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정프로그램 참여가 재복역에 미치는 영향 : 노인수형자 유형을 중심으로

        홍송이,조윤오,심혜인 한국치안행정학회 2018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5 No.2

        일반적으로 노인수형자는 젊은 수형자보다 교도소 구금 생활에 더 큰 어려움을 느낀다. 본 연구는 교정시설에 구금되어 있는 우리나라 노인수형자의 특징을 살펴보고, 교정프로그램 참여 실태 및 관련 요인을 실증적으로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1년 5월에 교정본부의 협조로 보라미시스템 내에서 획득한 수용자 3,431명을 대상으로 노인수형자 유형을 분류, 초범 노인수형자 2,392명, 만성 노인수형자 21명, 장기 노인수형자 37명, 만성화 우려 노인수형자가 981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교정프로그램은 교과/직업교육, 의료서비스, 교도작업, 외부 교화상담 네 가지를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2006년부터-2011년 사이에 재복역률은 노인수형자의 약 32%가 1회 이상의 재범 발생률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하여 노인수형자의 재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의료서비스, 교도작업 장려금, 기초생활보장 여부, 범죄유형, 구금기간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노인수형자가 갖고 있는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고, 사회적응력을 높일 수 있는 교정프로그램을 탐구함으로써 증가하는 노인수형자에 대한 재범관리 및 사회복귀 정책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고, 교정 당국이 감내해야 할 부담과 교정비용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study attempted to classify older prison inmates’ typology and to examine the impact of correction programs on their reincarceration within five years after release from the prison in Korea. Utilizing the integrated correctional program data from the Department of Offender Correctional Service, called as “Borami System” of Korean Ministry of Justice, we classified older inmates by four groups and described their characteristics: first-time offenders(n=2,392), chronic offenders(n= 21), aging long-term offenders(n=37), and high risk habitual offenders(n=981). We also found that older inmates’ reincarceration rate(32%)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e average of entire Borami data. Furthermore, hierarchial logistic regressions on older inmates’ reincarceration analyzed that medical service, prison work, public assistance beneficiary, type of crime, and duration of incarcer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which might affect the odds of reincarceration. These study results could contribute to reduce social burden on older inmate care by providing useful clues for planning correctional programs specialized for aging in prison

      • KCI등재

        노인의 학대에 대한 인식이 학대대응태도에 미치는 영향

        홍송이,심혜인 한국치안행정학회 2021 한국치안행정논집 Vol.18 No.3

        노인학대는 지난 10년 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COVID 19 이후 펜데믹 상황에서 노인학대가 전년 대비 19.4% 증가하였기에, 이는 초고령화 사회를 앞둔 현 사회의 심각한 문제라 볼 수 있다. 노인 학대는 신고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공적자원을 중심으로 신고의무자와 관련된 제도를 강화 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노인인권교육을 법제화하여 노인학대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키는 정책 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상대적으로 학대피해대상자인 노인에 대한 학대와 관련된 인식을 직 접적으로 지원하는데 한계가 있다. 반면 아동학대의 경우에는 신고의무자뿐만 아니라, 아동 및 부모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관련 대상자를 중심으로 학대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현 노인학대 신고제의 제한 점에 주목하여, 이 연구에서는 노인들에 의한 노인학대 인식이 학대대응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 로 검증하였다. 2018년 중앙노인보호기관에서 실시한 「노인인권실태조사」2차 데이터 자료를 활용하여, 일상활동이 가능한 노인복지관과 노인일자리지원기관 등의 노인여가복지설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 총 3,189명이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5.0ver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노인학 대에 대한 인식수준의 신뢰도분석과 주요변수들의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 ANOVA,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노인학대 인식은 여성이 남성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고 등의 다양한 대응태도를 보인 집단의 노인학대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무대응 집단의 노인학대 인식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노인학대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했음에도 무대 응한 집단과 비교하여, 노인학대인식이 높을수록 신고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대응을 적극적으로 행 동하는 태도를 볼 수 있었다. 또한 노인학대 지식수준도 노인학대 직·간접 경험에서 무대응 집단보다 신고 또는 다른 대응행동을 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태도를 취하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 노인학대 신고제도 이상으로 노인 당사자들이 직접적으로 학대를 인식하 고 대응할 수 있도록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인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Elder abuse has consistently increased over the past 10 years. Since the COVID-19, elder abuse has increased 19.4% year-on-year, which can be seen as a serious problem in Korea. As a main strategy of adult protection service, the compulsory reporting system by legal reporters of elder abuse like all service providers in elder care-related areas has been strengthened. Recently, another effort has been made to improve service providers’ awareness of elder abuse by legislating their compulsory education on older adults’ human rights. However, such efforts have ignored older adults, themselves who are victims of abuse. Older adults and their families do not have any chance to be educated in the prevention of elder abuse and violation of human rights. Therefore, we sought to examine the effect of older adults’ awarenessn of elder abuse on their response to such abuse. The National Survey on Older Adults’ Human Rights conducted by the Central Elderly Protection Agency(EPS) in 2018 were utilized. A total of 3,189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who are using community welfare agencies such as senior citizen welfare centers and senior citizens' work support institutions were analysed. In addition, higher levels of awareness on elder abuse were more likely to act in various forms of responses to elder abuse. In addition, the level of knowledge of elder abus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of elder abuse, showing an active response to reporting to EPS/police or other forms of response to elder abuse rather than non-response to elder abus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ore advanced interventions need to be developed for strengthening older adults’ capacity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abuse and human rights in community service settings.

      • KCI등재

        자기결정성 동기 이론을 적용한 학부모의 자녀 학교교육 참여동기 탐색

        홍송이 한국학부모학회 2016 학부모연구 Vol.3 No.1

        본 논문은 학부모의 자녀 학교교육 참여과정을 이해하고자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동기를 분석하려는 노력에서 시도되었다. 연구를 위해 학부모 학교교육 참여모형에서 학부모 동기가 차지하는 역할이 무엇인지 검토해보고 기존의 교육심리학 분야의 동기 개념과 자기결정성 동기 이론을 적용하여 학 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동기를 분석하였다. 학부모들이 처음에는 외적 동기에 의해 촉발되어 학교교육 에 참여하게 되었다 할지라도 자기결정성이 강해질수록 사회적 가치로부터 부여받은 학부모로서의 역할을 내면화하게 되므로, 점차 내적 동기에 의한 능동적인 참여로 변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학교교육 참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부모들의 자기결정성을 높여주어, 사 회적 이목이나 주변 학부모 집단을 의식한 일시적 판단이 아닌, 합리적이고 주체적인 판단 및 의사 결정에 의한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덧붙여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동기는 학 부모 자기자신을 지향한 학부모 자기지향 동기와 자녀를 지향한 학부모 자녀지향 동기로 구분되어 탐구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학부모의 학교교육 참여동기에 대한 연구는 학부모 자신과 교육 관계자들에게 학부모에 대한 폭넓은 이해의 기회와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학부모의 심리 및 행동과 관련된 변인을 분석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신입생의 대학생으로의 전환 경험: 근거이론적 접근

        홍송이,임성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8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types of the first semester transitions from secondary to college education of the first-year college students in post-adolescences over various areas of university life.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by Strauss and Corbin(2001) was used in this qualitative investigation. In order to collect qualitative data,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2 interviewees including 12 male students and 20 female students, who were entering university. 165 concepts, 37 subcategories, and 10 categories were extracted by open and axial coding. 12 attributes and 27 dimensions were found across the categories. As a result of axial coding, 'successful college student standards' category was derived as a causal conditions and 'awareness of difference between high school and college environment' as a context conditions. The central phenomena was 'motivation to transition', and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characteristics of department', 'support of professor and seniority', and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Interactional strategies were 'collecting the information for transition', 'imitating transition', and 'establishing personal transition strategies'. Finally, 'coping with a different university life' was derived as a consequences category. The core category derived from selective coding was named as ‘new challenges with strange roles’. Six types of transition were determined by the combinations of the levels of motivation of tran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and significant others’ supports: ‘passive and individualistic transition’, ‘active and individualistic transition’, ‘active and collective transition’, ‘conforming transition’, ‘partial transition’, ‘drifting’. Thes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aking a transitional perspective in understanding of early college experiences is necessary to help college students adapt successfully to college world. 이 연구는 후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대학신입생들이 입학 후 약 2개월 간 겪게 되는 전환 경험을 이해하고자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것이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연구참여자들의 전환 경험을 개방코딩한 결과, 165개의 개념과 37개의 하위범주, 1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코딩 결과, 원인 조건으로 ‘성공적인 대학생 기준’ 범주가 도출되었고, 맥락적 조건으로 ‘고등학교와 대학환경의 차이 인식’ 범주가 나타났다. 중심 현상은 ‘전환 동기 형성’이었고 개입 조건으로는 ‘학과의 특성’과 ‘교수, 선배의 지원’,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이 나타났다. 상호작용 전략은 ‘전환 정보 수집’, ‘전환 모방’, ‘개인적 전환 전략 수립’이었고, 최종적인 결과 범주로는 ‘달라진 대학생활에 대처’가 도출되었다. 선택코딩에서 도출된 핵심 범주는 ‘낯설지만 받아들인 세계, 새로운 도전’으로 요약되었다. 10개의 범주에 걸쳐 발견된 12개의 속성과 27개 차원을 면담 원 자료와 비교분석한 결과, 대학신입생들의 전환 경험은 주로 성공적인 대학생 기준, 학과의 특성, 주변의 지원에 영향을 받고 있었고 6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에 근거하여 대학신입생의 대학생으로의 전환 경험을 ‘나홀로 소극 전환형’, ‘나홀로 적극 전환형’, ‘더불어 적극 전환형’, ‘더불어 적당히 동조형’, ‘선별적 전환형’, ‘표류형’의 6가지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에 기반하여 대학신입생의 첫 학기 대학생활을 이해함에 있어 전환적 관점이 갖는 의의와 대학생활적응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후기청소년의 대학생으로의 전환 효능감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홍송이,임성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0 미래청소년학회지 Vol.17 No.3

        The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for the self-efficacy of transition to college’ (SSTC)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late adolescents’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enagers who were planning to enter the university, and college students. Four typical transition tasks in forms of stories which were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and interviews and three questions (readiness, confidence, and strategy) for each transition task were given to assess 906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of transition to college.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ose four transition tasks were contracted to four transitional factors: self-management of life, academic development, social relations, and independenc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firmed that the factor structure of SSTC fits to the date. In order to examine the criterion validity of SSTC,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between the four factors of the SSTC and expectancy of successful university life (ESUL) and 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SACQ). All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moderate, implying that SSTC is a good predictor for future successful college life. The reliability coefficients (Cronbach’s α) of the SSTC were satisfactory, ranging from .913 to .934.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ortance of measuring the self-efficacy of transition to college and its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후기청소년의 대학생으로의 전환 과정을 이해하고자 전환 효능감 측정도구(scale for the self-efficacy of transition to college: SSTC)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대학입학예정인 청소년 및 대학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생으로의 전환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였고, 선행연구와 면담 자료에 근거하여 측정도구의 구성요인들을 구성하였다. 이에 대하여 전문가 내용타당도와 예비검사 단계를 거쳐 4개의 이야기와 각 3문항(준비성, 자신감, 전략)으로 확정한 후, 대학신입생 906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구인타당도 분석을 위해 예비검사 단계에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본검사에서는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을 활용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이야기는 자기주도성, 학업, 동료관계, 독립성이라는 전환 요소로 추출되었고, 확인요인분석에서는 4개 영역별 전환 준비도, 자신감, 전략으로 이루어진 요인 구조가 적합하다는 것이 확증되었다. 준거타당도 분석을 위해 성공적인 대학생활 기대 설문지(expectancy of successful university life: ESUL)와 대학생활적응 설문지(student adjustment to college: SACQ)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영역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나 준거타당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 결과, 생활 전환, 학업 전환, 사회적 관계 전환, 독립성 전환의 신뢰도는 0.913에서 0.934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신입생의 대학생으로의 전환 효능감 측정의 의의와 대학생으로의 전환 연구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학습컨설팅 지원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홍송이,임성택 한국교육학회 2016 敎育學硏究 Vol.54 No.4

        A quasi-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tutoring program with consulting for college students’ learning.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hich is composed of 54 participants in experimental group Ⅰ, 36 participants in experimental group Ⅱ, and 36 participants in control group, was used. The experimental treatment effects were test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pre- and posttest scores o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flow, and GPA with repeated MANOVA, MANCOVA, and ANCOVA.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roups and pre-post tests were found. The differences in learning flow and GPA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differ depending on pre-posttest time.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higher levels of learning flow and GPA in the post-test than pre-test, while control group’s levels in learning flow and GPA were maintained over time. In addition, these positive experimental effects were found consistently for both tutee and tutor groups who participated in the treatment of experi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tutoring program with consulting is beneficial for college students’ learning regardless of types of their participation roles; either tutor or tutee. Implications, suggestions and limitations in the study were presented. 이 연구는 학습컨설팅 지원 대학생 튜터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소재 K대학 재학생 126명이었으며, 실험 효과 검증을 위해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여 학습의 선행조건변인인 학습동기, 과정변인인 학습몰입, 결과변인인 학업성취도(GPA)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 효과 검증을 위해 반복측정 다변량분석(Repeated MANOVA), 반복측정 다변인공변량분석(Repeated MANCOVA), 반복측정 공변량분석(Repeated ANCOVA)을 실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업성취에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습동기에서는 실험효과가 발견되지 않은 반면, 학습몰입에서는 부분적인 실험 효과가 있었고 학업성취에서도 프로그램 효과가 검증되었다. 즉,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학습몰입과 학업성취가 더 향상되었다. 이러한 긍정적인 실험효과는 실험집단 내에서 학습컨설팅 지원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한 역할 유형 집단(튜터와 튜티) 모두에 걸쳐 일관되었다. 이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학습컨설팅이 결합된 튜터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습몰입, 학업성취 향상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부모에 대한 교사효능감’ 연구: 필요성과 가능성 탐색

        홍송이,이순자 한국학부모학회 2019 학부모연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research on the role of teachers’ self-efficacy toward parents for the formation and maintenance of partnership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school). To this en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s’ self-efficacy toward parents were identified through previous studies on self-efficacy and teachers’ self-efficacy. In addition, a survey of 584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Kangwon province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with background variables of the teachers, the teachers' opinions about the parents' related tasks, and the relevance of the teachers’ self-efficacy toward parents. As a result, teachers’ self-efficacy toward parents differed by gender, school grade, and teachers' career, and showed some significant relations with emotional reaction to parent-related work. In addition, teachers’ self-efficacy toward parents was significantly explaining the teachers’ sense of the partnership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on teachers’ self-efficacy toward parents and improving the partnership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were discussed, and suggest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bsequent research. 본 연구는 학부모와 교사의 파트너십 형성 및 유지를 위해 ‘학부모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그 필요성과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자기효능감, 교사효능감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학부모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개념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강원도 지역 초․중․고 교사 58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사의 배경변인, 학부모 관련 업무에서의 교사의 심리적 반응, 학부모 관련 업무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학부모에 대한 교사효능감의 관련성을 분석하였고, 교사 배경변인과 교사효능감이 학부모와의 파트너십 인식을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그 결과, 학부모에 대한 교사효능감은 성별, 학교급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학부모 관련 업무에 대한 정서적 반응과도 일부 연관성이 드러났다. 더불어 학부모 관련 업무는 학부모에 대한 교사효능감을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부모에 대한 교사효능감이 학부모와 교사의 파트너십을 유의미하게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학부모와 교사의 파트너십 향상에 학부모에 대한 교사효능감 연구가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우수등재

        불교 사회복지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 1990~2016년에 게재된 국내외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홍송이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1 No.-

        이 연구는 불교 사회복지의 정체성 형성과 발전을 위해 불교 사회복지가 초점화해야 할 연구 방향과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국내 논문 12편, 국외 논문 10편 총 22편을 대상으로 연구문제, 적용된 불교사상 및 실천원리, 연구대상, 연구 방법, 사회복지실천 개입방법의 5가지 분석틀을 가지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국내 연구는 다양한 불교사상과 실천원리를 불교 경전에 기반 하여 그 근거를 제시한 논문이 대부분이었고, 국외 연구는 이것을 경험적으로 규명해낸 기존 연구 결과를 이론적 배경으로 활용한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방법에 있어 국내 연구는 문헌 연구(9편)가 대부분이었고, 국외 연구는 경험적 차원에서 입증하고자 하는 실증적 연구(8편)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개입방법에 있어서는 국내외 연구 모두 다양한 사회복지 대상자와 분야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만, 국내 연구는 이것을 경험적 결과로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그리고 국외 연구도 실증적 방법을 통해 연구 결과들을 제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결과들이 아직까지 학문적으로 충분히 축적되지는 않은 상황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그동안 사회복지 실천 영역에서 종교 중립 원칙에 따라 그동안 배제되어온 불교의 방대한 사상과 실천원리가 다양한 현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유효한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불교 명상 이외의 불교 사상과 실천원리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 주제에 대한 시도를 확대하고 사회복지 증거기반 실천을 실행할 수 있는 질적・양적 연구가 경험적으로 강화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esent directions in advancing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Buddhism and social work by critically reviewing 10 international and 12 Korean studies found via keyword search of “Buddhism/Buddhist” and “Social Work/ Welfare.” We performed the content analysis using the five analytic frameworks; the target problem, the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the target populations, research methods, and social work interventions. This review found out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Specifically, we found more conceptual studies in Korea, which attempted to understand how the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could be applied in social work areas as an intervention. In contrast, overseas studies were more likely to empirically examine whether the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function as a method of intervention with substantial samples. Although both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ies included diverse problems in the areas of social work, they could not explain systematic and concrete intervention processes and methods. Most of international studies performed empirical studies, but their evidence is still deficient.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Buddhist thought and practice such as meditation could be one of alternative social work interventions in light of diverse empirical and theoretical trials.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 that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Buddhism and social work should be more encouraged in an empirical manner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ways in order to guide evidence-based practice in Korean social work practice.

      • KCI등재

        몽골 이주 배경 자녀의 가족기능인식과 학부모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자녀 학업효능감과 학부모역할인식의 이중매개효과

        홍송이,뭉흐체첵,임성택 한국학부모학회 2021 학부모연구 Vol.8 No.2

        This study examines a hypothetical causal model to analyz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the children's academic efficacy and parental role construction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ildren’s family function recognition and parenting stress of Mongolian migrant famil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6 students and his or her 366 parents from Mongolian immigration background living in Seoul. Prior to hypothesis verification, the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was analyzed with reference to indices such as SRMR, RMSEA, GFI, AGFI, NFI, TLI, and CFI, and the final model was adopted through the model modifica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hildren’s family function recogni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his or her academic efficacy. The children’s academic 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ental role construction and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parenting stress. Parental role constru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parenting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family function recognition and parenting stress, children’s academic efficacy played a role as an individual mediating variable. In addition, a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 of the children’s academic efficacy and parental role construction between children’s family function recognition and parenting stress was show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through the Bootstrapping method at 95% confidence level were all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ortance of the study on the variables of children that influences parental role construction and parenting stress were discussed, and the implications for parental research were described. 본 연구는 몽골 이주 배경 자녀의 가족기능에 대한 인식과 학부모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를 확인하고, 자녀의 학업효능감과 학부모역할인식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몽골 이주 배경 학생 366명과 그들의 부모 중 1인 366명이었다. 구조모형의 가설 검증에 앞서 SRMR, RMSEA, GFI, AGFI, NFI, TLI, CFI 등의 지수를 참고로 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하였고, 모형 수정과정을 통해 최종 모형을 채택하였다. 분석 결과, 자녀의 가족기능인식은 자신의 학업효능감과 정적 관련성이 있었다. 자녀의 학업효능감은 학부모역할인식과 유의미한 정적 관련성이, 양육스트레스와는 유의미한 부적 관련성이 있었다. 학부모역할인식은 양육스트레스와 유의미한 정적 관련성이 나타났다. 자녀의 가족기능인식과 학부모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녀의 학업효능감은 개별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고 있었고, 학업효능감과 학부모역할인식의 이중매개효과도 나타났다. 95% 신뢰수준에서 Bootstrapping 방법을 통해 간접효과의 유의도를 분석한 결과 모두 유의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부모의 역할인식과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자녀 변인(가족기능인식과 학업효능감) 연구가 지니는 의의에 대하여 논의하였고 학부모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기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