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수근 관절의 골절-탈구에서 단요월상인대의 손상 형태에 따른 치료 결과의 비교

        허윤무(Youn Moo Heo),김태균(Tae Gyun Kim),송재황(Jae Hwang Song),장민구(Min Gu Jang),이석원(Seok Won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2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6 No.1

        목적: 요수근 관절 탈구는 고에너지 손상에 의해 발생하며 요골 경상돌기 골절 및 단요월상인대 손상을 동반한다. 단요월상인대는 요골 부착부에서 파열되기도 하지만 요골 월상골와의 전방연에서 견열 골편을 동반하여 발생하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요골 경상돌기 골절이 동반된 요수근 관절 탈구에서 단요월상인대의 손상 형태 및 치료 방법에 따라 결과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요수근 관절 탈구로 수술을 시행한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요수근 관절 탈구는 Dumontier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Group 1 (순순한 탈구 또는 요골의 작은 견열 골절)과 Group 2 (주상골와의 1/3 이상을 침범한 요골 경상돌기 골절)로 분류하였다. Group 2는 단요월상인대의 부착부가 파열되거나 작은 견열 골절을 동반한 경우를 2A, 비교적 큰 견열 골절을 동반하여 내고정이 가능한 경우를 2B로 분류하였다. 전자는 단요월상인대의 직접 봉합으로, 후자는 작은 나사를 이용한 견열 골편의 내고정으로 치료하였다. 최종 추시에서 통증, 관절 운동 범위와 파악력, 영상 검사를 확인하였다. 치료 결과는 patient-rated wrist evaluation(PRWE), modified Mayo wrist score (MMW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모든 증례는 Group 2 (2A 6명, 2B 12명)로 분류되었다. 굴신 운동 범위는 건측의 79%, 파악력은 72.9%를 보였다. Group 2A가 2B보다 신전/굴곡/회전에서 더 큰 운동 범위를 보였다. 요사위/척사위/회외전과 통증, 파악력 회복은 차이는 없었다. PRWE, MMWS에서는 두 군의 차이가 없었다. 합병증으로 외상성 관절염 7예, 관절 불안정 5예가 있었다. 결론: 단요월상인대가 손상될 때 요골 월상골와의 전방연에서 발생한 견열 골절은 치료 결과에 영향이 없었다. 그러나 견열 골편이 전위되거나 회전되어 탈구의 정복을 방해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며, 골편에 부착하는 단요월상인대의 기능을 복원하기 위해 해부학적 정복과 견고한 내고정이 필요하다. Purpose: Radiocarpal dislocation (RCD), which is caused by high-energy trauma, often involves radial styloid fractures and short radiolunate ligament (SRLL) injuries. Although SRLL injuries may occur as a simple rupture at the attachment site of radius, it may occur with a relatively large avulsed-fragment in the volar rim of the lunate facet of the radius. This study aimed to differentiate the injury type of SRLL and assess the differences in the treatment results depending on the treatment methods that have been applied in RCD with radial styloid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Eighteen patients managed surgically with RCD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as Group 1 and Group 2 by using the Dumontier method. In this study, Group 2 was subdivided into 2A (purely ligamentous or small avulsion fracture of the volar rim of lunate facet) and 2B (large avulsed-fragment enough to internal fixation) according to the injury type of SRLL. Groups 2A and 2B were treated with direct repair and screw fixation, respectively. Pain, range of motion of the wrist joint, grip strength, and complications on final radiographs were examined. The outcomes were evaluated using patient-rated wrist evaluation (PRWE), and modified Mayo wrist score (MMWS). Results: All patients were Group 2 (six and twelve patients in 2A and 2B, respectively). The mean flexion to extension arch recovered 79%,and the mean grip strength was 72.9% of the uninjured side. Group 2A showed better recovery in extension, flexion and pronation than Group 2B,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radial deviation, ulnar deviation, supination, grip strength and pain. No differences in the PRWE and MMWS were observed between two groups. Complications included traumatic arthritis in seven patients and residual instability in five patients. Conclusion: When the SRLL was injured, the involvement of a large avulsion fracture on the anterior plane of the radiolunate did not affect the test results. On the other hand, it should be observed cautiously because avulsion fractures tend to disturb the joint’s reduction through rotation or displacement. In addition, anatomical reduction and sturdy internal fixation are important for restoring the function of the SRLL.

      • KCI등재

        뉴스 리터러시가 가짜뉴스의 영향력 지각과 규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가짜뉴스 범위 인식의 조절 효과

        허윤철(Yuncheol Heo) 한국언론정보학회 2020 한국언론정보학보 Vol.10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제3자 효과의 틀에서 뉴스 리터러시가 가짜뉴스의 영향력 지각과 규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또한 뉴스 리터러시가 가짜뉴스 영향력 지각 및 규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가짜뉴스의 범위 인식이 어떠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가짜뉴스가 본인보다 타인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각하는 제3자 효과가 검증되었다. 뉴스 리터러시는 유의한 예측 변수로서 뉴스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가짜뉴스의 제3자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뉴스리터러시와 3자 지각(PIM3)은 정부 규제와 언론 자율 규제 지지 태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1자 지각(PIM1)은 언론 자율 규제 지지 태도에만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가짜뉴스 범위 인식의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가짜뉴스에 대한 엄격한 정의 정도가 3자 지각과 언론 자율 규제의 관계에서 정적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자 지각과 언론 자율 규제의 관계에서는 부적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Despite ongoing efforts to regulate fake news, there has been insufficient empirical evidence justifying strong regulations on fake new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way people perceive the effects of fake news may affect attitude to regulation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third-person effect (TPE) of fake news. Results from the survey reveal that the tendency of third-person effect occurs for the influence perception of fake news. That is, respondents perceived that fake news would have greater effects on others than themselves.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news literacy was a positive predictor of the third-person effect. Those with a greater level of perceived impact of fake news on the others (PIM3) were more likely to support government regulation and media self-regulation. Also, the perceived impact of fake news on the self (PIM1) has a positive influence on supporting media self-regulation, but not government regulation. Furthermore the narrower the scope of fake news appeared to have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PIM3 and media self-regulation and to have a nega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PIM1 and media self-regul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further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피복두께에 따른 탄소섬유로 보강된 얇은 부재의 휨성능

        허윤아 ( Heo Yun-a ),유승우 ( You Seung-woo ),하상수 ( Ha Sang-su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1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5 No.2

        철근콘크리트 부재는 춤은 기본적으로 철근의 피복두께를 유지하기 위해 최소 8cm 이상의 춤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철근콘크리트 부재에 비해 춤이 매우 작은 부재를 제작하여 휨거동을 파악하고 작은 부재를 건설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작은 부재의 제작을 위해 모르타르 안에 단면에 비해 강도가 매우 큰 탄소섬유를 배근하였다. 얇은 부재의 단면에 탄소섬유가 배근된 위치에 따라 휨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실험체마다 피복두께(2.4mm, 3.2mm, 4.2mm)를 다르게 설정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복두께에 따른 3개의 실험체를 비교한 결과, 피복두께가 작아 유효춤이 상대적으로 큰 C3-2.4계열, C3-3.2계열, C3-4.2계열 순으로 실험체의 최대하중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K-강선 교차고정을 이용한 전위된 상완골 내측상과 골절의 수술적 치료

        허윤무(Youn Moo Heo),김상범(Sang-Bum Kim),이진웅(Jin Woong Yi),이재익(Jae Ik Lee),유현진(Hyun Jin Yoo),김태균(Tae Gyun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0 No.6

        목적: 전위된 상완골 내측상과 골절의 K-강선 교차고정을 이용한 수술 후 임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탈구 여부에 관계없이 전위된 상완골 내측상과 골절로 정복 술 및 K-강선 교차고정술을 시행받은 1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녀 각각 12예, 5예로 평균 나이는 12.7세였으며 임상적 결과는 Elbow Assessment Score of the Japanese Orthopedic Association을 사용해 평가하였다. 측정된 점수와 나이, 형태, 탈구여부, 전위 정도, 술 후 1년째 건 측과의 내상과 크기 차이를 통계적으로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Elbow Assessment Score의 평균 점수는 98점이었고 형태는 type I: 2, type II: 9, type IV: 6예였으며, 탈구가 동반된 경우는 6예가 있었다. 평균 골절편 전위는 11.6 mm였으며 술 후 1년째 원위 상완골 내측 길이는 28.6 mm로 건측 28.1 mm에 비해 증가해 있었다. 점수와 유의성을 보인 것은 골절편의 전위뿐이었다(p=0.011). 결론: 소아 청소년에 있어 전위된 상완골 내측상과 골절에 대하여 K-강선을 이용한 교차 고정 및 정복은 주관절의 불안정이나 후유증 없이 양호한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following reduction of displaced medial humeral epicondyle fracture with a K-wire cross-fixation. Materials and Methods: Seventeen patients (mean age, 12.7 years; 12 boys and 5 girls) who underwent cross-fixation using K-wires in displaced medial epicondyle fracture, regardless of dislocation, were included. Surgical outcomes were estimated using the Elbow Assessment Score of the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elbow assessment score and age, fracture type, dislocation, displacement width, and size difference between bilateral medial epicondyles was estimated 6 weeks after surgery. Results: The mean elbow assessment score among the patients was 98 points (range, 94-100 points). Displaced medial epicondyle fractures were radiologically classified according to 3 groups: minimally displaced (2 cases), entrapped (9 cases), and associated with dislocation (6 cases). The mean displacement width of the fracture fragment was 11.6 mm. At 6 weeks postoperatively, the medial length of the distal humerus (28.6 mm) was greater compared to that of the contralateral side (28.1 mm). Displacement of the fracture fragment was statistically related to the elbow assessment score (p=0.011). The other assessed values did not show statistical meaning. Conclusion: Open reduction of the displaced medial humeral epicondyle fracture using K-wire cross-fixat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showed favorable clinical results with no instability or elbow comp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