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사의 실패를 서사화하기: 영화적 재현을 매개하는 서사-형식의 이데올로기적 본성에 대한 탐구

        홍재영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3 아시아영화연구 Vol.16 No.2

        본 논문은 영화에서 그간 재현이라는 문제틀 안에서 씨름해온 일련의 문제들을 서사 혹은 내러티브로 전환해서 현재에 대한 ‘역사적인’ 사고의 지평을 여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더 이상 재현이 지시대상과 필연적인 관계를 맺지 못할 때영화가 현실과의 관계를 상정할 수 있기 위해선 새로운 개념이 논의될 필요가 있다. 총체화의 계기로서 작동하는 서사, 곧 영화의 내러티브는 바로 그러한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서사를 이데올로기의 한 형식으로 봐야 한다는 프레드릭 제임슨의 제안을 따라 세 가지 논점을 제시한다. 첫째, 장 루이 코몰리의 스펙터클 비판은 세계가 하나의 거대한 스펙터클이 된 상황에서도 스펙터클의 한계가 반드시 알레고리화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는 재현이 결코 ‘바깥’과의 관계없이 완전히 자율적일 수 없기 때문에 동시대의 재현은 자체의 불가능성을 알레고리화하지 않을 수 없다고 본다. 이처럼 재현이 스스로를 알레고리화하는 방식으로 연명하는 것은 서사의 작동 때문이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늘날전통적인 서사 관습이 유효하지 않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서사의 작동을 판별할수 있는 것은 결국 서사의 실패를 통해서이다. 프레드릭 제임슨은 지버베르크의 작업이 모더니즘적인 기획 속에서 다시 한 번 서사화의 계기를 마련하는 ‘문화혁명’이라 말하면서도 이러한 기획이 포스트모던한 상황에선 실패할 수밖에 없음을 진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패는 서사 자체가 지닌 근본적인 한계를 조명하면서 역사적으로 필연적인 것으로 전환될 때 변증법적인 논의의 전개를 가능하게한다. 셋째, 그렇다면 작금의 이른바 유사-서사들은 궁극적으로 인식적 지평의 한계 위에 기반을 두고 있는 것이다. 대문자 서사는 바로 그러한 한계의 이름에 다름 아니다. 여기서 앙드레 바쟁이 찬사를 보냈던 네오리얼리즘의 쇠퇴와 한계가 필연적인 것으로서 다시 논의될 것이다. 이를 통해 오늘날 영화에서 과거에한때 가능했던 서사가 완전히 사라진 것이 아니라, 그것은 언제나 영화 자신의 부정성이었으며 영화란 바로 그러한 한계를 발판 삼아 새로운 단계로 이행해간모순적인 운동이라는 사실이 밝혀질 것이다

      • KCI등재

        시각중복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겪는 어려움

        홍재영 국립특수교육원 2017 특수교육연구 Vol.24 No.2

        이 연구는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가 교육을 하면서 겪는 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각중복장애학생을 가르치면서 겪는 교사의 어려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교육 경험이 있는 교사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심층 면담을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귀납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중복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는 ‘교사 전문성’과 관련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사 전문성과 관련한 어려움은 ‘수업 계획’, ‘수업 실행’, ‘행동 지원’에서 오는 어려움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시각중복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는 ‘개인 내적 갈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개인 내적 갈등과 관련한 어려움은 ‘학생에 대한 낮은 기대’, ‘자신의 자질 부족’에서 오는 어려움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시각중복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는 ‘교육 환경’과 관련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나타났다. 이러한 교육 환경과 관련한 어려움은 ‘지원 체계의 부족’, ‘협력 체계의 부족’에서 오는 어려움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시각중복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of teachers who educat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Three teachers who taught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which were then transcribed and used as data in the stud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n inductive analysis method. The study found that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with teacher professionalism, including class planning, instructional practice, and behavioral support; personal inner conflicts, including low expectations of the students and feelings of inadequate teacher qualification; and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s, including the lack of a support system, cooperation system. This study may help identify the difficulties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experience, and the results may suggest solutions for these difficulties. The study may also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 KCI등재

        시각장애 대학생의 대학 생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홍재영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22 시각장애연구 Vol.38 No.3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llege life experience and its meaning for an undergraduate student who has visual impairments. Method: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narrative inquiry,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used. The research subject was one undergraduate student who has visual impairments. From January 2020 to June 2022, the researcher talked with the subject through meetings and collected data. For the analysis, the researcher repeatedly read the collected data, found the narrative elements contained in the data, and composed a story by restructuring the plot and theme. Results: With a focus on the relational life of the undergraduate student with visual impairments, the meaning of the college life experience he had could be summarized in three characteristics: confidence, which becomes the foundation for relationships; confusion, which means a desperate relationship and its limitation; and letting go of the desperate attitude toward life, which means a change for a new relationship.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the development of diverse support plans is expected to help undergraduat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form positive relationships during their college life so they can experience a successful change toward adulthood. 시각장애, 시각장애연구 목적: 이 연구는 시각장애 대학생이 대학 생활을 하면서 겪은 경험과 그러한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질적연구방법 중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참여자는 시각장애 대학생 민준해이다. 2020년 1월부터 2022년 6월까지 정기적 또는 비정기적인 만남을 통하여 이야기하였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은 수집한 자료를 반복해서 읽으면서 자료에 담긴 내러티브 요소를 찾고, 줄거리(Plot)와 주제(Theme)를 재구성하여 이야기를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시각장애 대학생의 관계적 삶에 주목하여 그가 대학 생활에서 겪은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신감’: 관계의 기초. 둘째, 혼란: 필사(必死)적인 관계 그리고 한계. 셋째, 내려놓음: 새로운 관계를 위한 변화.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들의 성공적인 성인기로의 전환을 위하여 대학에서 긍정적인 관계 형성에 초점을 둔 다양한 지원 방안이 마련되길 기대한다. 대학생, 내러티브, 대학 생활, 관계적 삶

      • 한국산 줄장지뱀의 성적이형에 관한 연구

        홍재영,장민호,김병수,오홍식 한국양서·파충류학회 2008 한국양서·파충류학회 학술대회 Vol.2008 No.08

        본 연구는 한국산 줄장지뱀의 성적이형을 밝히고자 제주대학교 생태학실험실에 보 관되어 있는 88개체를 이용하여 형태학적, 계량형태학적 수법으로 분석하였다. 수컷 과 암컷 간 형태학적 분석의 차이는 배비늘 용골의 수, 전항문판 모양에서 나타났다. 배비늘 용골 수는 암컷 한 배의 알의 수와 알의 크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몸통의 면적에 연관되어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전항문판의 모양은 수컷의 생식기 관인 반음경의 유무와 성숙정도로 수컷과 암컷 간의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 다. 수컷과 암컷 간 계량형태학적 분석의 차이는 머리 길이, 머리 폭, 앞다리 길이, 꼬리 길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머리 길이, 머리 폭, 앞다리 길이는 수컷 의 교미 행동, 꼬리 길이는 수컷의 구애 행동으로 인해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추측 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한국산 줄장지뱀의 성적이형 현상은 추후 분류 군내 행동생태학적,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시각장애 특수학교 미술수업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 사례 분석

        홍재영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4 시각장애연구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ases of linguistic interactions that occurred in art classes in special schools for the visual impaired in order to examine the elements of linguistic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types of those linguistic interactions. This purpose was achieved in this study by enrolling students in class B of a special middle school for the visually impaired located in A City, as well as teacher C who was in charge of art classes for that class. The class data for six art class hours were videotaped and transcribed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a class analysis tool prepar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teacher initiated 212 (79.1%) of the 268 cases of linguistic interactions, while students initiated only the remaining 56 cases (20.9%). A total of 212 questions were asked during the art classes. Of these 212 questions, 172 (81.1%) were closed questions and 35 (16.5%) were open questions. A total of 512 answers were given by the students during the art classes. Of the 512 answers, 218 were short answers with the highest percentage (54.7%). In total, 516 cases of feedback were given by the art teacher. Of these 516 cases, 307 (59.5 %) were cases of immediate feedback and 194 (38.6%) were cases of delayed feedback.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basic data can be obtained for the linguistic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the students who attend special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se data can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classes in special schools for the visually impaired and for the enhancement of teachers’ expertise. 이 연구에서는 시각장애 특수학교 미술 수업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의 사례를 분석하여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요소와 언어적 상호작용의 유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시에 소재한 시각장애 특수학교 중학교 B학급의 학생과 이 학급에서 미술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C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를 통하여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미술 수업 6차시 분량의 수업 자료를 녹화하였고, 이를 전사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이 연구에서 마련한 수업 분석틀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장애 특수학교 미술 수업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 시작의 주체는 교사에 의한 언어적 상호작용의 시작이 전체 268회 중 212회(79.1%)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학생에 의한 언어적 상호작용 시작이 전체 268회 중 56회(20.9%)로 나타났다. 둘째, 시각장애 특수학교 미술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의 질문은 전체 212회가 나타났다. 이 가운데 폐쇄적 질문 형태가 전체 212회 질문 중 172회(81.1%)로 나타났고, 개방적 질문 형태가 전체 212회 질문 중 35회(16.5%)로 나타났다. 셋째, 시각장애 특수학교 미술 수업에서 나타난 학생의 응답은 전체 512회가 나타났다. 그 가운데 단답형 학생 응답이 218회(54.7%)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넷째, 시각장애 특수학교 미술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의 피드백은 전체 516회가 나타났다. 그 가운데 즉각 피드백이 307회(59.5 %)로 나타났고, 지연 피드백이 194회(38.6%)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하여 시각장애 특수학교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간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시각장애 특수학교 수업의 질 개선과 교사 전문성 향상에 소중한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