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북구 148마을의 건강주민운동으로서 발전가능요인

        홍종원,김준형,이순희,김남준,박웅섭,Hong, Jong-Won,Kim, Joon-Hyeong,Lee, Shun-Hee,Kim, Nam-Jun,Park, Woong-Sub 한국농촌의학지역보건학회 2022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7 No.3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uccess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community organizing in regard to its perspective in: 148 village, Gangbuk-gu, Seoul. Methods: We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using in-depth interviews from February 2020 to December 2021. Seven operators who had worked for the project were enrolled in this study. Results: In this study, the success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health community organizing were analyzed as follows; building community relationships across generations; starting from interests of the community; belief that working together can solve the issues; external support based on spontaneity of community; project based on publicness; discovering community-based leadership.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health community organizing following the principle of community organizing can sustain and develop itself without external support. In order to develop into resident-oriented health community organizing,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success factors derived from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안면이식에 대한 최근 동향: 한국에서의 안면이식은 어떤 단계에 있는가?

        홍종원,김영석,윤인식,이동원,이원재,노태석,유대현,김용욱,나동균,탁관철,박병윤,Hong, Jong Won,Kim, Young Seok,Yun, In Sik,Lee, Dong Won,Lee, Won Jai,Roh, Tai Suk,Lew, Dae Hyun,Kim, Yong Oock,Rah, Dong Kyun,Tark, Kwan Chul,Yun Park, Be-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 2012 Archives of Craniofacial Surgery Vol.13 No.2

        The world's first face transplantation was performed in France, in 2005. Since then, 21 cases of face transplantation have been performed. Face transplantation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part of composite tissue allotransplantation (CTA) along with hand transplantation. Since these fields are not deal with life-saving organs, there are many arguments about immunosuppression therapy. Recent paradigm of face transplantation shows that surgical ranges are expanded from partial face transplantation to full face transplantation. Most immunosuppression protocols are triple therapy, which consists of tacrolimus (FK-506), mycophenolate mofetil and prednisolone. Anatomical researches, immunosuppression, and immunotolerance take great parts in the researches of CTA. The medical fields directly related to face transplantation are microsurgery, immunology, and transplantation. Nowadays, each field is performed widely. Therefore people, even medical teams think face transplantation could be easily realized, sooner or later. But there are lots of things that should be prepared for not only practice and immunosuppression therapy but also for the cooperation with relevant fields. That's the reason why only 21 cases of face transplantation have been done, while more than 70 cases of hand transplantation have been done in the past years. Especially in Korea, brain death patients are not enough even for organ transplantation and furthermore there are some troubles in taking part in the society of transplantation. Face transplantation has lots of problems concerning variable medical fields, administration, society, ethics, and laws. Therefore, for the realization of face transplantation in Korea, not only medical skills but also political powers are needed.

      • KCI등재후보

        강북구 148 마을 건강주민운동사업의 성과와 한계

        홍종원(Jong won Hong),박웅섭(Woong-Sub Park),김상아(Sang-A Kim),김남준(Nam Jun Kim)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7 농촌의학·지역보건 Vol.42 No.3

        이 연구는 서울시 강북구 건강마을 사업에 대한 문헌고찰과 운영주체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을 통해 주민운동의 관점에서 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살펴보고, 기존 건강증진 사업과의 차별성을 찾아 향후 건강증진 사업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빈곤층의 비율이 높고, 물리적 환경이 열악한 지역사회 주민들의 건강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건강친화 마을 만들기 사업은 주민조직화의 원리를 적용한 것으로 기존 건강증진사업과 다음과 같은 방법론적 차별성과 성과가 있었다. 첫째, 주민 스스로 지역보건의료 계획을 수립하고 주민의 성장을 통한 건강증진사업이 이루어졌다. 둘째, 기존 건강증진사업에서는 볼 수 없었던 주민활동가가 팀을 이루어 보건소 및 전문가, 주민 간 긴밀한 협력을 위해 매개자로 활동하였다. 셋째, 병의원이나 보건소가 아닌 대안적 주민참여 건강증진 공간인 건강카페를 통한 건강증진 구심점이 마련되어 다양한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었다. 넷째,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을 고려한 접근을 통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었다. 따라서 향후 건강친화 마을 만들기와 같은 지역사회 건강불평등 완화를 위한 사업을 실시할 때 이 연구에서와 같은 방법론적 접근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다양한 사업주체들이 모인만큼 이해관계와 역할분담과 관련된 어려움이 발생한 점과 시범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사전에 명확히 예상하기 못해 갈등이 유발되었던 점 등의 한계가 있었던 만큼 향후 유사한 사업의 계획 시 이 연구에서 나타난 한계점 등을 고려한 내용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주민건강운동의 관점에서 건강마을사업 확산 된다면 사회 전체에 건강증진 효과를 만들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formances and limitations of health community building project of 148 village in Gangbuk-gu, Seoul on community health organization perspective. Methods: we conducted a qualitative study using both a systematic review of this project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operators who had worked for the project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2. Results: In this project, activists worked by gathering the opinions of the residents and focusing on their growth. The residents themselves established a community health care plan. Based on social determinants of health, they continued projects to solve residents’ needs. A variety of programs were activated by providing a health cafe, which was an alternative public participation health promotion space that was not a clinic or a public health center. As the various entities gathered, there were difficulties related to interests and role sharing, and there were limitations such as the fact that the performance and limit of the pilot project could not be clearly predicted beforehand. Conclusions: This case suggested that new possibility of health and medical movement, approaching health issues by the way of community organization principle. Through the health community building project as community health organization perspective is expanded, health promotion effect will be created in the whole society.

      • 들깻잎 중 Broflanilide와 그 대사체 DM-8007과 S(PFP-OH)-8007의 경시적 잔류특성 및 섭취율

        홍종원 ( Jong-won Hong ),김동주 ( Dong-ju Kim ),함영진 ( Young-Jin Ham ),김준영 ( Jun-young Kim ),문준우 ( Jun-Woo Moon ),김태화 ( Tae-hwa Kim ),김장억 ( Jang-eok Kim ),권찬혁 ( Chan-hyeok Kwon ),경기성 ( Kee-sung Kyung ) 한국환경농학회 2021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1 No.-

        이 연구는 소면적 재배작물인 들깻잎 중 Broflanilide와 그 대사체인 DM-8007과 S(PFP-OH)-8007의 경시적 잔류특성을 구명하고 섭취율을 산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포장시험은 경북 경산에 위치한 시설재배지에서 수행하였으며, 시험농약은 살충제 Broflanilide(5%, 액상수화제)를 2,000배 희석한 후 7일 간격 2회 살포하였으며, 시료는 최종 약제 살포 후 0, 1, 3, 5, 7 및 10일차에 시료를 채취하였다. 잔류농약 분석용 시료는 QuEChERs 방법으로 조제하였고, LC-MS/MS로 분석을 하였다. 들깻잎 중 broflanilide, DM-8007과 S(PFP-OH)-8007의 정량한계는 모두 0.01 mg/kg이었으며, 회수율은 각각 73.0-106.5%, 95.7-111.4% 및 93.8-109.4%이었다. Broflanilide의 잔류량은 대사산물의 잔류량에 모화합물과 대사산물의 분자량으로부터 산출한 환산계수를 곱한 값을 모화합물의 잔류량에 더하여 산출하였다. 들깻잎 중 broflanilide의 최종 약제 살포 0일차 처리구의 평균 잔류량은 4.91 mg/kg으로 가장 높았고, 10일차 시료에서 2.53 mg/kg으로 가장 낮았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잔류량이 감소하였으며, 반감기는 9.9일이었다. 최대잔류량을 바탕으로 산출한 일일섭취허용량 대비 일일섭취추정량인 %일일섭취허용량은 1.35% 미만이었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관계 연구

        홍종원(Jong Won HONG),최영희(Young Hee CHOI)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15 상담심리교육복지 Vol.2 No.2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소재 어린이집에 다니는 4세에서 7세 유아들의 어머니 476명과 교사 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아의 사회성 발달은 교사와 부모가 각각 평정하여 분석하도록 하였다. 여기서 회수된 자료는 SAS 8.02판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유아의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분석한 결과 6세와 7세 유아가 4세 유아보다 또래와의 관계에서 활동성, 안정성, 협조성의 평균점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성별에 따른 사회성 발달에서 안정성 요인은 남아가 여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조성 요인은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라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이고 자율적일수록 유아의 사회성 발달 점수가 더 높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attitude on infants social development. Four hundred seventy six mothers who had a child (children s age was between 2 and 5) and 16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measure maternal parenting attitude, Schaefer(1959) s MBRI(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was administered. Infants social development was rated by their mother and teacher, respectively. In mothers rating, whereas mothers affectionate or autonomous attitude was positively related to infants social activator and cooperativeness, mothers hostile attitude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se two factors. In teachers rating, mothers affectionate attitude was positively related to infants social skill. However, infants social skill was not related to any other parenting attitud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귀인,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력

        홍종원 ( Hong¸ Jong-wo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1 아동교육 Vol.30 No.3

        본 연구는 유아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귀인 및 교사효능감이 유아 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과 경력별 교사집단별로 어떠한 영향력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유아 교사 30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변인별 통계치 산출, 단계적 방식의 중다회귀분석을 하였다. 유아 교사 역할수행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 결과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행정적 지원 부족은 부정적 영향력, 개인적 교수 효능감은 긍정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 교사 역할수행 하위변인별로 미치는 영향력 결과에서 직무 스트레스의 행정적 지원 부족과 대인관계 변인은 부정적 영향력을, 내적 귀인과 개인적 교사효능감 변인만이 긍정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력별 유아 교사집단에 미치는 영향력의 구조적 관계는 저 경력 교사집단은 개인적 교수 효능감만이 고경력 교사집단에서는 내적 귀인과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긍정적 영향력을, 그리고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부정적인 영향력이 나타났다. 두 집단은 공통으로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교사역할 수행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v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job stress, attributional type, and teacher’s sense of self-efficacy on the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or, and how their influence varies depending on the short-term and long-term experienced teaching groups. A total of 309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in the job stress has negative effect and the personal teaching efficacy in the teacher’s sense of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early childhood educator's role performance. and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in the job stress negatively affects routine plan and implementer along with counselors and advisors in the role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The interpersonal stress in the job stress had a negative effects on administrative services and managers in the role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For short-term experienced teachers, only the personal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sense of self-efficac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ole performance of short-term experienced early childhood educators. For long-term experienced teachers, inner attributional type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role performance of teachers. The interpersonal stress in the job stress had a negative affects in the role performance of long-term experienced early childhood educators. The personal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sense of self-efficacy has the greatest effects on the role perform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both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