument and the colony of rare plants involves mostly the restriction of access by establishing a fence instead of the concept of utiliz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guidance, viewing, and rest facilities within the scope of avoiding damage to the growth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prepare financial support for pursuing the improvement of the colony of the natural treasure of plant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epared a foundation as basic research data for establishing improvement plans for the colony of the natural monument of plants, and there should be follow-up research into their utilization.

      • KCI등재

        Care-giving Related Time-Demand, Stresses and Depression among Older Parents, who take car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cusing on Moderators of Family Relationships

        유창민(Chang min Yoo),강상경(Sang Kyoung Kahng)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3

        지적장애자녀를 돌보는 노년기 부모의 경우 돌봄부담과 같은 스트레스로 인해서 우울이 심하다는 것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노년기 부모들의 이러한 우울을 예방/보호할 수 있는 요인을 확인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자녀를 돌보는 노년기 부모를 대상으로 돌봄시간과 돌봄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가족관계만족도가 조절하는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서 2011년 발달장애인 활동지원 등을 위한 욕구조사 및 정책과제 수립 연구 중 발달장애인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때 부모의 나이가 60세 이상인 노년기 응답자 276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가족관계만족도가 높은 경우 돌봄시간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노년기 부모에게 가족관계만족도가 돌봄시간과 우울의 관계를 완충하는 중요한 보호요인임을 의미한다. 이것은 생애주기에 있어서 노년기를 경험하는 사람들에게 가족관계가 중요하다는 사회정서선택이론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따라서 지적장애자녀를 돌보는 노년기 부모의 가족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천적 개입과 정책 및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Although not many older Korean parents who take car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been reported depression due to care-giving related stresses, little is known about how they could be protected from thi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ime demands, caregiving stress, and depression of older parents who take care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Survey on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of 2011, and only a total of 276 parents, aged over 60 were examin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s that older parents with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were less likely to be influenced by time demands of care-giving. This indicates that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could buff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ime demands of care-giving, and depression. This finding suggests that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 is a protective factor, buffering the negative effects of time demands of care-giving and depression. This supports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which family relationships are important to older people. Therefore, it is highly recommended to develop practical intervention that can improve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family relationship of the older parents, and to make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 KCI등재

        한국복지패널로 본 한국 성인의 건강궤적과 예측요인: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집단 내, 집단 간 불평등 정도를 중심으로

        유창민 ( Yoo Chang Mi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 성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궤적과 그 예측요인을 확인하고, 이러한 궤적 및 예측요인이 장애인과 비장애인 각 집단 내적으로, 그리고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2006년)부터 9차년도(2014년) 자료를 활용하였고, 최종분석대상은 14,613명이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조건부 모형에 대한 장애인과 비장애인 집단의 다중집단분석결과 두집단의 건강상태 궤적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장애인의 건강상태 궤적이 더욱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2) 주관적 건강상태 궤적과 예측요인의 관계를 분석한 조건부 모형의 다중집단분석 결과, 건강 불평등 예측요인 유형이 ①심화요인(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 연령), ②지속요인(장애인: 교육, 취업, 음주, 주거환경, 사회적지지; 비장애인: 흡연, 사회적지지) ③완화요인(장애인: 소득, 외래진료 수; 비장애인: 소득, 교육, 결혼, 취업, 음주, 외래진료 수, 주거환경) ④무영향요인(장애인: 성별, 결혼, 흡연, 건강검진 수; 비장애인: 성별)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집단별로 건강상태궤적이 불평등하고, 예측요인의 종류가 다름을 의미한다. 따라서 장애인과 비장애인 집단의 건강을 증진 및 예방하고 건강 불평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건강상태에 미치는 요인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그리고 장애유무에 따라서 다름을 고려하여 보다 세밀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self-rated health trajectories of health and their associated factors among people aged 19 and over in Korea. Also, whether these estimated results differ according to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was analyzed. For these purposes, we used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involving 14,613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from 2006 to 2014.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that health trajectories differed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Specifically, health status was worse in people with disabilities` than in people without disabilities. 2) Multi-group analysis of conditional model revealed that health trajectories and their associated factors differed between people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These results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① inequality intensified (i.e., aged), ② inequality maintained (i.e., w/disabled: education, employment status, residential environment) ③ inequality alleviated (i.e., w/disabled: income, number of outpatient visits; w/o disabled: income, education), ④ non effected (i.e., w/disabled: marital status, smoking; w/o disabled: gend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health related interventions should be planned consider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 KCI등재

        1960년대『현대시』 동인의 세대 의식 연구

        유창민 ( Chang Min Yoo ) 겨레어문학회 2014 겨레어문학 Vol.53 No.-

        『현대시』동인은 시대 이념 및 당대 청년의 공통된 의식세계와 동떨어진 평가를 받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대시』는 『신춘시』동인의 참여성에 대한 대척점으로 문학사적인 위치를 부여받는다. 하지만 『현대시』동인 은 60년대라는 매우 독특한 시기를 통과하고 있다. 신세대 문인이 에콜을 구성한 이유는 자신들의 세대적 목소리를 내기 위해서이다. 그들은 목소리에는 역사적 사건 속에서도 쉽게 물러나거나 좌절하지 않는 동일 세대의 목소리가 포함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이에 주목하여 세대적 관점에서 『현대시』동인에 접근해 보았다. 이들의 시에서 종종 발견할 수 있는 ``친구``, ``죽은자``, 그리고 반 성 모티브는 이들 60년대 신세대가 지니고 있는 공통적 경험에서 비롯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대시』가 적극적으로 주장하였던 내면세계 에 대한 면밀한 관찰과 관심이 모든 시인의 공통된 관심사가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968년을 전후해 『현대시』발간 횟수의 증가와 평론의 증가는 이 시기를 통과하면서 동인의 내적 자질이 변모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문``을 통해 외부 세계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힌다. 뿐만 아니라 현대시 동인의 세계 인식은 당대 청년들의 도주적 경향과 유사하며, 당대 청년 시인들이 견지하고 있는 도주의식과 공통분모를 형 성하고 있다. 그들은 현실 인식에 있어서도 ``보여주기`` 방식을 통해 자신 의 목소리를 내었다. 이렇게 보았을 때 『현대시』동인은 당대 신세대들 의 의식 세계와 공유하는 지점을 통과하고 있었으며 그들의 시에는 세대 의식이 내포되어 있다. The 『Hyeondaesi』Ecole has been evaluated to have distanced itself from the ideology of the times and the common conscious world of contemporary youths. It has been placed to an antipode against the participation of the "Early Spring Poetry" coteri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Hyeondaesi』Ecole was going through a very unique period of the 1960s. Its members were undergoing such major historical turning points as April 19 Revolution, May 16 Coup, and Korea-Japan Treaty in their twenties. An examination of the new generation consciousness of the members of the 『Hyeondaesi』Ecole would thus help to evaluate them in a new way and approach their various substances. Focusing on it, this study made an approach to the 『Hyeondaesi』 Ecole from a generational point of view and found that the motives of "friends," "the dead," and reflection often found in their poems stemmed from the common experiences of the younger generation in the 1960s.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close observation of and interest in the inner world actively argued for by the 『Hyeondaesi』 Ecole was not a common interest to all the poets. The rising number of its issues and critiques around 1968 indicates that the coterie was changing in its internal qualification as it was going through the period. At that time, the members broadened the scope of theirawareness of external worlds through a "door" instead of remaining inside. The sympathetic statements from the outside of the coterie and the participation of new poets in the coterie advanced the horizon of its global consciousness to another level. In addition, its global consciousness was similar to the escaping tendency of its contemporary youths and shared a common denominator with the escaping consciousness possessed by its contemporary youth poets. In that sense, one can discover the aspect of solidarity of generational consciousness in the coterie. Its members voiced their opinions in the "showing" way with regard to their awareness of reality and did not neglect the social awareness of Korea-Japan Treaty. Taking those into account, it seems that the 『Hyeondaesi』 Ecole was passing through the points shared by the conscious world of the contemporary younger generation and that its poems contained the generational consciousness.

      • KCI등재

        1960년대 신진 시인의 동인 활동 경향과 세대적 특수성

        유창민 ( Yoo Chang M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1

        4·19 이후 부상한 60년대 신진 문인들은 혁명 경험을 앞세워 기성세대와 차별화된 세계관을 펼쳐놓는다. 특히 신세대 문인들은 기성세대 문학관과 문학제도를 거부하며 자신들의 독자적인 문학장 구축을 위해 다양한 동인지를 조직한다. 이러한 신진 문인들의 다양한 문학 동인 활동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 이들의 동인 결성, 해산, 이탈과 참여 등의 행위는 다양한 층위를 보다 역동적으로 만들어 놓는다. 본 연구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신진 시인들의 의식에 공통적으로 흐르는 세대 의식의 규명과 그것이 동인 결성 및 작품 경향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규명해야만 한다. 둘째, 여러 동인간 상호 영향 관계와 집합, 해산, 이동, 탈퇴, 가입 등 동인들의 움직임을 면밀히 고찰해야만 한다. 이러한 필요성에 접근하여 문제를 해결하면 1960년대 신진시인의 동인지 결성의 구심점이 되는 구성 원리를 파악해 낼 수 있다. 1960년대 신세대들의 삶의 방식은 기존 세대와 많은 차이를 보인다. 그들은 동일집단에 대한 동료의식이 남다르게 강했다. 그러한 삶의 방식은 동인지를 구성하는데 있어서도 동일하게 작동하였다. 문학적 이념과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는 세대 의식은 이들 동인지를 결속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신춘시』, 『현대시』, 『사계』, 『평균율』 구성원도 다르고 활동 연대도 60년대를 두고 보았을 때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이들 60년대 동인지의 핵심 구성원은 1960년대 새롭게 문단에 등장한 신진 문인들이었다. 이들은 60년대를 열었던 혁명 경험을 실천적으로 이행한다. 본고에서는 이들 세대만이 지니고 있는 연대의식이 이들의 문학장인 동인지 구성에 있어서 `우애`와 `호명`이라는 특수한 방식으로 재현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e rising literary people that emerged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in the 1960s developed differentiated world views from the older generation. The new-generation literary people, in particular, rejected the literary views and systems of the older generation and made a variety of literary coterie magazines to build their own independent literary venues. Their diverse literary coterie activities themselves have significance. Their actions of forming, dissolving, leaving and participating in a literary coterie made various strata more dynamic. This study was conceived by the following needs: first, the evaluation of rising poets in the 1960s should be retroactive to the 1960s; secondly, it is needed to investigate the common generational consciousness of rising poets and its connections to their literary coterie formation and creative tendencies; and finally, the mutual influential relations among many different literary coteries should be examined closely along with their movements including gathering, dissolution, moving, withdrawal, and admission. If one tries to solve the issues by approaching those needs, he or she will be able to figure out the composition principle that was the pivot of literary coterie magazines among the rising poets in the 1960s. The new generation of the 1960s adopted a lifestyle that was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he older generation in many aspects. They had very strong fellowship for the members of the same group. Their lifestyle worked in the same way when they made literary coterie magazines. Their generational consciousness, which worked in different ways from literary ideologies, played important roles in binding their literary coterie magazines together.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Winners of Annual Spring Poetry Contest, Contemporary Poetry, Four Seasons, and Equal Temperament in terms of members and active periods in the 1960s. One thing was common and clear among them, and it was that the core members of those literary coterie magazines in the 1960s were the rising literary people that made a debut in the literary circles in the decade. They implemented the revolutionary experiences that opened up the decade in a practical manner.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ense of belonging together unique to their generation was reproduced in special ways called "brotherly love" and "calling" in the organization of literary coterie magazines that were their literary venues.

      • KCI등재

        우리나라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의 변화궤적과 예측요인

        유창민(Yoo, Chang-min) 한국아동복지학회 2017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9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코호트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 각각의 변화궤적을 확인하고, 이러한 변화궤적 및 예측요인의 관계가 긍정적,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하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자료중 중학교 1학년 코호트의 1차 년도(2010년), 3차 년도(2012년), 5차 년도(2014년), 6차 년도(2015년) 자료를 이용하였고, 최종분석대상은 2,350명이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코호트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점차 그 증가속도가 감소하는 이차함수의 모형으로 변화하였다. (2)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예측요인의 종류가 달랐다. 구체적으로, 긍정적 자아존중감에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관계와 소득이 있고, 부정적 자아존중감에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질병유무와 부모의 과잉간섭 요인이 있었다.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부모의 애정, 또래신뢰와 또래소외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적·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대한 독립적인 개입이 필요하고, 청소년의 긍정적·부정적 자아존중감 각각에 개입할 수 있는 세분화된 개입의 전략을 세우는 데 있어서 중요한 근거기반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elf-worth and self-deprecation trajectories and their associated factors among Korean adolescents. For these purposes, we used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involving 2,350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in 2010, 2012, 2014, and 2015.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Adolescents’ self-worth and self-deprecation increased with time, but the speed gradually changed to a quadratic function model; and 2) the types of predictors affecting self-worth and self-deprecation were different. Specifically, the factors that affected only self-worth were adolesc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household income, and the factors that affected only self-deprecation were presence of disease and parental over interference. Factors affecting both self-worth and self-deprecation were child’s sex, parental affection, peer trust, and peer alien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dependent intervention is needed for self-worth and self-deprecation. Furthermore, the results can be an important basis for establishing a more focused intervention strategy when intervening in self-worth and self-deprecation in adolescents.

      •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에 자가 운동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

        유창민 ( Chang Min Yoo ),우미옥 ( Mi Ock Woo ),양영애 ( Yeong Ae Yang ) 한국고령친화건강정책학회 2013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급성기 환자의 자가 운동프로그램이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발병이 1달 이내인 급성기 뇌손상 환자 22명을 대상으로 11명은 자가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11명은 실시하지 않았다. 실험군 11명의 환자에게는 4주간의 자가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하고, 나머지 11명의 환자에게는 재활치료만을 시행하여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정도(MFT)를 평가 하였다. 우측편마비 환자와 좌측편마비 환자의 MFT점수 차이를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좌측편마비 환자의 자가 운동프로그램 전후의 MFT점수 차이는 대조군에서 평균 3.2점 실험군 7.8점으로 자가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의 평균점수 차이가 더 높았다. 두 점수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우측편마비 환자의 자가 운동프로그램 전과 후의 MFT점수 차이는 대조군 평균 6.83점, 실험군 8.67점으로 1.84점으로 자가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한 실험군의 평균점수 차이가 더 높았다. 하지만 통계적으로 두 점수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결론: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자가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한 좌측편마비 환자의 MFT점수의 전과 후의 차이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급성기 좌측편마비 환자의 경우 자가 운동프로그램이 상지의 기능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하지만 우측편바미 환자의 경우 평균 차이는 있었지만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므로 환자의 자가 운동프로그램의 정확한 수행방법에 관한 교육과 수행여부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Objective :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effect that is given to the functions of a patient after an acute patient has gone through self exercise program training to continue exercising on own. Methods : From the 22 acute brain damage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for less than a month, 11 patients were trained for self exercise program and the other 11 were not trained. The first 11 patients as targets executed self exercise program and the rest of the 11 patients have executed rehabilitation treatment; moreover, each patient`s Manual Function Test (MFT) was re-evaluated. the MFT score rising difference of Rt. Hemiplegia patient and Lt. Hemiplegia patient was analyzed after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 black. Results : The difference in the score of Lt. Hemiplegia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 self exercise program scored an average of 3.2 to 7.8, increasing by 4.6. The group of targets who have executed the self exercise program had a bigger rise in the average score. Th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The difference in the score of Rt. Hemiplegia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 self exercise program scored an average of 6.83 to 8.67, increasing by 1.84. The group of targets who have executed the self exercise program had a bigger rise in the average score. However, it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Conclusion : The Lt. Hemiplegia patients who have executed self exercise program for acute stroke patients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MFT score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us, when acute Lt. Hemiplegia patients execute the program, it is identified that the program helps in improving the function. However, In the case of Rt. Hemiplegia patient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verage score but it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t is important to check the whether or not the self exercise program was properly execu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