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훼리틴 생산 재조합 효모의 철분 결핍성 빈혈 개선 효과

        황은희,Hwang Eun-Hee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006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Vol.16 No.1

        This study examined whether or not the iron that is accumulated in the recombinant microbes that produce ferritin is bioavailable to rats with iron deficiency. Rats induced with iron deficiency were treated with iron preparations of $Fe(NH_4)_2(SO_4)_2$, horse spleen ferritin, control yeast, and ferritin-producing recombinant yeast for 14 days. The bioavailability of iron was examined by measuring hemoglobin concentration, hematocrit value, and tissue iron stores. Differences between dietary groups were determined by one-way ANOVA, at the level of significance p<0.05. Based on hemoglobin concentration and hematocrit value, iron in $Fe(NH_4)_2(SO_4)_2$, horse spleen ferritin, and ferritin-producing yeast were bioavailable in rats and cured iron deficiency. The efficacy of ferritin and ferritin-producing yeast was confirmed in establishing tissue iron stores after the induction of iron deficiency. The iron sources of ferritin and the ferritin-producing yeast seemed to be as effective for the recovery from iron deficiency as the iron compounds of ferric citrate and ferrous ammonium sulfate.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ron stored in ferritin of the recombinant yeast is bioavailable, and that the recombinant yeast may contribute widely as a source of iron to resolve the global problem of iron deficiency.

      • SCOPUSKCI등재

        야생 나물의 이용 실태조사

        황은희(Eun-Hee Hw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99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20 No.5

        야생나물의 이용실태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421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설문지에 제시한 159종의 야생나물중에서 잘 알고 있는 나물의 수는 평균 22종, 조금 아는 나물은 16종, 모르는 나물이 97종이었고, 조사대상자의 1/4이 42종의 나물을 알고 있었다. 어린순을 먹는 나물이 평균 31종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잎으로 20종, 줄기 8종, 뿌리 6종으로 조사되었고, 생 것으로 이용하는 나물이 평균 14종, 익혀서 이용하는 나물이 평균 50종이었으며, 야생나물의 담백한 맛을 즐기고, 영양성분이 있다고 생각하는 나물이 37종으로 나타났다. 나이, 교육수준, 거주지에 따른 야생나물의 이용실태와의 관계에서는 나이가 많을수록 알고 있는 나물의 수, 이용도, 직접재취율이 높고, 기호도와 전망도는 낮아졌다. 교육수준과의 관계에서는 학력이 낮을수록 알고 있는 나물의 수, 이용도, 직접채취율, 기호도가 높았고, 전망도는 낮았다. 거주지와의 조사에서는 농촌에서 나물의 이용도, 직접채취율, 기호도가 높았고, 전망도는 낮았다. 통계적으로는 나이와 야생나물의 아는 정도, 구입방법이, 교육수준과는 아는 정도, 이용도, 구입방법, 기호도, 전망도가, 거주지와는 야생나물의 이용도, 구입방법, 기호도, 전망도가 유의성 있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 survey on the availability of wild vegetables was investigated using questionaire of 421 women. It includes the number of known vegetables and using, eating site, using status, taste and estimated components. The well known vegetables were 24 kinds and the half of the respondents knew 16 kind of vegetables. Age was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knowing degree, obtaining method of wild vegetables. Education level was correlated with knowing and using degree, obtaining method, preference and expectation of using wild vegetables. Resident area also correlated with using degree, obtaining method, preference and taste of wild vegetables. The age and using degree, preference and expectation, the resident area and knowing degree of wild vegetables were not correlated.

      • KCI등재후보

        병원간호사의 근무형태와 주간수면과다증에 따른 직무몰입

        황은희 ( Eun Hee Hwang ),강지숙 ( Ji Sook Kang )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11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7 No.2

        수면은 인간에게 휴식과 안정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신체적, 정신적 측면에서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며, 만일 수면에 장애를 받게 된다면 생리적 변화, 행동장애, 더 나아가 정신장애까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건강에 지대한 영향을 준다(Zorick, 1994). 24시간 주기의 생체리듬인 일주기리듬(circadian rhythm)은 수면에 영향을 끼치는 여러 내외적 요소 중 가장 강력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Kryger, Roth, & Carskadon, 1994). 일주기리에 대한 연구는 주로 교대근무나 시차변화에 따른 리듬의 교란과 관련되어 이루어져 왔다. 간호사는 교대근무를 하는 대표적 직종으로 교대 근무 간호사의 수면문제는 업무의 정확성, 효율성 등에 영향을 미치고 직무몰입 및 조직몰입을 저하시키며 이는 환자에 대한 간호의 질까지 떨어뜨릴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병원근무간호사를 대상으로 근무형태, 주간수면과다증 및 직무몰입을 확인하고 근무형태와 주간수면과다증에 따른 직무몰입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주간수면과다증은 생리적인 졸음과 구별되는 것으로 야간 수면이 방해되어 주간에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이며, 개인의 건강과 삶의 질은 물론 대인관계를 포함한 업무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건강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ESS가 10점 이상인 경우를 주간수면과다증으로 정의하고 대학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13.2%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Shin, Yi, Kim과 Shin (2006)의 연구인 17.1%보다 다소 낮았고, 교대근무간호사를 대상으로 과도한 졸림증을 파악한 Kwon (2005)의 결과인 25%보다 낮았다. 이에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30대가 79.2%로 대부분을 차지하여 상대적으로 수면장애가 많은 중년이 포함된 Shin 등(2006)의 결과와 차이를 보인 것이고, 또한 교대근무간호사만을 대상으로 한Kwon (2005)의 연구에 비해 본 연구에서는 대상자로 고정근무간호사도 포함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로 주간수면과다증은 교대근무간호사와 고정근무간호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두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한 Lee, Lee, Park, Lee와 Jang (2007)의 연구와 Herdis (2006)의 결과와 차이가 있었으나, 교대근무가 수면의 질을 저하시킨다는 Kim 등(2002)의 연구와 교대근무자가 주간근무자보다 수면의 질이 나쁘다고 한 Park 등(2007)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교대근무 종사자는 낮과 밤이 수시로 바뀌는 생활 속에서 생리적 리듬주기가 파괴되고(Son, 2005), 수면의 제한이나 수면주기의 변화를 감수하기 때문에 피로의 증가, 불면증이나 주간수면과다증, 식욕저하 등과 같은 주관적 증상에서부터 소화기계 및 심혈관계 질환까지 발생할 수 있다(Fitzpatrick et al., 1999). 그 중 주간수면과다증은 교대근무자가 흔히 경험하지만 주관적인 수면장애 증상이며(Fitzpatrick et al., 1999; Son, 2005), 수면장애는 주간고정근무, 교대근무 외에 근무형태 변화 주기, 교대근무를 해왔던 기간 등의 업무적 요인과 학업과 일의 병행, 돌봐야 할 자녀의 유무, 가정에서의 가사노동 시간 등의 개인적 요인과 관련이 있으므로(Lee et al., 2007) 이를 고려하여 보다 세분화된 변수로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직무몰입점수는 21.27점으로 나타났고, 이는 Kim (1997)의 직무몰입 22.33점과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대근무간호사와 주간고정근무간호사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는데, 이는 간호사 직무만족과도 연결이 되며, 교대근무가 밤에 자고 낮 동안에 깨어있는 습관과 리듬에 역행하여 내적 신체체계와 외적인 낮과 밤 주기 사이의 불균형을 초래하기 때문에 건강상태와 직무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Lee(2001)의 보고와 일치하고, Serife (2008)의 교대근무간호사의 낮은 수면양상이 수면의 질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어 수면의 질이 낮으면 직무만족도도 낮아 질 수 있음을 보고한 것과 유사하였다. 즉, 이것은 교대근무가 수면장애와 직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주간수면과다증은 심할수록 직무몰입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수면장애가 병원근로자의 능률의 저하, 직무스트레스 및 의료사고의 위험 증가 등의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여러 연구(Lee et al., 2007; Park et al., 2007)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대근무는 주요한 스트레스원인이 되어 간호사들은 생체리듬의 부적응과 스트레스로 수면장애, 위장장애, 불면증, 신경장애를 경험하며 가족과의 원만한 유대관계 방해 및 사회 활동의 감소로 인한 갈등과 불만이 깊어지고, 정상적인 수면양상을 방해하고 수면의 질의 저하를 초래하며 수면부족현상이 누적시킴으로써 피로 증가, 위장관 장애 및 기존의 건강문제를 더욱 악화시키는 요인이 된다(Khaleque & Siddique, 1984). 밤근무 교대 근무자들의 많은 수가 건강상의 장해를 호소하지만 그들 중 10% 가량은 교대 작업에 잘 적응하며, 20-30%는 적응하지 못하고 나머지 대다수는 작업을 인내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osta, Ghirlanda, & Minors, 2004). 또한 Lee (2007)는 교대근무 유무에 따라 이직의사에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여 교대근무에 따른 수면장애 등은 직무몰입에 부정적이며, 더 나아가 이로 인해 교대근무간호사의 이직까지 연결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대근무 간호사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병원간호사를 위해 수면관리 및 업무스트레스 해소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으로 특히 야간근무 시 업무량 과다를 줄이기 위한 병원의 행정적 대책과 인력충원 및 경제적 보상 등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job involvement according to working pattern and daytime sleepiness in hospital nurses. Methods: At 2 hospitals in affi liation of university, after obtaining participant`s consent form,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07. Twohundred fifty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Questionnaire consisted of Epworth Sleepiness Scale (ESS), Job Involvement.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 14.0 program, which was used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 cients. Result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nurses for 3 shift work was 172 (68.8%), the nurses for 2 shift work was 3 (1.2%) and the nurses for day fixation was 75 (30.0%). 2) Mean of ESS was 5.94 (3.28), daytime sleepiness was 13.2% and Job involvement had a mean of 21.27.±4.61.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hift work and day fixed work on ESS (t=4.33, p<.001), job involvement (t=6.54, p<.001). Higher ES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lower job involvement (r=-.185, p=.003). Conclusion: The finding of this study gives useful informations about sleep and work involvement of hospital nurses. It is need to develop systemic management for shift work nurses by hospital, nurse organization, and government.

      • KCI등재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수면의 질, 우울, 피로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황은희(Hwang, Eun-He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8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수면의 질, 우울과 피로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인과관계 연구이다. 대상자는 2개 지역 6개 노인요양병원 근무자 175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3월에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수면의 질, 우울 정도는 병원 임상간호사와 비슷한 수준이었으나, 입원 환자 특성상 신체적 피로 정도가 높았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수면의 질(r=-.364,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우울(r=.376, p<.001) 및 피로(r=.646,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직무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피로(β=.581, p<.001)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직무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직무 환경의 개선뿐만 아니라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중재방안의 모색과 시행이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sleep quality, depression and fatigue on job stress of geriatric hospital workers. The subjects were 175 workers from 6 geriatric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on March, 2015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WIN 21.0 program. The job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leep quality(r=-.364, p<.001),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r=.376, p<.001) and fatigue(r=.646, p<.001).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job stress was fatigue(β=.581, p<.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atigue affect job stress of the geriatric hospital work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tailored fatigue management program and working conditions that can reduce job stress.

      • SSCISCIE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초기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

        황은희(Eun Hee Hwang),강지숙(Ji Sook Kang) 대한스트레스학회 2012 스트레스硏究 Vol.20 No.3

        본 연구는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익산시 소재 4개 중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참여에 동의하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010년 8월 30일부터 9월 30일까지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포함한 서술통계와 t-test ANOVA 및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대상자 중 여학생의 스트레스 평균 평점은 2.98점으로 남학생의 2.86점보다 높아, 여학생의 스트레스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하부 영역별로 살펴보면, 가족관련 스트레스와 자기 자신 스트레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학교 생활 적응은 남학생이 79.73점으로 여학생의 77.33점보다 높아 남학생이 학교생활에 더 잘 적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는 남학생, 여학생 모두 경제 상태가 나쁜 군이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은 선생님과의 관계 역시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쳤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아존중감은 남학생의 경우 학교 성적이 좋은 군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점수가 높았고, 여학생은 경제상태가 좋고, 학교 성적이 좋고, 선생님과의 관계가 좋으며, 흡연 경험이 없는 군에서 자아존중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은 남학생의 경우, 학교 성적이 좋고, 선생님과의 관계가 좋고, 흡연 경험이 없는 군이 더 적응력 이 높았다. 여학생의 경우 경제 상태가 좋고, 학교 성적이 좋고, 선생님과의 관계가 좋고, 흡연 및 음주 경험이 없는 군이 적응력이 더 높았다. 넷째, 남학생의 경우 학교생활 적응은 친구 관련 스트레스와 자기자신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가, 자아존중감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학생의 경우에는 스트레스 하부 영역 모두 즉, 학교 관련, 가족 관련, 친구 관련, 생활환경 관련, 자기자신 관련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아존중감 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적응에서 남학생과 여학생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자아존중감 또한 여학생에서는 관계와 친밀성 관련 변수가 연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 시 성별차이를 반영하여 남학생에게는 자기주도성에 초점을 맞추고, 여학생에게는 우월성을 증진시키고, 관계와 친밀성에 초점을 맞추어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자아존중감을 높혀 주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relation about stres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to distinction of sex for early adolescent. Subjects were 440 students studying in 4 middle schools where are located in I city of South Korea. Subjects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comple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August, 2010 to September, 2010.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PASW/WIN 18.0 program, which was used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ean of stress for girls was 2.98, mean of stress for boys was 2.86 and girls" stress was higher than boys". Family related and Self related stress for girls were higher than for boys. 2) Mean of school resilience for girls was 77.33, mean of school resilience for boys was 79.73 and boys" school resilience was higer than girls".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stres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between girls and boys. Specially, girls" stress, self-esteen and school adjustment were related to more various aspects. The finding of this study gives useful information for stress,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early adolescences. Then, it is need to develop school adjustment program considering sexual characteristics by understanding distinctive stress and self-esteem for early adolescents. (Korean J Str Res 2012;20:149∼157)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생애 능력의 차이

        황은희(Hwang, Eun-Hee),김건희(Kim, Kon-Hee) 한국웰니스학회 2016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는 출신 고등학교 계열별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생애 능력, 즉 자기주도적 학습,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능력의 정도와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2개시의 간호대학생 437명을 대상으로 2012년 10월부터 11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생애 능력은 출신 고등학교 계열에 따라 직접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각 계열별 관련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과계열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문과계열에서는 비판적 사고 성향이 성별과 학년에 따라, 의사소통, 자기주도적 학습과 문제해결 능력이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판적 사고 성향과 자기주도적 학습, 의사소통 및 문제해결 능력은 유의한 상관관계에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출신 고등학교 계열 특성을 반영한 간호교육이 필요하며, 비판적 사고 성향과 생애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의 적용이 요구된다. This descriptive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life-skills (self-directed learning skill, communication skill, and problem-solving skill) according to type of high school track of the nursing students. From October to November 2012, 437 nursing students of 2 universities complet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2.0 program.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life-skills showed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ype of high school tracks, however, in the track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variables. In the track of natural sciences, self-directed learning skill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In the track of liberal arts, all of the facto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nd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life-skill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 school curriculum track types need to be considered to nursing education,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have to be applied to promote critical thinking and life-skills of the nursing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