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팬데믹 시대의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지속가능경영 연구

        홍성연(Hong, Sung Yeon),남미우(Nam, Mi W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9 No.3

        본 연구는 전 세계의 위기로 다가온 팬데믹 시대에 오랜 기간 존속하는 패션 브랜드들의 브랜드 유지전략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사례 연구를 통하여 명품 패션 브랜드가 사용하는 5가지 지속가능경영 전략을 살펴보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문헌 검토와 사례연구 방법으로 채택하고, 8가지 글로벌 럭셔리 패션 브랜드 Louis Vuitton, Dior, Chanel, Hermes, Gucci, Prada, Fendi, Ferragamo를 선정하여 연구를 이행하였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팬데믹 시대의 명품 패션 브랜드가 언텍트 시스템으로 변경하였다. 둘째, 지역 사회 경제에 기여하는 활동에 주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COVID-19와 관련된 사회 공헌활동을 실시하였다. 럭셔리 패션 브랜드들은 COVID-19로 인해 어려움에 처한 장인을 돕기 위해 문화적 지속 가능경영 활동을 보여주었다. 넷째, 팬데믹에 관계없이 장기적인 목표로 환경적 지속가능경영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패션 브랜드에 적용된다면 한국 패션 브랜드는 언택트 시스템을 통해 브랜드를 유지하고 지역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친환경 브랜드 이미지, 사회공헌브랜드 이미지, 브랜드의 문화적 가치를 구축이 가능할 것이다. 더 나아가 글로벌 사회의 잠재적 리스크에 대비한 글로벌 패션 브랜드 준비도 기대한다. This study was initiated to examine the brand maintenance strategies of fashion brands that have persisted for a long time in the era of panic, which is approaching a global cri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ive sustainability management strategies used by luxury fashion brands through the case study of the COVID-19 era. Therefore, this paper was adopted as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method, and the study was conducted by selecting eight global luxury fashion brands: Louis Vuitton, Dior, Chanel, Hermes, Gucci, Prada, Fendi, Ferragamo. The research result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luxury fashion brand in the era of the Pandemic was changed to the Untect system. Second, it was found to focus on activities that contribute to the local society economy. Third,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related to COVID-19 were carried out. Fourth, Luxury fashion brands showed cultural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to help craftsmen who are in trouble due to COVID-19. Fifth, regardless of the pandemic,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management was carried out as a long-term goal.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f applied to Korean fashion brands, Korean fashion brands will be able to maintain their brand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through the Untect system. And it will be possible to build an eco-friendly brand image, social contribution brand image, and cultural value of the brand.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global fashion brand to prepare for potential risks in the global society.

      • KCI등재

        혁신저항이론에 근거한 대학교수의 e-티칭포트폴리오 이용 활성화 방안 탐색

        홍성연 ( Seong Youn Hong ),신종호 ( Jong Ho Shi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3

        최근 대학에서 교육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입을 시도하고 있는 e-티칭포트폴리오의 이용을 확산시키기 위해서는 초기 수용자들의 저항이유를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실천전략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혁신저항이론을 바탕으로 e-티칭포트폴리오 확산의 초기단계에서 활용주체들이 느끼는 저항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약 3개월간 e-티칭포트폴리오 시범운영에 참여한 교수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인터뷰, 혁신저항이론에 근거한 개방형 문항의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시범운영과정에서 도출된 계획서, 사용의견보고서, e-티칭포트폴리오 개발자료 등 산출물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수들은 대체로 e-티칭포트폴리오 활용의 목적과 취지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실제적인 활용도는 높지 않았으며 향후 이용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태도를 나타냈다. 또한, e-티칭포트폴리오의 혁신특성에 대해 교수들은 상대적 이점, 호환성, 시도가능성, 관찰가능성 등을 낮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복잡성과 위험성에 대해서는 높게 지각하고 있었다. 저항원인을 극복하고 e-티칭포트폴리오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학습관리시스템 등 기존 학교포털시스템과 연동을 통한 유사미디어와의 차별화 전략, 내용의 공유권한기능 정교화 및 보안 강화, 수업에서의 활용 방안 보급, 모바일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통한 접근성 및 상호작용성 증진, 활용목적에 맞는 정확한 가이드라인과 교육훈련 제공, e-티칭포트폴리오 작성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적극적 홍보 등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faculty resistance of application e-teaching portfolio as a cutting-edge educational technolog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faculty members` acceptance of e-teaching portfolio based on innovation resistance theory, and suggest the support and design strategies to reduce and overcome their resistance. Thirteen voluntary faculty members participated in developing their own e-teaching portfolio during three months using the newly introduced e-teaching portfolio system in A university. However they were inactive to write their reflection, upload the data and interact students and colleague with e-teaching portfolio. Focus group interview and survey were conducted based on innovative resistance theory, and the faculty members` products of the developing proces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reason for the behavior. As the results, the faculty members agreed to the necessity of e-teaching portfolio, while they were negative to use it in the future. Also, they perceived that relative advantage, compatability, triability and observability of e-teaching portfolio were low, and that complexity and perceived risk were high. To overcome their negative perception, this paper suggested several strategies: differentiation strategies from LMS or blog, strength of the functions about sharing data and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supplement of the teaching strategies with it, enhancement of accessibility linking it with mobile technology, provision of guidance and training, and promotion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 KCI등재

        토픽 모델링 분석 기법을 활용한 대학의 학생 지원 연구 동향 분석

        홍성연(Seong youn Hong),최재원(Jae won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8

        최근 대학생의 적응과 학습을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가가 대학가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고등교육이 일찍부터 발전한 서구에서는 학생 지원이 대학의 주요 업무이자 연구영역으로 고려되어 왔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최근에 들어서야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서구에서 대학의 학생 지원에 대한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왔는지 비교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2015년까지 출간된 학생 지원과 학생 서비스 분야의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국내 논문으로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의 교육학 분야 등재(후보) 논문158편과 국외 논문으로 SCOPUS의 대학 관련 저널의 논문 294편의 제목, 초록, 키워드를 분석 하였다.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기반 토핑모델링 기법에 의해 한글은 11개 토픽으로, 영어는 10개 토픽으로 분류되었다. 한글논문에서 가장 많은 논문이 발표된 주제는 ‘장애 지원’, ‘서비스 만족’이었으며, 영어 논문은 ‘교육기회 확대’, ‘테크놀로지 지원’이었다. 한글논문과 영어논문 모두 2011년 이후 출간된 논문이 약 50%에 이르는 등 이 주제에 대한 관심이 급격하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particularly in student support in higher education and to compare the research topics between Korean and English articles using topic modeling. Recently, universities try to provide support programs to help students adjust to the university and to succeed in their studies. These programs are called student support programs, student services, or student affairs. Using RISS and SCOPUS databases, titles, keywords, and abstracts of 158 Korean articles and 294 English articles were collected. In each of these Korean and English articles, were extracted 1,685 and 2,630 index terms and 11 topics and 10 topics by topic modeling technique,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 The topics related to ‘disabilities service’ and ‘service quality’ were the large portion in Korean, however, ‘education opportunity’ and ‘technology support’ were the most focused topics in English articles. At the latter part, the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 and English student support topics were compared. This research is meant to improve how to handle and how to systematically approach student affairs in Korea.

      • KCI등재

        대학 개별지도 수업에 대한 형성적 목적의 수업평가를 위한 예비 문항 개발

        홍성연 ( Hong Seongyou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최근 대학에서 학부생 연구나 자기설계과목과 같이 학생이 선택한 주제나 내용에 대해 교수가 지도하고 이를 학점으로 인정하는 개별지도 수업이 늘어나는 추세이다. 소수의 학생을 교수가 면담형태로 지도하기 때문에 교수와 학생 간에 다양한 소통이 이루어지지만, 교수의 지도에 대한 학생의 의견을 수렴하기는 쉽지 않다. 이 연구는 대학에서 교수가 개별 지도하는 수업에 대한 형성적 목적의 수업평가 문항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39개 문항을 추출하고 A대학에서 개별지도 수업을 운영하거나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수와 학생을 대상으로 두 차례의 설문을 진행하였다. 1차 설문에는 개별지도 과목을 운영한 교수 12명과 수강한 학생 18명 등 총 30명이 참여하였으며, 2차 설문에는 교수 2명과 학생 10명 등 총 12명이 참여하였다. 1차 설문에서 적절하다고 선정된 24개 문항과 설문에 참여한 교수와 학생이 제안한 10개 문항을 토대로 2차 설문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22개의 문항이 기준을 넘었으며, 그 중 8개가 필수 문항으로 선정되었다. 대학 교육과정의 경직성을 보완하고, 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수렴하는 개별지도 수업은 논문지도, 자기설계과목, 실습이나 멘토링 등 대학에서 개설 범위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문항은 개별지도 수업을 운영하는 대학이나 담당하는 교수가 학기 중간이나 학기 말에 형성적 목적의 수업평가를 운영하고자 할 때 참고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Several courses such as independent study, directed individual course and undergraduate research course provide one-on-one teaching which could give the opportunities for personalized teaching and enhanced learning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reliminary course evaluation tools for formative assessment in one-on-one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Thirty nine preliminary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as the draft items based on the review of the previous research and universities’ web sites. Two times surveys were conducted for checking the validity for these questionnaires. Twelve professors and 18 students had conducted one-on-one teaching courses participated in the first round survey. Consequently 24 items were selected and 10 new items were added according to first survey’s recommendation from open-ended questions. In the second round survey, 34 items were evaluated by the adequacy and validity from 12 participants consisting of 2 professors and 10 students, and then 24 items remained. Eight items were chosen as essential questionnaires among 24. This study is useful for the universities which are preparing the course evaluation for one-on-one teaching to confirm the course effectiveness and to improve the educational quality.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홍성연 ( Seongyoun Hong ),유연재 ( Yeonjae Ryu ) 한국교육공학회 2020 교육공학연구 Vol.36 No.S

        2020년 상반기 코로나19로 인해 학생의 등교가 제한되면서 대학에서 이루어지던 다양한 교육 활동이 급감하였다. 대학의 정규 교육과정은 비대면으로 전환되었지만, 비교과 활동이나 다양한 상호작용의 위축은 피할 수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의 전반적인 학습성과를 확인하고 결손이 나타난 부분을 보완하도록 교육환경을 개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대면과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비교하고,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 하위영역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학습성과 상·하위집단을 구분하는데 기여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9년 11월과 2020년 5월 A대학에서 실시된 K-NSSE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유의미학습, 자기주도학습, 효과적 수업전략, 고효과 프로그램, 대학몰입 등 다섯 요인이었다. 대면교육 환경에서는 유의미학습, 효과적수업, 대학몰입이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주도학습과 고효과 프로그램의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다. 학습성과의 하위 영역인 의사소통역량, 전공·직무역량, 핵심역량을 설명하거나, 학습성과 상·하위 집단을 구분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유의미학습이었다. 논의 부분에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수업 및 교육환경의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비대면 교육환경에서 학습성과의 영향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제고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unexpected outbreak of Covid-19 forced the universities to transform from traditional face-to-face education to online synchronized or asynchronized education. The variety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campus had plummeted and the students’ learning outcomes had declin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factors affecting learning outcomes in the online education to face-to-face education last year,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distinguish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of learning outcome. K-NSSE survey data conducted at A University in November 2019 and May 2020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five factors such as meaningful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high impact programs and integration in university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Meaningful learning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learning outcomes in both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to divide the upper group and the lower group of learning outcome. Consider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teachers in redesigning the courses and for providers in encouraging students’ meaningful learning. This study could be useful to understand the current learning outcomes of higher education in Covid-19 pandemic and contribute to establish the response strategies.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 환경에서 대학 교양교과목의 수업성찰

        홍성연(Hong, Seongyou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6

        이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대학의 수업이 비대면 원격수업으로 전환된 2020년 1학기 교양교과목의수업성찰 자료를 바탕으로 교수들이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고 그 결과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분석함으로써 교양수업의 운영 현황을 검토하고 질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수업목표, 수업방법, 평가방법, 개선방향 등을 되돌아 볼 수 있는 CQI 형태의 수업성찰 설문을 개발하고, A대학교에서 교양교과목을 담당하는 교수에게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169개 과목을 담당한77명의 교수가 참여하였다. 교양교과목의 성격에 따라 기초교육(의사소통, 기초 수학 및 과학), 교양교육, 소양교육으로 분류하고, 수업목표 달성도, 수업방법 적절성, 평가방법의 적절성을 살펴본 결과 4점만점에 평균 2.5점에서 3.0점 사이로 기대만큼의 효과를 얻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비대면교육이 효과적으로 운영된 사례를 살펴보면, 의사소통교육에서는 말하기보다 쓰기교육이 더 효과적이었으며, 외국어에 두려움을 갖는 초보 학습자에게 유용하였다. 기초 수학 및 과학교육에서는 동영상을통한 이론 수업과 실시간 문제풀이 수업을 균형 있게 운영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교양교육은 원격수업에 맞게 수업내용과 학습활동을 재설계하고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상호작용을보완한 수업이 성공적이었다. 마지막으로 체육이나 예술실기와 같은 소양교육은 실시간 수업을 통해실습과 개별지도 등이 이루어졌으나 교육적 한계가 있었다. 다음 학기 수업의 개선사항으로 동영상강의와 실시간 수업의 균형, 학습과제 및 학습량 조절, 수업자료 및 동영상의 질 개선, 평가의 공정성과변별력 강화, 상호작용과 피드백 강화, 다양한 소프트웨어 도구의 활용 확대 등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비대면 원격교육 상황에서 교수에 대한 지원과 교육환경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데 기여할 수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ata regarding courses making the transition from face-to-face to non face-to-face classes, and to find areas which are in need of improvement regarding the quality of these courses. All conclusions are grounded on the teaching reflection data of instructors who taught general education courses during the 1st semester of 2020. Seventy-seven instructors in charge of 169 general education courses participated in the online course reflection survey. The reflection data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in four areas: the basic communication education (BCE), the basic science and math education (BSM), the liberal arts education (LAE) and the cultivated education (CE). The outcome reveals that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teaching goals, the adequacy of the teaching method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evaluation methods turned out to be between 2.5 and 3.0 points on average on a 4 point scale, which is lower than in face-to-face classes. Good examples were found in some areas though. In BCE, online classes are beneficial in terms of writing more than speaking, as well as for beginners who are reticent to speak in a foreign language. In BSM, it is useful to learn theories through recorded video lectures and to solve the difficult problems through real-time online classes. LAE was successful in redesigning teaching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to suit online classes and supplement interactions using the digital software. CE, including aesthetic and physical education, suffered certain teaching limitations through online classes. Several ideas for improving the courses in the 2nd semester were suggested, such as balancing recorded video lectures and real-time online classes, considering proper learning tasks and assignments,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teaching materials, dealing fairly with the evaluations given by the students, activating interaction and feedback, and extending the use of multiple digital SW in class. The study could contribute to support future teaching methods and to elevate the quality of the distance educational environment in higher education.

      • KCI등재

        대학생 핵심역량진단평가(K-CESA) 중복응시자의 인식과 교육경험

        홍성연(Seong youn Hong)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5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0 No.4

        역량은 대학의 교육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이다. 대학에서 성실하게 생활한 학생들은 학년이 높아지면서 역량도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 예상되지만,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개발한 대학생핵심역량진단평가(이하 K-CESA)에 두 차례 이상 응시한 학생들의 역량점수를 살펴보면 중복응시자의 역량이 일관되지 않게 변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CESA 전 영역에 두 차례이상 응시한 학생 여섯 명을 대상으로 K-CESA 응시이유, 진단과정, 결과인식, 대학에서의 교과 및 비교과 교육경험 등을 인터뷰하여 중복응시자의 점수가 일관되게 변화하지 않는 이유에 접근해보고자 하였다. 학생들이 K-CESA에 중복 응시한 가장 큰 이유는 역량변화 정도를 점검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과제 등 더 급한 일이 생기거나, 문제가 지난번과 동일한 것을 알았을 때 진단에 불성실하게 참여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학생들은 진단결과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며, 부족한 역량을 보완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잘 알지 못하였다. 상대적으로 역량이 높은 우수집단은 교내외 활동에 적극적이고 학년이 높으며 회사나 군대 등 조직경험이 있는 편이었으며, 역량이 낮은 미흡집단은 신입생 때 대학적응에 어려움을 겪었거나 시간 관리에 미숙하고 대인관계나 비교과 활동에 소극적인 경향을 보였다. 논의부분에서 효과적인 역량진단과 결과활용방안, 후속연구 등을 제언하였다. The 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 (K-CESA), funded by KRIVET, is the eminent tool to assess the collegiate competencies. This research is concerned with the process of how examinees take the K-CESA and particularly focuses on the examinees` perspectives of the K-CESA. In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ix `A` university students among forty-seven examinees who repeatedly took the K-CESA. Interview questions were about collegiate experience and the K-CESA such as motivation for, time, and place of taking the K-CESA, the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the results, and the relevance between college life and the K-CESA. The responses were coded with Nvivo 10.0. This study found that the students were concerned about their competencies, and those actively participating in collegiate experiences got higher scores on the K-CESA. The examinees` experience, such as working in a company and serving in the arm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est scores.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several suggestions on how to motivate students to engage proactively in college life, how to provide elaborate feedback based on sub-competencies, and how universities collaborate with the K-CESA provider to develop a support program.

      • KCI등재

        양수과다증의 원인, 진단 및 처치

        홍성연 ( Seong Yeon Hong ) 대한주산의학회 2012 Perinatology Vol.23 No.2

        Amniotic fluid plays an important role in fetal development and growth. Amniotic fluid volume should be maintained adequately throughout gestational periods. Polyhydramnios is a relatively common obstetrical problem, but is associated with poor perinatal outcome both in mother and fetus. For the proper management of polyhydramnios, it is important to find out accurate causes, but it is not easy even if obstetricians perform thorough prenatal assessments. It is also important to understand the regulation of amniotic fluid volume. Based on these backgrounds, this article will briefly review mechanisms of the regulation of amniotic fluid, and will also review diagnosis, etiologies, managements and prognosis of polyhydramnio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