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Henoch-Schönlein Purpura에서 연령에 따른 임상 양상 및 예후에 관한 고찰

        홍주희,나형준,남궁미경,최승옥,한병근,정순희,김황민,Hong, Joo Hee,Na, Hyung Joon,Namgoong, Mee Kyung,Choi, Seung Ok,Han, Byng Geun,Jung, Soon Hee,Kim, Hwang Mi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8 No.11

        목 적 : $Henoch-Sch{\ddot{o}}nlein$ purpura(HSP)는 소아에 흔한 전신성 혈관염이지만, 전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다. 발병 연령에 따라 임상 증상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예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병 연령에 따른 HSP의 임상 양상의 차이와 예후를 고찰하고, 이전에 다루어지지 않았던 청소년기의 발병에 대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방 법 :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기독병원에서 1993년 9월부터 2003년 9월까지 HSP로 진단받고 입원 또는 외래 치료하였던 205명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는 연령에 따라 10세 미만을 소아군, 10세에서 19세를 청소년군, 20세 이상을 성인군으로 분류하였다. 예후 판정 기준은 HSP 신염 환자에서 추적 관찰 종료 시점의 소변 검사 및 임상 증상 기록을 근거로 신염의 소실, 경도의 신증상, 중증 이상의 신증상으로 분류하였다. 진단 당시의 나이, 성별, 계절별 발생률 및 상기도 감염의 선행 여부 등의 역학적 요인과 임상 증상, 그리고 검사 소견을 연령군 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 205례에서 소아군은 149명, 청소년군은 38명, 성인군은 18명으로 평균 연령은 각각 $5.7{\pm}1.8$세, $13.5{\pm}2.4$세, $44.9{\pm}14.5$세이었다. 남녀 비는 소아와 청소년군은 1.2 : 1, 성인군은 2 : 1이었다. 상기도 감염이 선행된 경우는 소아에서 53.4%, 청소년 32.4%, 성인 33.3%이었다. 대변 잠혈 반응 검사 양성 빈도는 소아군(23.0%)과 성인군(50.0%)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소아군과 청소년군(40.0%), 그리고 청소년군과 성인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장 침범은 소아군 46례(30.9%), 청소년군 23례(60.5%), 성인군 15례(83.3%)에서 발생하였으며, 소아군에 비해 청소년군과 성인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신장 침범 빈도가 높았으나(P<0.05), 청소년군과 성인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SP의 재발은 소아군 23례(15.4%), 청소년군 9례(23.7%), 성인군 3례(16.7%)가 있었다. HSP 신염 환자의 추적 관찰 종료 시 신증상의 평가에서 소아와 청소년은 신증상의 소실 또는 경증만 지속된 경우가 각각 97.8%, 87.0%로 예후가 좋았으며, 성인은 중증 이상이 60.0%를 차지하고 13.3%에서 신부전 소견을 보여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예후를 보였다. 결 론 : 청소년기에 발병한 HSP의 예후는 소아와 같이 양호하였으나, 임상 증상에서 위장관 출혈과 신장 침범이 성인 양상을 보이기 시작하고, 재발의 빈도가 높아 향후 장기 추적 관찰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Henoch-Sch{\ddot{o}}nlein$ purpura(HSP) is the most common and benign systemic vasculitis in children. Few reports have focused on worse outcomes of HSP in adults. The age of onset is suggested as a main risk factor. We assessed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onset HSP.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205 cases presented from Aug. 1993 to Oct. 2003. Patients were classified as children(<10 years of age), adolescents(10-20 years of age), and adults(>20 years of age). Results : The mean age was $5.7{\pm}1.8years$ in 149 children, $13.5{\pm}2.4years$ in 38 adolescents, and $44.9{\pm}14.5years$ in 18 adult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2 : 1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2 : 1 in adults. Previous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were found in 53.4 percent of children, 32.4 percent of adolescents, and 33.3 percent of adults. Positivity of stool occult blood was more frequent in adults(50.5 percent) than in children(23.0 percent)(P<0.05). Renal involvement was found in 46 cases (30.9 percent) of children, 23 cases(60.5 percent) of adolescents, and 15 cases(83.3 percent) of adults. Recurrences occurred in 23 cases(15.4 percent) of children, nine cases(23.7 percent) of adolescents, and three cases(16.7 percent) of adults. Among the cases with renal involvement, 97.8 percent of children and 87.0 percent of adolescents improved to normal or 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ies. 60.0 percent of adults persisted with severe nephropathy and 13.3 percent progressed to renal insufficiency. Conclusion : Although the outcome of adolescent HSP was as good as childre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similar to those of adults. Adolescents had the highest rate of recurrences. Thus long term observations may be needed in adolescent onset HSP.

      • KCI등재후보

        실크로드 동서문화교류

        홍주희(Hong joo hee) 한국국악교육학회 2009 국악교육 Vol.28 No.-

        간다라(Gandhara)는 오늘날 파키스탄 북부의 페샤와르(Peshawar)분지일대를 일컫는 옛 지명이다. 그러나 이 명칭은 넓게는 서쪽의 카불(Kabul)분지와 북쪽의 스와트(Swat), 남쪽의 탁실라(Taxila)등지까지 포괄하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간다라는 산에 둘러 쌓인 변경지방으로 인도와 외부세계를 연결해주는 통로의 역할과, 또 여기에서 중앙아시아로 나아가 동?서양 여러 나라들의 문화의 교차지 역할을 하였다. 특히 간다라의 불상형식은 불교의 발상지인 인도에서 불상의 전형적인 형식으로서 받아들여졌을 뿐 아니라 동아시아에서도 가장 보편적인 형식으로 자리 잡았다. 쿠샨시대나 굽타 시대의 불전부조, 아잔타 석굴의 불전 벽화에서는 유형화된 간다라 미술장면들의 영향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키질(克孜)등 서역북로의 석굴사원이나 돈황(敦煌), 운강(雲岡) 석굴 등의 불전 부조, 한국의 석굴암에서도 간다라의 영향은 농후하다. 그러나 우리나라 학자들의 선행연구에선 간다라 불교미술에 관한 주제로만 연구 되어졌을 뿐 음악문화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간다라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곳인 탁실라, 스와트지역에서 발굴된 불교유적 중 음악문화에 대해 알아보고, 간다라문화 동진(東進)을 통한 동서문화교류의 흔적을 조망해 보고자한다. In ancient times the name Gandhara applied to the part of North West Frontier province of Pakistan, which in the main included the Peshawar Valley and Mardan District geograohically, and while talking about the Gandhara Art, its cultural boundaries extent to Sawat, Dir District, Malakand and Bajaur Agencies and parts of the Punjub and Afganistan also. Remains of Museum of Gandhara regeon (Taxila, Swat, Peshawar) in view of the results so far achieve. First, art of Gandhara is religious art, in which different stages of Buddha’s life and his basic principle of Buddhism have been depicted. The art is executed in stone, stucco, terracotta, metal. and wood. Second, There is musician, playing a guitar(Rabab)and beating a various drum. And plaing flute(double flute,..). Moreover there is female dancer.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북한강유역 청동기시대 전ㆍ중기 취락유적의 문화유형에 대한 시론

        홍주희 ( Hong Joo Hee ) 중부고고학회 2005 강원고고학보 Vol.4 No.0

        한강의 북동쪽 상류에 해당하는 북한강유역의 청동기시대 전중기 문화유형을 검토하기 위해 기존의 한강유역에 대한 문화유형을 재검토하고, 화천 용암리유적, 춘천 천전리유적 등의 북한강유역의 유적들을 대상으로 주거지의 내부구조 및 출토유물상의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기존에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한 중부지역의 청동기시대 전중기 문화유형이 크게 가락동-흔암리-역삼동유형으로 대별된 가운데 서로 다른 문화가 전승되어 온 것이 아니라 역삼동유형이 기층을 이루는 문화로 오랜기간 지속되면서 주거지의 노지형태나 기둥조성 방식, 새로운 유물의 도입 등에 의해 일부 변형되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이에 따라 역삼동Ⅰ~Ⅳ유형으로 세분화하였다. 이러한 시각에서 북한강유역의 청동기문화를 살펴보면 전기에서 중기로 이행되면서 주거지 내부에 이색점토다짐구역의 배치와 이에 따른 정형화된 내부구조를 보이는 등 주거지 구조상의 특징과, 흑갈색 마연토기류의 등장과 소멸, 소형 호형토기 및 적색 호형토기 출현과 등장, 일체형석촉, 유경식 석창의 증가 양상에서 ‘북한강유형’이라 명명할 수 있을 만큼의 특징적인 점들이 간취된다. 그러나 평면형태 즉, 장단비에 따른 주거지의 내부시설의 배치와 노지 및 저장공 시설과 같은 기본적인 모티브는 한강유역의 역삼동유형과 매우 유사한 점이 많고, 출토유물의 연원과 계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별도의 문화유형 설정에 무리가 따른다. 이러한 점에서 문화유형 설정에 앞서 북한강유역과 관련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한반도 북부지역에 대한 연구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기층문화에 대한 파악과 특징적인 유물의 연원을 밝히는 과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현시점에서는 성급히 유형화하기 보다는 독특한 북한강유역의 문화를 천전리식의 주거구조에 새로운 문화요소가 도입된 역삼동유형의 주변문화 즉, 亞類型의 하나로 파악하는 등 다양한 가능성을 재고해 볼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To examine cultural patterns of the early and middle Bronze Age at the Bukhan River basin, the upper stream of northeastern Han River, the existing cultural patterns of the Han River basin were reviewed. In addition, focusing on remains of the Bukhan River basin such as Hwacheon Yongam-ri and Chuncheon Chejoen-ri, characteristics of the inner structure and excavated remains of dwelling sites were investigated. The existing cultural patterns of the early and middle Bronze Age in the central region based on the Han River basin are classified into patterns of Garak-dong, Heunam-ri and Yeoksam-dong, which had not been formed by different cultures. The pattern of Yeoksam-dong was maintained as the basic culture for a long time and some were changed by the shape of bare ground on dwelling sites, the mode of establishing poles, and the introduction of new remains. According to these changes, the Yeoksam-dong pattern was itemized into Ⅰ to Ⅳ. From this viewpoint, it was identified that the culture of the Bronze Age at the Bukhan River basin showed characteristics in the structure of dwelling sites: the arrangement of unique area of hardening clay inside houses and its standardized interior structure. In addition to these, distinctive points were found in the advent and extinction of dark brown burnished earthenwares, the advent and appearance of small jar and red jar, and an aspect of increase in integral stone arrowheads and stone spears without shaft, which may be called the pattern of Bukhan River. However, plane pattern or basic motive such as arrangement of interior equipment depending on length ratio, and facilities including bare ground and storehouse are similar to the Yeoksam-dong pattern at Han River basin. Furthermore, research has not been done on the history and lineage of excavated remains. So it was impossible to determine the culture of Bukhan River basin as another cultural pattern. In this respect, before a cultural pattern is determine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studies on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Bukhan-River basin. In this point of time when the basic culture has not been studied yet and the history of characteristic remains has not been clarified,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possibilities should be reconsidered by regarding the unique culture of the Bukhan River basin as a peripheral culture of the Yeoksam-dong pattern, in which new cultural factor was introduced to the residential structure of Chenjeon-ri style, or one of the same patterns of Yeoksam-dong rather than patternizing it hastily.

      • KCI등재후보

        제주지역의 전래동요 지도방안 연구

        홍주희(Joo-Hee Hong),한주연(Joo-Yeon Han) 한국문화교육학회 201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5 No.3

        본 연구는 놀이를 통하여 제주도 전래동요를 활용하기 위한 과정안을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놀이를 통한 전래동요 수업을 실시하기 전에 전래동요 수업의 실태와 교사들의 의식을 조사하였고, 놀이를 통한 전래동요 수업을 실시하고 난 후에 교사들의 의식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개발된 전래동요 과정안을 통해 수업을 진행하는 것에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따라서 놀이를 통한 제주도 전래동요지도가 현장의 학생들에게 적용이 된다면 보다 효율적인 전래동요 지도방법이 될 것이다. Traditional nursery rhyme gives schoolchildren the indirect experience including literary experiences and enables them to learn the language through the rhythm and cadence found in the lyrics. And the traditional nursery rhyme contains the musical, literary and educational values. If schoolchildren come to learn the traditional nursery rhyme through play, they can naturally learn these values through diverse expressive activities related to their life. For this reaso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teaching plan of traditional nursery rhyme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urvey on the consciousnes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Jeju area.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First, it was found that the teaching of traditional nursery rhymes through play led schoolchildren to take an interest and active part in classes and enabled them to learn songs. Second, it enabled schoolchildren to eliminate their repulsion to music, accept music in an interesting way and promote their music sense. Third, it enabled schoolchildren to experience the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Korean music personally through the process of singing traditional nursery rhymes in a cheerful way without its direct teaching to them and to learn the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nursery rhymes of the Jeju area. It is expected that a little diverse traditional nursery rhymes and plays will be collected to develop the teaching plan of traditional nursery rhymes considering the physical and spiritual level suited to the age range of all school years as well as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accompanying methodological study will be conducted in an active way.

      • 가야금 연주법에 관한 고찰

        홍주희(Hong Joo-Hee) 한국전통음악학회 2006 한국전통음악학 Vol.- No.7

        오늘날 오랫동안 전승되고 있는 훌륭한 가야금은 가장 사랑받는 악기라고 할 수 있다. 가야금의 역사는 가야국의 가실왕이 당나라의 ‘쟁(箏)’을 보고 만들었으며 악사였던 우륵에 의해 전해졌다고 한다. 가야금은 우리 역사와 함께 신라, 고려, 조선을 거쳐 현재까지 이어지면서 정악 가야금인 ‘법금’과 민속 악기인 ‘산조 가야금’과 현재 작곡가들에 의하여 발표되는 창작곡들에 맞추어 개량 가야금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악기들의 출현에 따라서 가야금 발현법이 다소 차이가 있는데, 본고에서는 편의상 정악 가야금 주법, 산조 가야금 주법과 개량 가야금의 주법들을 나누어서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정악 가야금의 발현법에 나타나는 오른손 주법 및 왼손 주법의 차이점은 오른손의 당기고 미는 주법을 발견하고, 왼손에서는 자연스럽고 편안한 농현을 발견하게 된다. 둘째, 산조 가야금의 발현법에 나타나는 오른손 주법 및 왼손 주법의 차이점은 오른손의 뜯고 튕기는 주법과 왼손의 다양한 농현 등을 발견한다. 셋째, 개량 가야금의 발현법에 나타나는 주법은 작곡가에 의해 가야금의 다양한 연주법들을 발견하게 된다. 이렇게 본고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보았듯이 같은 가야금이라도 각 악곡들의 차이로 정악 가야금, 산조 가야금, 개량 가야금으로 나타나며 발전하였다. 이렇게 필요에 따라서 가야금의 연주 방법들은 전통적인 연주 방법을 바탕으로 전승되고 새로운 주법들이 나타나서 가야금의 발전에 기여하게 되었다. 지금까지 설명한 가야금의 연주법들은 대부분 보편화된 것으로 가야금 주법의 전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연주법의 여러 발현법들은 새로운 음악의 창조를 위한 길의 한 방면이라고 할 수 있다. These days, a Gayageum can be mentioned as the most beloved instrument that has been handed down for a long time. The history of a Gayageum is said that King Gasil in Gaya Country made it by citing a gong 'Jang', under Tang Age and transmitted by Ureuk who was the musician. As a Gayageum has been transmitted till now through Silla, Goryeo and Joseon, a classical Gayageum 'Bupguem', a folkinstrument 'Sanjo-Gayageum' and improved Gayageum matching with the new song made by composer of these days happened to be appearing nowadays. A gayageum being transmitted till now through Silla, Goryeo and Joseon, a classical Gayaguem 'Bupguem', a folk instrument 'Sanjo-Gayageum' and an improved Gayageum matching with the new song made by composer of these days happened to be appearing nowadays. As these instruments appeared, there is difference in making sounds. This manuscript includes renditions of those 3 kinds of Gayageum and followings are the differences of those; First of all, the difference of rendition of right hand and left hand for a classical Gayageum is that the right hand is observed to be pushing and the left hand is observed to be more natural and peaceful. Secondly, for a Sanjo-Gayageum, right hand is thrummed and bounced while left hand shows various techniques. Thirdly, the rendition found in an improved Gayageum depends on the kinds of composer who plays it. As seen from the comparison research in this manuscript, a Gayageum has been developed as being differentiated into a classical Gayageum, a Sanjo-Gayageum and an improved Gayageum by the difference of each composition. These rendition of a Gayageum has been handed down based on the traditional rendition on demands 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 Gayageum with the new methods of playing. Most of these executions of Gayageum mentioned earlier are generalized and don't explain the whole techniques of Gayageum play. Therefore various renditions can be the one way for creating new music.

      • 영산회상의 가야금 선율 비교

        홍주희(Hong Joo-Hee) 한국전통음악학회 2005 한국전통음악학 Vol.- No.6

        오늘날 오랫동안 전승되고 있는 훌륭한 가야금 정악 곡들이 거의 비슷하나 이러한 동일한 악곡들이 연주자마다 지도지에 따라 또는 그 기보에 따라 다소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많은 가야금 연주자들에게 혼돈을 주게 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가야금 정악보의 대표적인 김기수 편 국립국악원 가야금 정악보, 김정자 편 가야금 정악보, 최충웅편 가야금 정악보 (단, 최충웅편 가야금 정악보에서는 음의 기준을 한 옥타브 위로 표기되어 있으나 편의상 본고에서는 김기수편 가야금 정악보와 김정자 정악 가야금보에 나타난 음들과 같은 동일상의 음역에서 비교하였다.)에 나타난 영산회상 중 군악선율을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점을 발견 할 수 있다. 첫째, 음의 구성에 있어서 골격음의 차이점을 발견하게 된다. 둘째, 같은 음이라도 전성의 위치가 다른 차이점을 발견하게 된다. 셋째, 같은 부분의 리듬분할이 ♩♪(└ 3 ┘)나 ♪♩(└ 3 ┘)로 다르게 나타나는 차이점을 발견하게 된다. 넷째, 장식음 처리의 시가상의 차이점을 발견하게 된다. 이렇게 본고의 비교 연구를 통하여 보았듯이 같은 곡이라도 지도자, 연주자, 또는 편자에 따라서 구성음, 전성, 리듬 그리고 장식음 처리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 점은 앞으로 더욱 더 많은 정악곡들의 발전에 있어서 다소 어려운 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훌륭한 정악곡들이 오랫동안 올바르게 전승되고 이해하는데 있어서 많은 검토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Most of the GAYAGUM court Music tunes that has bee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until the present for a long time is almost similiar, but every player for the same tunes varies from director to director of musical notation. It is suppsred that such a situation gives rise to the confusion for a number of GAYAGUM players. So I made an observation of KUNACK score of "YOUNGSAN HOE SANG" expressed in the GAYAGUM court music score of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 compiled by Ki Soo Kim who is representative in the GAYAGUM court music score and those which was compiled by Jung Ja Kim and Chung Woong Choi. Finally I could find the follosing described points; First, I found out the difference of the frame sound in composition of sound. Second, Ifound out the difference of which the position of 'JUN SUNG' is different even for the same tune. Third, I found out that the RHYTHEM division of the the same part appears as ♩♪(└ 3 ┘) or ♪♩(└ 3 ┘) diferently. Fourth, I found out the difference of the length of music in conducting a grace note. As shown in the comparison of this study, it will be help in providing valuable aid for those who are in search of the correct understanding and handing down the GAYAGUM court music score in the future.

      • KCI등재

        국제이해교육의 음악교과교수법 사례 연구 : 일본 전통음악교수법의 현장연구를 중심으로

        홍주희(Hong Joo-Hee)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8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17

        Music is the medium to convey the human emotion directly to the human mind and facilitates the communication of language and custom with others. And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 times and cultural zone in which the music was generated because music itself contains the characteristic of the times and cultural zone in which it was made. Furthermore,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subject of music can excitingly attain the difficult objective of education, international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of Korea has been reorganized seven times since the enactment and declaration of the 1st curriculum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Law and its Enforcement Ordinance enacted in 1955. The nature of the music subject in the 7th Curriculum includes an understanding of basic musical concepts, the experience of diverse musical activities, interests in music and the attitude of enjoying participation in it and reflects the education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multi-culturalism.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e feature of each musical culture and it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by meeting diverse times, style and cultural zone as well as our music and comparing the heritage of our musical culture and that of other countries. Thereby, it is necessary to succeed to and develop our musical culture and contribute to the new musical culture. This corresponds with an understanding of musical concepts through the music of diverse times and cultural zones. It is a high time to know that the music of other people as well as the music of one's people is valuable. When the musical value of other people comes to be understood in earnest, the musical educator of each country would come to have the 'comprehensive vision' and 'balance'. For this purpose, the musical educators of each country need to exchange information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task of the education of their traditional music and can cooperate with each other when their mutual advantages are learnt and understood. This study was intended to understand Japanese music and contribute to the teaching method of learner-teacher of traditional Korean music education by investigating the case of traditional Japanese music education in the seminar in which I participated as the learner. The research method is the field study to understand traditional Japanese music while learning the representative Japanese string instrument of 'Goto' and the percussion instrument of 'Wadaiko'. The field study was conducted concerning the case of music education through the traditional Japanese musical instrument of 'Goto' and the case of the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traditional music performed in the traditional festival conducted in real life in relation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current traditional Japanese music education provided for childre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amended 7th Curriculum.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the contents of the teaching method of the teacher in which I participated in the learner's position because it is the case study of traditional japanese music education concerning the teaching method of teaching-learning. The education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through music should be focused on enabling students to study the musical characteristic proper to a country and the knowledge or full story related to the music while experiencing the music of diverse countries. The teacher should develop the content and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by cultivating the ability to know and recognize the value proper to diverse music of several countries. It is thought that the case of traditional japanese music education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the teaching method of our traditional music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Japanese music. In addition, subsequent studies should be conducted concerning the cases of field music education of diverse foreign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