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AI·디지털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 탐색

        현민영,임다미,정슬기,최고은,김대권,박인우 안암교육학회 2023 한국교육학연구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AI and digital-based lessons among teachers, who are the main operators of the lessons, for effective operation of AI and digital-based lessons in elementary education.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12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six regions (Seoul, Busan, Gyeonggi, Daejeon, Daegu, and Gwangju) were selected to conduct focus group interview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derived based on the thematic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four areas were identified: definition of lessons, digital competency, learning materials and environment, and political support, with nine subcategories and 18 detail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necessary factors for effective operation of AI-digital-based classes are suggested in terms of personal and policy aspects.

      • KCI등재

        게더타운을 활용한 비대면 강의에서의 교수실재감이 자율성, 유능성, 학습관여를 매개로 인지된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현민영,박인우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3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s experience of teaching presence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which are autonomy and competence in non-face-to-face lecture using gather town, which is the tool of metaverse, and to identify how these relationships affect learners’ academic engagement and their perceived achieve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142 college students(male: 33, female: 105, other: 4) participated, and they self-reported levels of teaching presence, autonomy and competence, academic engagement, and perceived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impl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and academic engagement in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presence and perceived achievement was significant, but the indirect effect of competence was not significant.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teaching presence predicted perceived achievement by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competence and academic engagement was significant, but the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 of autonomy and academic engagement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ignificant learning in non-face-to-face learning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교수와 학생 인식 분석을 통한 대학 온라인 강의 지원 방안 탐색

        엄미리,이효진,최고은,전미현,현민영 (사)한국대학교육협의회 2020 고등교육 Vol.3 No.2

        This study aimed to explore practical ways to provide supports for online class operations by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university instructors and students on online classes in K University spring semester 2020. A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has been developed by having related studies organized and its content validity examined by expert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using Google Survey application consisting of 25 questions for the instructors and 23 questions for the students respectively and collected 1,366 responses from 214 instructors and 1,152 students. For data analysis, we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s of university online classe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differences between instructors and students’ perceptions on online classes using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university instructors and students perceived the aspects of online classes differently in overall satisfaction, class management, university support, system environments and preferred types of online classes. This result implied that we need to support the environments for effective online classes not only in the aspects of physical and technical support but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implementing classes as well. This study may not be able to generalize the results and the implications of K University online class situations but it will provide detailed reference data for establishing university online class management policies and guidelines. 본 연구의 목적은 2020-1학기 온라인 강의 운영 실태 및 온라인 강의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 분석을 통해 실제적인 온라인 강의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수행을 위해 선행연구를 참고하고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을 마친 최종 설문지를 바탕으로 K대학 교수(25개 문항)와 학생(23개 문항)을 대상으로 임의표집방법을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Google Survey)를 실시하였다. 기간 내 응답한 교수 214명과 학생(대학원생 포함) 1,152명, 총 1,366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결과분석을 위해 온라인 강의 환경에 대한 실태 파악은 기술통계량을, 온라인 강의에 대한 교수와 학생 간 인식 차이 분석은 독립표본 t-검정과 카이제곱 검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에서 전반적인 온라인 강의에 대한 만족도, 수업 운영, 학교지원, 시스템 환경, 선호 강의형태 측면의 만족도에서 교수와 학생의 인식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인식 차이를 통해 온라인 학습 환경에 대한 물리적, 기술적 지원은 물론 수업설계 및 운영 과정에서도 실제적인 지원과 안내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K대학의 온라인 강의 운영 상황을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본 결과는 대학의 온라인 강의 운영 및 지원 방안, 규정 등을 마련하는데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메타버스 수업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프레임워크 개발

        엄미리,김효정,노아영,심희수,진서연,현민영,김상희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敎育問題硏究 Vol.3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 수업의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고,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메타버스 수업의 설계와 운영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수행을 위해 문헌검토, 메타버스 수업 운영 경험이 있는 교수자 5인 대상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메타버스 수업의 정의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이후 전문가 내용타당도 평가를 2회 실시하였고, CVI를 활용한 평가결과와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정의와 프레임워크를 수정・보완하여 최종 개발하였다. 연구결과는 교육적 관점에서 메타버스 수업의 개념을 정의하고, 메타버스 수업의 개념과 특징을 반영하여 수업설계 및 운영 절차를 통합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생소하고 어려운 메타버스 수업설계와 운영 절차가 아닌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기존의 수업설계 중요성과 형태를 유지하면서 메타버스의 특징을 최대한 고려하고 반영하여 효과적으로 설계・운영할 수 있도록 제시했다는 점, 초・중등 수업, 대학수업 등 학교급에 상관없이 메타버스 수업설계 및 운영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가치가 있다. 이 결과는 교수자들에게 메타버스 수업의 설계 및 운영을 위한 실제적인 가이드 역할과 메타버스 수업에 대한 성찰 및 모니터링 도구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