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성장애의 수술적 중재 후 추정 발화 기본주파수 절대오차(AEF0)의 반응도

        이승진,이승진,김재옥,임재열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7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음성장애를 지닌 환자군의 중재 전후 및 성별에 따른 세 가지의 발화 기본주파수 절대오차(AEF0)의 반응도를 살펴보고, 중재 후 청지각적 평정치의 개선을 보인 개선 집단과 미개선 집단 간 AEF0 변화량(ΔAEF0)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ΔAEF0가 다면적 음성검사 결과의 변화량과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중재 전후 AEF0의 유의미한 개선 정도를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준점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양성 성대질환이 있는 음성장애 환자 남성 30명, 여성 30명이었다. 각 대상자는 음성 및 말 범위 프로파일과 문단 읽기 과제를 수행하였다. 수술적 중재 전후 음성 및 말 범위 프로파일(VRP, SRP)을 통해 AEF0를 계산하여 AEF0중재 전후 및 성별에 따라 비교하였다. AEF0와 다면적 음성검사 측정치의 중재후 변화량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ROC 곡선 분석을 통하여 음성 개선 여부에 대한 절단점을 계산하였다. 결과: 남성과 여성 모두 VRP와 SRP 측정치는 중재 전후 차이가 없었던 반면, AEF0VRP, AEF0SRP, AEF0SUM은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성별과의 교호작용은 없었다. ΔAEF0는 다른 음성검사 측정치와 약함에서 중간 수준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음성개선군에 대한 AEF0VRP, AEF0SRP, AEF0SUM의 AUC는 각각 .693, .669, .753이었으며, 절단점은 각각 ≤4.035, ≤-2.403, ≤0.389였다. 논의 및 결론: AEF0가 환자의발성 범위를 반영하면서 중재 후의 음성 개선을 판단하는 하나의 척도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아동의 회상 보고 정확성에 아동의 연령, 양육자의 지지가 미치는 영향

        이승진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16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2 No.4

        Both the child’s and defendant’s testimonies play crucial roles in the court’s ruling of a child abuse case. Thus, empirical studies examining a child’s truthful report, that is, disclosure, of his or her experience and recantation of the disclosure have manifold practical implications.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how easily a child recants his or her testimony after witnessing and disclosing an adult engaging in a small mistake.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child’s age and emotional support from his or her caregiver predict the recantation of the child’s testimony. Children of age 5-8 years played with dolls with the experimenter and witnessed the experimenter breaking the doll mask. The experimenter asked the children to keep it a secret. Then the children had the first memory interview, during which the interviewer induced the child to disclose the incident. Based on the treatment conditions, some children were provided supportive feedback while other received unsupportive feedback from their primary caregivers (mother) regarding the disclosure, then were interviewed for the second time. First, the author of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children would recant their disclosure (whether they would deny the incident after telling the truth of about what happened to the doll), and also examined the features of the child’s voluntary reports, that is, the degree of their honesty. The findings of the experiment indicated that there were age-specific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recantation, meaning that older children (8-9-year-olds) showed a stronger tendency to maintain their recantation in the second interview than relatively younger children (6-7-year-olds). Furthermore, children who received supportive responses from their mothers regarding the disclosure demonstrated more honest reports compared to those who received unsupportive responses from their mot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ssist the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social-motivational factors on the process of children disclosing the truth when voluntarily recalling a negative incident that they had experienced and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in legal aspects. 아동과 피고인의 진술 모두는 아동이 연루된 범죄 사건의 법적 판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성인의 실수를 목격한 아동의 진실된 보고가 철회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아동의 연령과 양육자의 정서적 지지가 아동의 진술 철회를 예측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만 5-8세 아동들은 실험자와 인형 놀이를 하는 동안 실험자가 인형을 망가뜨리는 것을 목격하고 이 사실을 비밀로 해 달라는 실험자의 요청을 받았다. 이후 아동은 그 사건에 대한 진실 보고를 유도하는 1차 기억 면담을 받았다. 처치 조건에 따라 아동의 진실된 보고에 대해 주양육자(어머니)가 지지적 혹은 비지지적으로 피드백을 제공한 후 아동은 2차 기억 면담을 받았다. 본 연구는 아동의 진실된 보고의 철회 여부를 살펴보았고 아동의 자발적 보고의 특성, 즉 솔직함의 정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이전 진술을 철회하는 정도에 있어서는 연령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나이 든 아동들(만 7-8세)이 상대적으로 어린 아동들(만 5-6세)보다 2차 면담에서 이전 보고에 대한 철회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더 강했다. 또한 진실된 보고에 대해 지지적으로 반응해 준 어머니의 아동이 2차 면담에서 더 솔직한 반응을 보였으며 비지지적으로 반응한 어머니의 아동은 상대적으로 더 낮은 솔직함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동이 경험한 부정적 사건에 대한 자발적 회상 보고 시, 양육자의 지지와 같은 영향이 진실을 밝히는 과정에 어떤 역할을 하는 가에 대한 이해를 돕고 법률적 맥락에서 아동 진술의 신뢰성에 대한 현실적인 함의를 제공해 준다.

      • KCI등재

        이청준의 소설 『조율사』의 역사-비평본 편집연구

        이승진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9 No.3

        This thesis is a philological study on the editing and publishing of the historical-critical edition of the Novel 『The Tuner』 of Lee Chongjun (1939-2008), a representative novelist of Korean modern literature. In the philological sense, 'historical' means to trace the process of creation and transmission of a text . 'Critical' means to trace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text in this process and to read the damaged text.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restore or reconstruct the text originally intended by the author or the text closest to the intention of the author. In addition, the text of each edition is compared and analyzed, and the writing of 'Apparat', a text difference table between versions, is also made. This study, 1) collected 12 versions of texts of the Novel 『The Tuner』 and analyzed the process of creation and transposition of text, 2) compared and analyzed all the versions of texts 3) made Apparat 4) also made commentar to overcome temporal-cultural Gap between the first edition and the present reader. Such a study, however, has been rarely done in Korea, especially, in the case of a Novel, relatively large genre of texts, The publication of 'History and Criticism' of novels has not been published in Korea yet. Therefore, this study <'historical-critical edition' of the Novel 『The Tuner』 of Lee Chongjin > is a very original and pioneering work which is first attempted in Korea in the novel genre. 본 연구는 한국 현대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 한 명인 이청준(1939-2008)의 소설 『조율사』의 『역사-비평본』 편집 및 출간에 관한 문헌학적 연구이다. 문헌학적 의미에서 ‘역사적’이란 한 작품의 텍스트가 생성-전승되는과정을 추적하는 것이며 ‘비평적’이란 이 과정에서 텍스트가 변모된 과정을 추적하고, 남아 있는 판본들의 훼손, 오염된 부분을 판독, 교정하여 작가가 원래 의도한 또는 그 의도에 가장 근접한 텍스트를 복원 또는 재구성해내며, 각 판본 간의 ‘텍스트 상이점 기록표 Apparat’의 작성을 과학적인 근거에 의해 진행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역사·비평본 편집>은 1) 텍스트의 모든 판본을 수집해그 생성과정 및 텍스트 변천과정을 연구하고, 2) 초판 텍스트에 근거해 정본(원전) 텍스트를 정립하여 3) 이를 기준으로 텍스트에서 차이를보이는 모든 판본(이본)들을 서로 비교분석(대교)한 후, 4) ‘텍스트 상이점 기록표 Apparat’를 작성하며 4) 초판본과 현재의 독자 사이에 놓인“시간적 ․ 문화적 ․ 정신적 간극을 극복”하기 위한 주해서 작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 역시 이러한 <역사·비평본> 편집의 일반 원칙에 근거해 1) 『조율사』 텍스트의 판본을 수집해 총 12개 판본을 편집(연구)대상으로확정했으며, 2) 초판본인 1972년 『문학과 지성』 연재 판본을 기준(기저본)으로 정본(원전) 텍스트를 정립한 후 3) 이를 기준으로 텍스트에서차이를 보이는 모든 12개 판본(이본)들을 서로 비교분석(대교)한 후, 4) ‘텍스트 상이점 기록표 Apparat’를 작성하였으며 4) 마지막으로 주해서작성을 시도하였다. 이와 같은 문헌학적 연구는 국내에서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분야의 연구이다. 특히 텍스트가 상대적으로 방대한 소설 장르의 경우 ‘역사·비평본’ 출간은 아직 전무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본 <이청준 소설 『 조율사』의 역사비평본 연구>는 소설 장르에서 국내 최초로 시도되는연구이며, 이러한 점을 감안해 편집 각 단계의 작업방식 및 ‘텍스트 상이점 기록표 Apparat’ 제작 및 이용방법에 대해 상세한 해설을 시도하였다.

      • KCI등재

        아동의 수줍음 경향, 면담자의 사회적지지, 출처 감찰 훈련이스트레스적 사건에 대한 아동의 자유 회상 보고에 미치는 영향

        이승진,곽금주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4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interviewers’ social support and cognitive training on the accuracy of children’s memory of a potentially stressful event. Children (N = 128) aged 3-12 years, who were scheduled to undergo a minor dental procedure participated in the study.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nt with and extended the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that social support improved the accuracy of children’s source monitoring. Younger children were more easily influenced by an interviewer’s social support than older children. Furthermore, for children who were evaluated as relatively more shy than others in the same-age group, the accuracy of their report improved considerably when an interviewer provided social support. By creating a naturalistic situation (i.e., dental operative procedure),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significant variables that affect the way children report stressful experiences and found out ways in which the reliability of the children’s reports might be facilitated by a supportive interviewer. The findings provided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contributing to children’s motivation and ability to give a reliable report of a stressful even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ill be particularly helpful in providing guidelines for interviewing children in legal settings. 본 연구는 아동의 자유 회상 보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 중에서 아동의 내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실험실을 벗어난 상황을 이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불안이나 긴장, 스트레스와 같은 부정적 정서가 자연스럽게 유발되는 치과 진료를 경험한 아동들을 대상으로 면담자의 사회적 지지와 출처 감찰 훈련 그리고 아동의 기질적 특성이 자유 회상 보고의 정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면담자의 사회적 지지는 부정적 경험에 대한 아동의 자유 회상, 즉 면담자의 개방적 질문에 따른 자발적 보고 수준을 향상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사건에 대한 아동의 기억 역시 선행 연구의 결과와 동일하게 미취학 아동들은 취학 아동보다 면담자의 사회적 지지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취학 아동에게 기대되지 못했던 출처 감찰 훈련의 효과도 면담자의 사회적 지지가 제공되는 조건에서는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면담자의 사회적 지지와 출처 감찰 훈련이 기질적으로 수줍음이 높은 아동에게 더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정적 정서가 유발된 사건에 대한 아동 기억의 정확성이 면담자의 태도와 인지 훈련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음을 증명함과 동시에 아동의 기질적 특성에 따라서도 상이할 수 있음을 함의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진술 조사 맥락에서 피해 아동의 수줍음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면담 실시와 면담자 태도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 하였다.

      • KCI등재

        공정거래법상 금지청구의 소비자 활용에 대한 소고

        이승진 한국유통법학회 2022 유통법연구 Vol.9 No.2

        2020년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이하 ‘공정거래법’)」 이 전부 개정되면서, 공정거래법상 위법행위로 피해를 입거나 입을 우려가 있는 사인(私人)이 민사법원에 해당 행위의 금지 또는 예방을 청구할 수 있는 금지청구제도(이하 ‘금지청구’)가 도입되었다. 과거 공정거래법 위반에 따른 피해 예방의 기능을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가 시정조치라는 수단으로 독점하고 있었으나, 금지청구의 도입으로 그러한 집행이 법원과 공정위 간에 분권화하게 된 것이다. 특히 금지청구 대상인 불공정거래행위 성립과 관련하여 경쟁당국인 공정위가 대부분의 유형에 대해 경쟁제한성을 중심으로 위법성을 판단하는데 반해, 법원은 공정위 심사지침에 구속되지 않고 더 폭넓은 기준에 따라 위법행위를 인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소비자가 법원에 금지청구를 할 실익이 있다. 또한 공정거래법이 소비자 보호를 목적으로 하고 있음에도, 과거에는 손해배상이라는 사후적 구제수단만 도입하고 있어 실질적인 소비자 보호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여 사전 예방조치인 금지청구까지 도입함으로써 소비자 보호에 관한 공정거래제도의 신뢰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소비자기본법상 단체소송만으로는 소비자가 법원에 금지청구를 요청할 수 경우가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공정거래법상 금지청구의 도입이 소비자의 사적 구제 수단 강화라는 측면에서 가지는 의미는 적지 않다. 이 같은 금지청구가 가지는 의미와 도입에 따른 기대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실제 소비자가 금지청구를 통해 권익 보장이라는 목적을 달성하는 데는 현실적 한계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비자단체에 대한 금지청구 원고적격 부여, 작위 청구 근거의 마련, 금지청구소송규칙의 제정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