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초등 예비교사의 교직신념, 학생이해역량, 수업역량, 교사발달수준 및 미래교사직무역량 간 관계

        하문선(Moon-sun Ha) 공주교육대학교 글로벌인재교육센터 2022 교육실습연구 Vol.4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eaching beliefs, student understanding competencies, teaching competencies, teacher developmental levels, and future teacher job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on model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first, it was found that teaching beliefs have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competency and teacher development level.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student understanding competency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competency and teacher development level. Also, it was found that teaching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eacher development level, and teacher development level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uture teacher job competenc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beliefs and future teaching competenc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competency and teacher development level was found.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understanding competency and future teacher job competency, there was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competency and teacher development leve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a plan to improve future job competency by structurall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related competenci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교직신념, 학생이해역량, 수업역량, 교사발달수준 및 미래교사직무역량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구조방정식을 통한 매개모형 검증 결과 첫째, 교직신념은 수업역량, 교사발달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생이해역량도 수업역량, 교사발달수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업역량은 교사발달수준에, 교사발달수준은 미래교사직무역량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교사의 교직신념과 미래교사직무역량 간 관계에서 수업역량과 교사발달수준의 순차적 매개효과, 학생이해역량과 미래교사직무역량 간 관계에서 수업역량과 교사발달수준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개인내적 특성과 관련 역량 간 관계를 구조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미래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맞벌이가정 아버지의 일-가족 갈등과 일-가족 향상,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와의 상호작용 및 아동의 문제행동의 관계

        하문선(Ha Moon-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1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KICCE)에서 수집한 한국아동패널 8차년도 자료 중 아동기 자녀를 둔 맞벌이가정 아버지 589명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2018년 9월까지 연구되었다. 특히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일-가족 갈등과 일-가족 향상, 양육스트레 스와 자녀와의 상호작용 및 아동의 문제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구조방 정식 모형을 적용하였다. 최종모형 검증결과, 맞벌이가정 아버지의 일-가족 갈등 수준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높아져서 아동의 문제행동이 증가하였다. 또한 일-가족 향상 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와의 상호작용이 증가하고 양육스트레스가 감소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이 감소하였다. 다음으로 최종모형이 모든 연령집단에 동일하게 적용되는지 살펴보기 위해 다집단 동등성 검증을 실시한 결과 모형 간 동일성이 확보 되었다. 이는 맞벌이가정 아버지의 연령집단에 상관없이 일-가족 갈등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양육스트레스가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을 악화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일-가족 향상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는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 반면 자녀와의 상호작용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의 악화를 상쇄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는 맞벌이가정 아버지가 경험하는 일-가족 갈등과 일-가족 향상이 양육 경험을 통하여 어떻게 아동의 문제행동을 가져오는지 가족역동적 측면에서 보다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work-family enrichment, parenting stress, interaction with children, and child problem behavior in father of dual-income family. The result of the final model test indicate that the higher the father s work-family conflict, the higher the parenting stress and the more the child problem behavior. In addition, the higher the father s work-family enrichment, the more interactions with the children and the lower the parenting stress and the lower the child s problem behavior. Next, the final model was verified by multi-group equivalence according to the age group, and the equality between the models was secured. This indicates that parenting stress is a risk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child problem behavior regardless of the father s age group of dual-income families, which exacerbates the child problem behavior. In addition, parenting stress acts as a risk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enrichment and child problem behavior, while interaction with children acts as a protective factor to offset the deterioration of child problem behavior.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richment experienced by father of double-income family bring about child problem behavior through parenting experience from the perspective of family dynamic.

      • KCI등재

        여자 대학생의 사이버상담 경험에 대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분석: 채팅상담을 중심으로

        하문선 ( Moon-sun Ha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7 人間理解 Vol.38 No.1

        본 연구는 FGI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여자 대학생들이 사이버상담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채팅상담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여자 대학생의 사이버상담 경험은 사전 인식과 태도, 긍정적 경험, 부정적 경험, 효과적인 채팅상담을 위한 대안의 총 4개의 내용영역, 22개범주, 49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사이버상담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상담주제에 대한 선입관, 자기문제에 대한 고정관념, 상담에 대한 불안, 상담에 대한 기대의 4가지 범주로 나타났다. 둘째, 사이버상담에 대한 긍정적 경험은 친밀감, 공감적 이해, 지지와 격려, 문제에 대한 명료화, 알아차림, 문제관련 정보획득, 정서적 해소, 사고의 변화, 행동변화 의지 및 실행, 상담자체에 대한 인식의 변화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상담에 대한 부정적 경험은 전문가로서 신뢰를 주지 않는 상담자, 진정성 없는 상담자, 문제 명료화 부족, 지나친 소극적 태도, 텍스트기반 상담의 문제, 채팅상담 시스템의 문제로 나타났다. 넷째, 시스템 대기시간의 지연, 상담시간정보 부족, 상담자정보 부족, 저장기능의 부재 문제들이 보고되었고, 대안으로 상담시간 예약제, 상담시간 표시배너 설치, 저장확인 메시지, 상담자 정보제공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는 채팅상담에서의 실제 상담경험을 내담자의 시각으로 직접적으로 탐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t-counseling experience. First,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chat-counseling consisted of prejudice about counseling topics, stereotypes about individual problems, anxiety about counseling, and expectation for counseling. Second, the positive experience consists of intimacy, empathy, support, problem clarification, awareness, information acquisition, emotional resolution, thinking change, willingness to change, and change in perception of counseling. Third, negative experiences consist of counselors without expertise and sincerity, lack of clarification, passive attitude, and problems of the text-based counseling system. Finally, delay of waiting time, lack of counselor information, and lack of storage function were reported. As an alternative, a time reservation system, a time display banner, and a counselor information provision were proposed.

      • KCI등재

        청소년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그릿 및 삶의 만족 간 관계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하문선(Ha, Moon-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4

        본 연구는 청소년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그릿 및 삶의 만족이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가지는지 상호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기-상대방 상호의존 모형(APIM)을 적용한 결과 첫째,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청소년과 어머니의 자기효과가 유의했으며, 자아존중감이 그릿에 미치는 청소년과 어머니의 자기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이 그릿에 미치는 청소년의 상대방효과가 유의했으며, 그릿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어머니의 자기효과와 청소년의 상대방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등가제약을 가하여 효과 간 차이를 확인한 결과, 자아존중감이 그릿에 이르는 자기효과에서 어머니보다 청소년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이 삶의 만족에 이르는 자기효과에서 어머니보다 청소년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이 청소년의 그릿에 이르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에서는 어머니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그릿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보다 청소년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그릿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어머니의 삶의 만족 간 관계에서 어머니의 그릿의 부분 매개효과가 유의미했으며, 어머니의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삶의 만족 간 관계에서 어머니의 그릿의 완전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그릿 및 삶의 만족 간 상호관련성을 보다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가족역동적 관계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mutual influence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grit, and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and mothers. As a result of applying APIM, first, adolescents and mothers actor-effects of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and the self-esteem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actor-effects of adolescents and mothers on grit. In addition, the actor-effects of self-esteem on grit was significant, and the mother s actor-effects and the adolescent s partner-effects on lif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s by applying the equivalent constraint, first of all,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f adolescents was greater than that of mothers in the actor-effects of adolescents and mothers self-esteem on gri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influence of adolescents was greater than that of mothers in the actor-effects of adolescents and mothers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In the effect of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and mothers on adolescents grit, the self-esteem of adolescents had a greater actor-effects on adolescents grit than the partner-effects of mothers self-esteem on adolescents grit.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by applying Bootstrapping,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mother s gri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s self-esteem and mother s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s self-esteem and adolescent s life satisfaction, the complete mediating effect of mother s gri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study broadened the understanding of family dynamics in that it examine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and mothers self-esteem, grit, and life satisfaction from a more integrated perspective.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역량 잠재프로파일 유형과 영향 변인

        하문선(Moon-sun 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역량 대한 다양한 잠재프로파일과 영향 변인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전국 교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4학년 예비교사 총 537명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적용하였다. 특히 잠재프로파일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IC 지수, Entropy, LMR_LRT와 BLRT의 유의도 등을 활용하였다. 결과 LPA 적용결과, 잠재프로파일은 최종 5개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수업역량을 구성하는 모든 하위 요인의 수준이 평균 이상으로 가장 높은 수업역량-고집단(26.8%), 수업성찰 및 비평, 수업분위기조성 및 수업운영 요인이 우수한 수업운영-고집단(6.7%), 모든 하위 요인이 평균 수준인 수업역량-중집단(45.1%), 하위 요인이 모두 중간 이하 수준인 수업역량-저집단(18.9%), 모든 하위 요인이 최저 수준인 수업역량-최저집단(3.2%)이 나타났다. 또한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증한 결과 교사신념, 협동역량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의 수업역량에 따른 다양한 이질적인 하위 잠재프로파일이 존재함을 파악하고, 잠재집단 분류에 있어서 개인 내적, 전문적 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다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실증적 함의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Objectives The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latent profiles of teaching competencies and influence factors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Methods For this, we applied the Latent Profile Analysis (LPA)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argeting a total of 537 4th grade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national universities of education. In particular, IC index, entropy, significance of LMR_LRT and BLRT were used to determine the number of latent profiles. Results As a result of applying LPA, the final five latent profiles were found to be the most suitable. : The teaching competency-high group (26.8%) with the highest level in all sub-factors constituting all teaching competency, class management-high group (6.7%) with excellent class reflection and criticism, class atmosphere creation and class management, teaching competency-medium group (45.1%) with average levels of all sub-factors, teaching competency-low group (18.9%) with all sub-factors below the middle level, and teaching competency-lowest group (3.2%) with all sub-factors at the lowest level. To the nex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profile for teaching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teacher belief and cooperative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Conclusions This study has empirical implications in that it identified the existence of various sub-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 teaching competenci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internal and professional variables on profile classification comprehensively.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령초기 아동의 강점ㆍ난점에 대한 잠재집단 유형과 학교적응 및 영향변인 간 관계

        하문선 ( Ha Moon-s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4

        본 연구는 아동의 강점ㆍ난점에 대한 다양한 잠재집단과 결과변인 및 영향변인 간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LCA 적용결과, 강점ㆍ난점에 대한 잠재집단은 최종 4개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즉 정서증상, 또래문제, 행동문제 및 과잉행동ㆍ부주의 수준이 전반적으로 가장 높고 친사회적 행동 수준이 가장 낮은 양상을 보이는 ‘고위험 집단’, 정서증상과 또래문제 수준은 높고, 행동문제와 과잉행동ㆍ부주의 수준은 가장 낮은 양상을 보이는 ‘내재화난점 집단’, 정서증상과 또래문제 수준 보다 행동문제와 과잉행동ㆍ부주의 수준이 훨씬 높은 양상을 보이는 ‘외재화난점 집단’, 정서증상, 또래문제, 행동문제 및 과잉행동ㆍ부주의 수준이 전반적으로 가장 낮고 친사회적 행동 수준이 가장 높은 양상을 보이는 ‘적응집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잠재집단에 따라 학교적응 수준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살펴본 결과, 적응집단이 학교적응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내재화난점 집단이나 외현화난점 집단이었으며, 특히 고위험 집단은 학교적응에 가장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나 심각성이 드러났다. 잠재집단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증한 결과, 여아보다는 남아가 외현화난점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고, 권위주의적 양육행동 수준이 높을수록 외현화난점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정서조절 수준이 낮을수록 내재화난점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고, 또래애착과 교사애착 수준이 낮을수록 고위험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는 학령초기 아동의 강점ㆍ난점의 수준에 따른 다양한 이질적인 하위 잠재집단이 존재함을 파악하고, 각 잠재집단 유형별 적응 수준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잠재집단 분류에 있어서 개인의 생물학적, 가정환경적, 개인내적, 사회환경적 변인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다 입체적이며 통합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실증적 함의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latent classes according to children's strengths and difficulties, outcome variables, and influence variables. As a result of LCA application, the latent class for children's strengths and difficulties was classified into four final groups (high-risk group, internalizing problem group, externalizing problem group, adaptation group). Also,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latent class, the adaptation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school adjustment, and the high-risk group experienced the most difficulty in school adjustm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latent class, in particular, boy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externalizing problem group than girl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authoritarian parenting practices,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externalizing problem group. In addition, the lower the level of emotional regulation,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internalizing problem group. The lower the level of peer attachment and teacher attachment,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high-risk group. This study has empirical implications in that it identified the existence of various sub-latent classes according to children's strengths/difficulties, and confirmed th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adaptation for each clas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gender, family environment, intrapersonal and social environment variables on class classification in a more three-dimensional and integrated way.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여드름 피부의 상태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관한 연구

        하문선(Moon-Sun Ha),김주덕(Ju-Duck Kim) 한국화장품미용학회 2020 한국화장품미용학회지 Vol.10 No.2

        Appearance is one of elements to exercise a crucial influence on interpersonal perception. If a symptom such as acne occurs, it has a negative impact when ones appearance is assessed by others. In modern society, acne is known to be caused by various stress, wrong eating habits, improper life habits and environments. Unlike other diseases, acne is clearly visible, taking place on the surface of the body, and thereby becomes a cause of mental stress or a psychological depression symptom. Furthermore, acne leaves a scar if it isnt managed properly, though it is not a severe illness. The scar might be followed by an inferiority complex about appearance, and a lack of confidence about appearance affect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ocial life and is likely to provoke psychological problems as well. Accordingly, its required to improve acne and approach it from a psychological perspective instead of simply dealing with it as one of symptoms. In fact, however, not many studies have yet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cne skin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self-esteem.

      • KCI등재

        여자대학생의 성격 5요인과 정서지능, 리더십의 관계

        하문선(Moon-Sun Ha)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7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의 성격 5요인, 정서지능 및 리더십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최종모형 검증결과, 성격 5요인은 모두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고, 정서지능은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며, 개방성과 성실성은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지능은 신경증, 외향성, 친화성과 리더십의 관계에서는 완전매개효과를, 개방성, 성실성과 리더십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신경증이 낮을수록, 외향성과 친화성이 높을수록 정서지능이 높아져 리더십이 높아지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개방성과 성실성이 높을수록 직접적으로 리더십이 높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정서지능이 높아져 리더십이 높아지게 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여자대학생의 리더십 향상을 위해서는 근본적으로는 성격의 개발이 중요하며 보다 직접적으로는 정서지능의 개발이 중요함을 구조적으로 살펴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big-five personal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dership in female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final model test, all factors of big-five personality affected emotional intelligence. In addition, emotional intelligence influenced leadership, and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influenced leadership. Especially,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full mediation effect in relation to neuroticism, extroversion, agreeableness and leadership, and partial mediation effect in openness, conscientiousness and leadershi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lower the neuroticism, the higher the extroversion and agreeableness, the higher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higher the leadership. In ad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openness and conscientiousness, the more direct the leadership, this result is also because the emotional intelligence increases indirect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development of big-five personality is fundamentally important for the improvement of leadership of college students and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is directly important.

      • KCI등재

        맞벌이 부모의 일과 가족 간 갈등, 자아존중감 및 우울의 관계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의 적용

        하요상(Ha, Yo-Sang),하문선(Ha, Moon-S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6

        본 연구는 맞벌이 부모의 일과 가족 간 갈등이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가지는지 상호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을 적용하여 부모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최종모형에서 부모 간 차이를 검증한 결과, 가족-일갈등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자기효과는 모보다 부의 부적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와 모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에서는 부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부모의 가족-일갈등이 모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상대방효과와 자기효과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부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맞벌이 부모의 일과 가족 간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한 결과, 자기효과에서는 모의 경우 일-가족갈등과 우울의 관계, 가족-일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미했다. 반면 부의 경우, 가족-일갈등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만 자아존중감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미했다. 한편, 상대방효과에서는 모의 일-가족갈등과 부의 우울 간 관계에서 부의 자아존중감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미했으며, 부의 가족-일갈등과 모의 우울 간 관계에서 모의 자아존중감의 완전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맞벌이 부모가 경험하는 일과 가족 간 갈등이 상호관계에서 어떻게 심리적 건강을 저해하는지 밝힘으로써 다중역할을 경험하는 부모 상호간의 역동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utual influence of work-family conflict,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the dual-income couple.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actor-effect and partner effect of husband and wife by applying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APIM) are as follows. First, the actor-effect of FIW(work interference with family) on self-esteem was higher for husbands than for wives in the final model. However, the actor-effect of self-esteem on depression did not differ between the couple. Nex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actor-effect of wife s FIW on wife s self-esteem and the partner effect of wife s FIW on wife s self-esteem.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are as follow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actor effect. In the case of wife,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IF and depres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IW and depress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husband,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was significan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IW and depression. Next is the result of the counterpart effect. Here,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the husband s self-esteem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ife s WIF and husband s depression. In addition, the full mediation effect of wife s self-esteem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 s FIW and wife s depres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dynamics of couples experiencing multiple roles by explaining how work-family conflicts of dual-income couples hinder their psychological health. Th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