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일본의 사회과 교육과정

        이명희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1 社會科敎育學硏究 Vol.- No.40

        본고에서는 일본에서 사회과 교유과정 개정의 배경과 방향을 검토하고, 소 · 중 ·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의 목표와 내용 구성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부조하여 보았다. 먼저, 교육과정 개정의 배경으로서는 세계화(국제화), 정보화, 과학기술의 발전 등 사회변화에의 대응을 들고 있다. 그리고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에서는 국제사회를 살아가는 일본인의 자질로서 일본과 세계를 다면적을 고찰하고 공정하게 판단하는 능력 및 태도와 함께, 일본의 역사와 국토에 대한 이해와 애정, 국제 협력의 정신 및 국제사회에서 일본이 담당하고 있는 역할에 대한 인식을 강조하는 한편, 학습방법과 조사방법의 학습, 작업적 · 체험적 학습과 문제해결학습 등 학생들의 주체적인 학습을 보다 중시하고 있다. 사회과 교육의 목표 설정에 있어서는 소 · 중학교의 의무교육단계에서 공민적 자질의 기초를 육성하는 것을, 고등학교 단계에서 국제사회에 사는 일본인으로서의 자질 함양과 공민적 자질의 육성을 목표로 설정하여 계열화하고 있다. 그리고 지적인 목표로서 일본의 국토와 역사에 대한 이해가 매우 구체적이고 명시적으로 강조되고 있으며, 기능적인 목표로서 다양한 자료에 기초하여 다면적 · 다각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공정히 판단하는 능력의 육성과 사고력의 육성을 강조하고, 가치 · 태도 목표로서 '넓은 시야에 선다', '관심을 높인다', '다면적 · 다각적으로 고찰한다', '공정히 판단한다' 등과 같이 행위의 방법과 관련되는 태도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 눈에 두드러진다. 사회과 교육의 내용구성에서는 중점화의원리에 의해 내용 요소를 대폭 감소하고, 학문의 체계보다는 학생들의 관심과 요구의 관점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내용 선정을 하고 있으며, 지리, 역사, 공민 분야의 3분야의 구분을 전제로 일관되게 내용 편성을 하고 있으며, 3분야의 통합 시도를 중학교의 공민분야를 통해서만 조심스럽게 행하고 있다. This study reviewed the background and the directions of revising the Japanese national curriculum in social studies. Based on this study, This study analyzed the target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ents of the social studies in Japanese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First, the backgrounds of reforming the curriculum are to come up with the social changes: globalization(internationalization), informati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etc.. The directions of revising the curriculum emphasizes not only Japanese history and the understanding and affection of Japanese land, the spirit of Japanese cooperation in the world, and the recognition of Japanese role in the world, but Japanese student-oriented learning which contains the learning of the methodology and survey, working and experiencing learning, and problem-solving learning, along with the abilities and attitudes of observing and judging Japan and the world in every aspect from the viewpoints of Japanese people. The target of the social studies is set up for developing the basis of public people in the obligatory stage of the elementary and junior school as well as fostering Japanese people as people living in the world and activating the attitude of public people at high school level. As an intellectual target, the understanding of Japanese land and history is emphasized specifically and apparently. As a functional target, the development of the fairly judging and thinking ability based on various materials and on observations in many sides and angles is also emphasized. As the target of value and attitude, the emphasis of the attitudes involved in the methods of such behaviors as 'stand in the wide perspectives', 'attract much interest', 'observe in many sides and in every angle', 'judge fairly.' etc.. can be seen as a big feature. The elements of the contents in social studies are reduced in the aspect of the content organization. Instead of it, students' interest and demand are considered first of all, so the contents are chosen and developed consistently on the basis of dividing 3 parts as geography, history, and public people. But the integration of the 3 parts has been made an attempt carefully.

      • 하나의 과학으로서 역사학론이 역사교육에 제기하는 의미

        이명희 전북초등사회과교육학회 1999 초등사회과교육논총 Vol.1 No.-

        본고에서는 먼저 영국의 역사 철학자 R. G. 콜링우드에 의해 제기된 '역사학은 하나의 과학이다'라는 주장을 고찰하여 그 의미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그리고 나서 '역사학이 하나의 자율적인 과학이다'라고 한다면, 그것이 역사교육, 특히 역사 학습 이론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어떠한 원칙을 제기하는가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 KCI등재

        조선문학 원저작물에서 파생된 번역본 ‘일본어소설’에 대한 고찰 - 1930년대 일본 신문·잡지에 게재된 텍스트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이명희 한국일본어문학회 2019 日本語文學 Vol.81 No.-

        本稿は、1930年代において朝鮮半島で發行された朝鮮文學の韓國語原著作物と、そこから派生した「飜譯本」「日本語小說」に焦点をあてる。これは最初にハングルで發表された原作が存在していることから、これまでの日本語小說とは明らかに異なるカテゴリ一である。特に『大阪每日新聞』を始めとする、同時代の日本の新聞社や雜誌社が企畵した朝鮮文學關連の連載記事は、原作と飜譯物の關係であることを露出せず、朝鮮人による「日本語小說」として流通されていた点で問題的であると言える。本稿ではこれまでに日本語文學硏究の分野から見落とされていた、飜譯の結果によって登場した「日本語小說」に注目し、原本テキストと飜譯本テキストとの比較を通して、飜譯の介入の樣相を分析する。そこで、「飜譯本」「日本語小說」におけるテキストの異同をふまえ、朝鮮人原作者から放れた新しい語り手(飜譯者)の介入によって、多層的な構造のテキストに變っていくプロセスを考察していく。これは最初に朝鮮人向けで作られたテキストが飜譯の介入によって、當時の植民地的秩序にどのように食迂まれていくかを明らかにする過程であり、日帝强占期における文學の在り方を浮彫りにすることでもある。 This research intends to analyse ‘Translation Literature’ and ‘Japanese Novels’, which derived originally from Joseon literature in Korean issued in the 1930s. During that period, many contemporary novels were translated by third parties totally different from original authors’ intention or published as ‘Japanese novels’This research focuses on Japanese novels, the products of translation, and analyzes how the intervention of translation changed the original texts with the help of comparison between original and translated literature. This will be done from the perspective of copyright. Through my research, I have found that original texts were intervened in various agents, including translators and newspaper companies. As a whole, without considering who translated them and who published them, it is very unlikely that Japanese novels are loyal to original tex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