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아 단백뇨 검사에 있어서 단회뇨 단백/크레아티닌 비의 유용성 및 일일 요단백량과의 연관성

        홍선영,김지영,정우영,Hong, Seon Young,Kim, Ji Young,Chung, Woo Yeo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2

        목 적 : 근래에 들어 단회뇨를 이용한 단백/크레아티닌 농도비(P/C ratio; PCR)를 이용하여 24시간 요단백량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일치되지 않은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 24시간 요단백량과 단회뇨의 PCR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런 상관관계에 단백뇨의 양, 연령, 성별 및 사구체 여과율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3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소아과 신장클리닉에 내원한 외래 및 입원 환아 94명을 대상으로 24시간 채뇨를 실시하여 단백량과 크레아티닌 양, 사구체 여과율을 측정하였고, 24시간 채뇨 직후의 단회뇨를 이용하여 단백/크레아티닌 농도비(P/C ratio; PCR)를 측정하였다. 모든 예에서 혈청 크레아티닌, 알부민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검사의 신뢰성을 위하여 일일 요 중 크레아티닌 배설양이 15 mg/kg 이상이었던 68례 만을 분석대상에 포함하였다. 결 과 : 1) 대상 환아의 평균 연령은 $11{\pm}3.5$세였으며, 평균 혈청 크레아티닌은 $0.64{\pm}0.25mg/dL$, 사구체 여과율은 $132{\pm}68mL/min/1.73m^2$, 평균 혈청 알부민 수치는 $4.6{\pm}5.2g/dL$이었다. 평균 24시간 요단백량은 $826{\pm}2,891mg/m^2/day$이었고, 단회뇨의 PCR은 $1.39{\pm}4.15$였다. 2) 24시간 요단백량과 단회뇨의 PCR 사이의 상관관계 : 전체대상 환아에서 24시간 요단백의 양과 단회뇨의 PCR은 R=0.936의 상관계수를 보이며, 유의한 양의 선형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001). 24시간 요단백량에 따라 분류된 두 군과, 연령에 따라 분류된 두 군에서도 각각 24시간 요단백량과 단회뇨의 PCR은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3) 24시간 요단백량을 예측하기 위한 PCR의 각 cutoff 치에 따른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 및 음성예측도 : 24시간 요단백량이 500 mg 이상임을 예측하기 위한 PCR의 cutoff치를 0.5 또는 1.0 이상으로 정했을 때, 그리고 24시간 요단백량이 1,000 mg 이상임을 예측하기 위한 PCR의 cutoff치를 0.5 또는 1.0 이상으로 정했을 때의 각각의 경우를 분석한 결과, 요단백량 500 mg/day 이상을 PCR 0.5의 cutoff치로 예측할 경우가 가장 높은 민감도, 특이도, 양성예측도 및 음성예측도를 보였다. 4) 24시간 요단백량과, 단회뇨의 PCR 사이의 오차에 관여하는 요인 : 24시간 요단백량과 단회뇨의 PCR 사이의 오차(fractional difference)와 일일 요단백량, 사구체 여과율, 연령 인자사이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연령이 유의하게 작용함을 나타내었고, 요단백량과 사구체 여과율은 유의하지 않았다. 남녀 각 군을 나누어서 분석하였을 경우도 오차에 연령이 유의하게 작용하였다. 성별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오차는 성별에 따라서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24시간 요단백량과 단회뇨의 PCR 사이의 오차에 관여하는 요인으로 요단백량과 성별, 사구체 여과율은 의미있는 영향을 주지 않았고, 연령은 유의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소아에서도 24시간 요단백량을 예측하기 위한 단회뇨의 PCR의 cutoff치를 설정함에 있어서 나이와 성별 등의 요인들에 의한 영향을 보다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한 더 광범위한 조사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얻어진 PCR cutoff 치가 설정되기 이전에는 단회뇨의 PCR의 임상적 적용은 검색검사의 목적으로 제 Purpose : Recently, different results about factors affecting accurate quantitation of 24-hr urinary protein(24UP) amount using spot urine protein/creatinine ratio(PCR) have been reported.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correlation between 24UP amounts and PCR in children, and the effect of 24UP amounts, age, sex, and glomerular filtration rate(GFR) on this correlation. Methods : Among 94 patients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in Busan Paik Hospital from March 2002 to August 2002, 68 patients whose urinary creatinine excretion was ${\geq}15mg/kg/day$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ll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I, II/A, B group(I : 24UP<500 mg/day, II : $24UP{\geq}500mg/day$, A : <10 years of age, B : ${\geq}10years$ of ag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24UP and PCR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We defined fractional difference between 24UP and PCR, and then perform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24UP amount, age, GFR and fractional difference. Results : There was a strong positive linear correlation between 24UP and PCR(R=0.936, P<0.0001) in all patients, and the correlation was also good in each group. Using PCR cutoff values of 0.5, the PCR provided high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in predicting 24UP amount ${\geq}500mg$. The factors affecting accurate quantitation of proteinuria using spot urine PCR was age, not 24UP amount, GFR or sex. Conclusion : Spot urine PCR is a useful test but has limitations in predicting 24UP amount. Therefore, it should be used only as screening method. Age-adjusted PCR cutoff values may be necessary to predict 24UP amount in children with proteinuria.

      • BES를 이용한 스마트팜 테스트베드의 내부온도 예측모델

        이충건 ( Chung Geon Lee ),홍선영 ( Sun Young Hong ),조라훈 ( La Hoon Cho ),김석준 ( Seok Jun Kim ),박선용 ( Seon-yong Park ),김대현 ( Dae Hyun Kim ) 한국농업기계학회 2021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현재 우리나라는 기존의 시설농업에서 스마트팜으로 전환되어가는 과정에 있으며, 자동화, 원격모니터링 및 제어 등 많은 부분에서 기술발전을 하고 있는 중이다. 그 중 에너지 최적화 기술을 접목시킨 3세대 스마트팜의 연구개발이 활발한 실정이다. 또한 우리나라는 탄소중립을 위해서 농업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에서 화석연료를 배제하고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탄소감축방안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팜과 시설농업에서도 화석연료가 아닌 지열 히트펌프, 펠릿보일러 등과 같은 다양한 열에너지원을 선택하여 온실난방에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신·재생에너지로 열원을 대체함에 따라 보다 수준 높은 열에너지활용방안 및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따라서 정확한 온실의 난방부하 파악은 필수요소로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설농업에서 사용되는 난방부하 산출식은 실제와 다소 차이가 있어 온실에 난방에너지원을 적용할 때 오차가 발생하여 난방이 부족하거나 혹은 과난방되어 에너지의 낭비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증산량을 포함한 난방부하량을 BES 프로그램인 ‘TRNSYS’를 이용하여 해결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중 목재펠릿을 이용하여 약 92m2규모의 온실난방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를 TRNSYS로 모델링하여 내부온도 예측모델을 만들어 비교하고자 하였다. 모델 검증을 위해 각기 다른 실험기간의 데이터를 활용하였고 실제 실험과 개발된 내부온도 예측모델간의 유사한 경향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실험결과에서는 주간에 비 난방 시 내부온도가 약 45℃까지 상승하는데 반해 TRNSYS로 구현된 모델에서는 55℃이상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추가적으로 보정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점ㆍ선ㆍ면을 활용한 아트메이크업 디자인 연구

        박소연(So-Yeon Park),김혜옥(Hye-Ok Kim),장혜정(Hye-Jeong Chang),선영(Seon-Yeong Huh),인선(In-Sun Hong),한가영(Ga-Young Han),하문선(Moon-Sun Ha),김선희(Seon-Hee Kim)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14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4 No.2

        In modern times, Art make-up can be said experimental genre of formative arts. And the Art Make-up works aren’t taken any constraint in the method of expression. Therefore, the experimental attempt has been tried actively.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re creative expression and artistic values through the Art Make-up work. For that, considered advance researches and books about design elements then created 5 Art Make-up works using Point, Line and Plan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calability of expression was sought by Point, Line and Plane among design elements.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some of creative ideas for Art Make-up field. And more in-depth and sustained studies effort should be directed into this field.

      • KCI등재
      • 간호사의 투약안전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 분석

        양혜영, 이광희, 홍선영, 이정은 신한대학교 2021 신한대학교 논문집 Vol.4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nurses'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by analyzing educational needs. A survey was conducted on 37 clinical nurses at secondary hospitals or higher in Seoul and Gyeonggi-d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rse's medication experience, there were no cases of administering expired drugs, but various medication errors occurred. In addition, nurses had many organizational problems in performing oral prescriptions rather than receiving regular instructions for medication. There were six items that showed the larges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group of important and implementation levels of nurse's medication safety competency.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Borich’s demand analysis, the highest priority items were "Measures can be established to prevent recurrence in the event of drug side effects" and "Cases can be analyzed to find the root cause of medication err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up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strengthen nurses' medication competency should be conducted.

      • 제주도 한라산 1100 고지 대기 에어로졸의 조성 및 특성

        김원형,강창희,신찬성,선영,민선 濟州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2003 基礎科學硏究 Vol.16 No.1

        The atmospheric aerosols collected at the 1100 site located in Mt. Halla have been analyzed to investigate their compositions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water-soluble cautions were in the order of NH_(4)^(+)>Ca^(2+)>Na^(+)>K^(+)>Mg^(2+) during the spring, showing high increase of Ca^(2+) concentration with the value of 0.60㎍/㎥, and NH_(4)^(+)>Na^(+)>K^(+)>Ca^(2+)>Mg^(2+) during the other seasons.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anions have shown in the order of SO_(4)^(2-)>NO_(3)^(-)>Cl^(-) for all seasons, and SO_(4)^(2-) and NO_(3)^(-) had higher concentrations in spring with the values of 4.84㎍/㎥ and 1.08㎍/㎥, respectively. From the analytical data of size-segregated particles by cascade impactor sampling, the components of NH_(4)^(+), SO_(4)^(2-), NO_(3)^(-) and K^(+) were distributed mainly in fine particles, but Ca^(2+), Na^(+), Mg^(2+) and Cl^(-) were included mostly in coarse particl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nss-SO_(4)^(2-)/NH_(4)^(+), nss-SO_(4)^(2-)/K^(+) and NO_(3)/nss-Ca^(2+) showed quite high values with 0.871, 0.857 and 0.654, respectively. Based on the study of enrichment factors, it is considered that Na^(+), Mg^(2+), Cl^(-) and Ca^(2+) components were delivered from oceanic and soil sources, but SO_(4)^(2-), NO_(3)^(-) and NH_(4)^(+) might have other source origins. The factor analysis study showed the aerosol at the 1100 site was influenced mainly by anthropogenic factors, followed by oceanic and soil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