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특이치 분해와 Fuzzy C-Mean(FCM) 군집화를 이용한 벡터양자화에 기반한 워터마킹 방법

        이병희,장우석,강환일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7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7 No.2

        본 논문은 원본이미지와 은닉이미지의 좋은 압축률과 만족할만한 이미지의 질, 그리고 외부공격에 강인한 이미지은닉의 한 방법으로 특이치 분해와 퍼지 군집화를 이용한 벡터양자화를 이용한 워터마킹 방법을 소개하였다. 실험에서는 은닉된 이미지의 비가시성과 외부공격에 대한 강인성을 증명하였다.

      • 七情으로 유발되는 病證의 유형 연구

        이병희,유승연,박영배,박영재,오환섭,김민용 대한한의진단학회 2010 大韓韓醫診斷學會誌 Vol.14 No.2

        Background and purpose Seven Emotions consist of Joy(喜), Anger(怒), Anxiety(憂), Thought(思), Sorrow(悲), Fear(恐), Fright(驚). If Seven Emotion is excessive, its extreme mental stimulation causes physical illness. There was no study of the Seven Emotion Disease in detail for now.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igeonhole the Seven Emotion Disease. Methods We extract the sentences about the Seven Emotion and related words in Donguibogam. We classify the sententences into Joy(喜), Anger(怒), Anxiety(憂), Thought(思), Sorrow(悲), Fear(恐), Fright(驚), Frustration, Mental Exhaustion, Character. We analysis pattern of Symptoms Derived from Seven Emotions. Results and Conclusions Seven Emotion give rise to various type of symptom. In special Anger cause more illness than other Seven Emotion.

      • 근로빈곤 정의를 둘러싼 쟁점과 추정

        이병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보건복지포럼 Vol.184 No.-

        연구 목적과 활용 자료의 정보 범위에 따라 근로빈곤을 다양하게 정의하여 연구하는 것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어떠한 정의를 채택하느냐에 따라 근로빈곤층의 범위, 규모와 특성, 근로빈곤의 원인과 성격, 빈곤 진입과 탈출의 결정요인, 탈빈곤정책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근로빈곤 정의를 둘러싼 쟁점을 국내외 연구와 기준을 통해 명확하게 하고자 한다. 또한 국내 이용가능한 자료를 통해 근로빈곤율을 추정함으로써 자료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변동성이 심한 노동시장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조사의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고려 현종대 사상과 문화정책

        이병희 한국중세사학회 2010 한국중세사연구 Vol.0 No.29

        The reign(1009~1032) of King Hyeonjong in Goryeo is the point of time when two generations were changed because about 70 years had passed following the unification of Later Three Kingdoms. It was the time of requiring the establishment of new direction, which was advanced one-step further because of being the time after suffering trial & error and conflicts surrounding the nation’s administration. The reign of King Hyeonjong was invaded twice by the Kitan. Tension of both countries between Goryeo and the Kitan was continued all the way. King Hyeonjong had legitimacy of continuing the throne, but had unique experience that cannot help living as a Buddhist monk. This fact is judged to have importantly influenced the direction of a thought and culture during the reign of King Hyeonjong. There were many government officials who have considerable capability during the reign of King Hyeonjong. Among those people, Gang Gam-chan․Choi Hang․Choi Sa-wi․Wang Ga-do, who belong to Baehyanggongshin(配享功臣), can be said to be representative figures. While these people had Confucianism as a common denominator, the interested sphere or the target with the aim of being reformed was different. Choi Hang or Choi Sa-wi showed very favorable position for Buddhism. A native place was different with 3 people from the central area and with Choi Hang from Gyeongju.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was based fundamentally on the Confucian ideology. The emphasis on Sajik or Taemyo(太廟) and the direct cultivation of Jeokjeon(籍田) indicate that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is being managed on the basis of the Confucian ideology. The Confucian ideology was expressed by all in what a king mentioned Noneo(論語) and Yegi(禮記) in Gyo(敎) commanded by the king, what emphasized a king’s Sushin(修身) when Jaei takes place, what speaks of observance of Wolryeong(月令), and what positively asserts the farm encouragement policy. It was positively considering even on Buddhism. Yeondeunghoe and Palgwanhoe, which had been suspended since the reign of King Seongjong, were revived. Several kinds of Buddhist events were held. Hyeonhwasa temple and Junggwangsa temple were founded. A high priest was ever appointed as Wangsa and Guksa. The Buddhist circles had been treated consistently, but were controlled and restricted when being performed behavior unmindful of its duty. Positively applying Buddhism to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implies what isn't absorbed in the Confucian supremacy and what doesn’t sympathize with the view of the whole world centering on China. Furthermore, civilians’ support was expected by positively recommending Posi(布施) on civilians. A situation called war desperately required a help of grass-roots. The reign of King Hyeonjong was emphasized Seogyeong and was arranged experience since King Taejo. Seogyeong had been performed a sacrificial rite toward King Dongmyeong and Wang Geon, the Founder of Goryeo Dynasty. King Taejo and kings of many generations were highly revered. It gave priority even to meritorious retainers of many generations. In the meantime, it particularly respected even for several gods such as Sancheon or Sanak(山嶽) related to belief of in grass-roots. This can be said to be what positively recognizes indigenous religion and what stresses indigenous climate. What pushes ahead with policy, which respects emotion and belief of grass-roots in a situation called war, seems to be natural. The cultural policy during the reign of King Hyeonjong was established in the urgent condition, thereby having been able to be sustained for quite a long time without big modification in the policy direction since then. Therefore, Choi Chung(崔冲), who is a contemporary person, said that King Hyeonjong deserves to be called Jungheungju(中興主). 고려 현종대(1009~1032)는 후삼국 통일 후 70여 년이 지났으므로 2세대가 바뀐 시점이다. 국가의 운영을 둘러싼 시행착오와 갈등을 겪은 뒤여서 한 단계 진전된 새로운 방향설정을 필요로 하는 때였다. 이 시기 거란으로부터 2차례의 침략을 받았으며, 고려와 거란 양국의 긴장은 내내 계속되었다. 그리고 현종은 왕위를 계승할 정당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강제로 승려로서 생활할 수밖에 없는 특이한 경험을 가졌다. 이러한 사실이 현종대 사상․문화정책의 방향 설정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고 판단된다. 현종대는 상당한 역량을 갖춘 관인이 많았다. 그 가운데 配享功臣인 강감찬․최항․최사위․왕가도는 대표적인 인물이라고 하겠다. 이들은 유교를 공통분모로 하면서도 관심의 영역이나 개혁하고자 하는 대상이 상이하였다. 최항이나 최사위는 불교에 대해서 매우 호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출신지역을 보면, 최항은 경주 출신인 데 비해 다른 3인은 중부권 출신이었다. 국정운영은 기본적으로 유교이념에 근거하고 있었다. 사직이나 太廟를 중시하고, 籍田을 직접 경작하는 것 등은 유교이념에 의거해 국정을 운영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국왕이 내린 敎에서 論語와 禮記를 언급하는 것, 災異가 발생할 때 국왕의 修身을 강조하는 것, 月令의 준수를 표방하는 것, 권농정책을 적극 주장하는 것 등은 모두 유교이념이 표현된 것이다. 불교에 대해서도 적극 배려하고 있었다. 성종대 이래 중단된 연등회와 팔관회를 부활시켰으며, 각종 불교행사를 베풀었다. 현화사와 중광사를 창건하였으며, 고승을 왕사와 국사에 임명하였다. 불교계가 본분을 벗어난 행위를 할 경우 통제와 제한을 가하였다. 불교를 국가운영에 적극 활용한다는 것은 유교지상주의에 빠지지 않는 것, 중국 중심의 천하관에 동조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민인에 대한 적극적인 布施를 장려함으로써 민인의 지지를 기대하였다. 전쟁이라는 상황은 기층민의 도움을 절실히 필요로 하였던 것이다. 현종대에는 서경을 중시하고 태조 이래의 경험을 정리하였다. 서경에서는 동명왕과 태조 왕건에 대해 祭享을 올리고 있었다. 태조와 역대 국왕을 높이 받들었으며, 역대 공신에 대해서도 우대하였다. 한편 기층민의 신앙과 관련된 산천이나 山嶽 등 여러 신에 대해서도 각별하게 존숭하였다. 이것은 토착신앙을 적극 인정하는 것이며, 토풍을 중시하는 것이라고 하겠다. 전쟁이라는 상황에서 기층민의 정서와 신앙을 존숭하는 정책을 추진하는 것은 긴요한 일로 보인다. 현종대 문화정책은 절박한 조건에서 설정되었기 때문에 이후 정책 방향에 큰 수정없이 상당기간 지속될 수 있었다. 그리하여 동시대 사람 崔冲은 현종을 中興主로 일컬을 만하다고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