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Decreased entropy of unfolding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maximum stability : Thermodynamic stability of a thioredoxin from the hyperthermophilic archaeon Methanococcus

        이덕연,김경애,김기선 한국자기공명학회 2004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 Resonance Society Vol.8 No.1

        A thioredoxin from hyperthermophile, Methanococcus jannashii (MjTRX) was characterized by use of the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thermodynamic stability. MjTRX has an unfolding transition temperature of 116.5 °C, although the maximum free energy of the unfolding (9.9 Kcal/mol) is similar to that of E. coli thioredoxin (ETRX, 9.0 Kcal/mol). However, the temperature of maximum stability is higher than ETRX by 20 °C, indicating that the unfolding transition temperature increased by shifting the temperature of maximum stability. MjTRX has lower enthalpy and entropy of the unfolding compared to ETRX maintaining a similar free energy of the unfolding. From the structure and the thermodynamic parameters of MjTRX, we showed that the unfolding transition temperature of MjTRX is increased due to the decreased entropy of the unfolding. Decreasing the unfolded state entropy and increasing the folded state entropy can decrease the entropy of the unfolding. In the case of MjTRX, the increased number of proline residues decreased the unfolded state entropy and the increased enthalpy in the folded state increased the folded state entropy 영어논문

      • KCI등재

        의약품부작용피해 구제의 헌법 및 (공사)법체계론적 쟁점― ‘규율흠결’ 상태의 진단과 처방 ―

        이덕연 한국공법학회 2013 공법연구 Vol.42 No.2

        Issue of remedy for damages caused by the side effects of drugs, which is considered as ‘residual risk’, is included in the object of the ‘responsibility for ensuring’ of the nation according to ‘the objective order of fundamental rights’, ‘radiation effects of basic rights’ and the obliga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 protection. Therefore the current ‘Pharmaceutical Affairs Act’, in which ‘damage remedy fund system’ has been deleted, is in the so-called state of ‘defect of regulation’. Remedy can not be as effective as constitutionally required level in current substantive law, procedure law and theory of legal interpretation. Exploring rapid and effective lawsuit is also obviously disturbed by the institutional limits and the functional defects of the present public procedure law system. It is precisely for that reason that the revision of the current ‘Pharmaceutical Affairs Act’ are needed. In addition to the regaining of the system of ‘damage remedy fund’, it is possible and necessary to seek further alternatives. In terms of the obliga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 protection, legal countermeasures to the remedy for damages caused by the side effects of drugs must be approximated at the level of the open legal system to cross the boundari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law. And in the aspect of the legislative response, it is necessary that the judiciary and the executive share the appropriate roles not merely in the context of cooperation, but of competition. As for administration, the form of the ‘informal administrative action’ can be used aggressively. In the realm of the jurisdiction can the court induce voluntary supplement or urge to make necessary legislative correction through taking a more active stance or flexible initiatives. 1991년 약사법 개정을 통해 마련되었던 ‘피해구제기금제도’가 상당 기간 위법한 행정입법부작위로 시행되지 못하다가 오히려 1995년에 약사법 개악으로 근거규정이 삭제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잔여위험’으로 여겨지는 의약품부작용 피해에 대한 구제의 문제는 ‘기본권의 객관적 질서’, ‘방사효과’ 및 이를 이론적 토대로 한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에 따른 국가의 ‘보장책임’의 대상에 포함되므로 의약품부작용피해의 구제에 대하여 외면하고 있는 현행 약사법은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에 위반되는 ‘규율흠결’의 상태에 있다. 현행 실체법과 소송법 및 법해석론으로는 헌법적으로 요구되는 내용과 수준의 효과적인 피해구제는 기대할 수 없다. 현행 공법소송법제로는 이러한 ‘규율흠결’의 법상태를 보정할 수 있는 신속하고 실효성 있는 소송수단을 모색하는데도 한계가 있다. ‘피해구제기금제도’를 원상회복시키는 최소한의 입법개선의무를 이행한 이후에 또는 병행하여 추가적인 대안모색이 필요하다. 기본권보호의무의 관점에서 의약품부작용으로 인한 피해구제의 문제에 대한 법적 대응방안은 공사법의 경계를 넘나드는 ‘개방된 법체계’의 차원에서 접근되어야 한다. 법기능적 판단에 따른 수평적인 법체계구성의 측면에서는 입법론의 차원에서 적정한 기본권보호의무에 충실한 법체계의 형성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입법과 사법 및 행정 간에 적정한 역할분담체계를 구성하는 수직적인 측면에서는 입법적 대응과 함께 또는 부분적·잠정적으로 입법적 대응에 앞서서 사법 및 행정이 적정한 역할을 분담하는 것이 필요하다. 행정에서는 ‘비공식적인 행정작용’을 적극적으로 확대 및 강화하는 방안 등을 모색할 수 있고 사법에서는 법원이나 헌법재판소가 (헌)법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서 좀 더 적극적인 입장을 취하거나 탄력적인 대응을 통해 ‘규범적 압력’을 가하여 자발적인 협력을 유도하거나 입법(개선)을 촉구하는 유용한 역할을 분담하는 것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헌법으로 본 빈곤(사회양극화)문제와 예산과정

        이덕연 한국공법학회 2011 공법연구 Vol.39 No.3

        Since the foreign exchange crisis at the end of 1997, poverty becomes one of the most critical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n Korea. Nearly 20 per cent households belong under the class of absolute poverty. And the problem of poverty connected to the trend of social polarization, which seems to be irreversible, is thought to be fixed at the present level. However just the several figures screened in this essay show that the government interventions don't give any effective remedies in order to break out the repeating vicious circle of poverty. Above all the state's social welfare expenditure, which does not surpass 10% per GDP, is far from enough. There is no comparison between this ratio and those of the other OECD countries. To sum up, we need to claim “Don't just stand there, do something!”But if we are to solve the problem of poverty which is given not as a individual problem or just as one of many social issues but as a collective problem at the politico-economic system level, we must perceive and understand the nature and structure of the problem of poverty as a constitutional question. The object of this essay is to juxtapose and arrange the problem of poverty in the context of our Constitution, and to review the profound characters and the system threatening influences of the vicious circle of poverty from the viewpoints of basic principles of our Constitution such as the principles of democracy including the task of national unity, ‘Sozialstaats-’, and ‘Rechtsstaatsprinzip’. Although much more policies than the here suggested should be set and instituted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 of poverty on the national level, I propose three remedies; the drastic expansion of the social welfare expenditure, the adoption of the so-called ‘poverty specific budget’ like the ‘gender specific budget’, and the reform of the congressional budget process including the transformation of the Special Budget Committee from the temporary into standing committee and the adoption of the (sub)committee for the problem of poverty as a standing committee. 1997년 말 외환위기 이후 소득양극화와 엇물린 빈곤문제가 중대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그 이전까지는 일만 열심히 하면 극복될 수 있는 문제였던 것이 이제는 일을 열심히 하려고 해도 또 일을 열심히 해도 궁핍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개인의 무능력과 무책임한 나태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없는 구조적인 문제로 고착되어 가고 있다. 가구소득이 최저생계비 기준 120% 이하인 차상위계층을 포함한 절대빈곤층이 전체 가구의 거의 5분의 1에 해당하고 또 이 빈곤층이 스스로의 노력만으로 가난에서 벗어나기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은 우리 사회와 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특히 장애인, 여성, 노인, 최근에 급증하고 있는 조손가정 등 빈곤의 영향이 집중적으로 전가되고 있는 사회적 약자집단의 궁박한 삶들은 헌법에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를 기본권으로 규정하고 있는 국가의 존재이유를 되묻게 한다. 반면에 빈곤의 예방과 극복을 위한 국가의 정책적 개입은 미흡하다. 최근에 상당히 증대되기는 했지만, GDP 대비 10%를 넘지 못하는 사회복지예산의 절대적, 상대적 규모는 OECD 국가들에 비해 여전히 턱없이 부족하다. 시장소득과 가처분소득을 기준으로 한 지니계수의 변화율도 5%에 미치지 못할 정도로 소득재분배정책의 효과도 미미한 수준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국가와 사회의 지속적인 협력과 노력이 필요한 것은 물론이지만, 우선 빈곤문제에 대하여 폭넓은 공감을 토대로 하여 사회 전체의 태도가 바르게 정립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복지정책의 지향점과 대강에 대한 거시적 합의가 도출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물론이고, 정부개입의 적정한 수준과 방법을 포함하여 해마다 반복되는 복지예산의 많고 적음을 둘러 싼 논란도 바로 빈곤문제에 대한 사회적 태도의 불분명함에 기인한다. 이러한 사회 전체의 태도는 일차적으로 구성원 개개인의 관심과 시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겠지만, 빈곤문제가 전적으로 개인 차원의 문제만이 아닌 것과 마찬가지로 그에 대한 태도 역시 집단적인 이데올로기적 성격의 문제이다. 빈곤문제를 단순한 사회적 현안을 넘어서 최고의 정치경제규범인 헌법이 최우선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하는 ‘헌법문제’로 전제하고 또 국민통합의 헌법적 과제와 함께 민주주의원리, 사회국가원리, 법치국가원리 등 헌법상의 기본원리를 통해서 빈곤문제를 조명하여 그 이유를 제시하고자 한 것도 빈곤문제의 본질과 실태에 대한 인식의 공유지평을 확장하여 사회 전체의 태도를 정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빈곤문제의 해소 또는 완화를 위해서는 국가의 전방위적인 정책적 개입이 요구되지만, 본 논문에서 우선 사회복지지출규모의 확대와 함께, 추기적인 논의가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많이 검토되어 왔고 또한 큰 비용부담이나 역기능에 대한 우려 없이 시행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예산과정상 개선방안, 즉 예산결산위원회의 상임위원회화와 ‘빈곤인지예산제도’ 및 빈곤문제특별위원회의 도입을 제안한 것도 더 이상 늦으면 문제해결의 마지막 기회를 놓치게 될 것이라고 보는 절박한 상황인식 때문이다.

      • KCI등재

        바륨 페라이트를 함유한 알지네이트 자성 복합 입자의 제조

        이덕연,오영일,김동현,김광만,김경남,이용근 大韓齒科器材學會 2004 대한치과재료학회지 Vol.31 No.1

        Magnetic polymer composite materials with high coercivity have potential applications in medical diagnostic technologies, magnetic drug delivery, and hyperthermic cancer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the magnetic composite particles by encapsulating barium ferrite powders with alginate and to investigate their phys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0.4 g of sodium alginate was dissolved in 20 ml of distilled water and different amount (0.4~4 g) of barium ferrite powder was dispersed in alginate solution using an ultrasonication method. The resulting barium ferrite-alginate slurry was added dropwise to a CaCl2 solution to form magnetic Ca-alginate composite beads. They were separated by filtration and washed several times with water and ethanol. The final product was then completely dried at 40℃ under vacuum to obtain brownish black powders (0.1~1 mm in size) with a high magnetic response when submitted to a small magnet. Average size of magnetic composite particles was dependent on the amount of barium ferrite and the viscosity of slurry . The morphological and dimensional analyses of magnetic composite particles were performed by optical microscop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agnetic polymer composite particle was found to maintain the high coercivity. The saturation magnetization value for magnetic Ca-alginate composites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barium ferrite/alginate ratio. The amount of self-heating induced by hysteresis under an alternating magnetic field was measured as a function of barium ferrite/alginate ratio in distilled water.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ncapsulated magnetic composite is expected to be useful for hyperthermia and chemotherapy remarkably.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상 탈북민의 법적 지위 : 현황과 개선방안

        이덕연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3 法學論叢 Vol.20 No.2

        탈북민의 수가 급증하면서 다양한 문제들이 누적되어 사회문제로 부각되어감에 따라 보호 또는 지원체계의 적확성과 실효성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하고, 실행프로그램을 보완 및 재정비하는 것이 긴절한 정책현안으로 제기되고 있다. 탈북민지원법을 중심으로 기본적인 정착지원법제의 내용과 다양한 실행프로그램의 현황을 검토하고, 관련된 개별 법령상 특례규정의 내용을 추가로 검토한 후, 부분적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실적으로 정부의 공식적인 방침인 ‘전원수용원칙’과 달리 사실상 ‘선별수용원칙’의 핵심수단으로 활용 되고 있는 탈북민지원법상의 ‘직접신청의 원칙’이 타당한 것인지, 현실적인 한계 내에서라도 보다 유연한 합헌적인 대안이 없는지 등에 관해서 전향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 입국 후 초기적응단계에서 ‘하나원’에서의 보호와 교육서비스를 비롯하여 정착지원금, 취업장려금 등 각종 경제적인 지원프로그램의 내용과 수준은 대체로 양호한 것으로 보이고, 특히 ‘수혜적 보호’에서 자립과 자활에 초점을 맞추어 ‘자율적응’을 지원하는 방침으로 선회한 것은 적확한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전체적으로 탈북민들이 직장에 잘 적응하지 못하고 기초생활수급자로 생활하는 등 정착기반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나, 기타 취업장려금 등 개별적인 지원프로그램의 실효성이 떨어지는 점, 기타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의 프로그램과 ‘하나센터’의 ‘정착도우미’ 서비스가 중복되어 효율적으로 예산이 운용되지 못하고 있는 점 등 세부적인 문제점들에 대한 비판과 지적은 적극적으로 검토되어 제도 및 운용의 개선방안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정착지원 프로그램의 설계단계에서부터 실행에 이르는 전 과정에 민간참여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한다. 탈북자의 특수한 신분 때문에 정부가 주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피하기는 하지만, 적어도 주거지보호의 단계에서는 정부와 민간의 상호보완적인 관계가 설정되어야 한다. 다양한 민간단체의 보조적인 역할을 넘어서는 적극적인 참여가 없이는 특성화 및 전문화된 맞춤형 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하나원’에서의 교육과정도 외부 사회와 차단된 이른바 ‘폐쇄형의 집체교육’ 대신에 ‘개방형 교육’의 방식으로 전환해나가고, 적어도 가능한 한 남한 주민과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현장 견학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거주지보호단계에서 탈북민들과 남한 주민들이 ‘친근한 이웃’으로 만나서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는 거점으로 ‘사회복지관’을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 등도 통일부나 지방자치단체장 등 관련 정책 당국자가 유의해야 할 사항들이다. As rapidly increased the number of North Korea defector, various problems are cumulative and it is emerged as social problems. So reconsiderating fundamentally cogency and effectiveness of protection or support system, redeeming and rearranging of the execution programs are urgent and desperately needed policy issues. After reviewing the contents of basic settlement support legislation, mainly 「North Korea defector Assistance Act」,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executable program and additionally contents of special regulations of related individual statutory, it will be suggested improvements partially. Whether ‘the principle of direct applic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Assistance Act」 that is used as the key means of ‘the principle of selective acceptance’ in reality, unlike ‘the principle of all acceptance’ of the government's official policy, is reasonable and there is no constitutional alternative more flexible even in the practical limit, progressive review is necessary. After entering South Korea, the content and level of the various financial support programs in the initial adaptation phase seems to be generally good. In particular, changing the policy to support self-adaptive from ‘beneficial protection’, with a focus on self-reliance and self-sufficiency, is precise. But criticism and point out about detail problem are considered actively and will be reflected in the improvement of the institutional and operational environments.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private should be extended in the entire process from the design stage of settlement support programs to execution. It is practically inevitable that the government superintends to support North Korea defector because of their special status. But at least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must be set in the steps of the residence protection.

      • Site-directed Mutagenesis에 의한 rbsB103의 복기 돌연변이 분리

        이덕연,백광희 경희대학교 유전공학연구소 1992 遺傳工學論文集 Vol.4 No.-

        Ribose-binding protein (RBP) of E. coli function in the periplasm as a component of a high affinity transport system for ribose and as a primary receptor for chemotaxis toward ribose. A mutational change(rbsB103) in the signel sequence of RBP block the export of the protein to the periplasm. One of the intragenic suppressors for rbsB103 isolated genetically carries mutation at 27th position of RBP. In order to assess the role of the 27th amino acid in protein transport, we substituted the Ala of 27th position with various amino acids by site-directed mutagenesis method. The assay of the mutants by chemotaxis indicates that the replacement of the Ala by Cys, Gly, Ser, Thr, or Val can suppress the defect of protein transport, but the replacement by Glu, Pro, or Leu canno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