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송이영(宋以穎) 혼천시계(渾天時計)의 천체운행 장치 구조와 작동원리 연구

        이용삼,김상혁,Lee, Yong-Sam,Kim, Sang-Hyuk 한국우주과학회 2007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Vol.24 No.2

        국보 제230호 송이영(宋以穎)의 혼천시계(渾天時計)는 동아시아에 유일하게 현존하는 혼천시계로서 현재 보존 상태는 부품 일부가 훼손되고 유실되어 작동되지 않고 있다. 우리는 고려대학 박물관에 소장된 이 유물의 학술조사를 수행하여 혼천의 부분의 구조와 원리를 분석하고, 유실된 기계의 태양과 달의 구동장치를 복원하고, 각 부품과 장치를 제작 조립하여 혼천시계의 혼천의 부분의 작동모델을 복원함으로서 천체운행 장치를 작동하게 하였다. We analysis the structure of Song $I-y\u{o}ng's$ Armillary Clock, a Korean National Treasure (No. 230) that is displayed at Korea University Museum. This Armillary Clock is only one remained in east Asia, but does not working because some parts had been broken away. We measured this remains and reconstructed a working model of the astronomical armillary sphere system of the his armillary clock, which system is consisted of Solar and lunar moving devices.

      • SCIESCOPUSKCI등재

        남병철의 혼천의 연구 I

        이용삼,김상혁,남문현,LEE YONG-SAM,KIM SANG-HYUK,NAM MOON-HYON 한국천문학회 2001 Journal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Vol.34 No.1

        In this paper we have reconstructed an armillary sphere based on the Method of an Armillary Sphere Making described in the Volume 1 of The Collection of Writings on the Scientific Instruments-Uigijipsol (儀器輯說, two volumes) edited in the 1850's by Nam Byong-Chul (南秉哲, 1817-1863) who was a famous Korean states-man-scientist. Nam achieved convenience and accuracy in the measurements of stellar positions in the manner of selective setting the equatorial, ecliptic and horizontal poles by adding a pole axis exchange ring called Jaigeukkwon (載極圈) between the Three Arrangers of Time and Four Displacements. We made use of 3-dimensional graphic software for modelling Nam's armillary sphere which consisted of five layers-eight rings. Results of simulation showed that the pole axis exchange ring functioned properly in setting the equatorial, ecliptic and horizontal coordinates simply by exchange of positions of specified holes on the ring. We ascertained that the invention of Jaigeukkwon solved inherent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Chinese armillary sphere in computation of real ecliptic coordinates. It was revealed that Nam Byong-Chul made great contributions in the East Asian history of armillary sphere making.

      • KCI등재
      • KCI등재

        국유지를 활용한 공공주택 공급방안 연구

        이용삼(Lee, Yong Sam),김호철(Kim, Ho Cheol) 한국도시행정학회 2021 도시 행정 학보 Vol.34 No.1

        정부는 최근 폭등하는 주택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부동산 안정화 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특히 도심 주택공급 확대를 위하여 공공재개발 등 공공성을 강화한 정비사업 활성화, 준공업지역 등 유휴공간의 활용, 도심 내 유휴부지 추가확보 등의 대책을 제시하고 있는데, 도심 내 유휴부지로는 국·공유지와 노후공공시설 등이 주요 대상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심 등에서의 주택공급 확대를 위한 방안으로 국유지를 활용한 공공주택 공급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유지는 토지소유자가 국가이므로 정부의 의사결정에 따라 즉시 공공주택 건설사업에 착수가 가능한 장점이 있어 단기간에 주택시장 수급불균형 해소와 서민주거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국유지를 활용한 공공주택은 기획재정부의 국유지 개발목적 중 하나인 공공성 실행 및 국유재산의 공공성 확대 측면에서도 부합한다. 국유재산 위탁개발은 사업대상에 따라 토지위탁개발과 건축위탁개발로 분류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각각에 대한 국내 사례를 검토하였다. 우선 토지위탁개발로는 기획재정부가 `19.1월 발표한 국유지 토지개발 선도사업 11개 중 공공주택특별법에 의거 `20년 8월 지구지정이 승인된 부산원예시험장부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건축위탁개발로는 도심지역에 위치한 국방부 소관 국유재산인 노후 군관사를 고밀도로 개발하여 공공주택을 공급하는 방식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국유재산 위탁개발방식을 통해서 방치된 유휴 국유지의 가치를 높이고 공공주택 공급을 확대하여 서민주거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노후화가 심각하여 신축이 필요한 군관사를 고밀도로 개발하여 정부의 재정 투입없이 조기에 공공주택과 군관사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심내 유휴부지개발을 통한 주택공급 확대정책 차원에서 이를 위한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주택공급방안 검토라는 측면에서 연구의 의의와 차별성이 있다. With the recent surge in housing prices becoming a social problem, the government is announcing various measures to stabilize the housing market. There are demand controls that block speculative demand through finance and taxes and supply expans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towns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housing supply in the old city center. For the expansion of housing supply in the city center, measures such as promoting public-based urban renewal project and securing additional idle land in the city center are being proposed. This study aims to come up with measures to boost the supply of public housing by using state-owned land. In general, the development of public housing takes a lot of time due to the acquisition of land ownership and the consent of residents. However, state-owned l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tart a housing construction project immediately because the landowner is government.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state-owned land and analyze the recent cases of consignment development of state-owned land. As a result, we would like to draw up a plan to improve the supply of public housing for securing publicity of state-owned land.

      • KCI등재
      • 홍대용 혼상의(渾象儀)의 복원 연구: 구조와 작동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김상혁,이용삼,박제훈,Kim, Sang-Hyeok,Lee, Yong-Sam,Park, Je-Hun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홍대용(洪大容, 1731~1783)이 저술한 "담헌서(湛軒書)" 외집 권6의 <주해수용(籌解需用)>에는 수격식 천문시계인 혼상의(渾象儀)에 대한 기록이 나온다. 우리는 홍대용 혼상의에 대한 구조와 작동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통해 복원 모델의 개념설계를 진행하였다. 혼상의는 세 개의 환(環)과 2개의 층(層)으로 되어 있다. 외층에 해당하는 환 구조는 자신이 제작한 혼천의인 통천의(統天儀) 구조와 유사하다. 내층에 해당되는 혼상구에는 별자리와 은하수를 그려넣고, 태양과 달의 모습을 구슬 형태로 매달아 천상의 운행 모습을 구현하였다. 통천의는 추동력으로 운행되며, 혼상의는 물에 의한 수격방식으로 운행된다. 홍대용의 수격방식은 조선에서 전통적으로 사용한 동력체계로 중국의 대표적 천문시계인 수운의상대의 동력체계를 간소화시켰다. 혼상의에 대한 기록은 조선시대 수격식 동력체계를 다룬 거의 유일한 문헌기록으로 수격식 작동 메커니즘 연구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다.

      • KCI등재

        혼천시계의 시보시스템 구조 분석

        김상혁,이용삼,Kim, Sang Hyuk,Lee, Yong Sam 한국천문학회 2013 天文學論叢 Vol.28 No.2

        Song I-Yeong (1619 ~ 1692), who was an astronomy professor of Gwansanggam (觀象監, Bureau of Astronomy), created the Honcheonsigye (渾天時計, Armillary Clock) in 1669 (10th year of King Hyeonjong Era). Honcheonsigye was a unique astronomical clock which combined an armillary sphere, the traditional astronomical instrument of the Far East, with the power mechanism of western alarm clock. The clock part of this armillary clock is composed of two major parts which are the going-train, power unit used the weight, and the time signal system in a wooden case. The time signal system is composed of four parts which are the time-annunciator, the striking train, the 12 different time-announcing medallions and the sound bell. This clock has been neglected for many years and its several components have been lost.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ime signal system and suggests the restoration process.

      • 남병길의 성경(星鏡) 별자리를 활용한 혼상(渾象) 제작

        함선영,김상혁,이용삼,Ham, Seon-Yeong,Kim, Sang-Hyeok,Lee, Yong-Sam 한국천문학회 2012 天文學會報 Vol.37 No.2

        조선(朝鮮)의 혼상(渾象)은 세종대(世宗代, 1418~1450)에 처음 제작되었다. 그 후 중종대(中宗代, 1506~1544)와 명종대(明宗代, 1545~1567)에 이를 보수를 하고, 선조대(宣祖代, 1567~1608)에 중수되었으나 현존하지 않고 있다. 민간에서 제작한 혼상은 16세기에 만든 도산서원의 혼상 유물이 유일한 것이다. 그 후 18세기에 만들어진 홍대용(洪大容, 1731~1783)의 혼상의(渾象儀)는 문헌으로만 전해지고 있다. 17세기 이전에 만들어진 혼상은 구법(舊法) 천문도에 의해 만들어졌지만, 17세기 이후에는 서양 과학의 유입으로 신법(新法)의 별자리를 사용하고 있다. 중국과 일본의 현존하는 혼상 유물 중에는 신법 별자리로 표기되어 있으며, 조선 후기 조선의 유물 가운데 평혼의(平渾儀) 유물은 신법의 별자리를 활용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 복원한 혼상들은 구법 천문도로 제작되어왔다. 이 연구에서는 1861년 남병길(南秉吉, 1820~1869)이 저술한 조선의 신법을 대표할 수 있는 성표(星表)인 "성경(星鏡)"의 별자리를 활용하여 혼상을 제작하였다. 혼상구(渾象球)에는 적도좌표(赤道座標)와 황도좌표(黃道座標)를 함께 표기한 경선(經線)과 위선(緯線)을 각각 $30^{\circ}$ 간격으로 표기하였다. 또한 적도환(赤道環)에는 12궁(宮)을 표기하였고, 황도환(黃道環)에는 $15^{\circ}$ 간격으로 24기(氣)를 표기하였다. 별을 표기할 때 성경에 제시한 밝기와 같이 6등급으로 나누어 별의 크기를 제작하였다. 남병길의 "성경" 별자리를 활용한 혼상 제작으로 신법 별자리의 천상(天象)에 대한 이해와 연구 모델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