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nput-Output Model에 의한 우리나라 호수의 영양상태 평가

        沈有燮,朱忠男,문숙미,明奎男,柳明辰 서울시립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4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2 No.-

        Th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evaluate the trophic state using input-output models for some Korean lakes such as Daechung, Juam, Paldang and so on. Input-output models were designed to predict the trophic state of a lake and could be useful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lakes. In this study, the applied empirical models were Vollenweider model, Larsen and Mercier model and Dillon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otal phosphorus to total nitrogen ratios in lakes were very high. It was estimated that lake productivity was influence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phosphorus level. 2. A low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predicted total phosphorus concentration and chlorophyll-a concentrations. 3. The Present trophic states of the observed lakes might be evaluated to be eutrophic by the input-output models. In this respect a further study on the phosphorus removal of lake was needed.

      • KCI등재후보

        저탁도시 PAC와 Ca-PAX의 입자제거 및 슬러지 탈수성 비교

        심유섭,유명진,조희경,이상수,곽종운 대한상하수도학회 2002 상하수도학회지 Vol.16 No.4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le removal and sludge dewatering and to find out the optimal condition of coagulation depending on the dosage of different coagulants (PAC, Ca-PAX) in low turbidity water.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at a pilot plant of conventional rapid sand filtration system using artificial raw water. There was no large difference in the removal efficiencies of turbidity and total particle counts for both coagulants. However, Ca-PAX was required less than PAC to obtain the same efficiency of removal, and the initial head loss in a filter increased more fastly in case of PAC. The results on the evaluation of sludge from settling tank indicated that specific resistance of sludge was decreased inversely to the dose of both coagulant and specific resistance of Ca-PAX sludge was lower than that of PAC, therefore dewatering of sludge in case of Ca-PAX was better.

      • KWP 발족 5년차의 해외진출 지원 성과와 과제

        심유섭 ( Shim Yuseop ),이우재 ( Lee Woojae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세계적으로 물시장은 2017년 기준 7,252억불 규모의 거대한 시장이며 향후 2022년까지 연평균 4.0%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다. 각국은 물산업을 유망산업으로 분류하여 전략적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노력중이다. 반면 국내 물시장은 정체 상태로 선점경쟁에서 뒤쳐져 있어, 강소기업 육성 및 해외진출 촉진을 통해 돌파구를 마련해야 하는 상황이다. 환경부 2019년 물산업 통계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물산업을 영위하는 사업체는 15,473개이며, 이들 사업체의 물산업관련 매출액은 약 43조 2500억원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의 2.2%, 환경산업 총 매출액의 43%에 해당된다. 물산업은 고용유발 및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높아 글로벌시장 선점 시 우리 경제의 新성장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나, 국내 물기업은 대부분 영세하여 해외 진출을 위한 자체역량 확보가 미흡하고 수출 참여율 또한 저조한 편이다. 국내 물산업은 공공분야 비중이 높고 연구개발 활동이 저조해 정부 주도하에 강력한 육성정책을 마련해야 하는 분야다. 이러한 인식하에 환경부 주도로 한국물산업협의회(KWP, Korea Water Partnership)가 설립되었다. 한국물산업협의회는 민·관협력증진을 통해 국내 물산업의 해외진출을 지원하고자 2015년에 출범하여 2018년 6월 「물관리기술 발전 및 물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의 국회통과 이후 법정단체 지위를 획득하였다. 그간 한국물산업협의회는 해외선진 물시장 테스트베드 구축 및 기술평가 지원, 국내 물산업 마케팅 지원 및 홍보, 물산업 클러스터 및 파트너쉽간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 및 국내 물산업 정보 공유, 민관 협력·동반성장 기반조성 등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였다. 특히 전세계 물시장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 물시장 진출을 위해 EPA 협력사업 진행, WERF, NSF 등 물관련 기관과 MOU 체결, WEF, AWWA의 전시회 참가, 현장에서의 기술 검증 지원 등을 통해 국내 물산업의 해외 마케팅 및 진출을 지원하여, 몇 년전부터 우리나라 우수한 물기술이 미국에 수출하는 성과들도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다. 또한 2020년 3월 물산업진흥법 시행령 제14조에 따른 혁신형물기업 지정·지원 제도 업무의 위탁수행 기관으로 지정되어 향후 2029년까지 10년간 매년 10개의 기업을 지정하여 혁신기술 개발 및 고도화, 검·인증, 현장 적용, 해외진출 등을 지원하게 된다. 국내 물기업이 해외진출을 하기 위해서 아직까지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해외 표준, 인·검증과 같은 기술장벽을 허물고, 물산업 선진국들이 선도·선점하고 있는 물관리기술의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 한국물산업협의회는 지난 5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물산업의 해외진출을 위한 대표 협의체로서 성공적인 자리매김을 하기 위해 다음 5년을 준비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한국물산업협의회가 추구해야 할 가치는 가격, 성능, 품질 3요소를 넘어서 한국 물산업 브랜드의 신뢰 구축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
      • 물 산업 최신 기술 동향 및 해외 진출 협력방안

        권형준,심유섭,민경석 한국수자원공사(K-water) 2023 물 산업 최신 기술 동향 및 해외 진출 협력방안 Vol.0 No.0

        기후변화는 이수(利水)·치수(治水)·재해·수량·수질·환경생태계·친수(親水)·상·하수도·지표수·지하수·해수·농업·산업 등 물 관련 전 부문에 직·간접적으로 상당한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생태계·수자원·식량·해안 및 저지대의 침수·산업·건강 등 인간 삶의 기반과 깊이 관련된 여러 부문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전 지구적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집중호우와 홍수 증가, 태풍 강도 강화 등으로 심각한 자연재해가 발생하고, 극한 가뭄 증가 등 기후변화는 물 순환체계의 대변동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이상홍수나 극한 갈수, 대규모 산불을 야기하고 생명과 생활을 위협하는 기후 위기(Climate Crisis)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화학물질로 인한 수질오염은 비록 미량이라 하더라도, 생물 농축으로 인해 생명의 위협을 증대시키고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며, 상수원 오염으로 인한 생활용수의 품질 저하분만 아니라 하천의 건강성을 악화시키는 등 우리 생활 전반의 패턴의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하천유량의 심각한 변동은 취수장애, 배수 체계 교란, 상하수도체계의 비효율성, 생태계 교란, 가뭄과 홍수 피해, 친수공간의 비친화성 등을 초래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기후변화는 수력발전 구조적 홍수방어 시스템·관개배수 시스템 등 기존의 물 관련 사회기반시설의 기능과 운영 전반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댐·보(狀)·상·하수도 시설·제방 등 물 관련 시설물 설계의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인 수문사상(水文事狀)을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물 관련 기반 시설물을 계획하고 설계하는데 있어 최근의 기후변화는 당연히 고려되어야 할 요인이다.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대응책으로는 구조적 대응책과 비구조적 대응책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조적 대응책은 설비 인프라 등 시설물을 설치하고 보강하고 확대하는 등의 구조물 중심의 하드웨어적 대응책이며, 비구조적 대응책은 구조적 대응책을 법적, 제도적 및 사회경제적으로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적 대응책으로, 시설물 설치를 강화하는 설계기준 변경, 수질기준 강화, 내진설계기준 반영, 구조안전도 강화 등을 의미한다. 이런 측면에서 법과 제도 개선의 비구조적 대응책은 구조적 대응책의 성패를 가름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그동안 물 분야는 기후 대응의 적응 분야로 인식되어 왔으나 최근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기후번화의 완화 분야에서도 물 분야의 중요성이 전 세계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와 관련된 물 산업의 미래 연관 기술 분야들은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 적응하기 위한 생존 기술로, 에너지 효율화와 디지털화를 통한 예측 및 적응성 강화, 자원의 진전된 재활용을 통한 순환경제체계 마련 및 탈탄소화 등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유지하기 위한 분야로 요약할 수 있다. 우리나라 물 전문기업들이 국내외 시장에서 해외의 유수 물 기업들과 경쟁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물시장에서 나타나는 기술과 패러다임의 변화를 인식하고 대응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선택과 집중을 통한 기업 내 자원의 효율적 배분이 중요하다. 비록 물 산업이 인프라 건설·프로세스 적용·설계·운영 등을 일괄 제공하는 Total Solution 프로젝트가 일반적이지만, 어느 한 기업이 모든 것을 다 제공하기에는 사업 리스크와 막대한 재원부담 등 비효율적인 면이 많은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물 기업은 기술을 고도화하면서 비록 현재는 시장규모가 작지만 성장 가능성이 높고 기술적으로 진전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분야에 대한 약점 보완 및 강점 강화 노력이 필요하다. 미래의 물 환경은 인구 변화·도시화·기후변화·생활패턴 변화·재난·기술 발전·글로벌 체제 등 다양한 요소들과 연계되어 있다. 물 문제는 그 자체가 식량 문제이고 에너지 문제이며, 도시개발과 농촌의 문제이듯이 물 분야는 다른 분야와 상호 긴밀히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지속 가능한 도시개발과 에너지 정책이 동반될 때 지속 가능한 물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노력이 빛을 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래 물 관리 환경은 식량·도시·에너지·재해·환경·안보·기술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면서 이러한 분야들에 적용되는 각종 정책과 기술들을 융 · 복합하는 지식의 결합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지속 가능한 노력들이 행하여 진다 하더라도 기후변화로 인한 불안정성과 재해로 인한 어려움은 여전히 존재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미래의 잠재력 역시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에서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아직도 지구상에는 자원으로서 이용하지 못하는 엄청난 양의 물이 있으며, 이를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산업이 물 산업이기 때문에 물 산업의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전 지구적 탈탄소화 정책에 따른 환경오염부하 감소를 위한 규제강화는 상대적으로 물 산업의 발전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물 산업에서의 최신기술 동향 파악은 우리나라 물 산업 미래의 지속적인 생존을 위해서 매우 중요하며, 이를 응용하고 융합하는 기술 발전을 모색해 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물 산업 해외 진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물 기업들의 원천기술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 물 산업의 현재 능력을 점검하고 우리의 미래를 준비한다는 점에서 본 보고서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GPS-X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2단탈질 공정에서 외부탄소원 적용성 평가

        정창화,심유섭,김태형,박철휘 대한상하수도학회 2004 상하수도학회지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daptability of external carbon source using GPS-X program in pilot plant composed with 2-stage denitrification process. The result from analysis of pilot plant operation and GPS-X simulation showed that effluent concentration could be simulated similarly by modifying operation conditions, such as DO concentration, C/N ratio and other calibrated parameter. In order to satisfy the standard of the effluent water quality on T-N of 20㎎/L, it required approximately 3.1 of C/N ratio and 50% of nitrogen removal efficiency when influent T-N is 36.9㎎/L. To maintain the stable water quality of the receiving water, the effluent T-N concentration should be less than 10-15㎎/L and the appropriate C/N ratio to remove nitrogen was 4.27-6.82. The analysis of sensitivity to kinetic coefficient and reaction constant showed that Y_(H) and μ_(mAUT) were most sensitive to nitrate and ammonia nitrogen, relatively and sensitivity coefficient of their were 1.32, 1.98. It was concluded that as Y_(H) decreased and μ_(mAUT) increased, the reaction rates of denitrification and nitrification increased and the removal efficiencies of NO₃^(-)-N and NH₄^(+)-N improved.

      • KCI등재

        메셀로스폐액의 주입율에 따른 2단탈질공정의 질소 제거

        정창화,심유섭,김성준,박철휘 대한상하수도학회 2003 상하수도학회지 Vol.1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olution to reduce the cost of methanol as external carbon source. The raw water of J-S.T.P. contains low concentration of readily biodegradable organics and high concentration of nitrogen due to the influents of industrial wastewater and leachate. Consequently, the influent C/N ratio is very low, and thus the supplemental addition of methanol is required to provide external carbon source for denitrification. Pilot plant experiments composed 2-stage denitrification process were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and performances of the selected carbon source and the operation conditions for applications in practice. When the same amount of denitrifying substrates based on denitrification rate of methanol were injected, the effluent T-N concentration of using mecellulose wastewater was similar to that of methanol. Comparing the influent concentration of carbon source and the denitrification rate, it was shown that the denitrifying potential of mecellulose wastewater was 60% and injecting 1/3 of carbon source into the preanoxic tank was appropriate to ensure the stabilized effluent water quality. The COD,, requirement of mecellulose wastewater per nitrogen removed was 1.4 times of the required amount for methanol, and the settlability of sludge treated with mecellulose wastewater improved about 29%, which confirmed its potential as effective external carbon sour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