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환경치안 확보를 위한 환경특별사법경찰의 합리적 운영방안 고찰 - 제주자치경찰단 특별사법경찰의 환경부분 지명사무를 중심으로 -

        양재 한국치안행정학회 2015 한국치안행정학회 학술세미나 Vol.2015 No.11

        환경(Environment)은 헌법에서 보장된 국민의 기본권으로 헌법 제35조는 “모든 국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 서 생활할 권리를 가지며, 국가와 국민은 환경보전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로 규정하고 있다. 환경치안 확보를 위해 활동하고 있는 특별사법경찰은 개인이나 기업이 공유자원인 공기, 물, 지표(토양) 등의 무분별 한 이용으로 환경오염과 환경훼손을 야기하며 이윤을 추구하는 환경범죄를 단속하는 수사기관이다. 환경분야 특별사법경 찰은 1990년 「사법경찰관리의 직무를 행할 자와 그 직무범위에 관한 법률」에서 환경보전법, 폐기물관리법 등 2개 법률 의 지명으로 시작하여 2015년 7월 현재는 31개 법률을 지명사무로 하고 있다. 그동안 환경분야 특별사법경찰의 직무확대는 산업구조의 근대화, 공업지역의 형성, 인구의 도시집중, 등 사회발전과 그에 따른 환경오염의 심화로 환경행정 법규 위반 사범이 증가하게 되었고 지속적으로 환경개별법의 신설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직무범위 확대는 인력의 전문성 부족으로 많은 문제점이 양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특별사법경찰을 운영하고 있는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의 특별사법경찰 전담부서를 고찰하고 제주자치경찰단 특별사법경찰이 제주도의 환경치안 확보를 위한 활동현황을 분석하여 개선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특별사법경찰의 환경사범 단속업무에 효율화를 꾀하고 수사능력의 재고와 함께 합리적 발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The environment is a fundamental right of citizens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and the article 35 stipulates, “All citizens have the right to a healthy and comfortable environment, and the State and all citizens shall endeavor to protect the environment.” Environmental special judicial police is an investigative agency to crack down on environmental crimes caused by individuals or companies in pursuit of profits by indiscriminate use of air, water, and soils that results in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damage. Environmental special judicial police began in 1990 with the nomination of two law includ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Waste Management Act in the “Perform the duties of judicial police administration, and the law relating to the duty of range,” and in 2015, currently has 31 laws as appointed Secretary. Job enlargement of Environmental special judicial police has been in accordance with such: increase in the administrative violations, as well as constant establishment of an environment specific identification method caused by deepening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ocial development due to modernization of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formation of industrial areas, urban population concentration, etc. However, expanding job scope holds many problems due to lack of professionalism on the staff.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special judicial police of the state environmental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which operates environmental special judicial police unit. We will also analyze the activities for special judicial police of Jeju self-governing police group to look for improvements.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present a rational development plan, along with examine investigation capabilities, seeking effectiveness of the environmental enforcement activities for the special judicial police.

      • KCI등재
      • 행정기관의 특별사법경찰권 확장 논의에 대한 연구

        양재,양현호 한국자치경찰학회 2016 자치경찰연구 Vol.9 No.3

        행정사무를 담당하는 행정기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특별사법경찰은 각 기관의 고유 행정업무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행정법 내에 사법경찰작용을 담당하는 행정 공무원을 의미한다. 특별사법경찰관리제도의 취지는 소관 행정업무가 고도로 전문 화됨에 따라 일반사법경찰이 수사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문성과 긴 급성 등을 근거로 행정공무원에게 사법경찰권을 부여하여 신속하고 원활한 수사 활동을 하기 위함이라고 설명된다. 또한 최근 행정부의 기능과 권한이 강화되고 있음에도 사회의 급속한 분화와 전문화, 다양화에 따라 행정형법상의 범죄도 전문 화와 광역화되고 있는 추세가 되면서 행정법상의 행정범수사에도 효율성을 추구 하면서 전문지식을 갖춘 행정공무원의 수사활동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7개 정부부처 중 교육부, 외무부, 통일부를 제외한 14개 정부기관 인 법무부, 환경부, 국토교통부, 여성가족부, 해양수산부, 국방부 등과 17개 광역 지방자치단체에서 특별사법경찰제도를 운영하면서 행정에 관한 공법인 행정법을 중심관념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화 된 행정조직의 행정작용 과정에서 발생되는 범죄 수사업 무를 주로 하는 특별사법경찰 업무가 지속 증가추세에 있는 현황과 문제점 및 실 태분석을 통해 행정기관의 특별사법경찰제도 운영이 정상적 괘도에 안착될 수 있 도록 미래지향적 제언을 전개하고자 한다. Special judicial police officers, organized by agencies that are in charge of administrative affairs, are administrative public officials who take the role of judicial police officers in order to boost the efficiency of inherent administrative affairs each agency has. The initial aim of the special judicial police system is to encourage rapid, accurate investigations by granting administrative public officials with the rights as soecial judicial police officers, as they can rapidly and professionally investigate administrative affairs in a world where administrative affairs are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e and professionalized. Furthermore, the rapid social differentiation and diversification has opened doors for complicated professional crimes under the criminal law. This has resulted in more participation of administrative public officials, who have professional knowledge regarding their inherent field of affairs, in investigations in order to boost efficiency. In South Korea, seventeen regional local governments and fourteen government agencies such as the Ministry of Justice,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the Ministry of Defense, etc, excluding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inistry Foreign Affairs, and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re running special judicial police systems based on the administrative law. In this study, we aim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the special judicial police system and any problems that exist regarding the system, and provide a futuristic suggestion so that the sysrem can safely settle in administrative agencies.

      • 제주자치경찰의 성과검토와 자치경찰제의 정착방안 연구

        양재,양현호 한국자치경찰학회 2016 자치경찰연구 Vol.9 No.2

        우리나라의 자치경찰의 도입은 역대 정부마다 주요 중앙정부의 권한과 기능 재 분배의 분권과제로 논의되어 실현이 될 수 있겠다는 희망을 가지기에 충분하였다. 이와 같은 자치경찰제도 도입이라는 주요 분권과제는 노무현정부 시기인 2006년 7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자치경찰단의 창설로 전국 확대시행이 곧 시작 되는듯 하였다. 그러나 2016년 현재까지 지방자치발전위원회에서 지방자치발전 종합계획 과제로 주민중심 생활자치 및 근린자치 실현을 위해 자치경찰제 도입을 논의하고 있으나 그 성과는 과거 정부와 같이 한 발짝도 더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자치경찰제 시행은 중앙정부의 집중되어 있는 경찰권력의 남용을 피하고 권력 구조의 수평적 실현을 통해 주민의 복리증진을 의의로 하고 있다. 이는 분권화 추 진으로 지방자치의 완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자치경찰 제는 전국 확대시행에 대한 개략적인 윤곽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을 본 연 구에서 고찰하면서 자치경찰제 시행 지연이 지방자치에 미치는 영향과 전국 유일 하게 자치단체에서 운영중인 제주자치경찰의 실태를 파악하여 향후 자치경찰제도 시행을 위한 합리적 정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Due to discussion over major central government’s authority and decentralization of function redistribution by former governments, realization of introduction of autonomous police to Republic of Korea has always seemed hopeful. With the foundation of autonomous police agency in Jeju Island in 2006 July by No-Muhyun Government, nationwide enforcement of autonomous police system seemed highly likely. However, until the present times, there have only been discussions of introduction of autonomous police system for resident-centralized autonomous living and autonomous neighborhood realization as a part of overall provincial self-government development plan in provincial self-government development committee with no visible outcome. Enforcement of autonomous police system proposes to extend resident’s welfare by lessening the abuse of police authority which has been centralized on central government and realizing horizontal power structure. This means completion of provincial self-government through decentralization. Considering the research which observed the current situation of government’s inability to suggest the outline of nationwide enforcement of autonomous police system, this research would focus on the effect the postponement of autonomous policy system has on the provincial self-government and suggest the reasonable settlement scheme of autonomous police system enforcement henceforth by comprehending the reality of Jeju autonomous police agency, the only police force ran by autonomous body.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