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사진측정법을 이용한 해빈단면의 추정

        백운,박용안,오임상,김부근,최경식,Kim, Baeck-Oon,Park, Yong-Ahn,Oh, Im-Sang,Khim, Boo-Keun,Choi, Kyung-Sik 한국해양학회 1998 바다 Vol.3 No.4

        본 연구는 비측량용 사진기를 이용한 근거리 사진측정법을 적용하여 해빈단면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수평면 위에 고정된 비디오로부터 획득한 경사비디오영상을 해석하는 방법을 기초로 다음 두 가지 관점을 고려하여 경사사진 해석에 적합한 방정식을 유도하였다. (1) 사진기가 광축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허용하였다. (2)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렌즈왜곡을 비롯한 사진 계통상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순한 오차모형을 도입하였다. 수정된 방정식을 검증하기 위하여 1998년 2월에 동해시 해빈에서 사진촬영과 정밀한 수준측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근거리 사진측정을 통한 해빈단면 추정값과 실제 측량값 사이의 수직거리에 대한 RMS 오차는 10 cm 이내였다. This study presents a close-range photogrammetry that is applicable to beach profile estimation using a non-metric camera. Based on the analysis of oblique video image in which the video camera was installed on a horizontal plane and the field of view was fixed, a new equation to analyze a photograph was developed considering the following aspects: (1) camera is allowed to be rotated about its optical axis and (2) a simple error model is adopted to correct lens distortion and other systematic errors associated with the non-metric camera, which improves accuracy of non-metric imageries. To test the modified technique, photographs of the beach were taken near the Donghae City in February, 1998. In addition, beach profiles were surveyed with conventional dumpy level and surveying staff. RMS error between the estimated and measured beach profiles is less than 10 cm in elevation.

      • KCI등재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 해빈의 춘추계 표층퇴적물 조직변수의 변화

        김부근(Khim, Boo-Keun),백운(Kim, Baeck-Oon),이상룡(Lee, Sang-Ryong)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9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21 No.6

        진우도 해빈에서 2005년 11월과 2006년 5월의 2회에 걸쳐서 표층퇴적물을 채취하여 퇴적물의 조직변수를 분석하였다. 2005년 11월에 비하여 2006년 5월에는 진우도 서쪽 해빈의 최빈값은 3.0?(i.e., 0.125 mm)로 변화가 거의 없었으나, 동쪽 해빈에서는 최빈값3.0?(i.e., 0.125 mm)의 함량이 대폭 감소하고 2.5?(i.e., 0.177 mm)가 절대적으로 우세한 조립화 경향이 발생하였다. 마찬가지로 표층퇴적물 평균 입도는 서쪽 해빈에서는 두 조사의 차이가 거의 미약하지만, 동쪽 해빈의 평균입도는 증가되어 조립화된 특징을 반영한다. 이러한 조립화는 2006년 5월에 진우도의 동쪽 해빈의 표층퇴적물에서 상대적으로 양의 값으로 변화된 왜도 경향과 일치한다. 결과적으로 2005년 겨울을 지나면서 진우도의 표층퇴적물은 서쪽 해빈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 반면에 동쪽 해빈은 3.0?(i.e., 0.125 mm)의 세립 사질퇴적물이 제거되는 현저한 조립화 경향이 나타난 것이다. 이와 같은 변화는 낙동강 하구역에 하계동안 증가된 강수량과 낙동강 방출량 그리고 동계동안 우세한 파랑 그리고 조석의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진우도 서쪽 해빈과 동쪽 해빈의 표층퇴적물에 영향을 주는 수리학적 조건과 퇴적물의 공급/제거가 다르기 때문이다. Textural parameters were calculated from the surface sediments collected from Jinu-do beach in Nov. 2005 and May 2006. In Nov. 2005 and May, 2006, the grain size distribution of surface sediments shows that the mode of 3.0?(i.e., 0.125 mm) dominated the west beach of Jinu-do, but in the east beach the mode of 3.0?(i.e., 0.125 mm) decreased and the mode of 2.5?(i.e., 0.177 mm) was apparently distinct, resulting in the more coarsening trend. Mean grain size of surface sediments also indicates little difference in the west beach between two investigations, but the increasing difference between mean grain sizes in the east beach, showing more coarsening pattern. Such seasonal pattern corresponds to the positive skewness in the east beach in May, 2006. As a result, after the winter in 2005, the surface sediments in the west beach of Jinu-do experienced a little variation, whereas the apparent coarsening of surface sediments occurred in the east beach by removal of 3.0?(i.e., 0.125 mm) fine-grained sand particles. The observed seasonal change may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t hydrographic condition and sediment delivery/removal on the surface sediments between the west beach and the east beach of Jinu-do through the increased precipitation and more freshwater discharge from the Nakdong River during the summer and the intensified wave and tide during the winter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 KCI등재

        낙동강 하구역 울타리 섬의 해안선 변화율

        백운(Kim, Baeck-Oon),김부근(Khim, Boo-Keun),이상룡(Lee, Sang-Ryong)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007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Vol.19 No.4

        본 연구는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낙동강 하구 울타리 섬의 장기간의 지형 변화를 제시한다. 수치사진측량을 이용하여 모자이크 항공사진을 구축하고 이로부터 1975년부터 2001년까지 6회의 해안선 자료를 산출한다. GIS에 근거한 수치해안선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EPR(End Point Rate), JKR(Jackknife Rate) 및 LRR(Linear Regression Rate)와 같은 3 종류의 해안선 변화율을 산정한다. 신자도와 도요등에서 매우 현격한 변화가 나타났다. 신자도의 서쪽 부분은 바다 쪽으로 전진한 반면 동쪽 부분은 육지 쪽으로 후퇴하였으며, 이 결과 섬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것처럼 보인다. 양쪽 끝 부분에서 해안선 변화율은 20 m/yr에 달한다. 도요등은 1993년에 백합등 전면에 새롭게 출현하였으며 40 m/yr의 해안선 변화율로 전진하였다. 해안선 변화율은 울타리 섬 내에서뿐만 아니라 울타리 섬 간에도 차이가 있으며, 동쪽으로 가면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해안선 변화율의 공간적인 변동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연안개발이 수리역학과 퇴적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조사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presents long-term shoreline changes of barrier islands in Nakdong Estuary using aerial photographs. Digital photogrammetry is used for constructing mosaic aerial photographs, which yield six sets of shoreline data ranging from 1975 to 2001. Three kinds of rate of shoreline changes such as EPR (End Point Rate), JKR(Jackknife Rate) and LRR (Linear Regression Rate) are computed by a GIS-based Digital Shoreline Analysis Systems. There have been remarkable changes both in Sinja Island and Doyodeung. Western part of Sinja Island advanced seaward, whereas eastern part retreated landward, giving appearance that the island rotated counterclockwise. Rate of shoreline changes at both ends reach 20 m/yr. Doyodeung occurred newly in front of Baekhapdeung in 1993, resulting in shoreline advance in a rate of 40 m/yr. Rate of shoreline changes differ both within and between barrier islands and have a tendency to increase eastward. To understand this spatial variability of rate of shoreline changes, it is suggested to make a detailed investigation into the impact of coastal development on hydrodynamic and sedimentary process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부산 인근 연안해역에서 해저 용천수 유출 탐사

        이용우,김부근,성한,Lee, Yong-Woo,Khim, Boo-Keun,Kim, Sunghan 한국해양학회 2013 바다 Vol.18 No.4

        해수의 염분 및 라돈($^{222}Rn$) 추적자를 이용하여 부산 인근의 동부와 남부 연안해역(문동리, 이천리, 죽성리, 대변리, 연화리, 다대포) 그리고 일광만 내에서 2009년과 2010년에 해저 용천수 유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해양조사 전에 기본적으로 육상으로부터 해양으로 연장된 선구조 분석을 통하여 해저 용천수의 유출 유망지점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점들을 포함하여 해안에서 바다쪽으로 약 1~2 km 이내에서 해수의 염분과 라돈을 측정하였다. 부산 인근의 동부 및 남부 연안해역에서 라돈 농도는 연안에서 외양쪽으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염분의 수직분포에서는 일부 정점의 중간 수층에서 낮은 염분을 가진 수괴의 수평 유입이 관측되었다. 부산 인근의 동부 연안해역에서 유일한 만의 형태를 보이는 일광만 내에서 측정한 염분 수직분포에서도 저층에서 낮은 염분의 수괴가 출현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부산 인근 연안해역에서 해저 용천수 형태의 담지하수 유출 가능성을 시사하며, 앞으로 해저 용천수 탐사 방법과 미래의 대체 수자원으로서 활용 가능성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We measured salinity and $^{222}Rn$ concentration to explore submarine spring along the coastal areas (Mundongri, Icheon-ri, Jukseong-ri, Daebyeon-ri, Yeonhwa-ri, and Dadae-po) including Ilkwang Bay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 2009 and 2010. Before field observation, we selected the potential and possible locations of submarine spring based on the lineament distribution and rose diagram analysis. Salinity and radon concentration were measured within the 1~2 km from the coastal lines. Radon activity decreased gradually from onshore to offshore. Vertical profiles of salinity at some stations showed lateral transport of water mass characterized by low salinity. Vertical profiles of salinity in the Ilkwang Bay, which is a unique bay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of Busan Metropolitan City, also showed the occurrence of low salinity in the bottom seawater. Our results suggest the possible occurrence of submarine discharge of fresh groundwater in the coastal areas around Busan Metropolitan City. In the future, intens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for the exploration methods of submarine spring as well for the possible utility of submarine groundwater as alternative water resources.

      • KCI등재

        마이오세 후기 안다만해에서 생물기원 오팔 함량의 폭감에 대한 논의

        이종민,성한,김부근,LEE, JONGMIN,KIM, SUNGHAN,KHIM, BOO-KEUN 한국해양학회 2020 바다 Vol.25 No.1

        마이오세 후기(약 6.7 Ma)에 나타난 생물기원 오팔 함량의 폭감(biogenic opal crash)이 안다만해에서 획득된 IODP Site U1447과 NGHP Site 17의 코아 퇴적층에서 확인되었다. 두 코아 사이의 오팔 함량과 전반적인 변화 경향에서 나타난 차이점은 실험분석에 사용된 시약의 농도와 층서 설정에 의해 계산된 퇴적률의 차이 때문이다. 안다만해에서 발생한 마이오세 후기 생물기원 오팔 함량의 폭감은 인도네시아 관통류(Indonesian Throughflow)의 차단으로 인한 서태평양으로부터의 영양염 공급 감소와 더불어 인도여름몬순의 약화에 의한 강수량 감소로 강물에 의한 영양염 공급 감소의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 것으로 제안된다. Biogenic opal crash at about 6.7 Ma was identified at both IODP Site U1447 and NGHP Site 17 in the Andaman Sea. The different biogenic opal content and general variation pattern between two sites may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t concentration of analytical reagent and sedimentation rate estimated by the different chronological approaches. Nevertheles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iogenic opal crash in the Andaman Sea is closely related to the restriction of Indonesian Throughflow and to the decreasing strength of Indian summer monsoon during the late Miocene, both of which resulted in the reduction of nutrient supply.

      • KCI등재

        유빙이 점유한 남극 마리안 소만의 하계기간 수층 구조와 부유물질 분산

        유규철,윤호일,강천윤,김부근,오재경,Yoo, Kyu-Cheul,Yoon, Hoo-Il,Kang, Cheon-Yun,Kim, Boo-Keun,Oh, Jae-Kyung 한국해양학회 2000 바다 Vol.5 No.4

        수리적인 환경 요인(조석, 바람 등)에 따른 하계 서남극 킹조지섬 마리안 소만의 수층 특성과 부유물질 분산을 이해하기 위해 내만에 유빙이 점유했던 시기에 30분 간격으로 CTDT연속 관측을 수행하였고 공간적인 표층 해수의 특성(수온과 염분)과 부유물질농도가 측정되었다. 소만 중앙의 수층은 탁도의 관점에서 크게 1)저온 ${\cdot}$ 저염 ${\cdot}$ 고탁도의 표층 플름과 2)고온 ${\cdot}$ 고염 ${\cdot}$ 저탁도의 맥스웰 만 유입수로 나누어진다. 소만 안쪽의 빙벽 앞과는 달리 빙하기저부 유출에 의한 담수성 수층이 나타나지 않았다. 고온의 맥스웰 만 표층수와 조수빙하/유빙의 열적 융빙은 표층 혼합층을 발달시키며 특히 소만 내 유빙의 점유와 거동으로 인해 맥스웰 만 유입수의 수층 특성이 불안정해진다. 이러한 수층의 불안정으로 인해 조석주기에 따른 맥스웰 만 유입수와 표층 플름의 거동은 나타나지 않았다. 소만 북부 연안에 나타나는 표층 플름에 비해 고온 ${\cdot}$ 고염 ${\cdot}$ 고탁도 표층 플름은 강한 북서풍 계열의 바람으로 위버 반도 서부 연안을 따라 중앙 분지로 유입되는 연안류이다. 표층 플름의 육성기원 쇄설물은 주로 급경사 연안의 빙벽 가장자리와 일부 해안가의 융설수류로부터 유입되며 조석과 바람에 의해 분산되고 조절된다. 특히 대조차 시기의 북서풍은 고탁도의 표층 플름을 내만에 체류시키며 소만 분지에 육성기원 쇄설성입자의 퇴적을 증가시킨다. Vertical measurement of CTDT at about 30 min intervals and spatial surface temperature, salinity, and concentration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s were conducted to elucidate the character of water column and the dispersal pattern in a floating ice-dominated fjord, Marian Cove, West Antarctica. Marian Cove showed two distinct water layers in terms of turbidity; 1) cold, fresh, and turbid surface plume in the upper 2 m,2) warm, saline, and relatively clean Maxwell Bay inflow between 15-45 m in water depth. Thermal melting of Maxwell Bay inflow and tidewater glacier/floating ices developed the surface mixed layer and the activity of floating ices cause Maxwell Bay inflow to be unstable. Due to the unstable water column, the development of Maxwell Bay inflow and subsequent surface plume are not influenced by tidal frequency. Coastal current generated by strong northwesterly wind may extend warm, saline, and turbid surface plume into the central part of the cove along the northern coast via the western coast of Weaver Peninsula. Terrigenous sediments of meltwaters from the glaciated ice cliffs near the corner of tidewater glacier and some coasts enter into the cove and their dispersion depends upon the hydrographic regimes (tide, wind, wave etc.). At the period of spring tide, the strong wind stress with the northwesterly wind direction reserve suspended sediment-fed surface plume and so allow the possibility of deposition of terrigenous sediments within the basin of c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