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동영상 기반 앵커드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2) 학습장애아동의 수학성취에 미치는 효과

        허승준 한국학습장애학회 2010 학습장애연구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deo-based anchored instruction on the math achievements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three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and three third-grade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is study employed multiple probe design of single-subject research. Minseo's Birthday Party video-based anchored instruction was implemented in 17 class periods over six weeks in three third-grade inclusive classrooms in five phases: (a) preparing for learning, (b watching the anchor, (c) identifying the problem, (d) solving the problem, and (e) sharing the results. Result indicated that the anchored instruction was effective for enhancing the math achievement of children with learning disabilities. 이 연구는 동영상 기반 앵커드수업이 학습장애아동의 수학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구 대상은 3명의 초등학교 학습장애아동이었고, 연구 설계로는 단일대상연구법 중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민서의 생일파티’ 앵커드수업은 6주 동안 17차시에 걸쳐 3곳의 통합학급에서 실행되었다. 앵커드수업은 (1) 학습 준비, (2) 동영상 시청, (c) 문제 확인, (d) 문제 해결, (e) 결과 공유의 단계에 의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민서의 생일파티’ 동영상 기반 앵커드수업은 통합학급 학습장애아동들의 수학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수업전략이었다.

      • ‘특수교육: 국가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특수교육의 대응과 과제’에 대한 토론 1

        허승준 한국교원교육학회 2015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16 No.11

        2015 특수교육 교육과정의 개발과 관련하여 발표자는 교육과정 개정의 기본 방향 변화 에 따른 문제 제기와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고, 특수교육 교육과정 관련 연구기반을 분석하 였으며,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정 방식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시하였다. 특수교육을 연구하 는 학자로서 그리고 그동안 여러 차례 특수교육 교육과정 개발 경험이 있는 특수교육 전 문가로서의 고민이 담겨 있는 발표자의 논문에 토론자는 반론이나 이론을 제기하고 싶은 마음이 없다. 단지, 지면 관계상 발표자가 다하지 못한 고민을 대신 풀어내는 수준에서 토론을 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수업 전략 탐색: 앵커드 수업을 중심으로

        허승준 한국발달장애학회 2010 발달장애연구 Vol.14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and to introduce anchored instruction as an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s in inclusive classroom. For analyzing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various literatures are investigated. An ethnography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implementation process and the effects of anchored instruc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principles of instructions for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as individualizing curriculum goals, curriculum accommodations,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individualized instruction, and instructional material accommodations. And the study introduc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of anchored instruction as authentic tasks, collaborative learning, multimedia technology, and critical thinking tasks and activities. Implementation of anchored instruction reveled that both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nstruction. The teachers intervened students' activities passively and suppor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ctively.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anchored instruction is very effective instructional strategies that can participate all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 activities. 이 연구는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한 수업 전략을 탐색하고, 효과적인 수업 전략의 일환으로 앵커드 수업을 소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었다. 효과적인 수업 전략 탐색을 위해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고, 앵커드 수업의 중재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문화기술 연구를 수행하였다. 문헌 분석의 결과, 통합교육을 위한 수업의 기본 원리로 교육과정 목표의 개별화, 교육과정 조정, 보편적 학습 설계, 개별화 수업, 수업 자료 조정을 제시하였다. 통합학급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앵커드 수업의 환경으로는 실생활 과제, 협력학습, 멀티미디어 공학, 비판적 사고 과제 및 활동이 제시되었다. 앵커드 수업의 중재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 비장애아동은 물론 장애아동들도 앵커드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교사들은 비교적 소극적으로 아동들의 활동에 개입하면서, 장애아동들의 활동은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연구 결과 앵커드 수업은 통합학급에서 모든 아동들을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통합교육 수업 전략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통합학급에서 정착수업이 장애 및 비장애 학생의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허승준 한국특수아동학회 200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5 No.2

        이 연구는 정착수업(anchored instruction)이 통합학급에서 교육받는 경도장애 및 비장에 학생의 비관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설계는 이질 통제 집단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였다. 독립변인은 수업방법(정착수업 대 교사중심 강의식 수업)과 학생(경도장애 학생 대 비장애 학생)이었으며, 종속변인은 사후 비판적 사고력이었다. 실험 참가자는 영어를 가르치는 4명의 교사와 96명의 고등학생(경도장애 학생 48명과 비장애 학생 48명; 정착수업 집단 48명과 교사중심 강의식 수업 집단 48명)이었다. 정착수업 집단의 학생들은 7내지 8주 동안 35에서 40시간의 정착수업을 받았다. 정착수업은 학습준비, 영화 시청 및 줄거리 토론, 문단 나누기, 등장인물 분석, 연구과제 수행 및 발표의 다섯 단계로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정착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사후 비판적 사고력 점수가 강의식 수업에 참여한 학생보다 더 높았다. 또한, 정착수업에 참여한 경도장애 학생의 사후 비판적 사고력 점수는 같은 집단의 비장애 학생과 차이가 없었으며, 정착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비장애 학생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즉, 정착수업은 경도장애 학생과 비장애 학생 모두의 비판적 사고력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chored instruction on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mild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 This study employ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1) interventions with two levels (anchored instruction vs. lecture-based instruction) and (2) students with two levels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vs.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 dependent variable was critical thinking skill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included four secondary English classroom teachers and 96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high school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anchored instruction implemented in 35 to 40, fifty-minute class periods over a 7- to 8-week period. The instruction was implemented in five phases: (a) setting the stage, (b) watching the anchor and retelling the story, (c) segmenting, (d) characterization, (e) student research and presentation. The control group received traditional, lecture-based instruction using the same curriculum a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nchored instruction demonstrated greater gains in critical thinking skills than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lecture-based instruction. Moreover, students with mild disabilities made equivalent to greater gains in critical-thinking skills compared with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multimedia anchored instruction was an effective program for enhancing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mild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s.

      • KCI등재

        학습장애학생을 위한 앵커드 수업프로그램의 개발, 적용 및 효과

        허승준 한국학습장애학회 2007 학습장애연구 Vol.4 No.1

        이 연구는 학습장애학생들을 효과적으로 수업에 참여시킬 수 있는 앵커드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과정과 효과를 소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었다. 앵커드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원리로 동영상 기반 제시 형식, 이야기 형식, 생성적 학습 형태, 내재된 자료 설계, 문제의 복잡성, 교육과정 간 연계를 제시하였고, 개발 단계로 주제 선정, 교육과정 분석, 앵커 제작, 수업계획서 작성을 제시하였다. 앵커드 수업의 적용 단계는 학습 준비, 동영상 시청, 문제 확인, 문제 해결, 결과 공유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리고 이 연구에서 예시로 사용하여 논의한 ‘제주도 가족 여행’ 앵커드 수업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가 제시되었다.

      • KCI등재

        학습장애의 진단 및 평가 : 기존 모델의 문제점과 시사점

        허승준 한국학습장애학회 2005 학습장애연구 Vol.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장애아동의 진단 및 평가와 관련된 여러 모델들을 비교하고 전반적인 문제점의 분석을 통해 추후 학습장애 진단 평가 모델의 논의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올바른 장애 진단 및 평가 체제를 제시하였고, 학습장애의 진단 모델들과 각각의 장단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모델이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문제점과 시사점을 검토하였다. 능력-성취 불일치 산출 기준으로는 학년 수준 편차, 기대 공식, 표준점수 방식, 회귀 방식이 있었고, 중재반응 모델에는 예언자-기준 모델, 이중-불일치 모델, 기능적 평가 모델이 있었다. 능력-성취 불일치 모델과 중재반응 모델의 문제점을 보완하려는 새로운 대안적 모델로 Kavale & Forness(2000)의 모델, Flanagan, Ortiz, Alfonso, & Mascolo(2002)의 모델, 그리고 김동일, 이대식, 신종호(2003)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모델들의 일반적인 문제점과 시사점으로 (1) 학령기 이전 아동의 진단 문제, (2) 사회 문화적 결손 여부의 판단 문제, (3) 불충분한 또는 부적절한 교수의 판단 문제 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능력과 장애의 재해석: 센(Amartya Sen)의 역량접근을 중심으로

        허승준 한국열린교육학회 2018 열린교육연구 Vol.26 No.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reanalyze ability and disability in terms of the Capability Approach suggested by Amartya Sen.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ly, what is artificial abilities and how do human abilities need to be newly interpret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Secondly, what is the appropriate educational interpretation of artificial abilities? Thirdly, how do disabilities need to be newly interpreted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er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artificial abilities consist of the abilities of artificial itself, the human abilities caused by using artificial abilities, the abilities combined of artificial abilities with human abilities, and human abilities who have special abilities by technology from birth. Secondly, human abilities should be the combination of self abilities, environment abilities, artificial abilities and efforts. Thirdly, school should admit artificial abilities as students’ abilities and teach the students to use artificial abilities effectively to convert them to their abilities. Lastly, disabilities should be interpreted as the limitation of freedom to select functions that are essential for living caused by the difference of human dependency. 본 연구의 목적은 센(Amartya Sen)의 역량접근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시대에 능력과 장애는 어떻게 새롭게 해석되어야 하는 지를 분석하는 데에 있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시대에 대두되는 인공능력은 무엇이고, 이를 기반으로 인간능력은 어떻게 새롭게 해석되어야 하는가? 둘째, 인공능력에 대한 바람직한 교육적 해석은 무엇인가? 셋째, 인공지능 시대에 장애는 어떻게 재해석되어야 하는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능력은 인공물 자체의 능력과 이를 활용한 인간의 능력, 기계와 인간이 결합한 결과로 나타난 능력, 그리고 공학에 의해 특별한 능력을 가지고 태어난 인간의 능력 등을 포함한다. 둘째, 인공지능 시대에 적합한 인간능력은 자기능력, 환경능력, 인공능력, 그리고 노력의 결합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셋째, 인공지능 시대에 학교는 인공능력을 학생 개인의 능력으로 인정하고, 학생들이 이를 활용하여 자신의 능력을 계발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넷째, 장애는 개별 인간의 상호의존성 차이로 인해 삶에 필수적인 기능 선택의 자유(역량)가 제한되는 상태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새롭게 해석한 능력과 장애의 개념은 능력에 따라 차등적으로 제공하는 교육 체제의 개선과, 장애에 근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수교육의 근본적 개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